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학급중심 대상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윤지영(Jiyoung YOON),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5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급중심의 미술치료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학급중심 미술치료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0년 2월까지 발간된 국내학술지와 학위논문 중 학급을 중심으로 실시한 미술치료의 효과를 보고한 논문 39편을 최종 선정하여 76개의 효과크기에대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해 산출한 초등학교 학급중심 미술치료의전체 효과 크기는 0.55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간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학급중심 미술치료의 중재 특성중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 본 결과, 기타, 자기표현/의사소통, 사회성/관계, 심리/정서, 행동 순으로 효과크기를보였지만 각 효과크기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학급중심 미술치료 중재관련 특성 중 조절변인의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매체 및 기법에서  =7.294, =0.00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머지 조절 변인은 유의한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mprehensiv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program development of class-oriented art therapy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o grasp the effect of class-centered art therapy. To this e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76 effect sizes from a total of 39 papers on the effect of class-oriented art therapy from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2000 and February 2020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class-based art therapy calculated by applying the random-effects model was 0.559,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mediate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of class-centered art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were ‘Others’, ‘Self-expression/Communication’, ‘Sociality/Relationship’, ‘Emotion/Psychology’, ‘Behavior’,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among the effect sizes of the control variables of class-oriented art therapy inter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only ‘Choice of media and techniqu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 =7.294, =0.007 while the oth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ffect sizes.

      • KCI등재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 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미영(Miyoung LEE),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9월 2일부터 9월 25일까지 교과별 담임재량 시간을 이용하여 주 2회, 총 8회기에 걸쳐 인천광역시 소재 A초등학교 실험집단에서 진행되었다.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연구자가 국가수준 학교폭력 예방 어울림 프로그램의 공감역량을 기초로 미술치료 요소를 포함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발달단계에 맞게 수정·보완하 여 재구성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치료의 질적 분석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의 공감능력과 또래관계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학급 단위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폭력 예방 집단미술 치료의 긍정적 영향과 필요성을 입증한 경험적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A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on a total of 8 occasion, twice a week, using the school s discretionary hours from 2019.09.02. to 09.25.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program of this study was supplemented and revised empathic competence of the national-level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called Eo-ul-li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Seco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n the process and results, this research had a positive effect on of empathic 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lower gra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e aspect of an empirical study that proves the necessity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group art therapy on the class unit.

      • KCI등재

        영유아기 소아암 치료 과정을 경험한 아동의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유승희(Seunghee YOO),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18 造形敎育 Vol.0 No.67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에 소아암 치료 과정을 겪은 아동이 미술치료를 통해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 인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에 소아암 치료 과정을 겪은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를 선정하고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생후 3개월 소아암을 진단 받고, 치료 과정을 거친 9세 남자 아동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 하여, 2017년 9월 14일부터 2018년 2월 22일까지 주 1회, 60분간 총 18회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본 사례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첫째, 참여자는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미술 활동을 통해 스스로 정서와 생각을 탐색하며 적응에 도움을 받았다. 둘째, 참여자는 자신의 욕구를 적극 반영한 주도적인 미술을 통해 통제와 조절을 경험하며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과 자율성을 회복하였다. 셋째, 참여자는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미술 활동을 통해 강점을 발견하 고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넷째, 참여자는 미술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상호 협력적 관계를 경험하고 사회적 기술을 습득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건강한 애착의 재형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paediatric cancer patient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the implications are.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is study conducted total 18 sessions of 60-minute art therapy once a week from Sep 14, 2017 to Feb 22, 2018. Participant of this study is 9 year-old boy who was diagnosed with cancer when he was 3 months old and resumed everyday life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articipant stabilized emotion through the art activity. Secondly, participant was able to improve confidence and autonomy by experiencing control and adjustment. Thirdly, participant was able to discover strengths on his own and was able to have positive self-image through confidence and achievement in art activity. Fourthly, participant experienced mutually cooperative relationship of receiving and providing help with art therapist through interac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 연구

