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릿대잎 추출물이 흰밥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연옥,임현숙,Park, Yeon-Ok,Lim, Hyeon-Soo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7

        본 연구에서는 조릿대잎 추출물을 흰밥 무게의 0.0%, 0.2%, 0.3% 또는 0.4% 혼합해 취반한 후 조릿대잎 추출물의 첨가가 흰밥의 물성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수분 함량은 조릿대잎 추출물의 첨가로 모든 첨가 수준에서 대조밥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농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조릿대잎 추출물의 첨가로 밝기는 모든 첨가 수준에서 대조밥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0.4% 첨가는 0.2%와 0.3% 첨가에 비해 더욱 감소했다. 황색도는 증가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인 변화를 보였다. 조직감을 나타내는 지표 중에서, 경도는 조릿대잎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져 0.3%와 0.4% 첨가는 대조밥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부착성과 응집성 및 탄력성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성 평가 결과, 조릿대잎 추출물의 첨가로 흰밥 특유의 냄새와 맛이 유의하게 저하된 반면에 대나무의 맛과 향이 증가했다. 아울러 색이 진해졌고, 점성, 경도, 부착성 및 깔깔함이 조릿대잎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변화가 동시에 나타났는바, 전반적인 품질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호도 평가 결과에서는 경도를 제외한 모든 항목 즉, 향미, 윤기, 색, 맛, 점성, 밥을 삼킨 후 입안의 깔깔함 모두 조릿대잎 추출물 첨가로 대조밥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품질도 유의하게 낮아졌다. 비록 기호성이 유의하게 낮아지긴 했으나, 관능성 평가에서 나타난 변화가 전반적인 품질에 영향을 끼치지 않은 점은 대나무의 향과 맛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때문이라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조릿대잎 추출물을 흰밥에 0.2% 첨가하는 것은 관능성이 우수하고 기호성를 크게 해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Sasa borealis (bamboo) is a perennial medicinal plant and its leaves are utilized widely in Korea. In this study, effects of bamboo leaves (Sasa borealis) extract on the physical,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oked rice were examined. Four kinds of cooked rice were prepared with 0.0% (control), 0.2%, 0.3% or 0.4% of the extract (w/w). Moisture content of the cooked ric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extract. Color of the cooked rice was darkened gradual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extract and appeared yellowish-brown. Among the four textural properties, only har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by the addition of the extract. Sensory evalu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unique rice flavor, bamboo flavor, color, unique rice taste, bamboo taste, viscosity, hardness, adhesiveness, and coarseness among the control group and the group with 0.2%, 0.3%, and 0.4% of the extract; however, overall acceptanc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s. In conclusion, concerning overall sensory evaluation, cooked rice with 0.2% bamboo leaves (Sasa borealis) extract showed the best result.

      • KCI등재

        한국어 "우리"와 중국어 대응표현의 대조분석

        박연옥,박동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어 교육 Vol.21 No.4

        Lian-Yu Piao·Dong-Ho Pak. 2010.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Uri`` and its Chinese equivalent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1-4: 99-118. According to researches, there are languages in which the first person plural pronoun is divided into separate forms according to the possibility of exclusion of listener(s). Chinese belongs to such a language. In Chinese, as first person plural pronoun, for example, there are ``Women(我們)`` including or excluding listener(s) and ``Zanmen(찰們)`` always including listener(s). On the other hand, Korean does not have the above distinction. ``Uri``, a first person plural pronoun in Korean can largely burden foreign language learners since it has diverse meanings and functions. Its Chinese equivalents including ``Women(我們)`` and ``Zanmen(찰們)`` have diverse kinds of usage, too. Because of the above reasons, Chinese learners have much difficulty in acquiring Korean ``Ur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truct reference data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through the contrastive analysis of ``Uri`` and its Chinese equivalents.

      • KCI등재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연옥,박수진,허정 한국취업진로학회 2017 취업진로연구 Vol.7 No.2

