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교육회의 숙의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 교육정책 형성 과정과 과제

        홍섭근(Hong Sub-Keun),김인엽(Kim In-Yeop),정영현(Jung Young-H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교육회의의 두 차례에 걸친 숙의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정책 형성에 있어 숙의과정이 주는 함의를 파악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해 국가교육회의 숙의과정 관련 실행 및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①정책 연구자, ②학계 전문가, ③학교 현장 교원, ④시민단체 대표 등 4개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그룹 별 대표성과 균형성을 고려하여 최종 선정한 총 8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교육회의 숙의과정 각 단계의 적절성 여부 및 정책도출과정과 역할, 차기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대입제도개편과 교원양성체제라는 두 차례의 숙의과정 간 ‘숙의위원 선발 과정’, ‘진행 방식’, ‘결론 도출 방식’, ‘주제 선정’ 및 ‘의견 수렴’의 5가지 측면에서 모두 숙의과정의 적절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숙의과정에서 노출된 한계에도 불구하고 국가교육위원회 출범 시 적절한 숙의과정이 필요하다는데 다수의 전문가들이 동의하였다. 이때 숙의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① 의제 및 방향 설정의 적절성, ② 진행 방식의 공정성과 신속성, ③ 정보 및 자료의 객관성, ④ 시간적 충분성 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정책 형성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국가교육위원회 출범에 따라 발생 가능한 교육정책 형성 상의 문제점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실시하고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가교육위원회가 설립되고 숙의과정을 통해 교육정책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중기 및 장기 과제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있어야 한다. 셋째, 필요에 따라 숙의과정 자체를 공론 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넷째, 숙의과정에 대한 결과가 어떻게 정책에 반영되었는지에 대한 최종적인 대국민 설득과정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he deliberative process in education policies formation by analyzing the two deliberative process of the National Education Council. Methods To this end, experts with experience in implementing or researching the National Education Council s deliberative proces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①policy researchers, ②academic experts, ③ teachers, and ④ civic group representatives. The FGI was conducted with total of eight experts considering the group s representation. As a result, the adequacy of each stage of the deliberative process, the policy-making process, and the direction of the next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were derived.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liberation process was insufficient in all five aspects: the process of selecting deliberators, the method of progressing, the method of drawing conclusions, the selection of topics, and the gathering of opinions. However, despite the limitations exposed during the two deliberative process, experts agreed that an appropriate deliberative process will be needed when the National Board of Education is launched. At this time, it was shown that the prerequisites for the deliberative process included ①the adequacy of agenda and its setting, ②fairness and quickness of the progress, ③ objectivity of information and data, and ④ securing sufficient tim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esents six tasks for the formation of education policie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ystematic analysis on potential problems and prepare countermeasures following the launch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in the future. Second, in order for the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to be established and to present directions for education policies through deliberation, a clear range of how far it is mid- to long-term should be presented. Thir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etting the deliberative process itself up for public debate as necessary. Fourth, a public persuasion process is needed on how the outcome of the deliberative process is reflected in the policy.

