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장에 균열내기 : 촛불 십대의 정치 참여에 대한 문화적 해석

        김예란(Ye-Ran Kim),김효실(Hyo-Sil Kim),정민우(Min-Woo Ju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1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2 No.4

        십대를 탈정치화된 문화소비자로 우려하거나 의식화된 정치 행위자로 찬미하는 기존의 거친 이분법에 문제제기하며, 이 연구는 십대 소녀ㆍ소년들의 정치 참여의 문화적 의미를 2008년 촛불광장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말걸기와 듣기를 통한 성찰적 방법론으로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십대가 일상적으로 겪은 고통과 불안의 감정이 자아의 윤리로 성장하는 과정, 개인적인 가치와 신념이 또래집단 내에서 소통적 관계로 확장되고 집합화되는 방식, 그리고 세대/젠더적 감수성이 운동 세력 내부에서 차이들의 정치로 다층화되고 활성화되는 역동을 읽어내었다. 주변화된 타자로서 십대가 윤리적ㆍ소통적ㆍ정치적 주체로 ‘되어가는’ 과정으로 촛불운동을 이해함으로써, 촛불광장을 단지 일시적인 이벤트로 단편화하는 대신, 새로운 정치세대의 성장이라는 역사적 과정으로 맥락화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problematizes the youth’s politico-cultural process of identification as becoming in the context of candle demonstration in Seoul, 2008. We examine their ethical subjectivity, communicative subjectivity and political subjectivity based on our analysis of depth interviews of teenage activists in the candle demonstrations. It is suggested that instead of naming the teens as the historical consequence of so-called 386 generation, or social product in the neo-liberal economic and educational conditions, we need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and dynamics of the youth’s practice of identity politics: subjective pain and anxiety in daily life, creation and sharing of pleasure and fun of peer group comunication are mixed into the pursuit of justice in their social activation of generation/gender politics.

      • KCI등재

        빅데이터의 문화론적 비판

        김예란(Ye-ran Kim)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3

        이 글은 탈근대 디지털 환경에서의 데이터 성격, 통제사회, 생정치의 관점에서 각각 빅데이터의 지식-권력 체계, 주체화의 효과, 인구의 문제를 분석한다. 이 세 영역에서 나타난 현상을 정리하면, 첫째, 지식-권력의 차원에서 빅데이터는 가상 공동체 내지 가상 사회의 구성원들의 모든 것, 그들의 존재와 행동을 데이터로 환원한다. 외형적으로 자율적이며 능동적인 디지털 네트워크 이용자들에 대한 새로운 통제 양식으로서, 순수하고 투명한 지식임을 자임하고, 참여자들로 하여금 지식의 공개성과 협력 및 연결성을 강조하면서 자발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산출된 이용자 데이터를 치밀하게 수집, 처리, 활용하는 통치력을 발휘한다. 이 과정에서, 둘째, 주체성의 차원에서 데이터 주체는 그들의 시간과 기억이 통제되며, 자신의 비물질 노동 결과 산출된 데이터에 대해서도 접근과 활용이 구조적으로 제한받게 된다. 만인의 데이터화, 그럼에도 데이터 주체의 소외, 착취, 포섭이 동시에 작용하는 모순 상황이 곧 빅데이터 현실이다. 셋째, 인구의 집합적인 차원에서 볼 때, 빅데이터 상황에서는 상대적으로 현실의 질서로부터 자유롭게, 일종의 무정부상태에 있었던 가상 공동체 및 가상 사회 구성원들이 거대하고 정교한 자본과 국가의 데이터베이스안에 포섭되고 통치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이 현상은 가상 인구의 탄생을 의미한다. 디지털 인구는 신자유주의적 디지털 자본주의의 경제 질서 안에서, 그 지배적 논리에 적합한 기업가적 주체들을 배양한다. The current research analyses big data in the respect of knowledge-power, society of controls and biopolitics. Three points are made. Firstly, regarding knowledge-power, big data reduces everything, every human’s existence and act into information. Apparently autonomous and free digital users are enclosed into big data knowledge system. Big data is claimed to be transparent and pure knowledge, emphasizing the users’ collec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in the operation of big data. The governance of big data is yet found in its collection, modulation and appropriation of human data. Secondly, the human subject is reduced to free laborer in the social factory. Human time-memory is under control by big data system. Furthermore, access and use of their own data is structurally restrained, leaving the free laborer alienated from big data system. This is the reality of big data in which the exploitation, alienation and appropriation of human data is comprehensively and expansively deployed. Finally, big data invents virtual population, by means of enclosing digital users into a nation - capital controlled system. In the virtual population, human population is recontructed to homo oeconomicus.

