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는 모래의 부유 모의시 차폐효과 고려의 영향

        변지선,손민우,Byun, Jisun,Son, Minwoo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imulate the transport of nonuniform sediment considering the hiding-exposure effect numerically. In order to calculate the transport of multi-disperse suspended sediment mixtures, the set of advection-diffusion equations for each particle class is solved. The applic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 is examined by comparing the simulation results with experimental data. In this study, we calculate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total concentration of sediment particles using two approaches: (1) by considering the mixture as represented by a single size; and (2) by combin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ediment corresponding to several particle size classes; From the simulation results, it is shown that both approaches calculate reasonable results due to the narrow range of size distribution. Under the condition of nonuniform sediment, the critical shear stress of the sediment particle is influenced by the size-selective entrainment, i.e., hiding-exposure effect. It is shown in this study that the effect of hiding-exposure effect on the erosion rates of fine sand is negligibly small.

      • KCI등재

        기후 변화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수질 변화 및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

        변지선,손민우,Byun, Jisun,Son, Minwoo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7

        본 연구는 미래기후변화에 따른 청미천 유역의 향후 수질 변화를 검토하고, 최적관리기법으로의 접근을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 대책의 유효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수문 및 수질변수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WA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SWAT 모형의 매개변수는 SWAT-CUP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구축된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RCP) 시나리오 중 RCP 4.5 및 8.5 두 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기후를 고려하였다. 모의 결과로부터 기후 변화가 심화될수록 강우 및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적절한 최적관리기법을 통해 비점오염물질의 총량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른 변동성도 함께 효과적으로 저감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discharge under the condition of climate change and Best Management Practices (BMPs), which is one of the reduction method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is applied to case in Cheongmicheon watershed. The coefficients required for SWAT model were calibrated using SWAT Calibration and Uncertainty Program. Climate change is considered by using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scenarios, RCP 4.5 and RCP 8.5. It is known from simulation results that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increases under the climate change scenario assuming worse condition. It is also found in this study that an appropriate application of BMPs is able to reduce the quantity and temporal vari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effectively.

