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본 지방의회에 있어서 예·결산심사권의 의의 및 기능

        박용숙(Yong Sook PARK) 한국재정법학회 2023 재정법연구 Vol.9 No.-

        의회의 결산심사는 주민에 대한 형평성, 경제성을 바탕으로 예산이 집행되었는가를 엄정하게 심사해야 한다. 그렇지만, 전국의 지방의회의 의결결과를 바탕으로 판단해 보면, 예산심사가 거의 원안 가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의회의 심사기능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로 인해 이른바 의회무용론을 외치는 지방자치단체도 있어 의원들을 향한 주민들의 지적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일본의 지방의회의 예결산 심사권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지방입법권 강화를 위한 예결산 심사권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의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절차 및 결산 이전의 감사위원의 감사, 지방의회의 결산심사권강화 노력 등을 바탕으로 일반 지방의회의 예결산 심사의 특수성을 고찰하여 예산 연동형 결산심사, 행정평가를 활용한 결산심사, 조례에 근거한 예산 및 결산심사위원회의 ‘상임위원회’로의 전환가능성 등의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council’s review of financial statements must strictly review whether the budget has been executed based on fairness to residents and economic feasibility. However, judging based on the resolution results of local councils across the country,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ouncil’s review function is being carried out properly, as the budget review almost always passes the original bill. As a result, some local governments are calling out the so-called futility of parliament, and residents’ criticism of lawmakers is becoming more intense. Accordingly,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the direction of the right to review budget and accounts to strengthen local legislative power in Korea by examining the right to review budget and accounts of local councils in Japan. Specifically, based on the budget procedures of local governments in Japan, audits by audit committee members prior to settlement, and efforts to strengthen local councils’ settlement review right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local councils’ budget and settlement reviews are examined, and budget-linked settlement reviews and administrative evaluations are conducted. Implications for Korea were derived, such as the possibility of converting the budget and settlement review committee into a ‘standing committee’ based on ordinances and settlement review using.

      • KCI우수등재

        일본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회갈등 현황과 대응방안에 대한 소고

        박용숙(Park, Yong-Sook)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50 No.2

        전 세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인적·물적 교류가 과도하게 위축되면서 유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또한 코로나19로 실시된 ‘거리두기’는 우리의 생활 방식의 근본적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경제·사회 분야의 구조적 변화로 비대면화 및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 구조적인 패러다임의 전환은 자연스레 사회 내외부적 갈등요인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회갈등은 전환의 속도를 지연시키거나 왜곡된 방향성을 가지도록 한다는데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디지털 전환의 지연 및 왜곡 현상을 탈피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로서, 일본의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회갈등의 현황과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살펴보았다. 우선 일본의 디지털 전환 정책 추진 체계 및 그 내용을 살펴보았고(Ⅱ), 다음으로 디지털 전환으로 야기된 사회갈등 및 그 해결방안(Ⅲ), 그리고 해결방안 가운데 주목할 만한 디지털 플랫폼 투명화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Ⅳ)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world is facing an unprecedented crisis as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are excessively reduced due to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ona 19”) pandemic. In addition, the ‘distancing’ implemented due to COVID-19 is causing a fundamental change in our way of life. Accordingly, experts in each field predict that non-face-to-face and digital transformation will accelerate due to structural changes in the economic and social fields. Microsoft CEO Satya Nadella said at a press conference after the release of the first quarter of 2020, “The equivalent of two years of digital transformation has occurred in just two months.” In addition, the World Economic Forum pointed out that “the digital transformation will accelerate”. In the post-corona era, which is difficult to predict, we can only survive when we clearly recognize that digital transformation is an irresistible trend and respond quickly. However, the paradigm shift in the social structure naturally causes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 factors in society. In particular, social conflict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delays the speed of transformation or causes it to have a distorted direction. Therefore, in this paper, as a theoretical study to find countermeasures to avoid such delays and distortions in digital transformation, the current status of social conflicts and countermeasures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in Japan were examined. First, we looked at Japan"s digital transformation policy promotion system and its contents. Next, implications were drawn by examining in detail the social conflicts caused by digital transformation, their solutions, and the notable The Act on Improving Transparency and Fairness of Digital Platforms (TFDPA) among the solutions.

