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공회선교사 랜디스의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에 관한 소고

        변지선 ( Byun Ji-sun ),방원일 ( Bhang Won-i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이 연구는 1800년대 후반 한국에 파견된 성공회 선교사 랜디스(Eli Barr Landis)가 남긴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에 대한 해제이다. 저자 랜디스는 1890년 입국한 성공회 의료선교사로, 1898년 병사할 때까지 인천지역에서 의료선교, 고아 양육, 한국문화 연구에 힘썼다. 십 년이 되지 않는 짧은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랜디스는 한국어와 문화를 빠르게 학습하여 종교, 민속, 역사, 기술 등 한국문화 다방면에 관한 저술을 남겼다.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는 랜디스가 1895년 『차이나 리뷰』에 게재한 글이다. 이 글은 ‘도입부’, ‘신령 목록’, ‘굿에 대한 묘사’, ‘무당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당시 한국 무속 현장에 대한 생생한 기록을 담고 있다. 랜디스는 의사이자 여러 학술단체의 회원으로서 객관적이고 학술적 가치를 지닌 자료를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당시 서양인 관찰자로서는 예외적인 정도로 무속에 대한 편견을 최소화하고 현장과 증언을 바탕으로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을 작성하였다. 그는 1891년부터 1895년 사이에 인천지역이나 서울지역의 굿을 직접 관찰하고 무당이나 관련자의 증언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36개에 달하는 신령의 목록을 보고하고, 신령 각각의 특징, 유래, 행해지는 의례 절차를 상술하였다. 이 안에는 당시 굿에서 제일 중요하게 여겨진 제석에 관한 굿의 연행양상 및 제석에 관한 서사무가를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그가 당시 무당이 되는 과정을 평민과 양반으로 나누어 기록한 것도 의미 있는 내용이다. 이 자료는 수준 높은 서양인 기록일 뿐 아니라, 한국 무속 연구 차원에서도 19세기 말 무속 현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의 원문과 한글 번역을 제공함으로써 연구자들에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he exposition on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 written by Eli Barr Landis, an Anglican missionary who worked in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Landis entered Korea in 1890, and he worked in the Incheon area for medical missionary, orphanage, and Korean culture research until 1898. In spite of a short period of less than ten years, Landis quickly learned Korean language and wrote many aspects of Korean culture, including religion, folklore, history, and technology.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 was published in China Review in 1895. This article is composed of ‘introduction’, ‘the list of spirits’, ‘description of gut’, and ‘explanation of shaman’, and contains vivid record of Korean shaman ritual at that time. Landis strived to acquire objective, academic value data as a physician and member of several academic organizations. As a western observer at that time, he wroted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 based on his field research and interview, with an exceptional understanding to shamanism. From 1891 to 1895, he observed the gut of the Incheon or Seoul area and recorded the testimony of the shamans and the people involved. He reported a list of 36 spiritual spirits and detailed the rituals of the characteristics, origins, and practices of each spirit. It is also meaningful that he recorded the process of becoming a shaman in cases of common people and noble man. This data is not only a record of a high level of Westerners, but also valuable in the perspective of the shamanistic study of Korea, for it is considered to be a rare material that shows the reality of shamanism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convenience to researchers by providing the original text and Korean translations of this text.

      • KCI등재

        『삼국유사』 ‘기이’편 <만파식적>에 나타난 바다의 용

        변지선(Byun, Ji-Sun)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22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 No.27

