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들의 가치지향, 정치적 이념성향, 그리고 마을 공동체 활동 참여의 관계 -서울시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백영민 ( Young Min Baek ),김용찬 ( Yong Chan Kim ),채영길 ( Young Gil Chae ),김유정 ( Eu Jong Kim ),김예란 ( Ye Ran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1

        본 연구는 서울시의 25개 구에서 120명씩 성별·연령별 할당표집한 서울시민들을 설문조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마을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은 누구이며, 이들이 지지하는 정치적·사회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 공동체 활동 참여’를 설명하기위해 ‘탈물질주의 가치지향’, ‘권위주의 가치지향’, 그리고 ‘정치적 이념성향’ 세 가지에 주목하였다. ‘탈물질주의 가치지향’은 마을 공동체 활동은 환경보호나 공동육아 등 기존의 정치·경제적 제도가 추구했던 가치와는 다른 대안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기 위해 선택되었으며, ‘권위주의적 가치지향’은 마을 공동체 활동 역시도 조직적활동이며, 이에 따른 서열의식 그리고 리더쉽에 대한 태도를 반영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또한 마을공동체 활동이 진보-보수 양진영에서 같이 일어나고 있으며, 상대 진영의 공동체 활동을 정치적 활동으로 규정하려는 점에서 ‘정치적 이념성향’도 같이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마을 공동체 활성화 참여자들은 서열의식과 강력한 리더쉽을 중시하는 권위주의적 가치를 선호하는 보수적 시민들이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rticipants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s’ initiated and fund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conventional community,’ and how they are mobilized with what value orientations and political ideology. Based on multistage quota sampling, we conducted face-to-face survey interviews of 120 citizens residing in 25 districts in Seoul, South Korea. Relying on survey responses, we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pondents’ political ideology and two value orientations (i.e., post-materialism and authoritarianism) and two modes of community participations (i.e.,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conventional community’).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s are citizens with strong authoritarian personalit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rong leadership and hierarchy in associations. This study relying on ordinary people wit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showed results different from those found in the previous qualitative studies focusing on a few salient community movements led by professional activists with the motivation of alternative values (e.g., environmental concerns, or human righ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regarding the nature of Korean community building projects, are discussed.

      • KCI등재

        해외 문화콘텐트의 문화적 효과를 둘러싼 제3자 인식과 국내문화진흥정책에 대한 지지

        백영민 ( Young Min Baek ),김혜민 ( Hyemin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社會科學論集 Vol.48 No.1

        미디어 시장이 세계화되면서 미디어 수용자가 해외 문화 콘텐트를 접할 기회와 빈도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문화 콘텐트는 문화적 가치를 담고 있는 상품이라는 점에서, 해외 문화 콘텐트의 수입이 미디어 수용자의 문화적 가치관을 해칠 수도 있다는 문화제국주의에 기반한 우려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비록 대부분의 경험적 연구에서 해외 문화 콘텐트가 국내 미디어 수용자의 문화적 가치관에 미치는 유의미한 효과를 발견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문화 콘텐트의 수입을 `문화적 침략(cultural invasion)`으로 바라보는 우려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미디어 콘텐트의 효과는 자신보다 타인에게 더 강하다는 `제3자 효과 가설`을 기반으로 해외 문화 콘텐트가 국내 수용자의 문화적 가치관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해외 문화 콘텐트를 소비하지 않는 사람에게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이들이 느끼는 제3자 인식이 국내 문화 콘텐트 진흥정책에 대한 지지로 연결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또한 해외 문화 콘텐트를 소비하지 않는 국내 수용자들의 경우 문화적으로 거리가 가까운 아시아 국가의 문화콘텐트보다 문화적 거리가 먼 미국의 문화콘텐트일 경우에 제3자 인식을 보다 강하게 느꼈으며, 이는 국내 문화 콘텐트 진흥정책에 대한 보다 강력한 지지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해외 문화 콘텐트를 `문화적 침략`으로 보는 관점은 근본적으로 해외 문화 콘텐트를 접하지 않거나 소극적으로 접하는 사람들의 제3자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며, 해외 문화 콘텐트에 대한 문화적 대응정책은 이러한 제3자 인식이 반영된 것임을 밝혔다는데 이론적·실제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s the media market becomes more globalized, it is easier for local audiences to be exposed to foreign media content. Because media content is a cultural product, there has been active controversy over the negative cultural influence of foreign media. Although empirical findings had generally discredited the foreign media`s cultural influence on local audiences, concern about foreign media`s `cultural invasion` continues in recent popular discourse. Based on the `third-person effect hypothesis,` which has never been tested in the cross-border media effect literature, this study finds irregular viewers of foreign TV dramas, but not regular viewers, believe that foreign dramas negatively affect others cultural identities but not its own. Also, this study finds that third- person percep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stronger support for national culture policy aimed at protecting local identity. This study`s findings theoretically explain (1) why negative cultural influence of foreign media, which has been discredited in most empirical studies, continues in popular discourses; and (2) how such third-person perception is related to public opinion about national culture polic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미 정권교체에 따른 주한 미대사관 외교문서의 주제와 감정표현 변화