      • KCI등재

        잊혀질 권리에 관한 헌법적 고찰

        박용숙(Park Yong sook),김학성(Kim Hak sung) 韓國憲法學會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1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of our society has developed the media by which people can express and exchange their opinions and thoughts freely from oral statements and printed materials to radio and TV based on electromagnetic waves and further to modern internet realizing the world wide web (www, World Wide Web). Technological advancement has changed the paradigm of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presented the human race with intellectual enrichment and convenience. Furthermore, recently, with the dawn of the Web 2.0 period where th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elped the internet society become the venue of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 internet users which had previously been viewed as information consumers only have changed as active information producers. Such a phenomenon was accelerated by the wide penetration of smart phones. Such technology development, despite its benefit of expanded freedom of expression thanks to transmission technology advancement, accompanies multiple issues to be resolved in the real world such as privacy infringement or defamation due to side effects in the cyber space,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issues, etc. recently, the European countries which have traditionally valued personal rights to a great extent have been actively discussing the use of the idea of right to be forgotten. However, what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its suitability and basic right nature are not been sufficiently reviewed from the constitutional perspective. In this recognition, the thesis examines the idea of right to be forgotten, its constitutional ground and restrictions and limitations thereof. First of all, the right to be forgotten can be defined as the right to claim to erase or prevent the search of certain information when such information on oneself is searchable by others continuously despite the elapse of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or is in such a situation.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constituted of the right of deletion that is about fundamental matters and the right of search prevention which implements the right of deletion. Regarding the constitutional ground for right to be forgotten, there are different views that it is the expansion of individual privacy right and that it is self-determination right of one's own individual information. It seems appropriate to view the right to be forgotten as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and its constitutional ground needs to be found in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on general personal rights because the right to be forgotten has the nature of fundamental rights required to maintain the freedom of human integrity or prevent distorted expressions of one's integrity. The right to be forgotten is a fundamental right whose third effect is directly recognized. Therefore, its constitutional ground should be established in objective order of values. The right to be forgotten naturally conflicts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such conflicts, a solution should reasonably respect and protect the basic rights of the involved opposing parties. The academia presents as a solution, the order of basic right theory (general/abstract balance of interest) and actual coordination principle (specific/individual balance of interest). It seems the actual coordination principle is valid as it coordinates related basic rights so that all of them are realized at the optimum level based o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unity. The phase theory should be applied to the public interest functioning as the restrictive means of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other words, the public interest is divided into 'public interest/important public interest/far important public interest' and optimal/damage-minimizing/legal interests should be balanced according to this category. 우리사회의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사회구성원이 자신의 사상과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교환하는 매체를 구두나 인쇄물에서 전파를 통한 라디오 · TV, 더 나아가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을 구현한 현대적인 인터넷으로 확대시켰다. 기술적 진보는 정보유통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며, 인류에게 지적인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선사하였다. 더욱이 최근에는 소셜네트워크(SNS)를 통해 인터넷 사회를 참여 · 공유 · 개방의 공간으로 발전시킨 Web 2.0 시대가 도래 하면서 그동안 단순히 소극적인 정보의 소비자로만 인식되던 이용자를 적극적인 정보의 생산자로 변모시켰고, 스마트폰의 보급은 이러한 현상을 가속화시켰다. 이와 같은 기술의 발전은 전송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표현의 자유의 확대라는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에서의 부작용 등의 출현에 따른 사생활 침해나 명예훼손,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문제 등 현실적으로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 전통적으로 인격권을 강하게 중시하는 유럽에서는 '잊혀질 권리(the right to be forgotten)'의 개념도입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잊혀질 권리란 무엇이며 잊혀질 권리란 용어사용의 적합성과 그 권리의 기본권성에 대한 헌법적 검토가 충분하지 못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잊혀질 권리의 개념 및 헌법적 근거를 살펴본 후, 그 제한과 한계에 대해 검토하였다. 먼저, 잊혀질 권리란 자신의 정보가 상당한 기간이 도과되어 적법한 목적을 위하여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었음에도 타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검색되거나 검색될 수 있는 상황에 놓여 있는 경우, 이를 지우거나 정보검색의 차단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잊혀질 권리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인 삭제요구권(지울 권리)과 이 권리를 궁극적으로 완성시키는 검색차단요구권을 그 내용으로 한다. 잊혀질 권리의 헌법적 근거에 대해 프라이버시권의 확장이라고 이해하는 견해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라고 이해하는 견해가 존재하지만, 새로운 독자적 기본권으로 이해해야 하며, 그 헌법적 근거는 일반적 인격권을 그 내용으로 하는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에서 찾아야 한다. 잊혀질 권리는 인격의 자유로운 유지나 인격의 왜곡표현을 방지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기본권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잊혀질 권리는 대사인적 효력이 직접 인정되는 기본권이다. 따라서 그 헌법적 근거를 객관적 가치질서에서 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잊혀질 권리는 표현의 자유와 충돌하게 되기 마련이다. 잊혀질 권리와 표현의 자유가 충돌하는 경우에는 대립하는 당사자의 기본권이 충분히 존중되고 보호되는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아내야 한다. 학계는 기본권 충돌의 대표적 해결방법으로 기본권서열이론(일반적 · 추상적 법익형량)과 실제적 조화원칙(구체적 · 개별적 법익형량)을 제시하고 있지만, 헌법의 통일성 원리에 입각하여 관련 기본권들이 최적으로 모두 실현될 수 있도록 상호 정서하는 실제적 조화원칙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잊혀질 권리의 제한수단으로 작용하는 공익에는 단계이론을 적용함이 타당하다. 즉, 공익을 "공익 · 중요한 공익 · 월등하게 중요한 공익"으로 나누고, 각각의 공익에 따른 방법의 적정 · 피해의 최소 · 법익의 균형을 판단함이 타당하다.