      • KCI등재

        학교 내 직종 간 업무분장 표준화와 협의기구 제도화를 위한 제언

        김기우(Ki Woo Kim), 홍섭근(Sub Keun Hong), 이종수(Jong Soo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학교 내 직종 간 업무분장에 대한 갈등 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업무분장 표준화와 제도적 기구 설치방안에 대한 정책 제안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교육청 자료 및 통계서비스 자료 등을 분석했고, 2022년 8월 18일부터 9월 6일까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교육청 등에 재직 중인 교사(수석교사, 기간제 교사 포함), 교감⋅교장, 교육전문직원, 일반행정직(공무원), 교육공무직 등을 대상으로 직종 간 업무분장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여 263명이 응답하였고, 학교내 종사자 1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결과 그 결과 업무분장이 미흡한 구체적인 업무는 저소득층 지원업무, CCTV 업무, 안전관련 업무, 기간제 등 채용 업무 등이었다. 이들 업무의 경우 학교 내 업무분장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고, 기재되어 있더라도 특정 직종에서 일관되게 담당하고 있지 않거나 학교마다 담당하는 직종이 제각각이어서 업무분장 표준화의 필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업무분장의 문제는 학교 종사자의 업무 총량 경감과 병행하여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는 것, 직종 간 업무분장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학교단위에서 일정 부분 자율과 자치가 요구되어야 한다는 점, 직종별 존재하는 노동조합이 협의기구에 참여해야 한다는 점 등의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때 업무 총량의 경감을 위해서는 학교 내 업무에 대한 실태조사와 수행 필요성이 사라진 불필요한 업무를 제거해 가는 작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policy measures for standardizing the division of work and establishing institutional mechanisms in order to suggest alternatives regarding the division of work among teachers, administrative staffs, and non-fixed term workers (teaching support workers, administrative support workers, etc.) in schools. Methods To the purpose, we used prior literature researches, office of education’s data, Korean education statistics service data, online 263 questionnaires on the division of duties of three occupations in schools, and FGI for the relevant expert groups (16 people). Results As a result, specific tasks with insufficient the division of works turned out to be low-income families support work, CCTV related work, safety work, recruitment work for fixed-term workers etc. If these works are listed, they are not consistently in charge of a specific occupation in the school's work list, and even they are not listed in many cases. Therefore there is a great need to standardize the division of works. Conclusions We have proposed several points of policy measures as follows. First, the problem of division of works needs to be dealt with in conjunction with the reduction of the total amount of work of school workers. Secondly, standardization of the division of works among three occupational types should be achieved above a certain level. Thirdly, a certain degree of autonomy should be required at the school level. Lastly, existing trade unions in each occupational types should participate in consultative bodies. At this time, in order to reduce the total amount of work,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act-finding survey on work in schools and eliminate unnecessary work that has no need to be carried out.

      • KCI등재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탐색 - K교육청의 2차 개선안을 중심으로 -

        김성천 ( Kim Sung-chun ),홍섭근 ( Hong Sub-keun ),정영현 ( Jung Young Hy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이하 초등 임용시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 임용시험에 관한 규정과 각 시·도교육청의 초등 임용시험 공고문을 분석하여 초등 임용시험 제도의 실태를 살펴보았고, K지역을 중심으로 교대 교수, 신규교사, 장학사, 경력교사, 심층면접위원, 출제위원을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K교육청의 2차 심층면접 개편안을 만들게 된 과정과 관련된 이들을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임용시험은 현장에서 필요한 역량을 담고 있지 못하다는 관계자들의 인식이 있었다. 교대 교육과정-초등 임용시험-학교현장의 분절적인 시스템에 대한 개선 필요성을 말하고 있었으며, 추후 시스템 연계와 정책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K교육청에서는 2016-2017년 2년간 초등 임용시험 2차를 기존과 다른 방식으로 개편하였다. 2차시험의 개편 과정과 관련된 내부 자료 및 개편 과정에 관계된 관련자의 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그 과정과 성과·한계를 제시하였으며, 초등 임용시험의 중·장기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Exploration of Problems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 Focused on `K` Office of Education`s Improvenment of the Second-round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the search for problems and improvement of elementa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We inquired into the rules and regulations applied for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and compared the notices published by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their teacher recruitment. We conducted a survey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is up to 2,400. The survey showed that the teachers had a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current employment examination. The reason is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employment examination does not include the capabilities sufficiently to be met the needs of the field where teachers are faced with real problems. Second, it is hard to pass the exam without going to private academy, although the candidates graduate from education universities. Young teachers tend to express more negative perceptions than older teachers. In addition, secondary teachers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s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 interviewed supervisors, teachers and professors, who have worked in related fields. The respondents pointed out the fact that the current employment examination has many limitations. Therefore, they suggested that the methods and elements of employment examination should be reformed to meet changing education needs. The case that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made changes in the secondary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gives the promise of feasible innovation. This study contains innovative process of improving employment examination, performance, and related regulations. We also proposed radical ways to innovate the employment examination.