        백영민(Young Min Baek),최문호(Moonho Choi),장지연(Ji-Yeon Jang)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4 언론정보연구 Vol.51 No.1

        이 연구는 위키리크스를 통해서 공개된 주한 미국대사관의 외교전문들을 컴퓨터 언어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2006년 1월 1일부터 2010년 2월 25일까지 미국대사관에서 본국으로 발송한 1,080건의 ‘비밀’ 혹은 ‘대외비’ 외교전문들을 분석하였다. 해당 시기는 본국인 미국과 주재국인 한국 모두에서 정권교체가 일어났던 시기였다. 한국의 정권교체를 ‘대등적-협력적’로 미국의 정권교체를 ‘일방적-상호적’로 단순화한 후 위키리크스에서 공개된 전문들을 ‘대등적-일방적’, ‘협력적-일방적’그리고 ‘협력적-상호적’의 세 기간으로 나누었다. 또한 공개된 외교전문들에서 ① 한국 내 정세, ② 북한관련, ③ 주한미군, ④ 남북경협, ⑤ 해외파병, ⑥ 동북아문제, ⑦ 한미통상의 주제들을, 그리고 긍정적, 부정적 감정과 두 감정이 공존하는 양가감정(兩價感情)을 각각 잠재적 디리쉴레분포 배치모형, 주성분 분석, 그리고 LIWC 분석을 통하여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주제와 감정을 추출하는 컴퓨터 텍스트 분석은 일정수준의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었고, 둘째, 문서내의 주제와 감정의 변화는 주로 본국의 정권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주재국의 변화에는 그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위키리크스 외교전문과 같은 대용량의 텍스트를 분석할 때 컴퓨터 언어처리 방식의 방법론적 타당성과 주재국-대사관-본국간의 외교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적 함의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s computerized text analysis of diplomatic cables released by American Embassy in South Korea, which is publicized on Wikileaks. Specifically, we analyzed total 1080 diplomatic cables, classified ‘secret’ or ‘confidential,’ ranging from January 1<SUP>st</SUP> 2012 to February 25<SUP>th</SUP> 2010. Interestingly, the period of publicized diplomatic cables on Wikileaks covered the political transition in both South Korea (country of sojourn) and the United States (home country). After conceptualizing the Korean transition as ‘independent ? following’ and the US transition as ‘unilateral ? interdependence’ we divided the whole period into three terms: (1) independent ? unilateral, (2) following ? unilateral, and (3) following ? interdependence. We extracted seven topics in diplomatic cables, which are (1) national agenda in South Korea, (2) North Korea issue, (3) US forces in South Korea, (4) South?North economic cooperation, (5) Korean decision requesting troops, (6) East Asian issues, and (7) Korea?US trade relations. Also we quantified three types of sentiment expression: (1) positive, (2) negative, and (3) ambivalent sentiment using LIWCⓡ 2007 program. Two findings should be noted. First, computerized text analysis warrants considerable level of validity of its results, at least topics and sentiment of a document. Second, change in topics and sentiment of diplomatic cables is more sensitive to political transition in the US than to that in South Korea.

      • KCI우수등재

        시스템 오브 시스템즈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사례 분석 기반의 메타모델 개발

        백영민(Young-Min Baek),박수민(Sumin Park),신용준(Yong-Jun Shin),배두환(Doo-Hwan Bae) 한국정보과학회 2018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5 No.10

        온톨로지(ontology)는 시스템과 정보 도메인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개념과 관계를 체계적으로 정의하는 기법으로, 특정 목적을 위한 공통된 지식 기반을 구축하고 상호작용의 불일치를 줄이기 위해 활용된다. 시스템 오브 시스템즈(System-of-Systems, SoS)는 여러 독립적인 구성 시스템들의 협력을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매우 크고 복잡도가 높은 시스템으로, SoS 전반에 걸친 설계와 개발을 위해서는 앞서 설명한 온톨로지의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러한 온톨로지 구축을 위해서는 도메인 전문가가 개발 대상시스템과 정보 도메인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oS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모델 기반 기법으로 M2SoS (Meta-model for SoS)을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Ontology is a formal and explicit specification technique that defines concepts and relationships of a system. It is utilized to establish a common knowledge base and to reduce mismatches or inconsistencies during communication. Since a System-of-Systems (SoS) is a large-scale complex system that achieves higher-level common goals by the collaboration of constituent systems, ontologies need to be established for overall SoS development and operations. In other words, refined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s among various stakeholders of an SoS can be achieved based on the conceptualization power of an ontology. However, in order to build an ontology effectively, SoS engineers require a systematic means to provide a guideline for domain analysis and ontology establishment. To fulfill these requirements, this study proposes a meta-model, called the Meta-model for System-of- Systems (M2SoS), which enables systematic specifications of ontologies for SoS development. M2SoS is developed based on existing studies on meta-modeling approaches in the multi-agent system domain, but M2SoS is improved to meet SoS-specific requirements by SoS case analysis.

