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화와번역』 : 이태준과 현덕의 유년동화에 나타난 아동의 구현 양상 연구

        박주혜 ( Ju Hye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4 동화와 번역 Vol.27 No.-

        아동은 당대 사회의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담아내는 기표이다. 식민지시기에 아 동은 다양한 양상으로 투영된 이데올로기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1920년대 동심천 사주의적 아동관을 지나, 1930년대 중반까지는 카프계열의 리얼리즘을 강조한 사 회주의적 아동관이 나타났다. 카프 해산 이후 이러한 이데올로기와 결별을 하게 되면서, 비어있는 공백을 메우고자 했던 아동 문학 작가들의 노력은 ‘있는 그대로 의 아동’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있는 그대로의 아동’을 포착하려 했다는 점에서 1930년대 중반 이후 아동 문 학 작가들의 작업은 진정한 아동을 복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아동들을 아동되기로서의 주체로 그려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리고 이태 준과 현덕의 유년동화는 이러한 지점에서 유의미하게 논의되어야 한다. 두 작가의 유년동화에는 아동되기로서의 주체 형성 양상이 구체적으로 나타 난다. 이러한 특징은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먼저 내용적인 측면에서의 양상 첫 번째는 아동인물이 엄마와 직접적인 관계 성을 생산한다는 점, 두 번째는 놀이를 통해 즐거움을 느끼는 아동이 탄생한다는 점, 세 번째는 아동인물들이 호기심과 천진성을 보인다는 점, 네 번째는 유년동화 에 나타난 아동인물들이 자기중심적 사고를 보인다는 점이다. 형식적인 측면에서의 양상 첫 번째는 의도적으로 반복구조와 열린 결말을 사용 하고 있다는 점이고, 두 번째는 관찰자 시점을 사용하여 서술자의 개입을 최소화 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이태준과 현덕의 유년동화에서 즐거워하는 아동의 모습이 왜 나타 나게 되었는가에 주목해보았다. 즐거워하는 아동의 탄생은 시대의 모순을 드러내 고 있는 것이며, 그에 대한 고발이다. 이러한 현상은 결코 웃을 수 없는 시대에 대 한 은근한 폭로를 내재하고 있다. 이처럼 이태준과 현덕의 유년동화에 나타난 아동의 구현 양상은 진정한 아동 을 복권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살펴볼 수 있다. 아동되기로서의 주체 형성 과정은 이러한 모습을 더욱 확실시 하는 것이며, 이러한 모습의 아동이 구현되어 나타난 것은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필연적인 것이다. Taejun Lee and Hyeondeuk`s children`s stories show the specific process of child-becoming as an example of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This characteristic can be divided into content and form. In terms of content, the first thing to notice is that their child characters form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ir mothers. The second aspect is that children started to feel pleasure through playing. The third is that child characters are innocent of and curious about things. The fourth is that these characters tend to think in a self-oriented manner. In terms of form, the first formal aspect is that these stories intentionally use repetitive structures and open endings. Second, they use the observer`s perspective to minimize narratorial intervention. Lastly, this study explores why Taejun Lee and Hyeondeuk`s children`s stories show happy children enjoying themselves. The appearance of children enjoying themselves reveals the social contradictions of the time and the denouncement thereof, implying a subtle critique of a period when one can never enjoy oneself or laugh. As such, the depiction of children in Taejun Lee and Hyeondeuk`s children`s stories shows their efforts to restore the genuine character of children. The process of forming children as the main subjects under the theme of child-becoming reaffirms such a depiction. Given the situation of the period, this type of depiction of childhood is necessary.

      • KCI등재

        소리내어 생각하기(Think-aloud) 방법을 통한 청년층과 노년층의 추론특성 비교

        박주혜(Park, Ju Hye),윤지혜(Yoon, Ji Hy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4 재활복지 Vol.18 No.2

