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사선치료 시 Metal artifact reduction Algorithm의 임상적용 유용성평가

        박자람,김민수,김정미,정현숙,이충환,백금문,Park, Ja Ram,Kim, Min Su,Kim, Jeong Mi,Chung, Hyeon Suk,Lee, Chung Hwan,Back, Geum Mun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7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9 No.2

        Purpose: The tissue description and electron density indicated by the Computed Tomography(CT) number (also known as Hounsfield Unit) in radiotherapy are important in ensuring the accuracy of CT-based computerized radiotherapy planning. The internal metal implants, however, not only reduce the accuracy of CT number but also introduce uncertainty into tissue description, leading to development of many clinical algorithms for reducing metal artifa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investigate the accuracy and the clinical applicability by analyzing date from SMART MAR (GE) used in our institution. Methode: and material: For assessment of images, the original images were obtained after forming ROIs with identical volumes by using CIRS ED phantom and inserting rods of six tissues and then non-SMART MAR and SMART MAR images were obtained and compared in terms of CT number and SD value. For determination of the difference in dose by the changes in CT number due to metal artifacts, the original images were obtained by forming PTV at two sites of CIRS ED phantom CT images with Computerized Treatment Planning (CTP system), the identical treatment plans were established for non-SMART MAR and SMART MAR images by obtaining unilateral and bilateral titanium insertion images, and mean doses, Homogeneity Index(HI), and Conformity Index(CI) for both PTVs were compared. The absorbed doses at both sites were measured by calculating the dose conversion constant (cCy/nC) from ylinder acrylic phantom, 0.125cc ionchamber, and electrometer and obtaining non-SMART MAR and SMART MAR images from images resulting from insertions of unilateral and bilateral titanium rods, and compared with point doses from CTP. Result: The results of image assessment showed that the CT number of SMART MAR images compared to those of non-SMART MAR images were more close to those of original images, and the SD decreased more in SMART compared to non-SMART ones. The results of dose determinations showed that the mean doses, HI and CI of non-SMART MAR images compared to those of SMART MAR images were more close to those of original images, however the differences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ults of absorbed dose measurement show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bsorbed dose and point dose on CTP in absorbed dose were 2.69 and 3.63 % in non-SMRT MAR images, however decreased to 0.56 and 0.68 %, respectively in SMART MAR images.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SMART MAR in CT images from patients with metal implants improved quality of images, being demonstrated by improvement in accuracy of CT number and decrease in S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is method is useful in dose calculation and forming contour between tumor and normal tissues. 목 적: 방사선치료에서 CT number에 의해 나타나는 조직의 묘사 및 전자밀도는 CT(Computed Tomography)기반의 전산화치료계획 정확성을 보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체내의 금속 이식물은 CT number의 정확성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조직 묘사에 대한 불확실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metal artifact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알고리즘이 개발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본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GE사의 SMART MAR의 CT number 정확도를 평가하고 방사선치료에서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영상평가를 위해 CIRS ED phantom을 이용하여 6개 조직의 rod를 삽입하여 동일한 체적의 ROI를 형성 후 original 영상을 획득하고 의료용 티타늄 rod를 삽입하여 non-SMART MAR 영상과 SMART MAR영상을 획득하여 CT number와 SD값을 비교하였다. Metal artifact로 인해 CT number 변화에 따른 선량변화 확인을 위해 전산화계획시스템 Epclipse를 사용하여 CIRS ED phantom CT 영상에 PTV를 형성하여 original 영상을 획득하고 편측 티타늄 삽입, 양측 티타늄 삽입 영상을 획득하여 non-SMART MAR와 SMART MAR영상에 동일한 치료계획을 수립하여 PTV가 받는 평균처방선량, HI(Homogeneity Index), CI(Conformity Index)를 비교, 분석하였다. 흡수선량 측정은 원통형 아크릴 팬텀과 0.125 cc ionchamber, electrometer를 이용하여 선량변환상수(cCy/nC)를 계산하고 CIRS phantom을 이용하여 편측, 양측 티타늄 rod를 삽입한 영상으로 non-SMART MAR와 SMART MAR 영상을 획득하여 동일한 지점에서의 흡수선량을 측정하여 전산화치료계획상의 point dose와 비교하였다. 결 과: 영상평가 결과 CT number는 non-SMART MAR영상보다 SMART MAR 영상이 original영상에 더 유사한 값이 나왔고 SD값은 SMART MAR영상에서 더 감소되었다. 선량평가 결과 평균처방선량과 HI 및 CI 값은 SMART MAR 영상보다 non-SMART MAR 영상이 original 영상에 더 근접한 결과가 나왔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흡수선량 측정결과 치료계획상의 point dose와 실제 흡수선량과의 차이가 non-SMART MAR의 영상에서는 각각 2.69, 3.63 %의 차이가 있었지만 SMART MAR영상에서는 0.56, 0.68 %로 감소하였다. 결 론: 금속 이식물을 삽입한 환자의 CT 영상에 SMART MAR를 적용했을 때 CT number 정확성 상승 및 SD 감소로 영상의 질이 향상되므로 종양과 정상조직의 윤곽도 생성 및 선량계산 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여성장애인 경제활동 참여요인 분석

