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역공동체의 숲 휴양치유사업 지지도 영향 요인 분석

        박종문(Park, Jongmun),안승혁(Ahn, Seunghyeok),김우창(Kim, Woochang),남궁혜진(Namgung, Hyejin),윤순진(Yun, Sun-Ji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지역 공동체가 마을에 소재하고 있는 숲을 보존하면서 이를 활용하여 주민 소득과 일자리 창출을 모색하는 숲 휴양치유사업에 주목하여 사업 지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영향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마을 사업 지지도와 지각된 영향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지역경제 인식, 환경 인식, 장소정체성, 공동체 참여, 리더십 평가 등 5가지 요인을 선정하였다. 주요 분석 방법으로는 사회교환이론에 기반한 구조방정식 모형과 심층 면접을 활용하였다. 1차로 전라남도 순천시 용계산 일대 5개 마을 주민 12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고, 2차로 분석 결과 해석을 위하여 설문 참여 인원 중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여 5가지 영향 요인들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효과와 함께 모형에서 고려하지 않았던 사회적 영향 요인들을 함께 도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주민들은 지역 경제가 낙후되었다고 인식하고, 장소정체성과 공동체 참여, 리더십 평가가 좋을수록 마을 사업의 긍정적 영향을 높게 인식하였으나, 환경에 보다 높은 가치를 부여할 경우 마을 사업의 긍정적 영향을 더 낮게 인식하였다. 둘째, 지역경제가 좋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 부정적 영향을 더 낮게 인식하며, 지역 환경이 좋다고 생각할 경우 부정적 영향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환경인식과 장소정체성 인식, 공동체 참여가 높을수록 사업 지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업 기대 효과 중 긍정적 영향 인식만이 사업 지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에 심층 면접과정에서 마을 내 교회의 역할과 원주민과 귀촌인간의 관계도 사업 지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forest recreation healing project that provides income and jobs to local residents by utilizing the village forests eco-friendly, and analyzed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support of the residents. 5 factors were selected as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 recognition of perceived influence in village project. The factors are regional economic recognition, environmental awareness, place identity, community involvement, and leadership. Based on social exchange the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in-depth interview were utilized for comprehensive mixed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127 residents of five villages around Yong-gye mountain in Suncheon City, Jeollanam-do.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residents of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local economy is poor and the place identity, community involvement, leadership is good, the residents highly recognize the positive impact of the village project. But the higher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the lower the positive impact of the village project. Second, residents feel less negative impacts when they think the local economy is poor, however they feel more negative impacts when they have strong attachment to the local environment. Third,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 the recognition of place identity and the community involvement, the greater the residents’ support for the project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only the positive impact of the project expectation increases the support for the projec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that the role of the church in the vill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genous people and urban-to-rural migrants can affect the project support.

      • KCI등재

        지역 유형에 따른 가구 전력 소비의 영향 요인 비교 연구

        박종문(Park, Jongmu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0 No.2

        Reducing energy consumption is important to alleviat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cial conflicts that arise from the production and use of energy. This study analyzes key variables related to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cities(Si), counties(Gun), and districts(Gu) in Korea. In particular, since energy consumption varies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regional types are divided into Seoul metropolitan area(type 1), local cities(type 2), and rural areas(type 3). Energy consumption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ccording to regional types.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portion of apartment households and living area per household have the effect to increase residential electricity consumption across all regional typ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igh level of local taxes paid increase the electricity consumption per household, however, as the park areas per capita and the proportion of old houses increase, electricity consumption per household decreases. In local cities, non-economic activity population ratio and household density have the effect increasing electricity consumption per household. In rural area household characteristics and urban characteristics are not significant. This shows that energy consumption factors differ depending on the types of region. Accordingly, the following various policy measures can be considered for each regional type. Residents-led energy management in apartment complexes and energy diagnosis activities in large houses need to be further encouraged in all regional types. Enlarging the green space and open space in the overcrowded cities and promoting the installation of solar panels on verandah and rooftop space in local cities can be considered. In addition, more quantitative and empirical researches on household energy needs to be carried out in order to manage energy demand more closely.