      • KCI등재

        문신시술 규제와 관련하여 ‘의료행위성’에 대한 법적 고찰 - 일본 최고재판소 2020년 9월 16일 결정을 중심으로 -

        박용숙(Park, Yong-Sook) 한국비교공법학회 2021 공법학연구 Vol.22 No.4

        최근 우리사회는 소위 ‘MZ세대’의 등장으로 문화와 분위기의 많은 변화가 나타났으며, 대표적으로 문신을 과거의 반사회적 부정적 이미지가 아닌 예술 또는 패션의 일부로서 받아들이고 있는 경향이 있다. 우리 현행법에서는 이러한 문신시술행위를 「의료법」 및 「보건범죄 단속에 관한 특별조치법」 등으로 규제하고 있는데, 의사면허를 소지한 자만이 문신시술행위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마주하는 문신시술소의 경우 대부분 불법영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2007년 우리 헌법재판소는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의료인이 아닌 자가 문신시술을 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현행 보건범죄단속법 관련조항이 헌법에 위배되지 않고, 문신시술이 “의료행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법원의 고유권한’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문신에 대한 사회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국민 보건에 대한 인식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렇다면 2021년 현재에도 2007년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타당한지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나아가 이처럼 문신시술을 의료행위라 판단하여 의사면허를 소지한 자에게만 시술을 허가하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뿐이다. 일본에서도 문신시술행위를 「의사법」 제17조 위반이라 판단하며 처벌하는 것이 그동안 판례의 경향이었다. 그런데, 2020년 9월 16일 최고 재판소에서 문신시술행위가 의료행위에 해당하지 않아, 의사법 위반이 아니라 판단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일본의 최고재판소의 결정문의 분석을 통해 문신시술행위의 의료행위성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Recently, many changes in culture and atmosphere have occurred in our society due to the emergence of the so-called ‘MZ generation’, and there is a tendency to accept tattoos as a part of art or fashion, not as an anti-social negative image of the past. In our current law, such tattoos are regulated by the “Medical Service Act” and the “The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Control of Public Health Crimes,” and only those with a doctor’s license are allowed to perform tattooing. In other words, most of the tattoo parlors we see around us are operating illegally. In 2007, in the unanimous opinion of the judges,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that the provision of the current Health Crimes Enforcement Act, which punishes non-medical individuals for performing tattooing, does not violate the Constitution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attooing is a “medical practice”. It is the prerogative of the courts to do so.” However, as mentioned above, along with the change in the social perception of tattoos,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public health. If so,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maintain the 2007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as it is in 2021. Furthermore, it is the only country in Korea that judges tattooing as a medical practice and permits it only to those who have a medical license. In Japan, it has been the trend of precedent to judge tattooing as a violation of Article 17 of the “Doctors Act” and punish it. However, on September 16, 2020, the Supreme Court ruled that tattooing was not a medical practice and was not a violation of the Doctors Ac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medical practice of tattooing is conside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f Japan.

      • KCI등재