      • KCI등재

        정책-예산-평가 선순환체제 구축을 위한 정책 성과 평가도구 개발 - 경기도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

        이영희 ( Lee Young Hee ),홍섭근 ( Hong Sub-keun ),허재영 ( Heo Jaeyoung ),류광모 ( Ryu Kwangm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경기도교육청 교육정책의 정책-예산-평가의 선순환체제 구축을 위한 적절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정책성과를 극대화, 일반화 할 수 있는 제도적 환경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책-예산-평가 선순환체제에 대한 개념, 교육정책 성과 평과 관련 선행 연구 및 교육부, 시·도 교육청 평가도구 현황을 분석하였고, 교육정책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전문가 자문회의를 진행하였다. 문헌연구와 전문가 자문회의, 연구진의 지속적인 협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하여 정책-예산-평가 선순화체제 구축과 관련된 평가도구 초안을 개발하였다. 도출한 평가도구 초안을 경기도교육청 핵심 교육정책과 관련된 연구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집단 6인의 검토 및 현장 전문가 15인의 설문을 통해 평가도구의 타당성 검토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를 통해 첫째, 경기도교육청 교육정책 평가도구 개선안 및 핵심성과지표(KPI)를 제시하였다. 둘째, 경기도교육청 정책-예산-평가 선순환체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중장기적 관점에서 평가시스템 개선을 위한 로드맵을 제안했다. 추후 연구에서는 개발된 평가도구를 현장의 특수성에 맞게 구체적으로 활용하고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을 구체화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is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 for the virtuous cycle of policy-budget-evaluation of Gyunggi Province Education Office to establish the systematic environment to make the accomplishment of policy outcome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tool developed. The research was to analyze the concepts of the virtuous cycle of policy-budget-evaluation, assessment of outcome for educational policy, some different assessment tools in many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and previous researches related with policy assessment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Also, the many experts in educational policy were involved in the review session to provide the insights of expertise for the assessment of educational policy.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experts meetings, and FGD (Focus Group Discussion), the first draft of assessment tool for the virtuous cycle of policy-budget-evaluation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 process. The six experts in educational policy and 15 experts in the field-based educational setting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examining the validity of the first draft of assessment tool. Finally, the researchers of the study presented the assessment tool and suggested the systematic environment and the blue-print for the virtuous of policy-budgetevaluation of Gyunggi Province Education Office. There i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specify the application and suggest the ways of implementation of the tool developed in the different fields of educational policy.

      • KCI등재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차이 분석 연구

        김인엽(Kim In-Yeop),홍섭근(Hong Sub-Keun),최문경(Choi Mun-Kyong),권하늬(Kwon Ha-Ne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실증적으로 측정하여 고교학점제 운영의 효율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위해 고교학점제 교육과정과 관련된 측정 항목을 도출하여 연구 방법을 결정하였 으며,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및 정책 경험이 있는 일반고 및 직업계고 교원256명을 대상으로 2019년 4월 30일부터 5월 10일까지 교육과정에 관한 문항을 토대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 성별, 연령, 재직학교 유형에 따른 분석 결과 총 이수단위의 적정 규모를 152단위 이상 180단위 미만으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남교사가 여교사에 비해 2015 교육과정의 개정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연령에 따른 분석 결과 고경력 교사가 저경력 교사에 비해 무학년제의 도입을 원했다. 넷째, 재이수제, 무학년제의 경우 일반고 교사가 직업계고 교사에 비해 도입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반면, 2015 교육과정 개정의 경우 직업계고 교사가 일반고 교사에 비해 개정 필 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측면에서 고교학점제 효율화를 위한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총 이수단위를 152단위에서 180단위 미만의 수준으로 감축할 필요성이 크다. 둘째, 창의적 체험활동 편성시수는 단위 학교에 편성 자율성을 부여해야 한다. 셋째, 연수 기획 시 교사 연령을 고려해야 한다. 넷째, 학교 유형별로 차별화된 고교학점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연구 제언으로 향후 교사의 지원 측면, 학교 시설 및 공간에 대한 요구 분석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eek the efficiency method of operating highschool credit system by actual empirical analysis on teachers’ recognition. Through precedent studies, analysis items related to highschool credit system were drawn, and the research method was decided. A survey was done on 250 teachers of regular high and vocational high schools who experienced the system and the policy based on questions about curriculu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cross frequency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age and types of school, all research areas show that they consider the proper credits as between 152 and 180. They prefer school’s discretion for the credits fo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Second, in the result of analysis by teachers’ genders, male teachers have higher recognition level in the necessity of revising Curriculum 2015 than female teachers. Third, in the result of analysis by teachers’ ages, teachers with more experiences have higher recognition level in the necessity of adopting non-graded system than those with less experiences. Fourth, in the result of analysis by teachers’ school types, regular school teachers have higher recognition level in adopting re-completion system and non-graded system tha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necessity of revising Curriculum 2015, vocational school teachers have higher recognition level than regular school teachers. The methods for effective oper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on the above results can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duce 204 credits of total highschool credits sugges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into 152 to 180 credits. Second, in case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flexibly by giving schools autonomy to arrange credit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eachers’ ages in planning to train teachers for highschool credit system due to the existence of recognition difference by age. Fourth,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differentiated and various policies with each types of school considered, instead of uniformed policy due to the existence of recognition difference by school types teachers work. It is recommended to analyze their demands from the aspects of supporting teachers and students, education facilities and education space.

