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ss Healthy Dietary Pattern is Associated with Smoking in Korean Men According to Nationally Representative Data

        서상연,이주현,박상신,아람,안홍엽,배우경,이용주,임은지 대한의학회 2013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8 No.6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nutrient intake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in several countries. However, Korea presents a population with a smoking rate of approximately 50% and dietary consumption of unique foods.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of dietary patterns with smoking in Korean men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The study subjects were comprised of 4,851 Korean men over 19 yr of age who participated in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etary data were assessed by the 24-hr recall method. The smoking group comprised 2,136 men (46.6%). Five dietary patterns were derived using factor analysis: ‘sugar & fat’, ‘vegetables & seafood’, ‘meat & drinks’, ‘grains & eggs’, and ‘potatoes,fruits and dairy products.’ Current smokers showed a more significant ‘sugar & fat’ pattern (P = 0.001) while significantly less of the ‘vegetables & seafood’ and ‘potatoes, fruits and dairy products’ patterns (P = 0.011, P < 0.001, respectively). As found in similar results from Western studies, Korean male smokers showed less healthy dietary patterns than nonsmokers. Thus, the result of this study underlines the need for health professionals to also provide advice on dietary patterns when counseling patients on smoking cessation.

      • KCI등재

        흡연과 식이 섭취 양상의 관련성 -일개 검진센터에 내원한 남성을 대상으로

        서상연,김유일,유태우,허봉렬,김수영,조경희 대한가정의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6 No.11

        Association of Smoking Status and Dietary Pattern -A Data of Male Screeners at a Health Promotion Center-Sang Yeon Suh, M.D., Ph.D.†, Su Young Kim, Ph.D.*, Kyung Hee Cho, M.D., Ph.D.**, Yu Il Kim, M.D., Taiwoo Yoo, M.D., Ph.D.***, Bong Ryul Huh, M.D., Ph.D*** 연구 배경: 흡연은 암, 심혈관 질환, 골다공증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킨다. 이러한 질병에 흡연이 주는 직접적인 위험 이외에도, 흡연자들의 식이 섭취양상이 비흡연자에 비해 위험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흡연상태에 따른 식이 섭취양상의 차이를 주요 영양소별로 분석하려 한다. 흡연자들의 바람직하지 않은 섭취양상을 파악하고자 함이 연구의 목적이다. 방법: 서울시내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에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내원한 남성 1,6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이 섭취는 24시간 회상방법에 의해 기록하여 각 영양소로 환산하였다. 흡연상태에 따라 총 열량(Cal) 및 특정영양소의 섭취량(g)을 분산분석으로 비교하였다. 영양소 섭취량에 대해 규칙적 운동과 교육상태가 미치는 영향을 공분산분석으로 보정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은 흡연자 840명(52.0%), 금연자 479명(29.7%), 비흡연자 295명(18.3%)이었다. 흡연자의 총 지방과 콜레스테롤 평균 섭취량은 비흡연자보다 유의하게 많았다(53.6 g vs 50.2 g, P=0.001; 281.4 mg vs 246.7 mg, P=0.005). 알코올 평균 섭취량은 흡연자, 금연자, 비흡연자 순이었다(58.0 g vs 39.2 g vs 30.0 g, P<0.001). 흡연자의 탄수화물 평균 섭취량은 비흡연자보다 유의하게 적었다(296.2 g vs 305.6 g, P=0.013). 흡연자와 금연자에서 칼슘 섭취가 비흡연자보다 낮았다(502.8 mg vs 521.1 mg vs 544. 3 mg, P=0.001, P=0.044). 이외에 흡연자는 금연자나 비흡연자보다 운동횟수가 유의하게 낮았다(4.56회/개월 vs 8.4회/개월 vs 6.76회/개월, P<0.001). 결론: 흡연자들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콜레스테롤과 지방을, 비흡연자보다 많이 섭취하였다. 흡연자들과 금연자들은 비흡연자에 비해 칼슘섭취가 부족한 반면, 알코올 섭취는 상당히 많았다. 흡연자의 건강 위험을 줄이기 위해 금연 외에 식이 섭취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여성 성 기능 연관요인 분석-가정의학과 외래 환자를 중심으로-

        서상연,유태우,허봉렬,신택수 대한가정의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4 No.8

        Identification of Related Factors of Female Sexual Function in Family Medicine OutpatientsSang Yeon Suh, M.D., Ph.D., Taek Soo Shin, M.D., M.P.H.*, Taiwoo Yoo, M.D., Ph.D.**, Bong Yul Huh, M.D., Ph.D.**