      • KCI등재

        데이터 과학시대 텍스트 데이터 분석기법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제도화를 위한 제언 :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차원축소 기법을 중심으로

        백영민 ( Young Min Baek ),박미사 ( Misa Park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1

        정보의 디지털화로 텍스트 자료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텍스트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읽거나, 연구자가 작성한 코딩지침을 습득한 연구보조원이 읽고 해석한 결과를 활용하는 방식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러나 텍스트 자료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과거와 같은 방식의 텍스트 분석은 현실적 적용가능성이 낮아지는 상황이다. 대용량의 텍스트 자료를 체계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텍스트를 데이터, 즉 의미의 기본단위들의 집합(a set of textual features)으로 간주하고, 텍스트 데이터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텍스트 자료의 의미를 추정하는 통계적 기법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실제 사회과학 연구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텍스트 데이터 기법을 (1) 사전기반 접근, (2) 비지도 기계학습 접근, (3) 지도 기계학습 접근으로 구분한 후, 각 접근법이 어떻게 텍스트 데이터를 간주하며 어떤 과정을 통해 문서에 내재한 토픽이나 감정을 추출하는지 간략히 소개하였다. 또한 이들 알고리즘 기반 텍스트 분석방법을 사회과학 연구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으며, 사회과학 연구에 알고리즘 기반 텍스트 분석방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연구방법론 교육에서 Python이나 R과 같은 오픈소스 컴퓨터 언어를 기본 프로그램으로 사용해야 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Due to the advent of digitalization, the amount and scope of textual data explodes and provides social scientists many opportunities to exploit the advantages of the increased volume of text data. However, the plausibility of traditional manual content analysis is hardly comprehensive and/or useful because of expensive cost hiring human coders and limited amount of time for the voluminous textual data. In this sense, algorithmic understanding of textual data (i.e., identifying textual data as matrix where documents are on the row and tokens, usually words, are on the column),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solutions for the analyses of textual data, in terms of topic detection and sentiment analysis. This study overviews a variety of algorithmic approach to textual data, and provides three groups: (1) lexicon-based approach, (2)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approach, and (3)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pproach. Those three approaches were introduced with plain words to social scientists and how they can be exploited to understand large-scale textual data and how the predicted meanings of textual data for associational or causal analysis for social scientific theory building and testing. In the discussion section, some practical suggestions regarding how those methods can be used, and what should be done for the algorithmic approach settles in social scientific fields.

      • KCI등재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본 포퓰리즘의 등장과 대의 민주주의 위기

        백영민(Young Min Baek) 한국언론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2 No.4

        본 논문은 커뮤니케이션 관점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포퓰리즘 현상의 의미는 무엇이며, 왜 그리고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연구자가 포퓰리즘 현상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하는지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순서로 본 논문을 전개하였다. 첫째, 포퓰리즘에 대한 다른 학문 분과들의 관점과 성과를 소개하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선행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였다. 역사학, 정치학, 사회학 등의 다른 학문 분과들에 비해 커뮤니케이션 관점이 어떻게, 왜 포퓰리즘 현상을 보다 잘 설명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포퓰리즘 현상들을 관통하는 특징들은 무엇이며 언제 어떤 조건에서 포퓰리즘이 등장하는지 설명한 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다양한 포퓰리즘 현상들을 소개하였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이론 관점에서 ‘레토릭’, ‘저널리즘’과 ‘정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포퓰리즘 현상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분석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정부를 감시하고 비판하는 소위 ‘감시견’으로서의 언론의 역할은 포퓰리즘 현상과 매우 닮아 있으며, 단일한 ‘국민’을 형성하고 다수의 국민과 대립되고 배치되는 ‘타락한 엘리트’와 ‘이방인’들을 배척하는 포퓰리즘 담론의 구성은 커뮤니케이션 과정과 깊은 연관을 갖고 있으나, 이 분야에 대한 최근의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활발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끝으로 포퓰리즘과 민주주의의 관계를 논의하면서 포퓰리즘 현상의 커뮤니케이션적 의미가 무엇인지, 포퓰리즘 현상의 커뮤니케이션적 함의는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저자의 견해를 소개하였다.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process, this study examines what populism as a world-wide political phenomenon means, and how and why it can be investigated by the communication scholars. Basically, this study argues that populism is a communication phenomenon reflecting the collapse of vertical communication between ruling elites and ordinary people (e.g., anti- establishment feeling) and the collapse of horizontal communication between threatened majority and incoherently integrated minority (e.g., anti-immigration or anti-multiculturalism). This study comprises of four section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ntroduces previous studies on populism in the social scientific fields like political science, history, or sociology, and discusses why their achievement is related with communication studies. Second, this study examines common features of populism emphasized in previous studies and how such features are observed in recent populism discourses across many countries in a world. Third, this study discusses how traditional communication studies can contribute to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populism. Specifically, this study takes three examples, ‘rhetoric,’ ‘journalism,’ and ‘political communication.’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author’s 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ism and democracy, and how the communication affects the relationship.