      • KCI등재

        서울시 성대골 사례를 통해 본 도시 지역공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서의 에너지 시민성 형성 과정

        박종문(Jongmun Park),윤순진(Sun-Jin Yu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1

        이 연구에서는 지역공동체를 통한 에너지 시민성의 형성 과정과 내용, 에너지시민성 형성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에너지 전환운동의 촉진 요인과 제한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후쿠시마 핵발전사고를 계기로 2011년부터 에너지 전환운동을 펼쳐나가고 있는 서울시 동작구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의 에너지 전환운동을 사례로 선택하여 심층면접과 참여관찰, 문서정보 내용분석을 활용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지역공동체는 지역 주민들이 에너지 전환운동에 참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상호 신뢰를 기반으로 에너지와 환경문제에 대한 구성원들의 인식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시민성을 함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들의 에너지 시민성은 참여 형태와 정도에 따라 각기 다른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데, 개인적 요인과 공동체 내외부의 다양한 요인들이 에너지 전환운동의 참여를 촉진하거나 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에너지 전환운동에 좀 더 많은 시민들이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동체 구성원들의 관심사와 성향, 욕구가 다름을 이해하고 에너지운동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활동이나 사업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공동체 내에 서 좀 더 활발한 정보 공유와 소통에 힘쓰면서 공동체의 에너지 전환운동 활동을 정치적으로 해석하지 않도록 에너지 전환 노력이 전 사회적으로 함께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발견했다. In the midst of increasing environmental issues and social conflicts associated with energy use, various urban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at seek to expand the use of renewable energy and reduce energy consumption through energy conserv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within local units- have been initia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order to combat climate change, go beyond nuclear power and thus resolve social conflicts. This case study is centered on the energy transition movements in Sungdaegol Energy Transition Village in Dongjak-gu, Seoul where energy transition movements have taken place since the 2011 Fukushima nuclear disaster in Japan. By performing in-depth interviews, participatory observation, content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and contents of energy citizenship shaped by local communities and the catalytic factors and constraining factors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s which strongly influence energy citizenship formati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 that local communities foster energy citizenship by being a place where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energy transition movements and at the same time serving as an educational arena that enables changes in local residents’ perceptions of energy and environmental issues based on mutual trust. The study also reveals that energy citizenship of local residents is formed in different ways depending on the method and degree of participation; various factors including personal,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an either promote or constrain participation in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is study concludes that in order for mor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interests, preferences and desires among residents; have more diverse activities and projects; increase efforts to share and communicate information; and make efforts for energy transition prevalent in all areas of society in order to avoid community energy transition movements being interpreted as political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

        해상풍력 수용성에 대한 어민 인식 조사

        박종문 ( Jongmun Park ),임효숙 ( Hyosook Yim ),박선아 ( Seona Park ),조공장 ( Kongjang Cho ) 한국환경연구원 2021 環境政策 Vol.29 No.4

