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改新敎 映畫에 나타난 한국 改新敎의 이데올로기적 경향성 연구 -강대진 감독의 70-80년대 改新敎 映畫를 중심으로

        박소영(朴炤映) ( Bak So-yo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2 No.1

        본 논문은 한국 改新敎 映畫를 가장 많이 만들었던 감독인 강대진의 작품을 통해 한국 改新敎 映畫의 이데올로기적 경향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改新敎는 본격적인 산업화가 진행되었던 1960-80년대 급격하게 성장했다. 改新敎 신자가 증가한 만큼 改新敎 映畫의 작품 수 역시 많아졌다. 改新敎 映畫가 집중적으로 만들어졌던 시기는 197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초반이었으며, 강대진 역시 이 시기 改新敎 映畫인 「사랑의 원자탄」(1977), 「사랑의 뿌리」(1978), 「석양의 10번가」(1979), 「죽으면 살리라」(1982)를 발표했다. 이후 1984년 大巡眞理會 영화인 「화평의 길」까지 포함한다면 강대진은 宗敎映畫만 5편을 제작한 셈이다. 한국영화사에서 宗敎映畫를 적극적으로 만들었던 강대진이지만, 사실 그의 영화들이 흥행에 성공한 작품이라고 보기에는 어렵다. 예술성이나 작품성, 혹은 대중성보다는 종교사회 내의 신앙을 공고히 하는 내부용 영화에 가깝다. 강대진의 영화는 改新敎의 실존인물, 특히 목사를 주인공이나 주요 인물로 등장시켜 그의 종교적 기적을 스크린에 재현하며 그의 설교를 직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로 인해 영화관은 영화를 관람하는 공간이 아닌 종교적 체험을 하는 공간으로 거듭나게 만든다. 동시에 당시 군사정권에서 강조하던 반공주의와 민족주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순교자의 죽음을 이데올로기와 결합한다. 원수를 사랑하라는 사랑의 복음은 강력한 이데올로기의 한국사회 안에서 사랑의 범위를 축소시키는 형태로 작용하고 있는 셈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deological trends of Korean Protestantism through the works of director Dae-jin Kang, who produced the most Protestant films in Korea. Protestantism experienced rapid growth from the 1960s to the 1980s alongside full-scale industrialization. As the number of Protestants increased, so did the number of Protestant films. Protestant films were intensively produced from the late 1970s to the early 80s, and Dae-jin Kang contributed with films such as “Great Sacrifice” (1977), “Roots of Love” (1978), “The Sunset on 10th Avenue” (1979), and “Die to Live” (1982). Including “Road to Peace” (1984), a Daesun Jinrihoe film, he actually produced five religious films. Although Dae-jin Kang contributed to the religious films genre in Korean cinema, it is challenging to deem his films as difficult to say that his films were successful at the box office; instead, they were seen as “internal films” intended to strengthen faith within the religious society rather than being recognized for their artistic quality or popularity. However, since his films were primarily intended for consumption within the Protestant community, they provide insights into how this community viewed Korean society and perceived the function of Protestantism within it. Kang’s films often feature real-life Protestant figures, especially pastors, as protagonists or main characters, showcasing their religious miracles on screen and allowing viewers to directly experience their sermons. Consequently, his films transform the movie theater into a space for religious experience rather than merely a venue for watching movies. Simultaneously, his films actively utilize the anti-communism and nationalism emphasized by the contemporary military regime to link the martyrs’ deaths with ideology. The scope of love in the gospel of love, which advocates for loving one’s enemies, is diminished within Korean society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ideology.