      • KCI등재

        CCTV 설치현황에 대한 인식과 CCTV 치안효과 인식이 거주민의 체감안전도에 미치는 효과

        백영민(Baek, Young Min),김경운(Kim, Kyoung Woon),박현호(Park, Hyeon Ho)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8 경찰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상황적 범죄예방 이론을 기반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CCTV 설치가 거주민의 체감안전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공식적 통계자료와 설문조사 자료를 병합한 데이터를 통해 경험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물리적으로 CCTV를 설치하였을 때의 실제 범죄감소 및 범죄예방, 체감안전도 효과에 주목했던 선행연구와 두 가지 점에서 구분된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실제 설치된 CCTV와 거주민이 인식하는 CCTV 설치대수, 두 가지 측정치가 체감안전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하였다. 또한 CCTV가 체감안전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한 선행연구들의 효과발생 메커니즘을 정교화 하여, CCTV의 치안효과 인식이 CCTV가 체감안전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테스트하였다. 분석결과 (1) 실제 설치된 CCTV 설치대수가 아닌 주관적으로 인식된 CCTV 설치대수가 거주민의 체감안전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2) 인식된 CCTV 설치대수가 체감안전도에 미치는 효과는 CCTV의 치안효과인식에 의해 완전히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CCTV 설치에 따른 범죄예방 및 감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CCTV를 설치하는데 머무르지 말고 CCTV 설치사실을 지역민은 물론 잠재적 범죄자들도 인식할 수 있도록 가시성을 높이는 방안(이를테면 CCTV 설치구간임을 알리는 표지)과 함께 적극적인 홍보작업이 병행될 필요를 보여준다. Relying on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theory and using data combining official statistics and survey responses, this study examines how CCTV (close-circuit television) influence community residents’ safety perception.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examining CCTV’s crime-prevention effect, this study has two distinctions. First, this study distinguish ‘the real number of CCTV cameras’ from ‘the perceived number of CCTV cameras’ and how two CCTV-related measures differently influence residents’ safety perception. Secon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residents’ belief in CCTV’s crime prevention effec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CTV cameras and residents’ safety perception. This study found that residents’ safety perception is mainly influenced by their perceived number of CCTV cameras and the relationship is fully mediated by their belief in CCTV’s crime prevention effect. This study’s findings imply that CCTV’s crime prevention effect becomes maximized only after residents and potential crime-offenders perceive active CCTV’s surveillance, which will be fasciliated by the police’s active public relation work.

      • KCI등재

        위기의 순간인가 기회의 순간인가?

        백영민(Young Min Baek),이상엽(Sang Yup Lee),유경한(Kyung Han You)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3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언론학 교육과정(curriculum) 개선논의의 등장배경과 역사를 서술하고 그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와 데이터 수집 · 관리 · 분석 · 재현과 같은 데이터 과학관련 지식과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언론학의 교과과정에 첨가 · 융합해야 한다는 주장의 등장배경과 필요성을 전반적으로 개괄 · 소개하였다. 또한 제도주의(institutionalism) 이론에 근거하여 언론학 교과과정을 ‘제도(institution)’로 파악하였으며, 제도를 둘러싼 이해관계자들로 ‘교수진’, ‘학생’, ‘학부모를 비롯한 일반인’, ‘다른 학문분과들’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교과과정과 새로운 교과과정이 특정 집단내부 혹은 집단 간 갈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갈등을 최소화시키고 협력가능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추상적 수준에서나마 제안해 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debates regarding reforming curriculum of communication studies, and provide readers several suggestions how to achieve the reform movement. Recently some communication scholars hav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ata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data scraping, management, analysis, or visual representation in educating students of communication major, because the media landscape has experiencing fast evolu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and media convergence. Relying on institutionalism theory, this study approaches curriculum of communication studies as ‘institution’ and examines related stockholders, such as ‘faculty members,’ ‘students and potential students’, ‘general publics’, and ‘others in different disciplines in a university.’ Based on analyses and subjective experiences of the authors, this study anticipates the potential controversies due to the curriculum reform and suggests how to reduc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