      • KCI등재후보

        여가 시간 신체활동의 변화가 체중에 미치는 영향

        서상연,유태우,김수영 대한가정의학회 2002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3 No.5

        연구배경: 과체중과 비만의 건강에 대한 위해는 잘 알려져 있으며 신체활동은 이의 치료에서 신체의 건강한 구성과 기능 유지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운동이 아닌 여가 시간의 신체활동(non-sports leisure time physical activities)이 체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추적 연구이다.방법: 1995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에서 운영하는 건강증진센터에 2회 이상 내원하여 신체활동 설문지를 두 번 모두 본인이 작성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모두 700명으로 남성 382명, 여성 318명이었다. 연구에 사용한 Baecke 신체활동 설문지는 작업시간 신체활동(work activities), 운동(sports activities), 운동이 아닌 여가 시간 신체활동(non- sports leisure activities)에 대한 설문으로 이에 대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결과: 체중이 처음의 5% 이상 감량된 사람들은 97명, 5% 이상 증량된 사람들은 28명, 5% 이내에서 변화된 사람들은 575명이었다. 체중감량군에서 운동이 아닌 여가 시간 신체활동 지수의 증가가 운동 지수의 증가보다 증가폭이 컸고 더욱 유의하였다. 반면 체중증량군에서 운동이 아닌 여가 시간 신체활동 지수의 증가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대상 전체에서 변화된 체중량과 여가 시간 신체활동 지수의 차이 간에는 유의한 양-반응 관계가 존재하였다. 다변량분석결과에서 체중감량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여성이 교차비 4.5 (95% 신뢰구간 2.7∼7.5), 여가 시간 신체활동 지수의 증가가 교차비 1.4 (95% 신뢰구간 0.9∼2.0)로 검정되었다. The Impact of the Change of Leisure Time PhysicalActivities on Body WeightSang Yeon Suh, M.D., Ph.D., Su Young Kim, Ph.D.*, and Taiwoo Yoo, M.D., Ph.D.**

      • KCI등재

        Factors Related to Substantial Pai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서상연,최윤선,Kyung Po Song,Sung-Eun Choi,Hong Yup Ahn,Jae Yong Shim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1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4 No.4

        Purpose: Pain is the most common and influential symptom in cancer patients. Few studies concerning pain intensity in the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have been don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with more than moderate pain. Methods: This study used secondary data of 162 terminal cancer inpatients at the palliative ward of six training hospitals in Korea. Physician-assessed pain assessment was by 10 point numeric rating scale. Substantial pain was defined more than moderate intensity by the Korean National Guideline for cancer pain. The Korean version of the MD Anderson Symptom Inventory was self-administered to assess symptoms. Survival prediction was estimated by the attending physicians at the time of admission. Results: Less than six weeks of predicted survival and more than numeric rating of six for worst drowsiness in the previous 24 h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ubstantial pain (P=0.012 and P=0.046, respectively). The dose of opioid analgesics was positively related to substantial pain (P=0.004). Conclusion: Factors positively related to substantial pain were less than six weeks of predicted survival and considerable drowsiness. Careful monitoring and active preparation for pain are required in terminal cancer patients having those factors.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1;14:197-203) 목적: 암환자에게 통증은 가장 흔하고 영향이 큰 증상이다. 그러나 말기암환자에서 통증 강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중등도 이상의 통증과 연관된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방법: 우리나라 완화의료 기관 6곳의 입원 병동을 대상으로 말기 암 환자 162명 자료를 사용하였다. 통증은 담당의가 10점 만점 숫자통증등급으로 측정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통증은 보건복지부 지침의 정의에 따랐다. 증상 평가에는 MD Anderson 증상 평가조사지 한국어본을 활용하였다. 생존기간 예측은 입원 당시 담당 전문의가 하였다. 결과: 예측 생존 기간이 6주 미만인 경우와 지난 24시간 졸린 정도가 6점 이상인 경우가 중등도 이상의 통증과 유의하게 연관되었다(각각 P=0.012, P=0.046). 마약성 진통제 투여량도 중등도 이상의 통증에 비례하였다(P=0.004). 결론: 중등도 이상의 통증과 유의하게 연관된 요인은 예측 생존 기간이 6주 미만인 것과 상당한 졸림이었다. 이러한 요인을 나타내는 말기 암 환자에서 주의 깊은 통증의 감시와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