        독일의 디지털 뉴스저작물 보호를 위한 법제동향

        박용숙(PARK, Yong Sook) 유럽헌법학회 2020 유럽헌법연구 Vol.0 No.34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뉴스 생태계(생산·유통·소비)에 새로운 변화를 일으켰다. 즉, 뉴스를 생산하여 소비자에게까지 전달하는 과정이 동일한 주체에 의해 이뤄지면서 생산자와 소비자가 뚜렷이 분리되어 단방향적이며 양분화되었던 과거와 달리, 인터넷 뉴스를 생산하는 언론·유통하는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이용자(소비자)의 구조로 변화되고, 나아가 이들의 역할이 서로 바뀌는 프로슈머(prosumer)가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구글(Google)과 같은 거대 플랫폼사업자는 다양한 뉴스 기사의 헤드라인 또는 리드(ledes)를 이용자들에게 제공하며, 더 상세한 뉴스 기사를 원하는 이용자에게는 직접링크 방식으로 언론사 등의 웹페이지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애그리게이터(aggregator)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언론사 고유의 영역으로 인식되던 뉴스의 생산과 유통의 역할을 잠식 또는 대체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새롭게 등장한 애그리 게이터 서비스와 관련하여 규제 가능한 법제를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각국마다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고자 하는 다양한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이 2019년 「EU 디지털 단일시장 저작권지침」(이하, DSM 저작권 지침이라 함)을 공표함에 따라, 이 표준법안을 참조하여 2년 이내 각국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여 국내법으로 수용해야 하는 유럽연합 회원국, 특히 독일의 법제동향 및 이를 둘러싼 논쟁에 대한 고찰은 유사한 상황에 처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디지털 뉴스저작물에 대한 권리 보호제도 및 뉴스저작물의 공정한 이용 보장, 그리고 권리와 이용의 균형을 위한 제도와 관련한 최근 동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시사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about a new change in the news ecosystem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In other words, unlike in the past, whe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delivering news to consumers was carried out by the same subject, producers and consumers were clearly separated and unidirectional and divided), and furthermore, prosumers, whose roles change with each other, emerged. In particular, giant platform operators such as Google provide headlines or leads of various news articles to users, and users who want more detailed news articles can go to webpages such as media companies by direct link method. It provides an aggregator service that makes it possible to do so. This is to erode or replace the role of new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a unique area of the media so far.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legal system that can be regulated in relation to the newly emerged aggregator service. Accordingly, various movements to cope with this phenomenon are being captured in each country. In particular, in 2019, 「Directive on Copyright in the Digital Single Market (DIRECTIVE (EU) 2019/790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17 April 2019 on copyright and related rights in the Digital Single Market and amending Directives 96 /9/EC and 2001/29/EC)」, referencing this standard law and revising it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within two years and receiving it as domestic law. I think the consideration of the debate has great implications for us in similar situation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recent trends in Germany s rights protection system for digital news works, guarantees fair use of news works, and the system for a balance between rights and use, and examines Korea s implications for this.