        이 연구의 목적은 『삼국유사』 ‘기이(奇異)’ 편 <만파식적>에 나타나는 바다의 용의 양상과 역할을 고찰하는 것이다.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은 ‘바다에서 신라를 지키는 용’, ‘바다에서 온 사자로서의 용’, ‘바다에서 제작된 옥대인 용’으로 나타났다. 삼국을 통일한 문무왕은 유언대로 동해의 용이 되어 신라를 지켰다. 또한, 문무왕은 사자인 용을 신문왕에게 보내어 흑옥대와 대나무를 전달했다. 문무왕은 유언대로 죽어서 동해의 용이 되어 신라를 지켰다. 문무왕의 사자인 용은 신문왕과 함께 앉아 대나무의 갈라짐과 나라를 다스리는 이치에 대해 이야기했다. 문무왕과 김춘추의 선물인 흑옥대는 그 자체로 용이었다.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은 원래 바다에 존재하고 있으면서 끊임없이 육지 즉, 신라와 관계를 맺고 있다. 문무왕의 환생인 용은 호국해룡으로서 동해의 대왕암(문무대왕릉)에 존재하면서 사자를 감은사 바닷가로 보내 신문왕과 나라를 다스리는 이치를 전했고 감은사와 연결된 수로를 통해 감은사의 금당에서 불법을 듣기도 했다. 사자인 용은 문무대왕릉과 감은사 사이에 존재하면서 문무왕의 가르침을 전했다. 바다에서 만들어져 신문왕에게 전해진 흑옥대는 그 자체로 살아있는 용이면서 신문왕의 허리에 착용되어 신성한 왕권을 눈앞에 보여주었다. 이처럼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용은 바다와 육지의 경계를 넘는 용이며 세상을 다스리는 이치를 알려주는 용이고 신성한 왕권을 상징하고 눈앞에 보여주는 용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국유사” ‘기이’편 <만파식적>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에 대해 고찰했다. 이를 확장하여 『삼국유사』 ‘기이’편의 여러 이야기에 등장하는 ‘바다의 용’에 대해 고찰한다면 신라인의 바다의 용에 대한 인식과 신라인에게 바다의 의미는 어떠했는지를 종합적으로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documents that is concerned with sea’s dragon, the chapter ‘Kiyi(紀異)’ -<Manpasikjeok(萬波息笛)>in Samgukyusa(三國遺事). The dragons of sea’s dragon in <Manpasikjeok> appeared as ‘a dragon that protects Silla from the sea’, ‘a dragon as a messenger from the sea’, and ‘a dragon made in the sea. King Munmu, who unified the three kingdoms, became a dragon of the East Sea(nearby Silla) and protected Silla according to his will. In addition, King Munmu sent a messnger, a dragon, to King Sinmun to deliver black jade and bamboo. King Munmu died according to his will and became a dragon of the East Sea to protect Silla. The dragon, the messenger of King Munmu, sat with King Sinmun and talked about the means of bamboo and the principles of governing the country. The Black jade belt, a gift from King Munmu and Kim Chun-chu. That consisted of several dragons. The ‘dragon of the sea’ appearing in <Manpasikjeok> originally exists in the sea and is constantly in a relationship with the people live in Slla, that is, Silla. The dragon, the reincarnation of King Munmu, existed in Daewangam (the tomb of King Munmu) in the East Sea as a sea dragon, and sent messengers to the seaside of Gaunsa to convey the principles of governing the country with King Sinmun. The messenger is the dragon, was present between the tomb of King Munmu and Gaunsa Temple and conveyed the teachings of King Munmu. The black jade belt, which was made in the sea and passed on to King Sinmun, is itself a living dragon and was worn on the waist of King Sinmun, demonstrating the divine power of the king. As such, the dragon appearing in <Manpasikjeok> can be said to be a dragon that crosses the boundary between the sea and the land, a dragon that informs the laws of governing the world, and a dragon that symbolizes and shows the divine power. If we consider the ‘dragon of the sea’ appearing in the various stories in the “Samguk Yusa” and ‘KIii’ section, we can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dragon of the sea’ appearing in the ‘Kiyi(紀異)’ section of Samgukyusa(三國遺事). In addition, by making games based on the contents of <Manpasikjeok>, it will be possible to be reborn as a living story by realizing the space and ‘dragon of the sea’ in the ‘Metavers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서울진오기굿 "도령돌기"의 성격과 의미