      • KCI등재

        서울지역 마을굿 전자문화지도의 구축과 활용방안

        변지선(Byun Ji-Sun) 한국민속학회 2007 韓國民俗學 Vol.45 No.-

        본고는 서울지역 마을굿 전자문화지도의 구축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마을굿은 마을의 공동의례이면서 여기에는 구술 전승되는 신화와 전설들, 마을굿이 끝난 뒤에 벌어지는 여러 가지 놀이, 음악과 춤, 음식, 그림, 복장 등 여러 가지 정보가 종합적으로 어우러져 있다. 전자문화지도는 이러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매력적인 방법이다. 서울은 예로부터 왕도였기에 문화의 중심지가 되었고 전국의 물산이 모이는 곳이었다. 따라서 굿에서도 의복과 악기편성이 화려하고 제물이 성대하였다. 특히 한강을 중심으로 하여 뱃일과 관련된 마을굿이 많이 남아 있고 궁중과 관련 깊은 인물을 신으로 모시는 마을이 많다. 서울지역의 마을굿은 보통사람들이 기억하는 서울의 옛 모습과, 궁중과 민간의 결합양상을 보여준다. 역사적, 지리적, 문화적으로 특수한 서울지역의 마을굿은 현대의 서울에서 여전히 마을의 축제로 벌어지고 있다. 이에 서울지역의 마을굿을 마을사람들의 축제뿐 아니라 우리의 전통과 문화유산의 보고로 보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리고 연구하기 위해 전자문화지도를 만들게 되었다. 서울지역마을굿 전자문화지도는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에서 구축한 마을굿데이타베이스를 기반으로 하여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마을굿database는 『한국의 마을제당』 제1권-서울, 경기편,『서울의 마을굿』의 도서와 필자의 현장관찰자료(비디오테잎, 사진, 음성파일)를 기본자료로 하고 MS Acce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마을굿database 중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특정주제의 주제도인 '서울지역마을굿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이 주제도는 서울마을굿 databse의 특정필드를 선택하여 만든 것이다. 이 지도를 통해 서울지역에 마을굿이 분포하는 곳을 알 수 있으며 서울시의 지형과의 관계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한강수로에 따른 마을굿당분포도', '한강수로와 마을굿당의 위치', '서울지역마을굿의 신격과 지형연구', '서울지역 마을굿과 굿당의 역할', '한강을 중심으로 한 마을굿의 분포와 마을굿의 성격', '마을굿의 성격과 지역민의 생활기반'과 같은 다양한 연구주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하여 온라인서비스기반의 '서울마을굿 검색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서울마을굿검색시스템'은 서울지역의 마을굿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유기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민속학연구의 기초자료로써의 효용이 매우 높다. 이 시스템은 지속적인 Data 수집 및 현장 참여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더불어 서울지역의 마을굿database를 바탕으로 하여 database를 전국적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또한 거대 DB의 호환성을 위해 표준화된 Package를 사용하여야 한다. 비단 웹서비스뿐만 아니라 CD, DVD 제작을 통해 방송Contents화 한다면 배포가 매우 용이할 것이다. 이를 영문으로 번역하여 해외에 알린다면 국제적으로 서울지역의 마을굿을 알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서울지역의 마을굿을 권역별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마을굿에 대한 문화적인 가치파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울의 마을굿을 보존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n advanced data base program for regional cultural studies is introduced and its application is proposed. The proposed application,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is a web based data base program to provide extensive and integrated information on regional culture, especially shaman performances (Gut), of general public as well as researches.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will exploit Maulgut database developed by Institute of Koreanculture to support regional cultural studies. Since the information in Maulgut database has been collected and categorized to conduct professional academic research, it is a promising data source for unbiased, detailed, extensive, and high quality information. Based on Maulgut database, historical, regional, and cultural information in various form, which include text, audio, video, still image, and map format, will be the major provision of Electornin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and the users will be able to access itsintegrated information efficiently via popular web based internet communication. One potential web based service is to display a Seoul map, which has markings on the points of interests, usually town, Gutdangs, or gut performance places, and then the users can surf the map to access the provided information. The benefits of the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Seoul Maulgut developm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rganized communication of the variety of data, creation of electronic regional cultural atlas, accumulation of basic data for cultural studies(,,) etc. The future pla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ontinuation of data collection Vitalization and regularization of fieldwork Optim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DB Diversification of the media: WEB, CD, DVD Categorization of Seoul Gut based on the local region Evaluation and conservation of the Seoul Gut as cultural artifacts Expansion of the data and service to cover Korea puninsular Provision of pride and cooperation to locals Development and creation of resources for tourist attraction