      • KCI등재

        1970년대 호스티스 수기의 영화화 연구 ―[O양의 아파트], [영아의 고백], [26x365=0(무(無))]을 중심으로―

        박소영 ( Bak So-young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1

        이 논문은 1970년대에 수기를 원작으로 제작되었던 호스티스 영화 세 편, [O양의 아파트], [영아의 고백], [26X365=0(無)]를 분석한다. 이 세 편의 영화는 1970년대 한국사회에서 호스티스가 어떻게 상상되고 소비되었는지를 다른 호스티스 영화보다 더욱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자신의 경험을 문학적 글쓰기 과정을 통해 자기서사로 만들어낸 수기는 영화화되면서 다시 한 번 각색된다. 이 과정에서 수기를 통해 실제 호스티스가 드러내고자 했던 자신의 삶의 단면은 왜곡되고 변형될 수밖에 없다. 실제경험이 두 번의 각색작업을 거치며 영화에서 진짜 호스티스는 사라지고 상상된 호스티스만이 남겨진 것이다. 그들은 자신의 수기를 통해 스스로의 삶을 재정의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수기에서는 매춘여성이 아니라 비록 한 때는 타락했었지만, 지금은 홍등가에서 벗어나는데 성공한 여성으로 그려진다. 혹은 실패했으나 호스티스의 세계에서 탈출하기 위해 노력했던 안타깝고 가련한 여성임을 독자들에게 고백한다. 이렇게 나름의 주체성을 갖고자 노력했던 오미영, 강영아, 최수희의 수기는 영화화되면서 통속적인 멜로드라마로 변질된다. 이 과정에서 그들의 노력은 삭제되고 타락한 삶 속에서 고통받으며 패배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전락한다. 이러한 각색은 영화라는 대중매체로의 전환과정 중에 70년대 검열과 대중의 욕망 등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이다. 그리고 1970년대 한국사회가 호스티스를 패배적이고 주변적인 인물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들이 제공하는 향락을 즐긴 뒤에는 반드시 추방시켜야 하는 존재로 생각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nalyzed three hostess movies that were originally memoirs in the 1970s: Young-ah's Confession, Miss O's Apartment, and 26x 365=0. These films highlighted more clearly how hostesses were imagined and consumed in the 1970's Korean society than other movies. These memoirs were dramatized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in the literary process. They were adapted once again into films. In this process, lives that hostesses desired to reveal were inevitably distorted and transformed. The authors attempted to redefine themselves as not prostitutes who used to be depraved but successful women escaping from the red-light district. Alternatively, they confessed that they were pathetic and pitiable who made an effort to break out of a vicious circle. Unfortunately, works of Omi Young, Kang Young-a, and Choi Soo-hee, who attempted to have their own subjectivity were transformed into a popular melodrama. In the cinematized process, their efforts were reduced to passive beings who suffered from degenerate lives. This confirmed that the 70s' Korean society regarded hostesses as defeated and peripheral ones who should be expelled after exploiting the pleasure that they provided.

      • KCI등재

        아이돌의 트랜스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난 스토리텔링 전략 : 아이돌 그룹 뉴이스트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박소영(Bak So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논문은 K-POP 아이돌인 뉴이스트의 여왕의 기사 세계관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현대 디지털시대의 아이돌은 과거와 달리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활용해 다양한 콘텐츠들을 제공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게 되었다. 아이돌의 세계관 역시 아이돌이 제공하는 콘텐츠 중 하나로, 사진과 영상, 뮤직비디오, 무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미디어를 통해 파편화된 서사를 생산한다. 이렇게 제공되는 세계관의 서사는 팬덤이라는 향유자를 통해 통합되어 스토리월드로 구축되고 재생산되어 리텔링되며 확산된다. 세계관은 서로 다른 콘셉트의 앨범에 연속성을 부여하고 팬덤이아이돌 콘텐츠를 향유하는 재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대중들에게 그들의 존재를 각인시키는 역할도 한다. 그러나 스토리월드의 구축은 적극적인 사용자로서의 향유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큰 팬덤을 보유한 아이돌에게는 가능한 일이지만 작은 팬덤의 아이돌들에게는 어려운 일이 되기도 한다. 뉴이스트의 여왕의 기사 세계관의 전개 과정은 두 가지의 면모를 모두 보여준다. 뉴이스트의 세계관에서 또 하나 주목해볼 수 있는 것은 순정만화의 서사를차용했다는 점이다. 원작만화인 <여왕의 기사>를 각색하며 팬덤을 여왕으로 캐릭터화해 세계관에 출연시킴으로서팬덤의 적극적 향유를 유도한다. 이를 통해 아이돌과 팬덤의 관계는 순정만화의 낭만적 사랑과 동일시되어 생산자와 향유자의 관계 그 이상의 것이 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world view of Nu’est’s Queen s Knight, a K-POP idol. Different fromprevious idols, active ones in the modern digital era can survive, only if they can provide variouscontexts by using a variety of media platforms. Their world view, one of contents they provide,produces fragmented narratives through a variety of media including photographs, films, musicvideos and stages. Such narratives of world view are retold and extended, as they are integrated,established as story worlds and reproduced by enjoyers called fandom. The world view serves toprovide continuity to albums with different concepts and fun for fandom to enjoy idol contentsand to allow the public to recognize their existence. It may be possible for some idols with largefandom to establish such story worlds, while it may be difficult for others with small fandom toestablish them, as the establishment of them requires enjoyers as active users. The developmentof the world view of Nu’est’s Queen’s Knight shows both features. Another point to be made inthe world view of Nu’est is that the narrative of Sunjeong Manhwa (romantic comics) is borrowed. Active enjoyment of fandom is, therefore, induced, by characterizing the fandom as the queenand featuring it in the world view, after adapting <Queen s Knight>, the original comics. Therelationship between an idol and fandom is thus identified with the romantic love of SunjeongManhwa, beyond a mere relation between a producer and an enjoyer.