      • KCI등재

        탈주와 모방

        김예란(Ye R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6 언론과 사회 Vol.24 No.3

        이 글은 1970년대 청년문화를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청년하위문화들의 감각과 정동 실천을 통해 생성•수행되는 세대적 역동으로 해석한다. 이는 청년문화를 문화소비 스타일이나 사회정치 질서에 대한 반응으로 축소해서 보는 수동적 관점과 구분된다. 더 나아가 청년문화와 청년하위문화를 이후의 대중문화 형성의 원천으로 해석함으로써 대중문화와 청년문화의 영향관계에 대한 기존의 인식에 수정을 시도하는 반역사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청년문화의 주된 특성으로 첫째, 동물-되기로 표현된 탈주의 감각이, 둘째, 이질적인 청년하위문화들 간의 상호형성적인 관계성인 모방과 발명의 원리가 논의된다. 문화적 감수성이 추동하는 탈주와 모방의 활동은 정치 시위처럼 정권에 대한 직접적인 쟁투는 아닐 수 있지만 소극적이고 냉소적인 탈정치화의 도피와도 다르다. 그것은 이항대립적이고 부정적인 유형의 탈영토화가 아니라 절대적이고 긍정적인 탈영토화로서 수소적인 문화의 창조로서 의미를 획득한다. 본 연구는 문화적 역사의 한 줄기인 1970년대 청년문화를 획일적으로 통합하거나 무관한 것들로 분리하는 대신, 상호적인 관계성 안에서 모방과 혼합을 통해 영향을 주고받고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는 감각 실천으로 설명한 의의를 지닌다. 이로써 탈주와 모방을 주축으로 하는 감수성의 운동으로서 청년문화가 새롭게 발명되는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과정이 주장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counter-memory of the ‘youth culture’ in the 1970s in South Korea, as a social practice of the cultural sensation of flight and imitation. Two subcultures of youth culture are identified as university students’ youth subculture and young workers’ youth subculture, according to social class and cultural tastes. The current study analyses youth subcultures are analysed in terms of interactive relations of flight and imitation. The two subcultures are explained to have made a social effect of creating cultural sensation which has become a generic force to form a new cultural territory shared among the young people. The youth culture in the 1970s, pursued a ‘right to appear’ as a new human being. In the fundamental sense that it was a struggle against the normative power of recognizing and regulating human or non-human, the youth culture was essentially and immanently political and resistant.

      • KCI등재

        인종, 젠더, 계급의 다문화적 역학

        김예란(Ye-ran KIM),유단비(Dan-bi YOO),김지윤(Ji-yoo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9 언론과 사회 Vol.17 No.1