        해상풍력 추진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이해당사자인 어민을 대상으로 해상풍력 수용성에 대한 인식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는 국내 해상풍력 추진 지역인 전라남도 영광군과 경상남도 통영시 어민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해상풍력의 경제적 영향, 환경적 영향, 사업 추진방식에 대해 총 8개의 수용성 관련 요인(경제적 기대, 어업 피해, 환경 개선, 환경 피해, 입지발굴방식, 소통방식, 신뢰, 정보공유)에 관한 인식을 묻는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어민들은 해상풍력의 경제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에 비해 사업 추진방식에 대해 더 큰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민들은 해상풍력 찬반 입장과 관계없이 어업 피해에 우려하고, 입지발굴방식과 소통방식에 대해서 상당한 문제 인식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해상풍력에 대한 어민 수용성은 피해 보상과 같은 경제적 대책만으로는 확보되기 어려우며, 입지선정방식, 소통방식, 정보공유 등 추진방식의 개선이 함께 수반되어야만 달성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acceptability for offshore wind farms of fishermen, the most critical stakeholders in such projects. Face-to-face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fishermen in Yeonggwang-gun, Jeollanam-do, and Tongyeong-si, Gyeongsangnam-do, all of which are areas under discussion for the development of offshore wind farms in Korea.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ocial acceptability of offshore wind farms include the project’s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procedures,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secondary categories: economic expectations, fishery damage, environmental improvement, environmental damage, siting and communication processes, trust issues, and information sharing. Survey results show that Fishermen are most concerned about the aspect of the project’s procedures. Also, fishermen are considerably dissatisfied with the siting and communication processes, the potential damage to the fishing industry, regardless of the support or opposition for offshore wind projects. Accordingly, it is not easy to ensure fishermen accept offshore wind projects only through economic measures. Instead, it is essential to develop sympathetic and acceptable procedures for stakeholders in promoting these projects.

      • KCI등재

        도시재생에 대한 국제 연구 동향과 국내 정책결정자 담화 분석

        박종문(Park, Jongmun),김지혜(Kim, Jihye),윤순진(Yun, Sun-Ji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8 도시 행정 학보 Vol.31 No.2

        최근 정책적 차원에서 도시재생을 국가적 과제로 수행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이와 관련한 논의가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도시재생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가 다양하고 여러 가지 분야가 연계되어 있는 만큼 정책적으로 이를 설계하기에 복잡하고 모호한 측면이 있다. 이 연구는 도시재생 개념을 명확히 하고 도시재생 정책이 담아야 할 내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국제연구 동향을 파악한다. 또한, 국내 정책의 맥락에서 도시재생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향점과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정책결정자의 담화문을 분석하고, 이를 국제 연구 동향 분석 결과와 비교한다. 연구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도시재생 논문의 발간 빈도가 높아지면서 핵심 단어들의 빈도와 중심성이 달라졌으며 주요 주제도 다양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논문들의 핵심 주제로 지역 고유의 문화와 지속가능성, 지역공동체를 포함한 다양한 정책행위자의 참여 등이 지속적으로 논의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담화문을 분석한 결과 정부와 민간의 역할, 부동산 개발・투자 또는 주거환경개선 등의 측면에서 도시재생에 대한 두 정부의 시각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국제 연구동향의 토픽분석 결과와 비교하면 두 정부 모두 도시재생 연구에서 논의되는 핵심 요소를 모두 다루고 있지는 않았다. 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내용을 살펴보면 담화문 분석 결과 보다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정책 수행 과정에서는 이 논문에서 논의된 도시재생의 주요 요소들이 적절하게 실현되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urban regeneration issues have been dealt with nationally and various discussion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sign urban regeneration policies because of its complicate and ambiguous characteristics, and it is related to various fields. This study analyzes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o identify the contents of urban regeneration concept and urban regeneration policy. We also analyze domestic policy makers" opinions in order to examine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s and priorities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context of domestic policy, and then compare it with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and degree centrality of the key words have changed and the main themes have varied as the frequency of publication of urban regeneration increased.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und that local culture, sustainability, and participation of various policy actors including local communities are the main topics which are continuously discussed throughout all periods. In the analysis of top-level decision-makers’ discourse in the Park Geun-hye and Moon Jae-in governments, the two governments" visions of urban regeneration appeared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the roles of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real estate development and investment, and housing improvement. Topic analysis showed that both governments did not cover all the key elements discussed in urban regeneration research, but the Moon government"s Urban Regeneration & New Deal Project seems to include more diverse elements of the topics. In the course of future policy implementation,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check whether the major components of urban regeneration discussed in this paper are properly realized.