        대학생 시기는 삶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진로를 현실적으로 구체화하고 준비하여 학교에서 직업 세계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진로발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는 시기지만, 우리나라의 대 부분 대학생들은 고등학교 때까지 진로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탐구 없이 대학수능시험이라는 목표에만 매진하여 맹목적으로 달려온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학에 들어온 순간부터 뒤늦게 진로와 미래직업에 대한 적성에 대하여 끊임없이 고민하고 탐색하게 된다. 즉, 대학생이라는 청년기 단계에 있어 자아정체 감 형성과 진로선택은 독립적인 개념이 아니라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과정으로 직업적 개념의 확고 한 진로정체감이 정립되어 있어야만 성공적인 직업 선택과 진로 결정을 할 수 있다. 이미 여러 연구에서 진로정체감이 대학생활 적응과 같은 진로준비행동이나 진로결정 수준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이 확고할수록 대학생 활 교육목표 달성도인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는 부분을 가정하고 추가적으로 진로정체감이 진로 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태도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대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 이에 맞는 학습전략을 세우는 것을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조절효과 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수업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성적, 연령, 건강상태)과 스트레스 대처(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를 통제한 상태에서 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이 강의와 실습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연령, 성적, 건강상태, 대인관계가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적과 건강상태가 증 가하면 증가할수록 강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As online community has spread rapidly 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increased number of netizens, the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of online community is bringing many changes not only in sociocultural aspect but in purchasing behavior of consumers as well, and a large number of online communities are being established and operated today that makes meeting with new people. learning, opinion formation, as well as consumption through the purchase of products and services possible. Operation of numerous employment communities is being conducted spontaneously by job seekers around 3 domestic online portal sites based on the same concern of employment and career due to the increased unemployment rate with lengthy economic recession, and the number of job seekers who are sharing information, know-hows, and feeling online is increasing. Job seeker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are showing very cautious attitude, and job seeking behavior using online employment community is being very useful for employment seekers in these modern times with the developed online media.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and basic data of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run employment support project for finding effective ways of raising job seeking efficacy of community members by providing helpful information on job seeking behavior by investigating factors that help career selection and decision of employment seekers by conducting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n activities of job seekers through employment communit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main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cedent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community, employment community commitment,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eking behavior,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on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it was identified that characteristics of employment community make significant effect on employment community commitment, job seeking efficacy, and job seeking behavior.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 자기효능감이 진로 교육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연옥,구영애,안성식 한국취업진로학회 2019 취업진로연구 Vol.9 No.4

        University, a higher education facility and a last step before entering the occupational world, can be considered as the difficult period when students need to face the harsh reality straight and draw a blueprint for the future. University helps students to go into the world with professionalism by improving capabilities required by occupational groups through in-depth learning in a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 called university. It can be said that making a correct career decision while in college, the time of students selecting a career path as exploring and developing their identity and potentials, is the most important core task. College students decide their career path by considering inner factors as interest, ability, value, and self-efficacy as well as external factors as home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conditions. Specially, self-efficacy can be considered as a factor that has a decisive influence on performance motive as a judgement on individual ability that organizes and performs necessary actions to achieve successful results, and it is being studied that self-efficacy in career is a factor that makes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ontinuity and selection of career.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help college students to orient themselves to college life by identifying a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atisfaction on career educa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nd suggesting a prediction model of variables that make effect on career decis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per career development.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kes effect on satisfaction on career education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대학교는 고등교육기관으로 직업세계로 전환하기 이전의 마지막 단계로 냉혹한 현실을 똑바로 직시하고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그려야하는 어려운 시기라 할 수 있다. 대학생들은 대학교라는 고등교육기관을 통해 심도 있는 학습을 통해 직군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키워 전문성을 가지고 사회에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대학생들은 자신의 정체성과 가능성을 탐색하고 개발시키는 등 자신이 원하는 진로를 선택하는 시기로 올바른 진로결정은 가장 중요한 핵심과업이라 할 수 있다. 대학생들은 진로결정 시 개인의 흥미, 능력, 가치관, 자기효능감 등의 내적요소와 더불어 가정환경, 직업조건 등 외적 요소들을 고려하여 결정하게 된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성공적인 결과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행동을 조직하고 수행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판단으로 수행동기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 할 수 있으며, 진로영역에서의 자기효능감은 학업적 성취와 지속성 및 진로선택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진로 자기효능감과 진로 교육만족도,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예측모델을 제시하여 대학생들의 대학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고, 올바른 진로발달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진행한 결과, 진로 자기효능감이 진로 교육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직의 상황요인과 직무특성이 항공사 승무원이 지각하는 직장 내 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박연옥,양일선,이해영,최항석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3

        Recently, mobbing at work place is prevalent in Korean business organizations. Mobbing, an extreme social stressor, has negative impact on employee' behavioral outcom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pite of seriousness of mobbing at workplac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mobbing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communication climate, team climate) and job characteristics(role conflict, job control) on employees' perceived mobbing at workplace. In support of previous findings, the results based on the sample of 346 flight attendants from A airline firms showed that good communication climate decreased the mobbing at workplace meaningfully (β=-.378, p<.01), negative organizational climate and role conflict increased the mobbing at workplace meaningfully (β=.176, p<.01). However, job control did not influence on mobbing at workplace significantly. The findings imply that improving the situational factor of organization and leadership practices would help to prevent mobbing at work place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