        이 연구는 다문화의 현실과 재현의 상호관계를 짚어보고, 두 영역 사이에 존재하는 교차와 차이의 의미를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2000년대 이래 다문화 요소를 포함한 TV 드라마 분석을 통해 다문화의 가치가 사회적으로 구성, 재현되는 방식과 그 사회문화적 함의를 해석한다. 다문화의 재현 영역을 한국 사회에서 진행되는 신자유주의적 지구화 흐름 속에서 교차적으로 경험되고 있는 인종, 젠더, 계급성의 중첩지대로 파악하고, 문화적 관점에서 타자의 재현이 곧 자기 정체성 형성에 맞물려 있다는 정체성의 상호형성적인 시각을 취하였다. 외국인이 출연한 다문화적 드라마들 중에서 2000년 이후 지상파 방송채널에서 방송된 일일 저녁드라마, 미니시리즈, 주말드라마 7편을 텍스트 분석한 결과 다문화 담론의 두 축으로 초국적 사랑 내러티브와 초국적 자본주의 담론을 도출했다. 초국적 사랑 내러티브가 낭만적 사랑 내러티브로 다문화 요소들을 통합하는 기능을 한다면, 초국적 자본주의 담론은 지구적 시장을 향해 돌진하는 팽창적인 속성을 지닌다. 종국적으로는 중첩적인 다문화적 내러티브가 한국 청년에 의해 주도되고 통합된다는 점에서 다문화적 드라마는 지극히 한국적이고, 남성중심적이며 신자유주의적 자본주의에 대한 상상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음을 주장한다. What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reality and the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alism? This study questions how these two realms differ and overlap with each other and examines socio-cultural implications of such differences and overlappings. In raising these questions, contemporary Korean TV dramas are analysed as ‘multicultural dramas’, broadcasted between 2000~2007 on terrestial TV channels. A postcolonial cultural theory of self-other relations in identity formation is adopted in the account of dramas' ways of representing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critical sociology on global immigration is drawn upon in the critique of the superficiality of popular multiculturalism in the dramas. The main narrative and discourse are uncovered in our textual analysis of the multicultural dramas, that is, transnational love narrative and transnational capitalist discourse. The former works in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and conflicting elements of multicultural society into the ‘One Korea‘ as a new form of the apparently harmonious unit of patriarchal home and nation while the latter in exploring the imagined identity of Korea as a leading multicultural nation in the neoliberal global world. It is consequently suggested that the such multicultural discourses are articulated into the creation of Korean collective identity, which is highly one-nation-oriented, male-centred and inflected into neoliberal capitalist ideology.

      • KCI등재

        디지털사회, 소통의 문화

        김예란(Ye-Ran Kim)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07 언론과 사회 Vol.15 No.3

        이 논문은 디지털 구조, 문화, 상호작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오늘날 급속하게 확장하고 있는 대중참여적인 디지털문화현상 및 관련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디지털환경에서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 문화와 정치, 시민과 소비자의 경계가 흐려지는 상황에서 소비주의담론이 강화되고 행위중심적인 이용담론으로 환원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디지털커뮤니케이션과 문화에 대한 사고의 본질인 소통의 문제는 간과되는 것이다. 디지털환경에서 이루어지는 대중문화 생산활동의 실제를 분석한 결과, 명암을 발견할 수 있었다. 즉 대중의 디지털 능동성은 대중미학을 실현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지만, 문화적 구별질서가 정교한 방식으로 재매개되는 한편, 전자미디어체제에서 발전한 문화규범과 산업적 문화산업질서의 상업화 경향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이런 조건에서 대중의 행위적 능동성과 의미적 실천성을 조화롭게 발전시키기 위한 전망이 요청된다. 이에 디지털 소비적 ‘행위’의 모델을 극복하고 사회적 연결과 소통을 지향하는 ‘활동’의 모델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amines popular participation and activeness in terms of digital structure, culture and interactions. It is pointed out that digital consumer and user discourse is pervasive, which is based on binary oppositions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citizen and consumer, and culture and politics. It also seems to be problematic that the focus of audience studies in digital culture has moved away from social signification to individual behaviourism. Digital popular culture is however found to be ambivalent, having both good and bad aspects. That is, users’ activities of producing digital contents are potentially to realize popular aesthetics at the same time as they are subject to the established cultural norms and logic of commercialization, both of which have still maintained their powerful influences in organiz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popular cultural activities. Such reductionism of culture to consumption, and human action to behavior is led to dissociation between self-reflexive immersion at an individual level and uniformity of digital culture industries at a social level. In conclusion, I suggest a model of communicational action, instead of consumer behavior in thought of participatory activeness of digital popular cul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노년의 자기 재현으로서의 자서전과 정체성 형성