      • KCI등재

        『무당내력』류(類) 별성거리의 성격과 의의

        변지선 ( Ji Sun Byun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0 No.-

        이 연구는 ‘『무당내력』류(類)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의 성격과 의의를 밝히기 위한연구이다. ‘『무당내력』류(類)’란 서울대 규장각에서 소장하고 있는 『무당내력』(가람古본,古본)을 비롯하여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된 ‘무당성주기도도’, 단국대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무녀연중행사절차목록』등을 가리킨다. 이 자료들의 제작시기는 19세기말로 추정되며 서울굿의 굿거리를 그림과 해설로 기록한 것이다.『무당내력』류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는 대개 최영장군을 모시는 대거리 이후에 연행되었다. 별성거리에 그려진 무당은 조선시대 군복을 입고 언월도와 당파창을 들었다. 『무당내력』류자료에 따르면, 별성은 원래 단군의 시신인 고시례였으나 당시의 무당들은 사도세자를 모신다고 했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라 비판하였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무당내력』류 자료의 별성거리는 이들 자료의 제작시기를 추측할 수 있는 단초가 된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등장하는 ‘별성거리’의 ‘별성’은 사도세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자료들은 사도세자 사후에 제작된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별성거리에서 무당이 입고 있는 복식과 사도세자가 왕으로 추숭된 연도를 살펴볼 때 서울대 규장각 소장 『무당내력』은 1885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를 살펴보면 서울굿 신격 중 별성의 변화에 대해 알 수 있다. 『무당내력』류 자료에 기술된 해설에 따르면, 별성거리의 별성은 원래 단군의 시신 고시례였다가 최영장군을 배행할 때모시는 ‘사도세자’라고 하였다. 현대 서울굿 별성거리에서도 ‘별성’과 ‘별상’이 혼용되고 있는것으로 보아 ‘별성’이라는 신격은 항상 변화가 있었던 신격으로 추정할 수 있다.『무당내력』류 자료에 나타난 별성거리에는 사도세자에 대한 신앙양상이 나타나 있다. 우리 무속에서 현세에서 억울한 죽음을 당한 귀인을 무속의 신으로 숭앙하는 양상이 나타나는데 사도세자 역시 그러한 예로 볼 수 있다. 사도세자 사후, 사도세자에 대한 신앙은 기층민들에 의해 성행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후에 기득권층은 1899년에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숭하였고 종묘에 그 신주가 안치되었다. 또한 별성거리에는 생전 사도세자의 성격과 외양이 구현되었다.별성거리에서 무당이 군복을 입었다는 것은 별성거리에 등장하는 신격이 군인과 관계있음을 나타낸다. 조선시대에 언월도는 기병의 무기이며 당파창은 보병의 무기이다. 따라서 별성거리의 그림에서 무당이 입고 있는 복식과 들고 있는 무구는 조선시대의 군인 중 기병과 보병을 관리하는 높은 직위와 능력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on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are 『Mudangnaeryuk』 in Seoul university Kyujangkak, and ``Mudangsungjukidodo`` in Seoul university museum and 『Munyou-younjunghaengsajeolcha-mokrok』 in Dankuk university Sukjuson museum. The aim of this materials are that performance aspects of Seoulguk on Joseon period appear to the reader. The aim of this materials is performance aspect of Seoulguk on Joseon dynasty period by illustration and explanation written by Chinese character.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has been the next on Deakeori for general Choi young. A shaman in Byulsungkeori dressed up military uniform of Joseon period. And the shaman holds a scimitar and a trident. According to explanation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Byulsung(god of Byulsungkeori) is retainer of Dangun. But shaman``s opinion that Byulsung is Sadoseja.(a sad crown prince of the Joseon Dynasty). The meanings of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are follows.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is clue of production year. Because Byulsung is Sadoseja. Therefor, estimate production year is since Sadoseja died. 『Mudangnaeryuk』 in Seoul university Kyujangkak``s product year is 1885. Because a shaman``s clothes made in Byulsungkeori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is 1885. And Sadoseja become a king 1899 by king Kojong. Byulsung is observered of an aspect in Byulsungkeori of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According to 『Mudangnaeryuk』, Byulsung is Gosirea. Gosirea is a vassal of Dankun. Byulsung is used mixed with Byulsang in Byulsungkeori of morden Seoulgut. Therefor, Byulsung``s character is changing God in Seoulgut. Faith for Sadoseja appearances in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Since Sadoseja died that faith for Sadoseja is prevalent by the public. The Establishment crowned him as a honorary king, Jangjo. And Sadoseja``s spirit tablet illustration enshrining in Jongmyou. Sadoseja``s character and appearance express ‘the classes of 『Mudangnaeryuk』’. Military uniform and weapons are symbolize high position inmilitary. A scimitar symbolizes a cavalry, a trident symbolizes a infantryman.