      • KCI등재

        SF애니메이션 <2020 우주의 원더키디> 연구

        박소영(Bak, Soyoung)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7 No.-

        <2020 우주의 원더키디>는 1980년대 후반 TV애니메이션 제작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던 시기에 등장한 작품이다. 1980년대 한국의 애니메이션 산업은 자체 제작보다는 하청 애니메이션 제작을 중심으로 성장하며 뛰어난 기술력에 비해 좋은 작품을 생산해 내지 못하고 있었다. 정부 역시 외화벌이에 효과적인 하청 산업을 적극적으로 독려하였으나 서울올림픽이라는 국가적 큰 이벤트를 수행하며 하청이 아닌 자체 제작을 강제하게 되었다. 이렇게 시작된 TV애니메이션 제작은 서울올림픽을 겨냥해 스포츠만화나 당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던 만화 시리즈를 원작으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2020 우주의 원디키디> 역시 이때 제작된 작품이지만 다른 애니메이션들과는 성격이 다른 작품이었다. <2020 우주의 원더키디>는 원작 만화를 두지 않고 시나리오 단계에서부터 새롭게 창작된 작품이었다. 그리고 처음으로 제작된 SF애니메이션이었으며 반복적인 에피소드식 구성에서 탈피한 작품이었다. 게다가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을 배경으로 기계인간을 포스트휴먼이자 악당으로 내세워 인간존재란 무엇인지에 대해 정의하고자 시도한다. 물론 시대적인 한계와 작품의 수준상 철학적 사유로까지 닿지는 못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애니메이션에서 단순한 선악의 대결에서 벗어난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의미는 부여할 수 있다. 기계와 인간존재는 표면적으로 ‘양심’의 유무를 통해 다르게 정의되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가족관계를 통해 가족주의에 대한 긍정과 거부의 태도로도 구분된다. 자신의 뿌리를 긍정하고 되찾으려는 인간과 그것을 거부하고 파괴하는 기계라는 이분법적인 캐릭터의 설정은 선악의 대립과 조우하여 가족 중심주의인 한국사회가 인간을 이해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2020 우주의 원더키디>는 한국 TV애니메이션에서 독특한 작품이지만 이미 완성된 상태의 주인공이 아버지를 구출한다는 자신의 목표를 달성한다는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은 TV시리즈로서의 한계일 수밖에 없다. 애니메이션의 서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작품 속 인물의 성장은 드러나지 않는다. 아버지를 구출에만 몰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시청자는 자신의 한계를 극복하며 성장하는 미완의 존재가 아닌 이미 완벽한 능력의 소년에게 감정이입을 해야 했다. 이러한 특성은 작품의 단점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었다. <2020 우주의 원더키디>가 성공을 거두고도 다른 작품들과 달리 새로운 시리즈를 만들어 내지 못한 것은 단순히 연재물인 원작의 부재나 작품 기획단계에서 고려하지 못한 것뿐만 아니라 이렇듯 작품이 가진 서사적 한계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2020 Space Wonder Kiddy appeared in a period during which TV animation production was beginning to be elevated in earnest, in the late 1980s. The Korean animation industry in the 1980s, while growing based on subcontracted animation productions rather than self productions, had failed to produce good works, contrastingly to its remarkable technological level. Although the government actively encouraged effective subcontracting businesses for foreign exchange earnings, it subsequently enforced self productions rather than subcontracts when the time came to host the 1988 Olympics, a massive national event. Commencing in such a manner, the production of TV animation often dealt with sports animations by considering the 1988 Olympics or animations based on popular original cartoon series. 2020 Space Wonder Kiddy was produced during this time, however, its characteristics differed from other animations. As opposed to a work based on an original cartoon, 2020 Space Wonder Kiddy was newly created from the scenario stage. It was the first sci-fi animation produced, breaking away from a repetitive episodic composition. Furthermore, the work featured cyborgs as both posthumans and villains in a background based on a dystopian worldview and thus, attempted to define human beings. While it certainly failed to reach a sufficient level of philosophical contemplation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era and the depth of the work, it is, nevertheless, significant in that it was a new attempt in Korean animation which broke away from a simple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Although machines and human beings ar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n apparent “conscience,” they are distinguished through an attitude of affirming or rejecting familism by means of family relationships according to a deeper level of meaning. Setting characters through a dichotomy of humans that affirm and try to recover their roots and machines that reject and try to destroy those roots engenders a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thus confirming a means of understanding humans in an animation by a Korean society based on patriarchal family centrism. 2020 Space Wonder Kiddy is a unique work in Korean TV animation, but the fact that it consists of a simple structure involving the already-completed protagonist achieving his goal by rescuing his father inevitably reveals its limitations as a TV series. Although the narrative of the animation progresses, the characters in the work do not grow. It would be difficult for viewers to empathize with a boy who has already perfected his abilities, as opposed to an incomplete being who grows by overcoming his limitations. Thus, viewers also have difficulty taking interest in the story that follows. Unlike other works, 2020 Space Wonder Kiddy failed to produce a new series after achieving success, not only due to the absence of an original serial or the failure to consider future works at the planning stage, but also as a result of its narrative limitations.