        변지선 ( Ji Sun Byun ) 남도민속학회 2007 남도민속연구 Vol.14 No.-

        도령돌기는 서울진오기굿의 한 거리로, 말미거리와 베가르기 사이에 연행된다. 도령돌기의 주된 연행방식은 춤이다. 그러나 도령돌기는 춤만으로 연행되는 거리는 아니다. 도령돌기는 춤 이외에 무가의 구송, 몸짓 등 다양한 연행방식으로 연행된다. 도령돌기는 ‘넋노랫가락, 대신만수받이, 손도령, 한삼도령, 부채도령, 칼도령’의 순서로 연행된다. 넋노랫가락과 대신만수받이의 연행방식은 노래이고 도령돌기에서의 손도령, 한삼도령, 부채도령의 연행방식은 춤이다. 칼도령은 춤이라기보다는 의식에 가깝다. 칼은 저승문을 여는 열쇠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넋노랫가락과 대신만수받이는 가창으로 연행된다. 넋노랫가락과 대신만수받이의 무가를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넋노랫가락은 넋노랫가락을 통해 망자의 넋을 불러오는 역할을 하고 있다. 대신만수받이는 앞서 연행되는 말미거리에서 불려지는 <바리공주>의 축약판이다. 대신만수받이는 여러 만신들을 열거하고 무당의 내력과 도령돌기를 할 무당의 외양을 묘사하는 가사로 구성되어 있다. 대신만수받이를 통해 도령돌기를 할 무당에게 천도신인 바리공주의 권능이 위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바리공주>의 구성과 유사하다. 도령돌기는 제의의 집전자인 무당과 가족을 잃은 유족이 함께 연행하는 거리이다. 무당이 유족의 앞에서 도령을 돌면 유족은 망자의 유품을 들고 무당의 뒤를 따라 걷는다. 망자는 이미 도령돌기에 앞서 연행된 말미거리에서 천도되었다. 도령돌기에서 무당은 천도신의 권능을 위임받아 망자가 가야하는 저승길에서 망자의 앞에 서서 장애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유족은 무당의 뒤에서 망자가 가는 저승길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된다. 따라서 도령돌기는 망자가 천도되는 과정을 무당과 유족이 함께 재현한거리라고 할 수 있다. 베가르기에서는 망자가 저승의 문을 통과하는 과정이 재현된다. 말미거리와 도령돌기, 베가르기는 서울진오기굿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거리가 아니라 각각의 거리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존재하는 거리임을 알 수 있다. 말미거리, 도령돌기, 베가르기는 서울진오기굿에서 망자의 천도과정을 분절하여 여러 형태로 재현하고 있다. Doryungdolgi is part of Seoulginoguigut. Doryungdolgi is played between Malmiguri and Begarugi. Doryungdolgi’s main palying method is Dance. But Doryungdolgi``s every playing methodes are not Dance. Doryungdolgilgi has many playing method. It is chant, dance, gesture. Doryungdolgi is consist of that “Neoknoreagarak, Deasinmansubazi, Sondoryung, Hansamdoryung, Buchaedoryoung, Kaldoruyoung.” Neoknoreagarak and Deasinmansubazi’s playing method is chanting. Words of the chanting meaning is this. Nuknoreagarak’s meaning that calling of Neok(Neok is deadman’s sprit). Deasinmansubazi’s meaning that explain about Shaman in charged by Barikong’s power. Deasinmansubazi is contraction of < Barikonju >. Deasinmansubazi is consist of enumerate ancestor of shaman and history of shaman and appearance of shaman. This constitution is similler < Barikonju >. Doryungdolgi is played by Shaman and surviving family. Shman dancing in front of surviving family. Surviving families going with a keepsake from deadman on the back. Shaman’s dance meaning that remove obstacles and open the door of the other world. Deadman went to the other world in Maligeori. And deadman’s road embodying in Doryungdolgi. Shaman acts for a Barikonju. And surviving family has experience of deadman’s road. And deadman passing the door of the other world by guiding Goddes in Begarugi. Maligeori and Doryuonngdolgi and Begarugi are not independence part of Seouljinogwigut. They have intimate relations.

      • KCI등재

        신화의 역할과 의미 -무속신화 <바리공주>를 대상으로-

        변지선 ( Byun Ji-sun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1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16 No.-