      • KCI등재

        경기옛길앱의 콘텐츠 제작 및 스토리텔링 방안 연구 : 인덕원옛길을 중심으로

        변지선(Jisun B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6

        이 연구는 ‘경기옛길앱’에서 활용가능한 문화콘텐츠를 찾아보고 스토리텔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옛길앱을 사용하며 인덕원옛길을 걸었고 그 결과 인덕원옛길에는 ‘이야기’가 부족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 연구에서는 인덕원옛길의 이야기를 발굴하고 활용하여 스토리텔링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 방법은 인덕원옛길의 문화적 자원과 환경적 자원을 분석하여 주제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주제어를 중심으로 이야기자원을 수집하여 경기옛길앱에서 활용가능한 방식으로 가공하여 음성으로 제공하는 방법이다. This study is to search for cultural contents that can be used in the Gyeonggi Old Road App and to find ways to tell a story. For this, I used the Gyeonggi Old Road app and walked the Indeokwon Old Road, and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story was lacking in the Indeokwon Old Road. In this study, a method of storytelling by discovering and utilizing the story of Indeokwon Old Road was proposed. The method is a method of analyzing cultural and environmental resources of Indeokwon Old Road, extracting the main words, collecting story resources around the extracted main words, processing them in a way that can be used in the Gyeonggi Old Road app, and providing them as voices.

      • KCI등재

        영상자료의 식생지수를 이용한 제주 북동부 지역의 풍력자원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변지선(Byun, Ji Seon),이병걸(Lee, Byung Gul),문서정(Moon, Seo J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1

        풍력자원지도의 작성을 위해 기본적으로 지형고도자료, 지면조도자료, 풍황자료가 필요하다. 그 중 지면조도자료의 경우 토지피복분류 기법을 통한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지면조도지도의 경우 토지피복의 성질에 따라 풍속의 조도계수가 다르게 되며, 이러한 조도계수에 근거하여 정확한 지면조도지도를 만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위성자료를 이용하여 무감독 분류 방법과 식생지수법을 사용하여 지면조도자료를 생성한 후 풍력자원지도를 작성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풍력자원지도를 근거로 식생지수법의 사용이 무감독 분류 기법에 비하여 타당한지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식생지수를 사용한 풍력자원지도는 관측 자료와 비교한 경과 60% 이상의 등급 일치율을 보였고 불일치하는 픽셀에 대해서는 최대 등급의 차이를 넘지 않았다. 따라서 풍력자원지도 생성 시 필요한 지면조도지도를 계산할 경우 식생지수를 이용한 분류방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To create a wind resource map, we need a contour map, a roughness map and wind data. We need a land cover map for the roughness map of these data. A land cover map represents the area showing similar characteristics after color indexing based on the scientific method. The features of land cover is classified by Remote sensing technique. In this study, we verified the application of the NDVI technique is reasonable after we created the wind resource map using roughness maps by un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NDVI technique. As a result, the wind resource map using the NDVI technique showed a 60% accordance rate and difference in class less than one. From the results, The NDVI technique is found alternative to create roughness maps by th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 KCI등재

        성공회선교사 랜디스의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에 관한 소고

        변지선 ( Byun Ji-sun ),방원일 ( Bhang Won-il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8 民族文化硏究 Vol.81 No.-