        노화에 따른 인지 및 언어능력의 변화는 일상적인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인은 청년에 비해 인지적 처리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말과 더불어 글을 이해하는 수행력이 감소하며, 언어를 기억하는 능력도 저하된다. 따라서 글이나 대화의 내용을 이해하고 쫓아가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더불어 사실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새로운 결론을 이끌어내는 처리과정인 추론에서도 어려움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에 따른 추론능력을 비교해보기 위하여 교육년수 12년 이상인 정상노인 25명과 정상청년 30명을 대상으로 이야기 산출을 유도하였다. 과제 유도방법으로는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이야기 글을 대상자가 스스로 읽어 가면서 그 과정에서 떠오르는 생각을 말하는 '소리내어 생각하기(think-aloud)'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이야기를 읽는 동안 발생되는 추론의 양상(설명, 예견, 연상) 및 문장에 대한 추론을 이끌어 내기 위하여 정보를 제공한 기억작용(활성화, 유지, 인출)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정상노인이 정상청년보다 더 적은 수의 추론을 산출하였다. 둘째, 정상노인은 정상청년보다 예견의 횟수가 유의하게 더 적었다. 셋째, 정상노인은 연상, 설명, 예견 순의 추론양상을 보였으나 청년은 연상, 예견, 설명 순이었다. 넷째, 정상노인은 정상청년과 기억작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정상노인은 추론을 통한 이야기 친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정상노인들은 청년에 비해 글을 읽고 이야기를 산출할 때, 추론을 하거나 미래를 예측하기 보다는 현재 읽고 있는 문장 내용을 중심으로 글을 이해하고 산출하는 양상이 두드러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anges in cognition and language competence caused by aging are considered very much important in that they could have an influence on everyday lives of people. Since the elderly would need more time to deal with their cognitive processing than the young would, the former is believed to have some decreased understanding not only on spoken language but also on written language as their ability to remember a language deteriorates. In that regard, when it comes to following what is being talked about during a conversation, the elderly come to have a sense of difficulty and inconvenience. In addition, the elderly would have a hard time with inferences, a work to reach to a new conclusion based on actual information. In order to compare abilities to infer, our study led 25 normal elderly who have educated for more than 12 years and 30 young individuals to produce stories. As for a way to make the research participants fulfill the assignment, the study used a 'think-aloud' method which would encourage the research participants, first, to read any visually-provided stories to themselves and second, to tell ideas which they would have while reading the stories loud. For analyzing the data, we measured the memory behaviors (activation, preservation, retrieval) which has been used to provide the participants with information, helping them with types of inference (explanation, prediction, association) and inference on sentences as well whe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ading the storie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normal elderly have produced a less number of inferences than the young have. Second, the normal elderly were observed to make a fewer predictions than the young have. Third, while the normal elderly went with the types of the inference in order of the association, the explanation and the prediction, the young worked with the association, first, then the prediction and the explanation.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mory behavoirs between the two groups. Fifth, within the normal elder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inferences depending on familiarity with the stories. In the light of what has been understood so far, we concluded that when the normal elderly try to produce a story after reading, they would rather need to understand the reading for sure before they actually produce a new story, focusing on those sentences written in what they are working on. After all, this way of how the elderly work is considered different from a process of how the young work with either the inference or the prediction.

      • KCI등재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관형절이 포함된 내포문 이해에 관한 연구

        박주혜(Ju Hye Park),김영욱(Young Wook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관형절의 첨가위치와 관형절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표지의 병행기능 단서에 따른경도 지적장애아동의 관형절이 포함된 내포문의 이해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언어이해 평가와 아동의 수준을 고려한 적절한 중재계획과 실행을 위한 임상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언어연령 5∼6세인 경도 지적장애아동 20명과 일반아동 20명을대상으로 연구자가 작성한 검사문장과 검사그림의 도구를 이용하여 그림선택 과제를 통한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첫째, 관형절의 첨가위치 단서에 따른 이해특성에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왼쪽 분지문의 이해도가 가운데 내포문의 이해도보다 높았다. 둘째,관형절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표지의 병행기능 단서에 따른 이해양상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관형절이 수식하는 명사의 격표지 기능이 병행인 경우가 병행이 아닌 경우의 이해도보다 더높았다. 논의 및 결론: 경도 지적장애아동의 관형절이 포함된 내포문의 이해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중재를 위해서는 관형절 자체가 지니는 구문적 특성과 아동이 지니는 이해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ir ability to comprehend relative clause sentences, depending on additional position and function cues of parallel function. We aimed to obtain data to design effective intervention plans for these children, with consideration for the level of their language comprehension. Methods: We surveyed 20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se language age was between 5 and 6-years-old and 20 non-disabled children. We collected data using test pictures and test sentences prepared by the researcher to determine ability of each child to understand relative sentences through the sentence-picture verification test. Results: First, with respect to positional cues, both groups appeared to be better at understanding left branching sentences than center-embedded sentences. Second, the use of parallel function cues resulted in better understanding than when different case-marker function cues were used.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and activate language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complementary strategies involving the efficient arbitration strategy,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and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relative clauses.