        박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8 장애와 고용 Vol.18 No.1

        본 연구는 여성과 장애라는 이중장벽으로 인해 노동시장 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경제활동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200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원자료를 활용하여 인구학적요인, 인적자본요인, 가구요인, 장애요인, 차별요인이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참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구학적 요인 중 연령, 인적자본요인 중 직업훈련 경험 여부, 가구요인 중 가구주 여부, 6세 미만 자녀 유무, 가구소득이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장애요인 중 장애유형과 장애정도 변수가 여성장애인의 경제활동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여성장애인 연령별, 생애주기별 지원 제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더불어 장애유형과 장애정도를 고려한 지원제도의 세분화, 직업 훈련 확대를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economic participation factors of women with disabilities who are faced with the double barriers of being a woman and being disabled. The low participation rate of women with disabilities compared to that of men with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women represents the exclus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 labor market. This study used the raw data obtained from the ‘2005 National Disability Survey’and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demography, human resource, household, disability, and discrimination factors and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show that age(demographic factor), vocational training experience(human resource factor), head of household, child under age 6, household income except herself (household factors) influenced the economic participa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Also the type of disability and severity of disability (disability factors) influenced economic particip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corresponding to the life cycle of women with disabilities such as childbirth and nursing. Furthermore segmentation of policies reflecting the type and severity of disability and strengthening of vocational training is demanded.

      • KCI등재

        뇌병변 장애인의 배달원 취업 사례

        박자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평가사 2003 장애와 고용 Vol.13 No.2

        본 사례연구는 직업재활 영역에서 어려운 대상으로 여겨지는 뇌병변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다루고 있다. 내담자는 막연히 사무직, 전산직을 희망하는 25세 대졸학력의 뇌성마비 장애인으로, 취업 상담을 거치고 몇 차례의 취업알선을 받은 후에도 직업재활에 실패하였다. 내담자의 경우 장애에 따른 신체 능력의 제한보다 내담자의 소극성과 내담자에 대한 가족들의 비현실적인 기대가 문제가 되었으며 이에 대한 상담이 몇 차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내담자와 가족 모두 내담자의 직업능력에 대해 점차 현실적인 판단을 하게 되었고 막연히 사무직, 전산직으로의 취업이 아니라 내담자의 장애 상태를 고려한 취업 알선이 가능하게 되었다. 내담자는 학력에 비해 인지능력이 떨어졌으나 대근육 사용에 제한이 없고, 체력조건이 양호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담당 지사의 구인업체를 검토한 결과 배달원에 알선 후 취업되었다. 취업 후에는 내담자의 소극적인 공격성향과 작업수행속도로 인해 동료 직원들과의 갈등이 있었으나 사업체를 방문하여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직무 수행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가 이루어졌다. 이후 내담자와 사업주, 동료들간의 갈등은 점차 감소되어갔으며 내담자의 직장 적응력 역시 향상되어갔다.