      • KCI등재

        교육공무원 인사제도 혁신방안 연구 - 경기도교육청 승진제도를 중심으로 -

        김성천 ( Kim Sung-chun ),홍섭근 ( Hong Sub-keun ),김영인 ( Kim Young-i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3

        이 연구는 미래 학교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발맞추어 경기도교육청 승진제도를 중심으로 인사제도 혁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원과 교육전문가로 구성된 그룹의 FGD, FGI를 진행하였으며, 인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원리를 추출하고, 인사제도 혁신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공무원 14,586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개선 방안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경력이 많고 승진준비를 했거나 하고 있는 교원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개선방안에 반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이 많았다. 제시된 개선안을 단기 방안과 중장기 방안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 방안으로 교감 자격 면접시험의 강화와 면접 대상자 확대, 특정 지역 교감 우선 발령제, 교감 근무평정 시 온라인을 통한 동료평가 반영, 교육전문직원 직무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보직형 장학사 확대, 중간평가 도입, 장학사 근속 연수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중·장기방안으로 교감자격증 소지자 대상 교감공모제 도입, 교사자격증 소지자 대상 교사공모제, 교사 대상 공모를 통한 교감자격연수 대상자 선발, 내부형(교사 대상) 교장공모제 제한비율 삭제 및 교육감 위임, 교장임기 4+4제(공모제 교감임기 포함, 승진 발령은 1회로 제한, 공모제 확대), 교장교감 리더십 아카데미 도입, 교원인사권한을 교육청 및 단위학교 이양 등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교원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학부모, 학생 등 교육주체들의 다양한 참여를 보장하는 방안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nnovation of personnel system, which can ensure compliance with the paradigm for changes in future schooling, by focusing on the promotion system of `K` Office of Education. To this end, the study of literature related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was carried out, and the survey asked 14,586 educational public service employees about the actual condition and recognition on personnel system. On the basis of survey results, researchers held a number of in-depth conferences as well as FGI and FGD on related education experts, and came up with the innovation of personnel system. First, short term measures are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oral examination and the number of candidate for the qualification of vice principal, to give an announcement of appointment according to the order of priority in certain locations, to reflect the online peer evaluation in the qualifying examination for vice principals, to rotate professional staffs of education to enhance job professionalism, to introduce a midterm outcome evaluation, to extend the continuance in office of professional staff of education, and etc.. Second, mid-/long term measures are to introduce vice principal certificate holders and teacher certificate holders to the open recruitment system for vice principals, to select trainees for vice principal qualification with an open recruiting, to let down the principalship term system and the qualification barriers of publicly recruited principals, to empower the superintendents of education to exercise the right of personnel management, to adopt a leadership academy for principal and vice principal, and etc.. Considering distinct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ollow-up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school related subjects: teachers, students, parents, which can give shape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s concrete and practical proposals.