        이 연구는 1800년대 후반 한국에 파견된 성공회 선교사 랜디스(Eli Barr Landis)가 남긴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에 대한 해제이다. 저자 랜디스는 1890년 입국한 성공회 의료선교사로, 1898년 병사할 때까지 인천지역에서 의료선교, 고아 양육, 한국문화 연구에 힘썼다. 십 년이 되지 않는 짧은 활동 기간에도 불구하고 랜디스는 한국어와 문화를 빠르게 학습하여 종교, 민속, 역사, 기술 등 한국문화 다방면에 관한 저술을 남겼다.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는 랜디스가 1895년 『차이나 리뷰』에 게재한 글이다. 이 글은 ‘도입부’, ‘신령 목록’, ‘굿에 대한 묘사’, ‘무당에 대한 설명’으로 구성되어 당시 한국 무속 현장에 대한 생생한 기록을 담고 있다. 랜디스는 의사이자 여러 학술단체의 회원으로서 객관적이고 학술적 가치를 지닌 자료를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당시 서양인 관찰자로서는 예외적인 정도로 무속에 대한 편견을 최소화하고 현장과 증언을 바탕으로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을 작성하였다. 그는 1891년부터 1895년 사이에 인천지역이나 서울지역의 굿을 직접 관찰하고 무당이나 관련자의 증언을 기록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36개에 달하는 신령의 목록을 보고하고, 신령 각각의 특징, 유래, 행해지는 의례 절차를 상술하였다. 이 안에는 당시 굿에서 제일 중요하게 여겨진 제석에 관한 굿의 연행양상 및 제석에 관한 서사무가를 기록이 포함되어 있다. 그가 당시 무당이 되는 과정을 평민과 양반으로 나누어 기록한 것도 의미 있는 내용이다. 이 자료는 수준 높은 서양인 기록일 뿐 아니라, 한국 무속 연구 차원에서도 19세기 말 무속 현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의 원문과 한글 번역을 제공함으로써 연구자들에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he exposition on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 written by Eli Barr Landis, an Anglican missionary who worked in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Landis entered Korea in 1890, and he worked in the Incheon area for medical missionary, orphanage, and Korean culture research until 1898. In spite of a short period of less than ten years, Landis quickly learned Korean language and wrote many aspects of Korean culture, including religion, folklore, history, and technology.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 was published in China Review in 1895. This article is composed of ‘introduction’, ‘the list of spirits’, ‘description of gut’, and ‘explanation of shaman’, and contains vivid record of Korean shaman ritual at that time. Landis strived to acquire objective, academic value data as a physician and member of several academic organizations. As a western observer at that time, he wroted “Notes on the Exorcism of Spirits in Korea” based on his field research and interview, with an exceptional understanding to shamanism. From 1891 to 1895, he observed the gut of the Incheon or Seoul area and recorded the testimony of the shamans and the people involved. He reported a list of 36 spiritual spirits and detailed the rituals of the characteristics, origins, and practices of each spirit. It is also meaningful that he recorded the process of becoming a shaman in cases of common people and noble man. This data is not only a record of a high level of Westerners, but also valuable in the perspective of the shamanistic study of Korea, for it is considered to be a rare material that shows the reality of shamanism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convenience to researchers by providing the original text and Korean translations of this text.

      • KCI등재

        한국신화 전자문화지도 개발 시고-무속신화 〈바리공주〉를 대상으로 한 필드 설정을 중심으로

        변지선(Jisun Byun)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24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27 No.1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Korean mythology. In this paper, we select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lectronic Cultural Atlas of Korean mythology and established fields that can be classified and input guidelines for each field. In addition, a model capable of building a database that can be linked to the Electronic Culture Atlas was presented. The target material is 〈Princess Bari〉. 〈Princess Bari〉 is a shamanistic myth that exists throughout Korea except Jeju Island. 〈Princess Bari〉 was recorded from 1937 to the present. For this data, fields and field input guidelines that reflect the contents of shamanic rituals and myths were selected. And MS Access was selected as an appropriate tool to implement this data into an electronic cultural guide. Next, we presented a sample implementation using MS Access for the target data.