      • 요가수련을 병행한 식사명상이 중년여성의 비만에 미치는 효과

        박자방(Ja-Bang Park) 한국정신과학학회 2013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10

        In general, obesity is mostly caused by chronic imbalance of metabolizable energy where taking nutrion exceeds expenditure of energy. focusing on this hypothesis,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verify whether the yoga practisce conducted in parallel with meditation for diet is more effective in reducing fat. The research resurt shows that the combined pratice proved to have a noticeable effect on breaking down fat and prevents overeating, binge and vorcity respectively. Thirty-two of middle aged women who practic yoga at Women’s Center in Yangpyung-gu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subject for this research. Among them, sixteen of experimental group were chosen who will conduct meditation for diet. Yoga practice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two hours per day and meditation for diet was conducted at least once a week for forty minutes a day during eight weeks. Before conducting the research, we measured nine of physical items of thirty -two of yogis with empty stomach by using “In body 4.0” in Yangpyung-gun Health Center. Eight weeks later using same “In body” devise in Yangpyang-gun Health Center, we re-measured nine of physical items of both 16 people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empty stomach. By examining both first and second measurement, we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mental group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in aspects of all BMI, body fat and WHR. We noticed 1.19Kg of weight and 1.38Kg of body fat reduction and an average decrease of 0.57% of BMI, 1.88% of body fat and 0.02% of belly fat. Especilly,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ceral fa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Comparing experimantal group with control group, we observed an avergage 3.68 ㎠ of viseral fat reduction. Therefore, if we further research and develop meditation for dite showing the noticeable effect on breaking down fat in a more systematic way, we should expect that it will definitely contribute to resolving the problem of many people who are exposed to adult disease caused by excess of BMI, body fat, belly fat and especially viceral fat, as a precautionary measure and promotion of health.

      • KCI등재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 연구

        박자경(Ja-kyung Park),배수현(Suhyun Bae),고귀영(Gwi-young Ko),유현주(Hyun-joo Yu),민지식(Jisik Min),최수정(Su-jung Choi)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는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을 통해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을 구분하여 취업 성과를 분석 및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자료 중 일자리 지원 시 중요도로 조사되는 취업선호도 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상대적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화 분석을 위해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활용하였고 군집분석 결과에 따라 분류된 취업선호도 유형의 특성 및 취업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은 근무환경, 소득 및 안정성, 성장가능성, 업무량 및 난이도의 4개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대졸 취업자의 취업선호도 특성에 따라 상대적인 취업선호도를 반영하여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성장가능성 중시형’, ‘소득 및 안정성 미중시형’, ‘업무량 및 난이도 미중시형’ 그리고 ‘취업선호 미결정형’이었다. 각 유형별로 주요 취업 성과를 분석한 결과 취업 전 직업선택동기에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유형들의 취업 성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대학 재학 중 취업지도 및 상담 제공 시 학생들의 상대적 취업선호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층의 미취업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에 대한 측정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괜찮은 일자리의 기준에 대한 재정의 및 심리적 측정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s of youth and to classify the typ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s to analyze and compare employment outcomes. In this study, among the data of the 2017 GOMS, the job preference data surveyed as important when applying for a job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outcom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mparative employment preference of youth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working environment, income and stability, growth potential, and job characteristics. Seconds,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by reflecting the comparative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s of youth,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Growth potential-oriented type’, ‘Income and stability not-oriented type’, ‘Workload & Difficulty not-oriented type’ and ‘job preference undecided typ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employment outcomes for each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 type that prioritizes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before employment is more excellent.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When providing employment guidance and counseling while attending university or colleg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 of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the youth’s unemployment problem, and to diversify the method of measuring job preferences. Fin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definition of the criteria for decent jobs and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 method.