        본고는 서울진오기굿에서 呪誦되는 神話인 <바리공주>의 역할과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글이다. 서울진오기굿은 한국의 서울(Seoul, 漢陽)에서 전통적으로 연행되는 무속의례이며 망자천도를 목적으로 한다. <바리공주>는 서울진오기굿에서 구송되는 신화로 주인공인 ‘바리공주’(Princess Bari)가 시련을 극복하고 遷度神이 되는 내용이다. 연구의 방법은 두 가지이다. 먼저 <바리공주>의 내용을 분석하고 <바리공주>가 주송되는 연행상황을 파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출간된 문헌을 고찰하고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약 100여회의 서울진오기굿을 보고 현장조사하였다. <바리공주>는 서울진오기굿의 말미거리(MalimiGuri)에서 구송된다. 말미거리에서는 <바리공주>와 <指路鬼巫歌>가 呪誦된다. 노래가 끝나면 망자의 還生을 점치게 된다. 무당은 朝鮮國王女의 공식적인 禮裝을 갖추고 앉아서 長鼓를 치면서 3-4시간 정도 <바리공주>를 부른다. <바리공주>는 神話이면서 儀禮이다. <바리공주>는 무당이 서울굿(漢城巫俗祭儀)의 여러 의식 중 가장 화려한 의상과 가장 많은 옷을 겹쳐 입고 가장 무거운 장신구를 하고도 꼿꼿이 앉아 긴 사설을 외워서 부른다. <바리공주>가 끝나고 나면 망자가 무사히 천도되었음을 유족과 함께 확인하고 망자의 환생을 믿게 된다. <바리공주>의 주송은 단순한 구송이 아니라 망자가 천도되는 과정이 노래로써 구현된 것이다. <바리공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바리공주는 조선의 왕녀로 태어났으나 7번째 공주라는 이유로 버림받은 뒤, 친부모를 살리기 위해 저승으로 구약여행을 떠난다. 바리공주는 약을 구해 부모를 살리고 遷度神이 된다. 이 과정에서 바리공주는 많은 귀신들을 천도한다. <바리공주>는 천도신의 위엄과 능력을 의미한다. <바리공주>는 여자이기 때문에 태어나자마자 버려졌으나 훌륭히 성장하였다. 자라서는 자신을 버린 부모를 위해 산사람으로는 다녀올 수 없는 저승여행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수많은 원귀들을 천도하였다. 이러한 능력을 가진 바리공주에 의해 망자가 무사히 천도되는 과정이 노래로 불려진다. <바리공주>는 무당의 근원을 의미한다. 왕녀인 바리공주는 왕이 되는 것을 사양하고 무당의 朝宗이 된다. <바리공주>에 의하면 무당의 근원은 조선의 여인 중 최고의 고귀한 혈통을 이은 바리공주이나 왕위를 사양하고 무당이 된다. 무당은 바리공주로부터 권능을 위임받아 망자를 천도하게 된다. <바리공주>는 후속제차의 전거가 된다. <바리공주>를 원자료(text)로 삼아 이어지는 ‘도령돌기’, ‘베가르기’, ‘시왕군웅거리’는 <바리공주>의 내용을 선택적으로 구현한 거리이다. 따라서 <바리공주>는 서울진오기굿의 信念이 구현된 신화이며 儀典이라고 할 수 있다. <바리공주>는 망자를 위해 부르는 노래이다. <바리공주>의 주송 중 반복되는 어구는 저승으로 가야만 하는 망자의 극진한 슬픔을 나타내고 있다. <바리공주>의 구송이 진행됨에 따라 망자가 저승으로 가야할 시간이 다가오기 때문이다. 또한 바리공주가 간 길은 망자가 가야할 저승길이므로 망자에게 저승 가는 길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바리공주>의 주송을 통해 망자는 위대한 바리공주의 안내를 받아 저승으로 무사히 가고 천도됨을 인식하게 된다. 그간 <바리공주>에 대한 연구는 신화의 내용이 중심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행의 맥락과 연관지어 제의를 집전하는 무당 및 망자의 입장에서 고찰하였다. This study is of the Korean Myth, < Barikongju >. A shaman sings < Barikongju > in Seouljinokwuigt. Seouljinokwuigt is a traditional shaman ritual for the dead performed in Seoul area. < Barikongju > is a story of the Barikonju. Bari is the name, means 'threw out it'. Kongju means a princess. Research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approach is the survey of the previous researches of < Barikongju >. It includes published books and papers about Seouljinokwuigt also. Barikongju travels the other world to find a wonder drug to raise the dead. She overcomes many difficulties. She was a human being, becomes a Goddess for the dead. The second is the fieldwork on Seouljinokwuigt during 2004-2008. A shaman plays < Barikongju > in the Malmiguri(Act of the steps of Seouljinokwuigt). She gets dressed of Chosun Dynasty princess costume, wears a great wig and many jewel hair pins, puts on big gilded ribbons. She plays a double-headed drum(Korean name is Jangku) and sings < Barikongju >, < Jirokwuimuga >(指路鬼 巫歌). < Jirokwuimuga > is a guiding song for the dead. The whole playing time is about 2-3 hours. Then, that shaman reads the pattern of the rice on the table. It symbolizes what the dead is reincarnated as. She tells family members about it. That is called < Ssaljumchiki >.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Barikongju > is a myth of the Goddess for the dead, the progenitor of all shamans. < Barikongju > is played in three acts. They are < Doryoungdolgi >, < Begarugi >, and < Siwangkunwongguri >. A shaman is entrusted with powers from Barikongju. She guides the dead in the road to the Kukrak - heaven in Korean shamanism in < Doryoungdolgi >. She splits life to death in < Begarugi >. Siwangkunwong is a God who is a husband of Barikongju , escorts the dead in < Siwangkunwongguri >. < Barikongju > is a song for the dead. < Barikongju > consists of a life history of herself. A shaman thinks that the dead listens to < Barikongju >. The contents of < Barikongju > are the itinerary from this world to the afterlife. The dead understands his/her death and goes to the Kukrak with the guidance of the great goddess Barikonju. Previous researches studied the < Barikongju > story only.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the form and meanings of < Barikongju > in the shaman ritual also.