      • KCI등재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는 어떠한 딜레마를 경험하는가

        박주혜(Ju Hye Park),김은정(Eun Jeong Kim),정세미(Se mi Chung),정삼영(Sam Yeong Jung)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23 한국사회복지교육 Vol.6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kind of dilemmas practitioners experience, who support migrant women who ar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what kind of efforts are being made to respond to these dilemmas. To examine these objectives, FGI was conducted on six practitioners from counseling centers and shelters supporting migrant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practitioners to experience three categories of dilemmas: dilemmas related to the target and the scope of intervention, dilemmas related to clients’ self-determination and safety issues, and dilemma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To respond to these dilemmas, practitioners were making efforts to expand the scope and target of intervention, to consider self-determination and safety as the first priority, and to have respect towards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and institutional support measures we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practitioners who support migrant women affected by domestic violence.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Women’s Human Rights Institute of Korea.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들이 실천 과정에서 경험하는 딜레마의 양상과 이에 대한 실천가의 대응과 노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 지원기관의 실천가 6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실천가들은 개입의 대상 및 개입의 범위와 관련한 딜레마,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및 안전 문제와 관련한 딜레마, 문화적 차이로 인한 딜레마 등 3가지 범주의 딜레마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딜레마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실천가들은 개입 대상과 범위의 확장, 자기결정 및 안전에 대한 최우선 고려,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존중 노력을 시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피해 이주여성을 돕는 실천가들을 지원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1920∼30년대 초반에 나타난 영웅형 아동들과 그 의미

        박주혜(Ju Hye Park)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 현대소설연구 Vol.- No.59

        An image of a child based on the children`s angel-like innocence theory introduced in the 1920`s presented how ‘unemotional’ a leading character was. On the contrary, the images of the children that fairy tale writers of KAPE had created until the middle of the 1930`s talked about how ‘emotional’ the leading characters were. Those images of the children which are considered totally opposite to each other from the aspect of ‘emotions’ seem to be confronting as the two extremes. However, all of them can be regarded as ‘heroic’ images of the children in that they have been creating some unrealistic children. In the 1920`s, an attempt on the discipline of ‘emotions’ was made on the assumption that the ‘emotions’ were something private as well as subjective. In addition, through the attempt, the emotional identity was created. But, the spread of the identity through emotions develops this idea of totalitarianism as individuals come to believe in this imaginary community spirit, ‘the people’. What made all these phenomenons really happen is this emotion, ‘a sense of great satisfaction’. However, a ‘group’ that is established through such process includes ambivalent characteristics in that they are the people who can be most intimidating but also who can be controlled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become a chance for imperialistic Japan to come up with an idea of making colonial people. As strategies that Japan used to make the people, the generalization of heroes and the cult of success do have connections with the ‘heroic’ images of the children appeared in Korean children`s stories during the 1920`s and the 1930`s. After all, in terms of all the hard work done by the intellectual during the colonial period to create some independent images of the children for the liberation, the work is considered to be destined to co-exist with the work of imperialistic Japan to make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