      • 장애인고용계획제도의 효과적 운용 방안 연구

        박자,이국주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6 연구개발 Vol.- No.1

        본 연구는 장애인 인력의 수요를 예측하고 사업주의 장애인 고용의무를 이행하도록 하는데 활용되고 있는 장애인고용계획제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계획제도의 운용 현황을 분석하고, 일본 고용계획제도를 통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고용계획서를 제출하고 있는 사업주를 대상으로 고용계획제도의 절차 및 운용 방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장애인고용계획서가 제도의 취지에 맞게 운용되기 위해서는 사업주들이 실효성 있는 장애인 고용계획을 수립하고 이 계획에 의거하여 장애인고용을 이행해야 하며, 노동부와 공단은 사업주의 고용의무 이행에 필요한 사항들을 다양하게 지원해야 한다. 한편 장애인고용계획을 적절히 수립하지 않거나, 제출한 계획을 이행하지 않는 사업주에 대한 지도 및 점검 역시 실효성 있게 이루어져야한다. 그러나 2005년 장애인고용계획제도 운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업주의 장애인 고용계획 수립이 부적절하게 이루어진 경우가 매우 많았으며, 이에 대한 지도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계획제도 현황 분석과 사업주 의견 조사를 바탕으로 첫째, 중점대상업체를 중심으로 한 고용의무 이행지도의 강화, 둘째, 장애인고용계획 운용 및 절차와 관련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중점대상업체를 중심으로 한 고용의무 이행지도의 강화 중점대상업체를 중심으로 이행지도를 강화할 경우 먼저 장애인 고용률이 낮은 사업체, 특히 고용률이 저조한 사업체 중 신규고용계획이 없는 사업체에 대한 지도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에도 장애인 고용률이 낮은 사업체, 고용률이 저조하면서 신규고용계획이 없는 사업주에 대한 지도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2005년 이행지도 현황을 분석한 결과 구인상담 등의 조치가 대부분이었다. 이들 업체에 대해서는 구인신청 등의 형식적인 지도가 아닌 시험고용, 맞춤훈련, 지원고용을 실시하게 하는 등 실제적인 노력이 이루어질 있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또한 신규고용계획이 있는 사업주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005년 장애인고용계획서 제출 업체 현황 분석 결과, 고용의무 미달업체 중 300인 이상 사업체 652개에서 4,786명, 300인 미만 사업체 2,280개에서 4,043명을 신규고용 할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즉 신규고용 계획이 있는 사업체의 고용계획이 이행될 수 있도록 충분히 지원할 경우 장애인 고용이 상당히 확대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더불어 고용계획을 이행하지 않았을 경우의 조치가 부재하기 때문에 많은 사업주들이 형식적으로 신규고용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므로 신규고용을 이행하지 않는 사유를 연내에 제출토록 하는 등 고용계획을 형식적으로 수립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용의무 이행 지도를 내실화 하는 것과 함께 과태료 부과, 장애인 고용상황 및 고용계획에 대한 공표 등의 조치가 보다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 운용 및 절차에 대한 개선 운용 및 절차에 대한 개선사항 중 먼저 고용계획서 작성에 대한 안내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고용계획서 작성과 장애인 고용에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포괄적이고 구체적인 매뉴얼의 개발이 효과적일 수 있다. 매뉴얼에는 의무고용제도의 소개, 고용계획서 제출 절차, 정부의 지원 등이 상세히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의무고용제도에 대한 소개에서는 장애인의무고용제도의 취지, 대상 업체 등을 포함하여 의무고용제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여야 할 것이다. 고용계획서 제출 절차에서는 고용계획서 작성 방법, 제출시기 등의 기본 사항과 전자신고 절차 등이 상세히 소개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의 지원에서는 정부 및 공단에서 지원되는 서비스 및 장애인고용에 따른 인센티브가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사업체가 자발적으로 장애인을 고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전자신고 활성화를 통해 절차가 보다 편리해져야 할 것이다. 현재 전자신고는 홍보의 미비, 프로그램의 불편함 등을 이유로 활용률이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많은 사업주들이 전자신고에 대해 알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전자신고를 하려고 하더라도 전산 입력 시의 빈번한 오류, 입력내용 수정 시의 번거로운 절차 등을 이유로 실제 전자신고가 업무의 효율성에는 큰도움이 되지 않고 있다. 전자신고를 통한 사업주와 지사의 업무 효율성을 위해서는 현재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는 전산 입력상의 오류, 프로그램의 불편함 등이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고용계획의 이행을 점검하는데 있어서도 전산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전산에 입력된 고용계획이 실제 이행되고 있는지 점검하기 위해 분기별, 반기별로 진행사항을 확인할 수 있는 전산의 보완이 필요하며, 취업알선 시활용되는 전산망과도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고용계획서 작성의 편리성과 고용계획에 대한 정보의 포괄성, 구체성을 위해서는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양식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다. 구체적인 항목 중 신규채용 애로사항은 전년도 고용장애인고용의무 미이행사유와 상당 부분 중복되고 있으므로 작성의 편리를 위해 삭제될 필요가 있으며, 대신 신규고용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등, 고용을 유도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고용계획의 구체성을 위해 신규고용 목표인원은 전체 인원 뿐 아니라 분기별 혹은 상반기·하반기 등의시기를 추가하여 단계별로 고용계획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조사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용률이 높은 사업체의 경우 전체인사계획에 의거하여 장애인고용계획을 수립하는 경향이 높은 점을 고려하여 사업체 전체 신규고용인원을 기재하도록 하는 것도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보다 구체적인 수요인력을 파악하기 위해 신규 혹은 경력직의 구분도 추가하고 이에 따른 효과적인 취업알선도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장애인 근로자 직무만족도 분석