      • 3차원 인체 재구성 기법의 최근 동향 및 분석

        변지선(Ji Sun Byun),조성인(Sung In Cho)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Interest in various 3D content is increas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 vision and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as well as the advancement of sensor technology. Humans are the main elements in many visual contents and are used in various 3D application fields, such as 3D human models and measurements of dimensions. Amidst this growing interest, research on reconstructing 3D human bodies has been steadily progressing. In this paper, 3D human body reconstruction techniques are categorized into two main approaches: Parametric Modeling and Implicit Function Learning. In addition, we describe recent techniques that combine these two approaches. For each approach, we provide a description of the approach and its representative methods. Furthermore, the performance of each 3D human body reconstruction technique is compared and evaluated. Finally,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analysis.

      • KCI등재

        박물관 구술채록사업에서 활용 가능한 공학기술과 제언- 구술생애사 인터뷰의 음성파일 전사과정을 중심으로

        변지선(Byun Ji 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구술채록사업에 있어서 활용 가능한 공학기술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구술채록사업에서 중 구술생애사를 인터뷰하는데 있어서 음성녹음을 중심으로 음성녹음의 과정과 轉寫에 있어 활용 가능한 공학기술을 제시하고 향후방향을 제언했다. 이 연구에서는 휴대하기 간편한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음성을 문자로 바꾸어주 는 스마트폰 어플의 활용도를 살펴보았다. 대상 스마트폰은 Galaxy SM-A710S (Samsung), G6(LG), I-phone7+(Apple)이다. 사용된 어플은 안드로이드 기반 어플인 Ever Note, Speech to note, 똑똑노트, Google keep이다. 또한, IOS어플로 Voice to text를 사용했다. 실험의 방법은 실험자가 스마트폰에서 대상어플을 실행시킨 상태에서 특정문장을 읽고 그 결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 실험의 결과, 어떤 어플도 완벽하게 음성을 문자로 바꾸어주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험에서 인터뷰가 끝남과 동시에 1차 전사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음성파일을 문자로 바꾸어주는 기술이 활용될 수 있는 분야는 다양하다. 특히, 의료분야에서는 수술이나 진료 시 환자와 의사, 의료진의 대화가 실시간으로 문자화될 수 있으며 의료소송 시 증거자료로 채택할 수 있다. 더불어, 치매환자를 위한 로봇에 음성녹음 기능을 추가하고 녹음된 음성을 문자로 바꾸어주어 실시간으로 의료진에게 전달한다면 치매환자의 간호 및 치료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on a speech to text in oral life story interview of museum. Researching method is that test about speech to text by smart-phone applications. Tools of the test that are Galaxy SM-A710S (Samsung), G6 G600L(LG), I-phone7+(Apple). Applications are two types. First type is android based applications.(Ever Note, Speech to note, Ddokddoknote, Google keep) Second is IOS based application.(Voice2 text). The method of test is as follows. When the tester(human) runs the above application, speaking certain sentences and examines the results. Result of test is not perfect. But this result is primary data for recording of oral history. Also, this data is the data getting at the end of the interview(recording of oral history of museum). This method is that can be reduce for speech to text. There are many areas where ‘speech to text’ can be used. Especially, in medical field, the dialogue between patient, doctor and medical staff can be written in real time during surgery or medical treatment, and it can be adopted as evidence in case of medical litigation. In addition, if a voice recording function is added to a robot for dementia patients and the recorded voice is converted into a letter and transmitted to the medical staff in real time, data on nursing and treatment of the demented patient will be obtained.