      • KCI등재

        여성무속인의 삶과 무속

        변지선(Byun, Jisun) 비교민속학회 2014 비교민속학 Vol.0 No.53

        이 연구는 한국의 여성무속인의 삶과 무속에 관한 연구이다. 여성무속인 중 서울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여성무속인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여성무속인의 가족 내 지위와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그 변화원인을 고찰했다. 전통적으로 가족 중 누군가가 무당이 되는 과정을 겪게 되면 가족들은 무당이 되는 과정에 있는 가족구성원을 박해하거나 축출했었다. 그러나 요사이에는 새로운 양상이 관찰된다. 여성무속인 가족 내에서 딸,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 새로운 위상을 정립하게 되는 과정이 이 연구의 주요관찰 대상이며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밝히고자 했다.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지역의 여성무속인을 대상으로 현장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여성무속인의 삶을 관찰했다. 또한 여성무속인의 삶에 대해 연구한 문헌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여성무속인의 가족 내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가계의 여성인 경우에는 무업입문에 대해 가족들이 받아들이는 과정을 겪는다. 어머니나 할머니가 무당인 경우에는 딸이 가족 내 무업전통을 이어받아 무업을 잇는 경우가 많다. 이때, 가족들은 딸과 함께 무업을 협업하게 된다. 기혼녀가 무당이 되는 경우에는 이혼을 하거나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사례가 나타난다. 이혼을 하는 경우에는 가족 내에서 아내와 어머니의 지위를 잃는다. 이혼하지 않는 여성무속인의 경우는 다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인인 남편이 아내의 무업을 외면하거나 인정하는 경우이다. 남편이 아내의 무업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아내를 일하는 아내로 보고 아내의 무업을 인정하거나 적극적으로 아내의 무업을 돕는 경우이다. 이때 여성무속인은 가족 내에서 아내와 어머니의 지위를 잃지 않으며 가사와 자녀교육은 외부인력을 고용하여 해결한다. 며느리로서의 여성무속인은 대부분 무가계에서 나타난다. 시어머니가 무당인 경우에 무당인 미혼녀를 며느리로 삼는 경우가 많아서 가족 내에서 며느리는 무업의 전승자로 시어머니로부터 인정받으면서 무업과 며느리의 역할을 함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나는 이유를 경제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표면적인 계급이 사라지고 자본의 중요성이 대두되어 여성무속인들은 자본의 축적을 통해 경제적 측면에서 상류층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자식을 명문학교에 진학시키거나 전문직을 갖게 하였다.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가족 내에서 전통적인 여성상에서 ‘일하는 어머니, 일하는 아내’로 변화하였다. 또한 무속에 대한 인식도 무형문화재 제도에 따라, 전통문화라는 측면이 강조되어 자녀들이 어머니의 무업을 ‘전통문화에 대한 직업’으로 인식하였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life and the shamanism of female shamans. The Study objects are female shamans’s life in Seoul. The positions and the roles of the female shamans in their family are observed, and the reasons of changes on their roles are analyzed. Traditionally, when one of family member becomes a shaman, she has been persecuted or expelled from her family. But recently, new cases are observed. This study object is process of female shamans get new status, ‘daughter’ and ‘wife’ and ‘daughter-in-law’ in her family. And find the reasons of changes. Study period is 2004 to 2014. Researching methods are fieldwork, interview. And review for books of female shaman’s life. That’s results are follows. Traditionally, if a woman become a shaman, her family persecutes or expels her. If she become a shaman in the shaman’s family, the family accepts her changes. That case, she inherits her family’s business. Her family works in cooperation with a new female shaman. If a married woman become a shaman, she is divorced from her husband or she lives with her husband. If a married woman is divorced from her husband, she lose her position of ‘mother’ and ‘wife’ in her family. If a married woman live with her husband, her husband disregards or accepts his wife’s changing. If her husband accept his wife’s changing, he helps his wife’s work. In this case, the female shaman doesn’t lose her position(‘mother’, ‘wife’) in her family. And she employs a nanny and a housekeeper. Another case is that a female shaman is a daughter-in-law. That case is the shaman family. If a woman is female shaman, she accepts a female shaman as her daughter-in-law. The daughter-in-law gains recognition to her new family(her marriage family). In that case, she works in the group of shamans. She has the position of ‘a daughter-in-law’ and ‘a female shaman’ simultaneously. Analysis shows the cause of the results as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s economical aspects, the social-class was disappeared and the importance of capital appears. And female shamans accumulates capital and they can move to economic high class. And they make that their children become a prestigious school student or get specialized job by their capital. As social and cultural aspects, female shaman’s position in her family changes the traditional image of woman to ‘working mother’ and ‘working wife’. And the social understanding for shamanism is improv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ith emphasizing the traditional cultural aspects by law. As a result, the female shaman’s children accept that their mother’s shamanism works are traditional cultural job.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