      • KCI등재

        뇌성마비인 언어 중재 연구 동향 분석

        박주혜(Park Ju Hye)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뇌성마비인을 대상으로 한 국내 언어 중재 연구의 동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뇌성마비 언어 중재의 이해를 넓히고, 향후 요구되는 중재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15년간 국내 뇌성마비 언어 중재 연구 31편을 선정 후, 분석 기준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 방법론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연령대와 뇌성마비 유형, 중재 장소, 중재 방식에 따라 분석하였다, 방법론적 특성은 중재 기간, 독립변인, 종속변인, 연구 설계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대는 학령기를 대상으로 한 경우가, 뇌성마비 유형은 경직형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중재 장소는 학교와 치료실에서 중재자가 직접 중재한 경우가 많았다. 중재 회기는 16~20회가 가장 많았다, 독립변인은 보완․대체 의사소통을 사용한 경우가, 종속변인은 화용론 연구가 가장 많았다. 설계 방법은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이용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결론: 지금까지 뇌성마비 언어 중재 연구의 흐름이 뇌성마비의 제한된 구어 기능 특성을 반영한 소통체계 사용과 기능적 중재를 목표로 한 연구가 많았다면, 이후에는 시대의 흐름에 맞는 기술을 적용하여 더욱 다양한 언어 영역의 중재 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language interventions for cerebral palsy through an by analysis of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language interventions for people with cerebral palsy and discussion of the direction of the intervention research required henceforth. Method: A total of 31 studies on language interventions in people with cerebral palsy conducted in Korea from 2006 to 2020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general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ed age, cerebral palsy type, intervention location, and method.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ncluded intervention perio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 and study design type. Result: School-aged subjects and spastic types were the most common age group and cerebral palsy type respectively. For the intervention location, the practioners provided mediation directly in schools and treatment centers most often, and the most frequent number of sessions provided was 16 to 20.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nd pragmatic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among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Regarding the design method, the intermittent baseline design was the most common method employed. Conclusion: Hitherto the flow of language intervention research for people with cerebral palsy has been focused on the use of communication systems and functional interventions that reflect the limited verbal functio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dition. Now,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language domain intervention studies will be conducted by applying technologies suitable for the current trend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한정동 동화에 나타난 아동 인물의 생명력 연구

        박주혜(Park, Ju-hye)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0 No.206

        본 연구는 한정동 동화를 살펴본다. 한정동은 한국의 동요(시)문학사에 주춧돌이된 작가이지만 50〜60년대에는 동화를 주로 창작하였다. 그의 동화에서는 작가 한정동이 갖고 있는 아동문학가로서 유의미한 시선을 탐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한정동 문학 세계의 한계로 거론되었던 동화가 아동 인물의 생명력을 드러내고 있음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이야기 세계로의 진입과 욕망이 발현됨의 의미를 살펴본다. 이야기 세계로 진입이 가능하다는 것은 아동 인물이 사회적 체계 안으로 발을 들여놓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아동 인물은 아동이기에 미숙함과 균열을 드러낸다. 본성과 욕망이 드러나는 순간들이 그렇다. 한정동의 동화는 이러한 지점을 포착하고 있음을 살펴본다. 아동 인물의 욕망은 총 네 가지 차원으로 구현되고 있다. 지기 싫음의 욕망, 놀이하고 싶은 욕망, 소중한 것을 지키고 싶은 욕망, 사랑에 대한 욕망이 그것이다. 다양한 층위에서 발휘되는 욕망은 작가의 시선 안에서 그 자체로 긍정되고 있음을 살핀다. 욕망의 발현은 아동 인물을 행동하게 하며 성장의 순간으로 귀결된다. 이러한 지점에서 아동 인물의 생명력이 드러나고 있음에 주목한다. 아동의 본성과 욕망의 발현을 긍정하고 그러한 태도로 아동들의 생명력을 드러내고자 하는 작가적 욕망은 아동을 존중하는 아동문학가로서의 자질을 유감없이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성취는 교훈성으로만 갈음될 수 없는 한정동 동화만의 가치이다. This study examines Han Jung-dong’s fairy tale. Han Jeong-dong is a writer who became a cornerstone of Korean contemporary literature history. However, Han Jeong-dong mainly created fairy tales in the 50s and 60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fairy tales, which have been discussed as the limitations of the Hanjeong-dong literary world, reveal the vitality of children’s characters. It examines the meaning of entering the story world and expressing desire. Entering the story world means that the child character has entered the social system. However, children’s characters reveal inexperience and cracks. It is the moment when nature and desire are revealed. Han Jeong-dong’s fairy tale captures this point. The desire of a child character is embodied in four ways. The desire to not lose, the desire to play, the desire to keep something precious, and the desire for love. The desire displayed at various levels is fully affirmed within the artist’s gaze. The desire of a child character is realized as a moment of growth. At this point, the vitality of the child character is revealed. The artist’s desire to reveal the vitality of children reveals his qualities as a child writer who respects children without regret. These achievements cannot be overshadowed by didaction. This is the value of Han Jung-dong’s fairy ta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