      • KCI등재

        서울지역 마을굿 전자문화지도의 구축과 활용방안

        변지선(Byun Ji-Sun)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5 No.-

        본고는 서울지역 마을굿 전자문화지도의 구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마을굿은 마을의 공동의례이면서 여기에는 구술 전승되는 신화와 전설들, 마을굿이 끝난 뒤에 벌어지는 여러 가지 놀이, 음악과 춤, 음식, 그림, 복장 등 여러 가지 정보가 종합적으로 어우러져 있다. 전자문화지도는 이러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력적인 방법이다. 서울은 예로부터 왕도였기에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고 전국의 물산이 모이는 곳이었다. 따라서 굿에서도 의복과 악기편성이 화려하고 제물이 성대하였다. 특히 한강을 중심으로 하여 뱃일과 관련된 마을굿이 많이 남아 있고 궁중과 관련 깊은 인물을 신으로 모시는 마을이 많다. 서울지역의 마을굿은 보통사람들이 기억하는 서울의 옛 모습과, 궁중과 민간의 결합양상을 보여준다.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으로 특수한 서울지역의 마을굿은 현대의 서울에서 여전히 마을의 축제로 벌어지고 있다. 이에 서울지역의 마을굿을 마을사람들의 축제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과 문화유산의 보고로 보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연구하기 위해 전자문화지도를 만들게 되었다. 서울지역마을굿 전자문화지도는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에서 구축한 마을굿데이타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을굿database는 『한국의 마을제당』 제1권-서울, 경기편,『서울의 마을굿』의 도서와 필자의 현장관찰자료(비디오테잎, 사진, 음성파일)를 기본자료로 하고 MS Acce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마을굿database 중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주제의 주제도인 '서울지역마을굿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이 주제도는 서울마을굿 databse의 특정필드를 선택하여 만든 것이다. 이 지도를 통해 서울지역에 마을굿이 분포하는 곳을 알 수 있으며 서울시의 지형과의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강수로에 따른 마을굿당분포도', '한강수로와 마을굿당의 위치', '서울지역마을굿의 신격과 지형연구', '서울지역 마을굿과 굿당의 역할', '한강을 중심으로 한 마을굿의 분포와 마을굿의 성격', '마을굿의 성격과 지역민의 생활기반'과 같은 다양한 연구주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하여 온라인서비스기반의 '서울마을굿 검색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서울마을굿검색시스템'은 서울지역의 마을굿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민속학연구의 기초자료로써의 효용이 매우 높다. 이 시스템은 지속적인 Data 수집 및 현장 참여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더불어 서울지역의 마을굿database를 바탕으로 하여 database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거대 DB의 호환성을 위해 표준화된 Package를 사용하여야 한다. 비단 웹서비스뿐만 아니라 CD, DVD 제작을 통해 방송Contents화 한다면 배포가 매우 용이할 것이다. 이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해외에 알린다면 국제적으로 서울지역의 마을굿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울지역의 마을굿을 권역별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마을굿에 대한 문화적인 가치파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울의 마을굿을 보존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n advanced data base program for regional cultural studies is introduced and its application is proposed. The proposed application,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is a web based data base program to provide extensive and integrated information on regional culture, especially shaman performances (Gut), of general public as well as researches.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will exploit Maulgut database developed by Institute of Koreanculture to support regional cultural studies. Since the information in Maulgut database has been collected and categorized to conduct professional academic research, it is a promising data source for unbiased, detailed, extensive, and high quality information. Based on Maulgut database, historical, regional, and cultural information in various form, which include text, audio, video, still image, and map format, will be the major provision of Electornin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and the users will be able to access itsintegrated information efficiently via popular web based internet communication. One potential web based service is to display a Seoul map, which has markings on the points of interests, usually town, Gutdangs, or gut performance places, and then the users can surf the map to access the provided information. The benefits of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develop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rganized communication of the variety of data, creation of electronic regional cultural atlas, accumulation of basic data for cultural studies(,,) etc. The future pl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ontinuation of data collection Vitalization and regularization of fieldwork Optim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DB Diversification of the media: WEB, CD, DVD Categorization of Seoul Gut based on the local region Evalu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Seoul Gut as cultural artifacts Expansion of the data and service to cover Korea puninsular Provision of pride and cooperation to locals Development and creation of resources for tourist attraction