      • KCI등재

        교육자치 시대 학교자치의 성과와 과제 : K교육청의 교육 주체별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류광모(Ryu Kwang mo),홍섭근(Hong Sub K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9

        목적 본 연구는 교육자치 시대의 학교자치에 대한 개념을 재정립하고 K교육청의 학교자치 정책의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향후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2020년 2월부터 8월까지 관련 문헌 연구, 학교자치의 개념, 성과, 과제에 대해 교육 주체별 인식 파악을 위한 온라인 설문 및 학교자치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결과 자율과 자치, 분권, 공동지향점, 민주적인 운영의 속성을 갖는 학교자치의 개념 재정립, 학교자치의 성과로 학교자치 조례 제정, 학교자치에 대한 인식개선, 지역혁신교육 생태계 조성을 도출하였으며, 학교자치의 과제로 학교자치 개념 및 정책 공론화, 법률제정, 시⋅도교육청의 역할 조정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를 통해 학교자치 관련 특별법 제정 및 시행, 학교자치의 단계적 시행전략 구축, 교육청 조직개편 등의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future policies on the school autonomy in the era of educational autonomy through research aimed at redefining its concept, analyzing the performance and tasks of K Office of Education s school autonomy policy. Methods For this study, the online surveys and focused group interviews, in which school autonomy experts participated,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to August 2020,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subjects on their policy understanding such as the meaning, achievements and tasks of school, as well as the analysis of prior research related to education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 Results In conclusion, the concept of school autonomy is reestablished that retains the attributes of autonomy, decentralization, community orientation and democracy. As a part of outcomes of school autonomy, this study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school autonomy ordinances,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of school autonomy, and its creation of ecosystem for regional innovation education. Conclusions In the future, this study proposes policy measures such as enactment and implementation of special law related to school autonomy and establishment of step-by-step implementation strategy of school autonomy, in addition to the tasks of school autonomy which include public debates on its policy itself and the role-coordination of metropolitan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 KCI등재

        미래교육 관련 연구 메타분석을 통한 미래교육의 방향

        이영희 ( Lee Young Hee ),윤지현 ( Yoon Jihyun ),홍섭근 ( Hong Sub-keun ),임재일 ( Lim Jae Ill ),백병부 ( Baek Byoung-b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5

        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수행된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을 대상으로 미래교육의 목표 및 방향에 대한 주요내용을 메타분석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은 지난 2013년부터 2018년까지 국책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수행된 총 11개의 미래교육관련 연구보고서들이며, 보고서 내용을 중심으로 미래교육의 비전 및 목표, 미래교육의 인재상, 미래교육의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그리고 교육정책 및 전략의 총 5가지 영역에서 주요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교육연구에서는 주로 교육 현안에 대한 해결 및 새로운 사회구조와 환경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단기적이고 다소 제한적인 측면의 교육비전 및 목표를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미래교육의 인재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창의성과 문제해결력과 같은 역량을 갖춘 인재뿐 아니라 인성, 감성, 소통과 공감 능력을 지닌 전인적 인재상을 추구하고 있었다. 셋째, 인구구조 변화와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응하기 위한 개별화 및 학습자 맞춤형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과 평가, 그리고 첨단 과학기술기반의 교육환경 구축을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미래교육의 주요 정책은 교육에 대한 현안 해결을 통하여 공교육에 대한 신뢰 회복 목적의 정책들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시대에 필요한 사회인의 양성이라는 교육의 기능적 역할뿐 아니라 교육이 우리 사회문화의 가치를 세우는 철학적 바탕이 된다는 역할을 상기하여, 교육의 본질과 기본 이념에 충실한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미래교육 비전 및 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reports regarding to the future education, which were conducted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for the past several years with meta-analysis approach. The 11 reports analyzed were published from 2013 to 2018 by the major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and the contents of the report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five domains such as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the talented students, the curriculum,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ssessment in future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are focusing on the current educational issues and problems rather than the perspectives of long terms goals and philosophical foundation of education. Second, the talented students are supposed to have not only the capabilities of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but also the upright character, human emotion, sy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for preparing for the future society. Third, the policies and strategies in future education were emphasized on the differentiated and customized curriculum, instruction and assessment as well as the technology-based educational system. Fourth, the focus of educational policy in future education was to recover the trust for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by solving the current problems in education. To conclude, the important roles of education are not only to foster the citizen who leads to the future but also to establish the value system of our society so the inclusive and long-term vision and goals of future education should be launched based on the fundamental ideology and essence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