        이현주(Hyunjoo LEE),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는 데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 여학생 6명을 참여자로 선정하고, 사례 연구 방법을 통하여 탐구하였다. 사례는 2020년 8월 3일부터 8월 14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주 5회, 100분간 총 10회기의 단기 집중형 집단미술 치료 형태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집단미술치료의 과정에서 경험한 것에 대한 결론은 첫째, 참여자들은 미술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자기 이해를 높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미술 작품을 통해 자신을 객관 적으로 바라보고 자기 인식을 높이며 미술 작업을 통해 성취감을 경험하여 자신의 자원을 발견하였다. 셋째, 참여자들은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서로 격려하고 지지하는 성공적인 미래를 지향하게 되었다. The study aims to look into what experiences elementary school seniors subject to group art therapy aimed at promoting recovery resilience get to have. To this end, the study involved case study method to take a close look at the 6 female seniors at A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short-term intensive group art therapy, presented as a case by the study, wa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100 minutes at a time from Aug. 3, 2020 through Aug. 14. The times such art therapy was performed during such period totaled 10. Based on the study on experiences for the group art therapy concludes that: First, the subjects were able to express themselves and deepen understanding of themselves. Second, the subjects were able to increase self-recognition by looking at themselves more objectively through art activities and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by engaging in art activity leading to discovery of their own resource. Third, the subjects were able to experience positive interaction it the course of group art therapy, through which they were able to encourage and support one another to look forward to successful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여자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박지연(Jiyoun PARK),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5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여자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변화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집단미술치료를 독립변인, 연구 도구로 측정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종속변인으로 실험연구를 설계하였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분석을 통해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는 서울특별시 교육청의 회복탄력성 신장 6단계 프로그램을 기초로 미술치료 요소를 포함하고, 청소년에게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였으며, 2019년 11월 27일부터 12월 23일까지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시간을 이용하여 주 1~2회, 총 6회기에 걸쳐 서울특별시 소재 A여자고등학교에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사전⋅사후 검사 및 회복탄력성 지수의평균 비교 결과를 통해 여자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회복탄력성 하위 요인 중 원인 분석력, 충동 통제력, 낙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회기분석을 통해 집단미술치료에서청소년은 능동적인 자기조절과 통제의 경험을 하였고, 미래를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자청소년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의 영향과 필요성을 입증한 실증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있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and changes of group art therapy in fostering resilience in female adolescents. This case proceeded from November, 27, 2019 to December, 23, 2019, 1-2 times per week, for a total of 6 sessions during the participants’ extra-curricular activity hours for experimental group at A girls’ high-school located in Seoul. The group art therapy fostering resilience included art therapy elements ba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6 step program for reinforcement of resiliency and reconstructed to suit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resilience in female adolescent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had significant effect on cause analysis, impulse control, and optimism in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Third, through session analysis, participants experienced active self-regulation and control, and change on their optimistic view of the future in the group art therap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empirical study proved group art therapy’s effectiveness and necessity in order to improve resilience for female adolescents.

      • KCI등재

        치료적 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의 배려심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윤희(Yoonhee LEE),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1

        본 연구의 목적은 치료적 미술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의 배려심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향후 지속적으 로 치료적 미술 수업이 학교 교육현장에서 활용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치료적 미술 수업을 독립 변인으로, 배려심과 자아존중감 변화를 종속 변인으로 하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치료적 미술 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의 배려심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둘째, 치료적 미술 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셋째, 치료적 미술 수업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해 질적 분석을 한 결과 치료적 미술 수업은 초등학교 5학년의 배려심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이루어지는 치료적 접근의 긍정적인 영향을 밝혔으며, 교육과정에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적 접근의 필요성을 입증한 경험적 연구라는 데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rapeutic art lessons on enhancing the sense of consideration and self-esteem of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It also aims to collect preliminary data necessary for continuing the therapeutic art lessons in classroom settings.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used an experimental design involving a pre-test and post-test control group, with therapeutic art lesson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changes in the sense of consideration and self-esteem as the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effects of the therapeutic art lessons are first, therapeutic art less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5th graders’ sense of consideration. Second, therapeutic art less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5th graders’ self-esteem. Thir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rapeutic art lessons, the study established that these less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5th graders’ sense of consideration and self-esteem.