        임순철(Im Soon Cheol),김예란(Kim Ye Ran) 한국출판학회 2015 한국출판학연구 Vol.41 No.3

        이 연구는 현재 한국사회에서 점차 활발해지고 있는 노인들의 자서전 쓰기 문화에 주목하여, 노년세대가 자기 글쓰기를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재형성하게 되는 방식과 의미를 분석한다. 자서전과 정체성에 관한 이론적 바탕 위에서 자서전을 출간한 경험이 있는 노년세대를 대상으로 구술 인터뷰를 수행하고 그 내용을 분석했다. 우선 자서전의 의미에 대해, 사회적 단절을 겪으며 정체성의 위기에 처한 노인들에게 자서전은 자기의 인생을 정리하고 자신과 가족을 명시하는 기록의 기능과 함께, 이루지 못한 인생의 열망과 동경의 대상을 구현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자서전은 한 개인의 삶의 진실을 담아 표현하는 매체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자서전 쓰기 행위는 노인의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실천적 의미를 지닌다. 자서전을 작성하는 과정을 통해 그간 상실해왔던 자신의 삶을 위로하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며, 자아 및 타인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 자존감을 획득하고 기억의 불멸을 도모하는 등, 황혼기에 자신의 서사적 정체성을 새로이 구축하는 노인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ulture of writing autobiography, which has been recently increasing among the elderly people in South Korea and analyses the ways and significances in which they form cultural identities through the practice of autobiography. Three categories of questions, that is motivation, self-perceived meaning, and cultural (re)identification regarding the practice of autobiography, are examined,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materials of oral history interviews of the elderly people who have an experience of publishing a non-commercial autobiography. Autobiography is seen to be adopted by the elderly people as an important media for recalling memories and narrating them in a discursive manner of confession. The elderly people are convinced that they have become able to accept their lives in a positive attitude free from the present weak and fragment realities in everyday life, manifest their own and familial histories and realize their longstanding dream and anticipation in the process of writing autobiography, all of which may be converged at the creation and expression of the one's truth in life. The autobiography also contributes to revising the authors' social relations, leading them to pursuing the symbolic immortality by way of leaving autobiography with their offsprings. The autobiography is the media of self-formation based on the articulation of memories particularly for the elderly people who are anticipated about their death soon thus aspire further to building up self-pride and confidence in their own lives.

      • KCI등재

        시민들의 가치지향, 정치적 이념성향, 그리고 마을 공동체 활동 참여의 관계 -서울시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백영민 ( Young Min Baek ),김용찬 ( Yong Chan Kim ),채영길 ( Young Gil Chae ),김유정 ( Eu Jong Kim ),김예란 ( Ye Ran Kim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論集 Vol.47 No.1

        본 연구는 서울시의 25개 구에서 120명씩 성별·연령별 할당표집한 서울시민들을 설문조사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마을 공동체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은 누구이며, 이들이 지지하는 정치적·사회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 공동체 활동 참여’를 설명하기위해 ‘탈물질주의 가치지향’, ‘권위주의 가치지향’, 그리고 ‘정치적 이념성향’ 세 가지에 주목하였다. ‘탈물질주의 가치지향’은 마을 공동체 활동은 환경보호나 공동육아 등 기존의 정치·경제적 제도가 추구했던 가치와는 다른 대안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기 위해 선택되었으며, ‘권위주의적 가치지향’은 마을 공동체 활동 역시도 조직적활동이며, 이에 따른 서열의식 그리고 리더쉽에 대한 태도를 반영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또한 마을공동체 활동이 진보-보수 양진영에서 같이 일어나고 있으며, 상대 진영의 공동체 활동을 정치적 활동으로 규정하려는 점에서 ‘정치적 이념성향’도 같이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현재의 마을 공동체 활성화 참여자들은 서열의식과 강력한 리더쉽을 중시하는 권위주의적 가치를 선호하는 보수적 시민들이 주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rticipants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s’ initiated and funded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conventional community,’ and how they are mobilized with what value orientations and political ideology. Based on multistage quota sampling, we conducted face-to-face survey interviews of 120 citizens residing in 25 districts in Seoul, South Korea. Relying on survey responses, we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pondents’ political ideology and two value orientations (i.e., post-materialism and authoritarianism) and two modes of community participations (i.e.,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conventional community’). Results show that participants of community building projects are citizens with strong authoritarian personalit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trong leadership and hierarchy in associations. This study relying on ordinary people wit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showed results different from those found in the previous qualitative studies focusing on a few salient community movements led by professional activists with the motivation of alternative values (e.g., environmental concerns, or human righ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regarding the nature of Korean community building project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