      • KCI등재

        공간성을 통해 본 아파트 에너지 전환 운동의 확산 양상

        윤순진(Yun, Sun-Jin),박종문(Park, Jongmu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7 공간과 사회 Vol.27 No.3

        이 연구에서는 아파트 단지의 공간적 특성이 에너지 전환 운동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아파트 에너지자립마을 중 대표 사례인 창신동 두산아파트와 신대방동 현대힐스테이트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 다. 연구방법으로는 아파트 단지의 관리소장과 직원, 마을 대표와 주민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위주로 하면서 마을에서 발간한 소개 자료와 신문 기사 등을 함께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아파트 단지의 공간성은 에너지 전환 운동 과정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계성은 집단적인 에너지 소비 관리의 필요성과 함께 에너지 전환 운동을 이끄는 지도자들의 등장 및 그들을 지원하는 주민지원조직과 관련 되어 있었다. 공동성은 에너지 효율화와 생산, 정보 소통, 공 동체의 활동 및 인식 확대 역할을 담당하였고, 밀집성은 에너지 절약 극대화, 효율개선 업체 유인, 에너지 생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아파트 공간 특유의 조직인 입주자 대표회의와 관리사무소는 아파트의 공간적 특성을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주체와 지원조직으로 역할하였다. 두 사례에서는 아파트의 공간성이 활용되면서 에너지 전환 인식의 개선뿐만 아니라 아파트와 이웃에 대한 애착과 관심이 향상되기도 하고 공동체가 더욱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에너지 전환 운동의 공간으로 아파트 단지가 효과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더 많은 아파트 공간이 에너지 전환 운동에서 활용되기 위해서는 주민과 지방자치단체, 지역활동가들의 기획과 실 천이 필요하며, 거주 공간의 에너지 문제에 대해 이해하면서 행동을 변화시켜 나갈 지도자를 발굴하는 노력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sed how spatiality of apartments complexes is utilized in the process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s by the cases of Doosan apartments at Changshin-dong and Hyundai Hillstate apartments at Shindaebang-dong. It mobiliz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related employees and residents, and reviewed village fact sheets and newspaper articles. From the research, it showed that spatiality of apartment complexes has played various functions in the process of energy transition movements as below. Boundedness is connected with the necessity of collective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and allowed to emerge leaders initiating Energy Transition Movements. Boundedness is also related to villagers’ supporting organizations which support leaders. Commonality contributed to improvements of energy efficiency, energy produc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ctivities of community and increase of community awareness. Compactedness allowed to optimize energy conservation, attract energy efficiency companies, and produce energy through mini-PVs. The Council of Residents’ Representatives and apartments management office, both of which are unique organizations of apartments complexes, worked as subjects directly utilizing spatiality of apartments complexes as well as supporting organizations. Both cases demonstrated that utilization of apartments’ spatiality has resulted in improving awareness on energy transition, attachments to and concerns about apartment complexes and neighbors, and also activating community life. The analysis proved that an apartment complex can be seen as a space to initiate such an energy transition movement. The outcome of this study implies that developing strategies and implementing those by residents in apartments complex, local governments, and local activists are critical in utilizing apartments’ spatiality in energy transition movements and it is essential to discover potential leaders who has well understanding of energy issues and can transform energy consuming behaviors.

      • WebDAV 기반 협업시스템을 위한 접근 제어 관리자

        김성훈(Seonghune Kim),박종문(Jongmun Park),이홍창(Hongchang Lee),이명준(Myungjoon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WebDAV는 분산 저작활동을 지원하는 IETF의 표준 프로토콜이며 WebDAV 접근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WebDAV 서버에 의하여 관리되는 자원과 이들의 속성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CoSlide 협업시스템은 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WebDAV 기반으로 개발된 협업시스템으로서 개인작업장, 공개작업장, 그룹작업장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CoSlide 협업시스템이 보다 높은 수준의 협업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그룹작업장의 접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접근 제어 관리자에 대하여 기술한다. 접근 제어 관리자는 협업에 요구되는 접근 제어를 간편하게 설정하여 그룹작업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룹작업장의 사용자들과 자원들에 대하여 보다 세부적인 접근 제어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여 높은 수준의 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