      • KCI등재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서승연(Seungyeon SEO),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4

        본 연구의 목적은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를 수행한 미술치료사 경험을 성찰적으로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본 연구자는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 현장에서 미술치료사로서 경험한 기록을 정리한 기억자료, 자기성찰 자료, 참여관찰, 인터뷰, 문화적 인공물을 수집하였다. 이를 심층적으로 분석 및 해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미술치료사로서 연구자의 자기성찰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 미술치료에서 연구자는 아동의 불안함이 함께 공유되는 치료적 관계에서 스스로의 반응을 탐색하면서 치료사로서 미해결된 이슈를 알아차렸다. 둘째,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에서 연구자는 개인의 상실, 이별을 다룬 반응작업을 통해 죽음 관련 역전이를 다룰 수 있었다. 셋째, 말기 암환자 가족 아동과의 미술치료에서 연구자는 그 과정을 통해 개인 내적인 변화를 인식했을 뿐 아니라, 치료사로서 역할과 정체성의 발견과 내적으로 성장하는 경험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ively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nducting art therapy with children from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therapists. As such,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ough memory data, self-reflection data,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and cultural artifacts that summarized the experiences as an art therapist during the sessions with children from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in-dept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conclusion of the self-reflection experience as an art therapist is as follows. First,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researcher realized unresolved issues as a therapist while exploring their own responses in a therapeutic relationship where children's anxiety is shared. Second,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researcher could deal with death-related countertransference through reaction work dealing with personal loss and separation. Third, in art therapy for children from famili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researcher recognized the internal change as an individual through the process and also discovered the role and identity as a therapist, experiencing inner growth.

      • KCI등재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아동의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이여진(Yeojin LEE),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아동이 자기표현을 위한 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모 이혼 후 어머니와 함께 살고 있는 8세 아동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사례 연구 방법으로 탐구하였다. 미술치료 사례는 2015년 2월 19일부터 2015년 6월 4일까지 주 1회, 60분간 총 15회기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첫째, 참여자는 미술활동을 통해 부정적 감정들을 자유롭게 표출하고 정화시킴으로써 정서 적 안정을 찾았다. 둘째, 참여자는 미술활동과 작품을 통한 자기표현의 과정에서 자신과 문제를 분리시킴으로써 보다 긍정적인 자기인식을 하였다. 셋째, 참여자는 미술 표현을 통한 깊은 공감의 경험을 통해 자기표현에 대한 가치를 깨닫게 되었다. 넷째, 참여자는 미술치료사와의 친밀한 관계 형성을 통해 타인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자기표현을 확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art therapy in terms of assertiveness for a child who experienced his parents’ divorce and what the experience means to the child.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using a case study method. The study participant was an eight-year-old boy who lives with his mother. In the study, the child participated in 15 50-minute weekly sessions between February 19 and June 4, 2015.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tudy participant improved emotional stability by resolving negative emotions through art activities. Second, the study participant developed positive self-perception by separating himself and his problems in the process of assertiveness through art activities and artworks. Third, the study participant recognized the value of assertiveness by experiencing deep empathy through art expressions. Fourth, the study participant restored his trust in others and extended assertiveness through experience of intimate relationship with his art therapist.

      • KCI등재

        초등학생의 또래관계 경험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임수민(Soomin IM),한경아(Kyeonga HAN)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1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방과 후 집단미술치료에서 초등학생들이 어떤 경험을 하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 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A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6명을 참여자로 선정하고, 2021년 9월 27일부터 10월 20일까지 회당 90분간 총 10회기의 방과 후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회기 내 자료와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질적으로 분석되어 8개의 상위주제와 2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코로나-19로 고립된 상황을 벗어나 미술 작업을 하며 또래와 친밀감을 쌓고 도움을 주고 받으며 긍정적 관계 경험을 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미술 활동을 하면서 갈등 상황을 마주하게 되고, 그 안에서 관계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다. 셋째, 참여자들은 미술을 통해 또래와 다양한 감정을 나누고, 동료애를 느끼며 서로 배려하고 응원하는 존재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experienc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nd the meaning of those experiences in after-school group art therapy for improve peer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six 3rd graders at A elementary school. The case study lasted from Sep. 27 2021 through Oct. 20 2021 and conducted 10-time sessions.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 and data within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and 8 super-topics and 21 sub-topic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beyond the shackle of the pandemic resulting in estrangement, engaged in art activity to create emotional bond with their peers, reciprocating emotional support and contributing to positive interpersonal experiences.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confront conflicts while engaging in art activity, becoming acquainted with how to settle difficulties from relationship. Third, the participants could share a variety of emotions with their peers through art, feeling emotional bond and experiencing mutual support and l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