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교육정책을 통한 해외진출교사의 현지적응양태 연구

        박혜연(Park, Hye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4

        본 연구는 글로벌교육정책을 통한 해외진출교사의 현지적응양태를 밝히고 관련 이론과 실제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교·사대 졸업자 해외진출지원사업」을 통해 해외에 진출한 예비/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해외진출교사의 현지적응은 사회·문화적응, 교육시스템적응, 학교문화적응으로 구분된 3가지 적응영역이 나타났다. 또한 현지적응단계는 시기에 따라 현지정착초기, 현지교직탐색기, 학교문화충격기, 학교정착안정기의 단계가 나타났으며 각 단계별로 독특한 적응양상이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파견 전/초기파견 국가에 대한 충분한 정보제공 및 언어훈련 선행, 둘째, 교직탐색기에는 현지교사네트워크 제공, 장기간의 현지교육실습과 현지동료교사의 적극적인 피드백 제공, 셋째, 학교문화충격기에는 사전 경험자의 경험, 노하우에 대한 충분한 공유, 넷째, 해외진출교사 고용을 위한 현지학교의 행정적, 문화적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nternational adjustment of expatriat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program of global education policy. For the analysis, a case study with 「Math and Science Teachers Program (International Teacher educational Program)」 was conducted. This study produced two main findings. First, main dimensions of expatriate teachers’ adjustment were multi-leveled; social-cultural level, educational system level, and school-cultural level. Second, the process of expatriate teachers’ adjustment has 4 steps: stage I: initial adjustment; stage II: observation III; school-cultural shock and; stage IV: stabilization.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global education policy.

      • KCI우수등재

        중학생 수학과목 학업성취에 대한 학생과 교사변수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박혜연(Hyeyeon Park),김현철(Hyunchul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이 연구는 비모수 추정기법인 다변량 적응 회귀 스플라인(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 MARS)모형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수학과목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수와 교사변수들을 탐색하고 탐색된 변수들의 비선형적 관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에는 TIMSS 2015의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방법의 선택을 위하여 다변량 적응 회귀 스플라인 모형, 다중회귀모형, 주성분회귀모형, 부분최소제곱모형, 정규화회귀모형이 비교되었다. 비교에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이 적용되었다. 비교된 모형들 중에서 예측성능이 가장 우수한 다변량 적응 회귀 스플라인 모형에 의한 분석결과는 선행연구에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던 변수들의 수준이 일정 값을 넘어서면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력이 사라지거나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곡점(inflection point)은 변수에 따라 한 개에서 세 개까지 다양하였다. 이 연구는 MARS기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지 않은 독립변수들을 탐색하고,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새로 탐색된 변수들과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변수들의 학업성취에 대한 비선형적 영향력과 영향력이 변화되는 변곡점을 확인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개선방안이 논의되었다. In this study, the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 (MARS) model was applied to explore the student variables and teacher variables that affect achievement in mathematics by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used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5 data regarding second-yea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used the MARS technique to explore independent variables not reported to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previous studies, and unlike previous studies, it was meaningful to confirm the nonlinear influence and inflection points of newly searched variables and variable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inflection points varied from one to three depending on the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measures to improve teaching and learning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are discussed.

      •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새만금 수목원 설계

        박혜연(Park, Hyeyeon),이명우(Lee, Myungwoo),정문선(Jeong, Moons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2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태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전라북도와 산림청은 국내 최대규모의 해안형 수목원인 국립 새만금 수목원을 계획하였다. 하지만 산림청의 새만금 수목원 조성계획안은 지역문화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전시시설 중심으로 계획되어 생태복원 및 지역문화의 치유와 정체성 확립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존 새만금 수목원 계획과 스토리텔링 영역을 바탕으로 설계대안 수립을 위한 이론적 틀을 구축하고,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해 공간의 연속성과 장소성을 확보하였다. 스토리텔링의 영역은 스토리, 맥락화, 담론화로 구분되며, 이를 통해 새만금 수목원설계에 담겨야할 다양한 스토리, 주변환경과의 연결성, 주요 담론 등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수목원 설계 단계에서는 명명, 연속성, 감춤, 수집, 열림과 같은 스토리텔링의 기법을 적용하여 갯벌생태천이와 지역문화 치유를 위한 동선과 공간설계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스토리텔링 기법의 적용은 향후 새만금지역의 문화생태적인 복원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o create an ecological space in which man and nature can coexist, Jeollabuk-do and the Korea Forest Service planned the largest coastal arboretum in the nation, the National SMG Arboretum. However, the SMG arboretum plan lacks consideration for local culture and puts more emphasis on exhibition facilities and spaces. The plan needs an identity as a coastal arboretum and a focus on the restoration of local culture and the ecosystem. Therefore, we developed a theoretical frame for design alternatives with the existing plan and storytelling. We then applied storytelling practices to generate spatial sequencing and a sense of place. Storytelling consisted of three parts: story, context, and discourse. To develop design alternatives, local and ecological stories, connectivity with surroundings, and major issues about the SMG were derived from these aspects of storytelling. In site design, storytelling practices like naming, sequencing, concealing, collecting, and opening were applied to develop a spatial and circulation plan for restoring local culture and tidal flat ecological seccession. The application of these practices will offer possibilities for the cultural and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SMG region.