        박자,김종진,강용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0 장애와 고용 Vol.20 No.1

        본 연구는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 결정요인을 개인요인(교육수준, 지위, 고용형태), 보상요인(임금), 작업환경요인(물리적 환경, 편의제공), 직무요인(직무적합도)으로 도출하고 이 요인들이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직무만족 결정요인들이어떤 관계 속에서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제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원자료이며, 임금근로자 1,212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물리적 환경이 다른 요인들에 비해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을 가장 크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편의제공 역시 직무만족을 상대적으로 크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상요인이나 직무요인의 설명력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인들 간 관계를 분석한 결과개인요인은 임금을 매개로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환경, 편의제공, 임금, 직무적합도는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의제공은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적합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토대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마이스터고등학교 취업희망자의 고용가능성 측정도구 개발

        박자경(Ja-Kyung Park),최수정(Su-jung Choi)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1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취업희망자의 고용가능성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고용가능성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여 고용가능성의 개념을 명확히하였다. 특히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고용가능성의 구성요인으로 외부 환경적 요인을 포함시켜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고용가능성 그 자체의 정의를 고용능력과 자신감으로 개념화하고 외부 환경적 요인은 고용가능성의 구성요인이 아닌 선행요인으로 판단하였다. 고용가능성의 개념을 개인 내적 측면으로 개념화하고 고용능력과 고용자신감의 두 구인을 구성하였다. 그 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 구인을 측정하고자 하는 문항의 속성을 구성하고 5문항, 4문항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예비문항을 기준으로 마이스터고등학교 취업희망자를 대상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와 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등단계 직업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하는 고용가능성 관련 연구의 필요성과 외부 환경적 요인을 제외한 고용가능성의 측정과 관련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n employability scale for students seeking employment at Meister high school. To this end, the concept of Employability was clarifi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employability. In previous studies,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have been included as a component of employability. However,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employability itself was conceptualized as employability and self-confidence,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judged as antecedent factors rather than constituent factors of employability. The concept of employability was conceptualized as an internal aspect, and two constructs, employment competency and employment confidence, were constructed. The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attributes of the items to be measured for each construct were constructed, and preliminary items of 5 and 4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eveloped preliminary questions, a preliminary survey and a main survey were conducted for students seeking employment at Meister high school. Based on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were secur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need for future employability-related studies targeting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graduates and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e measurement of employability excluding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suggested.

      •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기금의 합리적 운용방안

        박자,남용현,김경아,김규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6 연구개발 Vol.- No.5