      • KCI등재

        공공기관구술채록사업에 있어서 문제점과 해결방안 : 공공기관 구술채록사업 실무를 중심으로

        변지선(Byun, Ji-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구술채록사업에 있어서 문제점과 해결발안에 대해 고찰했다. 공공기관구술채록의 문제점을 사업의 실무진행 면에서 살펴보았다. 해당 사업의 실무담당자가 해당사업을 처음 시도하거나 전문성이 부족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공공기관 구술채록사업 실무담당자 교육’, ‘공공기관구술채록 사업 실무담당자 네트워크 생성’, ‘공공기관 구술채록사업 매뉴얼 작성’을 제시했다. 공공기관 구술채록사업 실무담당자 교육은 초임자를 대상으로 공공기관 구술채록사업의 계획부터 사업수행 및 향후방향 설정에 이르기까지 전과정에 대한 사업진행교육을 의미한다. 공공기관구술채록 사업 실무담당자 네트워크의 구성원은 구술채록사업의 유경험자와 무경험자로 구성되어야 한다. 유경험자가 공공기관 구술채록 사업 수행에 있어 문제점과 해결방안 등을 제시하고 무경험자도 이러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여야 한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oblem and the solution proposal in the public institution oral record working. The problems of the public institution’s oral record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working progress. This can happen i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project is trying the project for the first time or lack of expertis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proposed ‘Education for Public Personnel Auditory Recordkeeping to work’, ‘Creation of Network for Public Audit Record Industry’, and ‘Preparation of Public Audit Record Management working Manual’. The training of practitioner in the public institution oral record working refers to the training of the first person in charge of the business process from the plan of the public institution oral record working to the execution of the business and the setting of the future direction. The members of the network of practitioners in the public institution’s oral record workings should be composed of experienced and inexperienced persons in the oral record business. The problem should be a network in which the inexperienced person presents the problems and the solutions for the performance of the public institution’s oral record business and the inexperienced person can share the experience.

      • KCI등재

        경기도 무형문화재 보호 조례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

        변지선(Byun, Ji-Sun) 동서미술문화학회 2016 미술문화연구 Vol.8 No.8

        이 논문은 경기도 무형문화재 보호 조례 제정의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자체 조례의 상위법령인 문화재보호법과 무형문화재 진흥 및 보존에 관한 법률을 검토했고 대한민국이 가입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 등을 들어 무형문화재 보호의 중요성을 살폈다. 이어서 향후 경기도 무형문화재 보호 조례의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개정된 문화재보호법과 현행 문화재보호법의 무형문화재 부분을 비교하였고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 중 ‘제정의 필요성’과 중요내용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무형문화재 기록화, 무형문화재 기 · 예능보유자 및 보존단체 관리, 경기도 무형문화재 활용 및 활성화에 대해 논의했다. 아울러 이 논문에서는 경기도 무형문화재 보호 조례 제정의 방향에 있어 무형문화재에 대한 기록물의 종류, 형태, 공개범위에 대해 논의했다. 무형문화재를 발굴하고 조사하며 이를 기록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무형문화재 기 · 예능보유자의 전승 및 교육활동, 무형문화재 기예능 공개에 관한 기록과 평가에 대한 기록물 관리의 필요성과 공개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무형문화재 관련 전문인력을 무형문화재 관련 부서에 배치하여야함을 주장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necessity of enacting Gyeonggi-do local Self-government Ordinance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nd on the future direction for enactment. We study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by observing the upper law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Act on promotion and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UNESCO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claim the necessity of enacting Gyeonggi-do local Self-government Ordinance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to discovering and utiliz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Gyeonggi-do. Then we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Gyeonggi-do local Self-government Ordinance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We compared the revised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with old act, and examine Act on promotion and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e discuss reco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manag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xpertises and conservation organizations, and promoting application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Gyeonggi-do. Also, we discuss whic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ill be recorded and should be open to the public, to help enacting Gyeonggi-do local Self-government Ordinance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We emphasize on fostering experts who can discover, research and recor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e also propose the necessity of managing documentaries on inheri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from expertises to successors and on evalua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the necessity of open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the public. We also claim to keep experts to department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