      • KCI등재
      • KCI등재

        Disfluency Characteristics of School-Ag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Heeyoung Park(박희영),Hyeyeon Park(박혜연),Dongran Won(원동란),Haewon Kim(김혜원),Seungha Song(송승하),Hyun Sub Sim(심현섭)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peech disfluency in school-ag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HF-ASD), children who stutter (CWS), and control children on reading,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Methods: Seven HF-ASD, 6 CWS, and 8 control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participants ranged in age from 6 to 8 years and were matched for age and vocabulary ability.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speaking tasks, and disfluency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and classified as stuttering-like disfluencies (SLD) or other disfluencies (OD). Results: Three groups did not differ in OD frequencies across the three speaking tas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F-ASD and CWS groups in total disfluencies (TD) on the picture description task with SLD on the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tasks. In the HF-ASD group, TD frequency in story retelling and OD frequency in story retelling and picture descrip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ir reading performance; SLD frequenc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cross tasks. In SLD subtype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ingle-syllable repetition, part-word repetition and prolongation frequencies between the HF-ASD and CWS groups, but the CWS group produced more blocks than the HF-ASD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similar to children who stutter, school-age children with HF-ASD are disfluent in their verbal production except for reading.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disfluent speech characteristics of HF-ASD children should be considered i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읽기, 이야기 다시말하기, 그림 설명하기의 세 가지 발화과제에서 학령기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들(HF-ASD)의 비유창성을 평가하고 과제에 따른 비유창성 특성이 말더듬 아동 및 일반아동들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만 6-8세) HF-ASD 아동 7명과 언어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말더듬 아동 6명, 일반아동 8명을 연구대상으로 세 가지 발화과제에서 집단 간 또는 과제 간 총비유창성(TD)과 정상적 비유창성(OD), 비정상적 비유창성(SLD)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집단 간 비교에서 HF-ASD 아동들의 OD 빈도는 세 가지 과제 모두에서 말더듬 아동 및 일반아동들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F-ASD 아동들의 TD 빈도는 그림 설명하기 과제에서, SLD 빈도는 그림 설명하기와 이야기 다시말하기 과제에서 말더듬 아동만큼 높게 나타났다. 집단 내 비교에서 HF-ASD 아동들의 TD 빈도는 읽기보다 이야기 다시말하기 과제에서, OD 빈도는 읽기보다 이야기 다시말하기와 그림 설명하기 과제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SLD 빈도는 과제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HF-ASD 아동들은 SLD의 하위유형 중 일음절낱말반복과 낱말부분반복, 연장 빈도에서 말더듬 아동들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막힘 빈도에서 말더듬 아동들이 HF-ASD 아동들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HF-ASD 아동들이 읽기를 제외한 발화상황에서 말더듬 아동들만큼 비유창하다는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HF-ASD 아동들의 언어적 문제뿐 아니라 구어 산출에서의 비유창성을 개선하기 위한 평가와 중재가 고려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라이프로깅에 대한 고찰 및 향후 마케팅 연구에 대한 제언

        권미진 ( Kwon Mijin ),서정화 ( Seo Jeonghwa ),박혜연 ( Park Hyeyeon ),한영지 ( Han Youngjee ),김학균 ( Kim Hakkyun ) 한국소비자학회 2024 소비자학연구 Vol.35 No.1

        라이프로깅(lifelogging)은 개인의 일상을 기록해 나가는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오늘날 스마트 환경과 웨어러블 기기의 발달로 소비자는 라이프로깅을 통해 자신의 경험과 정보를 끊김 없이 기록하고 정량화 하며 타인과 공유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라이프로깅에 대한 기존 문헌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새로운 기술 환경 속에서 나타나는 소비자의 라이프로깅 행태를 분석하며, 라이프로깅에 대한 향후 마케팅 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라이프로그의 형태와 기록방식에 따라 라이프로깅의 유형을 분류하고 라이프로깅이 소비자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라이프로깅 기술의 활용이 현재 당면한 이슈에 대한 문헌을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현재 국내 소비자가 건강․금융․쇼핑․기타 분야에서 스마트 기기를 통해 라이프로깅을 활용하는 행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의 라이프로깅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라이프로깅 참여를 촉진하는 마케팅 방안, 그리고 소비자의 자아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그간 기술적 측면에 집중되어온 라이프로깅 연구를 소비자 관점으로 확장하여 마케팅 실무에서의 라이프로깅 기술 적용을 돕고, 라이프로깅에 대한 소비자 학계의 논의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Lifelogging refers to the recording of all activities in an individual's daily life. With the advancement of smart environments and wearable devices, consumers are now able to record and quantify their experiences and information without interruption through lifelogging and share it with others. This research aims to systematically review existing literature on lifelogging, analyze consumer lifelogging behaviors in new technological environment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on lifelogging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Specifically, this research reviews the types of lifelogging based on their forms and recording methods the effects of lifelogging on individual consumers and society, and current issues faced by lifelogging technology and its utilization. Additionally, we analyze consumer lifelogging behaviors through smart devices in the areas of health, finance, shopping, and other fields in South Korea. Finally, we discuss 1) future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lifelogging behaviors, 2) marketing strategies to promote lifelogging participation, and 3) impacts of lifelogging on consumers' self and society. We expect this research to expand the literature on lifelogging beyond its technical aspects, to provide practical applications for marketing professionals, and to promote academic discussions on lifelogging in the field of marke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