        본 연구는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기금을 안정적·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 재활기금은 현재 장애인고용촉진 사업을 수행하는 거의 유일한 재원이지만, 사업주가 납부한 부담금으로 대부분 조성됨에 따라 장애인고용이 증가하면 기금은 감소하는 구조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는 결과적으로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사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금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기 위해 사업성격별로 다양한 재원을 활용하는 방안과 지출 측면에서 기금 지원 사업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제시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제2장에서 기금의 수입 구조와 지출 구조를 살펴보았고, 제3장에서는 부담금 제도와 기금으로 수행되는 사업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제4장에서 합리적인 기금 운용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일본과 독일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5장에서는 수입 측면에서 타 재원을 활용하는 방안과 지출측면에서는 기금으로 수행되는 사업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기금의 수입ㆍ지출 현황, 사업별 실적 및 2005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 원자료(raw data)이며, 각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그에 따른 개선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 기금 구조분석 결과와 재원 다각화 방안 기금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1991~2005년까지의 수입·지출을 분석한 결과, 기금 수입의 대부분은 사업주가 납부한 부담금으로 조성되며, 일반회계 등 타 재원의 활용은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출측면에서는 공단 출연금과 고용장려금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최근, 수입증가율에 비해 지출 증가율이 높으며 특히 고용장려금의 증가가 급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기금 수지의 적자 및 불안정성이 초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사회보험, 일반회계 재원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각 사업의 목적 및 내용, 대상에 근거하여「고용보험법」과「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검토하였고, 일본과 독일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먼저 사업목적 및 사업내용을 검토한 결과, 고용보험기금으로 수행되는 고용보험사업 중 고용알선사업, 고용안정사업, 직업능력개발사업은 장애인고용촉진및직업재활기금으로 수행되는 고용환경개선사업, 고용알선사업, 직업능력개발사업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대상 측면에서는 장애인의 실업률이 고령자나 여성의 실업률보다 훨씬 높은 점 등 장애인들이 노동시장 내 대표적 취약계층이므로 고용보험사업과 근로복지사업에서 우선적 정책대상이 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사회보험 재원의 확보에 이어 일반회계 확보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과 독일의 사례를 참조하여 장애인고용촉진공단운영비 등 장애인고용촉진사업을 수행할 때 소요되는 행정적 비용은 기초 인프라에 해당되는 만큼 일반회계를 통해 지원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제안하였다. 또한 기금에서 지원하고 있는 직업재활지원사업은 사업내용과 대상을 고려할 때 일반회계에서 지원이 이루어지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제도 및 사업평가 결과와 개선방안 합리적인 기금 운용을 위해서는 재원다각화와 같은 수입구조의 개선뿐 아니라 장애인 고용촉진을 위한 제도와 기금으로 지출되는 사업이 효과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고용부담금제도와 기금 지원 사업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먼저 부담금제도를 분석한 결과, 부담금 업체 중 고용률이 0.5% 미만인 사업체 비중이 가장 높으며, 대기업의 장애인 고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장애인 고용률이 0.5% 미만인 사업체, 그리고 대기업의 경우 장애인을 다수 고용하거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사업체에 비해 장애인 고용에 대한 적극성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이들 사업체에 대한 고용의무가 강화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고용률별(0.5% 미만, 0.5~1%, 1~2%), 사업체 규모별(500인 미만, 500~1000인 미만, 1000인 이상)로 부담금을 차등징수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금 지원 사업에 대한 평가에서는 장애인 고용환경개선 및 고용유지사업, 고용장려금, 취업알선 및 직업능력개발사업 등의 장애인 지원제도는 모두 고용확대에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사업들은 임금수준, 고용형태와 같은 고용의 질에는 기여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직의사나 이직장애인의 근속년수를 통해 측정한 고용유지 효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들의 고용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기적인 지원과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전제하고, 단기적인 측면에서는 취업한 장애인들의 재교육이나 재훈련이 보다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특히 재훈련의 기회를 제공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훈련비 지급, 훈련기간 동안의 임금 지원 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근속은 생산성과 경력에 영향을 미치며, 결과적으로 임금 등 고용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져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들의 고용유지를 위한 지원, 즉 고용환경개선사업을 통해 근로하기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거나 고용유지관리비용의 지원을 확대하는 등의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합리적인 장려금 지출을 위한 개선방안에서는 장애인고용에 따른 비용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더 많은 지원을 하고,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지원을 축소 또는 폐지한다는 원칙에 따라 장려금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장애정도별 지원에서는 중증장애인에 대한 지원의 폭을 넓히고 별도의 지원이 필요하지 않은 경증장애인(예를 들어 5급, 6급)의 경우 장려금의 축소나 폐지 등의 제도개선을 검토해야 한다. 또한 지원 시점과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지원이 필요한 입사 초기에 더 많은 장려금을 지급하고 일정시기 이후에는 장려금을 축소하거나 폐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장려금 업체에 근무하는 장애인들의 고용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장려급 지급 시 임금수준, 고용형태 등을 보장하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즉 고용형태나 임금수준에 상관없이 고용률을 산정해 주는 것이 아니라 상용직으로 고용한 경우, 일정 기간 이상 고용한 경우,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한 경우 등에 한정하여 고용률을 산정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급조건들은 일시적으로 장애인 고용을 위축시킬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고용의 질을 개선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지금까지 기금을 합리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기금과 관련한 기존 논의와 비교하여 가지는 의의는 부담금과 장려금을 통해 기금수지를 조정하려던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기금을 합리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방안들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금의 합리적인 지출을 위해 기금 지원 사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기금 지원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실적(output)위주의 성과 뿐 아니라 참여도, 만족도, 고용유지, 고용의 질 등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성과를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