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리가중회귀 모형을 이용한 지역별 특성화고등학교 취업률 영향요인 분석

        민지식(Min, Jisik),최수정(Choi, Sujung)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4

        이 연구는 지리가중회귀(GWR) 방법을 활용하여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의 취업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고, 그 중에서도 지역적인 수준의 영향요인이 어떠한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리가중회귀 분석 방법은 주로 지역의 노동시장에 대한 분석에 주로 활용되는 방법이나 최근에는 교육,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취업률과 같은 노동시장 성과는 지역에 따라 크게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인근의 유관산업이나 노동시장 환경 등에 영향을 받는다는 선행연구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취업률 측면에서도 지역 수준의 논의가 이루어지는 것이 상당히 중요하지만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는 전국 단위에서 취업률을 분석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의 특성을 반영하여 연구가 수행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지역 수준을 관측치로 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 일반적인 최소자승법(OLS) 모형보다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한 지리가중회귀 모형이 보다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는 제조업비율, 지역 내 성비, 특성화 분야의 취업비율 등의 지역 변인들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변인들의 계수 크기가 지역에 따라 다른 패턴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변인들은 학교 수준에서 취합된 데이터로, 결과적으로 개별 학교의 취업률에는 학교 관련 변인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지역 수준의 자료에서는 지역적인 특성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 정책에 대한 제언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ich factors affect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by utilizing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GWR) method, among others, and what local-level influences are.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spatial dependency are mainly used to analyze the local labor market but has recently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Prior studies suggest that labor market performance, such as the employment rate, can vary greatly depending on the region and is affected by related industries or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nearby. Therefore, while it is quite important to have regional-level discussions in terms of employment rates, existing prior studies showed that few employment rates were analyzed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re was a limitation that studies were not conducted to reflect local characteristics. In this context, we analyzed with region-level observations, and our analysis shows that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GWR) is more appropriate than typical OLS models. As a result, variables at the regional level, such as manufacturing ratios, gender ratios in the region, and employment ratios in the specialization sector, have to deal with more important factors as a point of spatial analysis. We also confirmed that the coefficient size of significant variables represents a pattern that varies by region. These results allowed us to interpret that local characteristics had a larger impact on local-level data rather than school-level variables, suggestions for local policie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청년층의 생애 숙련변화 궤적 유형화 및 특성 분석

        유현주(Yu, Hyunjoo),박자경(Park, Jakyung),민지식(Min, Jisik) 한국노동연구원 2021 노동정책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청년층의 생애 숙련변화 궤적에 따른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개인 특성 및 첫 일자리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생애 숙련변화에 따라 6개의 집단을 구분할 수 있었다. 각 유형은 첫 일자리의 숙련수준과 변화 양상을 고려하여 ‘고숙련 유지형’, ‘고숙련 하향형’, ‘중숙련 하향형’, ‘중숙련 유지형’, ‘저숙련 상승형’, ‘중숙련 상승형’으로 명명하였다. 청년층의 생애 숙련변화 궤적 유형별로 특성을 살펴본 결과 중숙련 하향형 집단의 여성 비율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중숙련 유형의 학력이 저숙련 상승형보다 더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첫 일자리의 특성에서는 첫 일자리 유지기간이 길고 첫 일자리 임금이 높은 집단은 생애 직업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상반된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령 증가에 따른 숙련변화 하향의 원인 규명을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개인의 직업 이동, 임금, 숙련 등을 고려한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rajectory group of skill changes in young people. Next, we analyzed differences in individual attributes by the group, including first-time job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divid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skill changes. Each group was named "high-skilled maintenance group", "high-skilled downward group", "medium-skilled downward group", "medium-skilled maintenance group", "low-skilled upward group", "medium-skilled upward group", taking into account the skill level and change pattern of the first job.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group"s life-skill change trajectory by group, it was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medium-skilled downward group’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nd that the ‘medium-skilled group’ had lower education status than the ‘low-skilled upward-group’.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job, it was found that the high-skilled maintenance group had a small number of first job retention periods and number of lifetime jobs, and the medium-skilled downward group showed a large number of lifetime jobs. Our findings indicate researchers must conduct comprehensive analysis that considering individual-level attributes like job movements, wages, and skill changes. Also, We argue that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causes of downward skill changes by age.

      • KCI등재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 연구

        박자경(Ja-kyung Park),배수현(Suhyun Bae),고귀영(Gwi-young Ko),유현주(Hyun-joo Yu),민지식(Jisik Min),최수정(Su-jung Choi) 한국진로교육학회 2020 진로교육연구 Vol.33 No.4

        이 연구는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을 통해 상대적 취업선호도 유형을 구분하여 취업 성과를 분석 및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자료 중 일자리 지원 시 중요도로 조사되는 취업선호도 문항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상대적 취업선호도에 따른 유형화 분석을 위해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활용하였고 군집분석 결과에 따라 분류된 취업선호도 유형의 특성 및 취업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대졸 취업자의 상대적 취업선호도 특성은 근무환경, 소득 및 안정성, 성장가능성, 업무량 및 난이도의 4개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대졸 취업자의 취업선호도 특성에 따라 상대적인 취업선호도를 반영하여 유형화한 결과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성장가능성 중시형’, ‘소득 및 안정성 미중시형’, ‘업무량 및 난이도 미중시형’ 그리고 ‘취업선호 미결정형’이었다. 각 유형별로 주요 취업 성과를 분석한 결과 취업 전 직업선택동기에 우선순위를 갖고 있는 유형들의 취업 성과가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대학 재학 중 취업지도 및 상담 제공 시 학생들의 상대적 취업선호도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또한 청년층의 미취업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며 대학생의 취업선호도에 대한 측정 방식을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괜찮은 일자리의 기준에 대한 재정의 및 심리적 측정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s of youth and to classify the typ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s to analyze and compare employment outcomes. In this study, among the data of the 2017 GOMS, the job preference data surveyed as important when applying for a job was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used,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OVA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outcomes of comparative job preference type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comparative employment preference of youth were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working environment, income and stability, growth potential, and job characteristics. Seconds, as a result of categorization by reflecting the comparative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job preferences of youth,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Growth potential-oriented type’, ‘Income and stability not-oriented type’, ‘Workload & Difficulty not-oriented type’ and ‘job preference undecided typ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ajor employment outcomes for each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 type that prioritizes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job before employment is more excellent. Sugges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When providing employment guidance and counseling while attending university or colleg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comparative job preference of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the youth’s unemployment problem, and to diversify the method of measuring job preferences. Finally,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redefinition of the criteria for decent jobs and the psychological measurement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