      • KCI등재후보

        본태성 진전에 대한 시상파괴술과 뇌심부 자극술의 비교

        이윤호,박용숙,장종희,장진우,박용구,정상섭,Lee, Yoon-Ho,Park, Yong-Sook,Chang, Jong-Hee,Chang, Jin-Woo,Park, Yong-Gou,Chung, Sang-Sup 대한신경외과학회 2005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7 No.2

        Objective: Thalamic lesioning and deep brain stimulation(DBS) have proved to be beneficial to the treatment of essential tremor(ET). The authors compared the effects and complications of two modalities. Methods: A total of 34 patients with ET were treated with ventral intermediate(Vim) nucleus thalamotomy or Vim DBS from May 1999 to May 2003. The procedure of lesioning or stimulation were performed as usual manner with or without microelectrode recording. Postoperatively, utilizing the various combinations of frequency, voltage and pulse width optimized the stimulation. The degree of improvements of tremor and the occurrence of the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postoperatively and at follow-up. Results: There were 38 procedures, including 27 with Vim thalamotomy and 11 with DBS, in 34 patients. Of the thalamotomy group, left Vim lesioning is 25 and right one is 2. Follow-up duration ranged from 12 to 57 months. In the thalamotomy group, the rate of overall good outcome was 88.9% but 12 patients (44.4%) showed permanent adverse effects. In the cases of stimulation, the rate of overall good outcome was 90.9% and two patients had acceptable dysarthria. Conclusion: Both Vim thalamotomy and Vim DBS wer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ET, although perioperative adverse effects tended to be higher in patients who had thalamotomy. In cases of DBS, adjustments of stimulation parameters enabled an acceptable position to be achieved with tremor control and unwanted effects.

      • 전이성 뇌종양에 대한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 후 방사선괴사 발생에 관여하는 인자들

        권영민 ( Young Min Kwon ),박용숙 ( Yong Sook Park ),하윤 ( Ha Yoon ),장종희 ( Jong Hee Chang ),장진우 ( Jin Woo Chang ),박용구 ( Yong Gou Park ) 대한뇌종양학회 2004 대한뇌종양학회지 Vol.3 No.2

        Objective:Gamma Knife radiosurgery(GKS)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metastatic brain tumors. Radiation necrosis is the most significant complication of GKS. Authors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treatment parameters of GKS to determine if there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radiation necrosis after GKS. Materials:From 1992 to 2002, 171 GKS procedures for 572 metastatic brain lesions in 150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otal 10 lesions in 10 patients were diagnosed as radiation necrosis. Their treatment parameters were analysed and compared with control group. Results:Of 10 patients with radiation necrosis after GKS, the primary sites were lung(7 patients), gastrointestinal tract(2 patients) and kidney(1 patient). Five patients had multiple brain lesions and the mean number of lesions were 2.6. Mean dose, maximal dose, integral dose, prescription isodose volume(PIV)/tumor volume(TV) and 10% normal brain volu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adiation necrosis group and non-radiation necrosis group. Patient`s age, marginal dose, prescription isodose line, number of isocenter, marginal dose, PIV and tumor volume were not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radiation necrosis. Conclusion: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brain tumors, radiosurgery has the advantage of whole brain radiation therapy. Because the radiation necrosis, which is the only serious complication of radiosurgery, is reversible condition, the goal of tumor control should not be affected by concern of this comp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