      • KCI등재

        부산 스카이라인 형성 과정에서 노출된 문제점과 대안에 관한 연구

        박소영 ( Bak So-young ),김종명 ( Kim Jong-myoung ),노지화 ( Roh Ji-hwa ),김청우 ( Kim Chung-woo ),김남석 ( Kim Nam-seo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7

        현대의 도시에서 스카이라인은 도시 외관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이다. 과거와 달리, 현대의 스카이라인은 인공적인 건축물에 의해 좌우되곤 한다. 부산의 경우에도 새롭게 건축되는 건축물이 새로운 스카이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과거에는 예상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노출 된다. 특히 주변의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건축물의 난립은 독특한 아름다움을 훼손하는 악영향을 끼치곤 한다. 본 연구는 부산 스카이라인의 실태를 점검하고 그 문제점을 찾은 이후에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구상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에 먼저 노출된 국가들의 선진 사례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샌프란시스코 사례를 중심으로, 하와이 등이 내세운 대안 등과 비교하는 방식을 취했다. 부산의 아름다운 스카이라인이 생성되고 또 유지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이 보다 심도 있게 확산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In modern cities the skyline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appearance of a city. Unlike in the past, modern skylines are influenced by man-made buildings. Even in Busan, newly constructed buildings form a new skyline. In the process, unexpected problems have been exposed in the past. In particular, the overburdening of buildings that do not take into accoun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s the negative effect of damaging the unique beauty. In this study, it was envisaged to confirm the actual situation of the Busan Skyline, find out its problems, and seek an alternative. To that end, it was determined that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advanced cases in countries first exposed to these issu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case of San Francisco and compared it with alternatives such as those set by Hawaii. In order for the beautiful skyline of Busan to be created and maintained, it is thought that awareness of these issues should be deepened.

      • KCI등재

        한국 예능 콘텐츠에 나타난 탈출 게임과 추리 서사 : 〈대탈출〉 시리즈를 중심으로

        박소영(Bak, So-Young)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80 No.-

        본 논문은 한국 예능 프로그램에서 게임을 추동하는 동력으로서 어떻게 추리 서사를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현재 한국 방송계에서 가장 주류인 예능 방식은 리얼 버라이어티 쇼이다. 리얼 버라이어티 쇼는 다양한 장르들과 결합하며 리얼 버라이어티 예능의 시대를 열었다. 이때 추리 서사 역시 리얼 버라이어티 쇼와 결합하여 추리 예능이라는 새로운 버라이어티 쇼를 만들었다. 추리 예능은 〈무한도전〉이나 〈런닝맨〉과 같이 일반 리얼버라이어티 쇼의 한 회로 활용되기도 하지만 〈크라임씬〉과 같이 본격적인 예능 프로그램의 포맷이 되기도 한다. 이때 〈대탈출〉은 연속적인 밀실 탈출을 통해 거대한 세트장을 탈출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이 과정에서 추리 서사를 통해 이야기의 인과 관계를 만들어 일관된 서사를 구축한다. 그로 인해 시청자는 출연진의 탈출 과정을 시청하면서 밀실 공간에 숨겨진 스토리텔링을 독서하며 사건을 해결해나가는 추리 소설의 독자와 같은 경험을 하며 재미를 느끼게 한다. 이때 〈대탈출〉의 출연자들은 서로 경쟁하는 관계가 아니라 탈출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함께 힘을 합쳐야 하는 하나의 팀으로 기능하며, 이것은 지금까지 추리 능력을 기반으로 한 경쟁을 포맷으로 했던 추리 예능과는 다른 특징을 보여준다. 그뿐만 아니라 좀비, 귀신과 같은 공포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게임에서의 NPC와 같은 역할을 하는 출연자들을 등장시키고 그들을 구원하거나 함께 탈출시킴으로써 탈출과정에서의 몰입도를 높이고, 그 과정에서 출연자들의 반응을 통해 리얼리티를 획득한다. This paper analyzed how Korean entertainment programs used the detective narrative as an engine driving games. The real variety show is a type of entertainment that is most popular in the Korean broadcasting circle. The era of real variety show entertainment begins, as the real variety show is combined with other various genres. The detective genre was also combined with the real variety show, to create the detective entertainment, a new type of the real variety show. The detective entertainment is used as a session of general real variety shows, such as Infinite Challenge and Running Man, but it also used as a format of entertainment program, such as Crime Scene. Great Escape sets the ultimate goal to escape large sets by going through a series of secret rooms, and consistent narratives are established in the process by making the causation of stories through detective narratives. Viewers, therefore, have funny experience, like readers of detective novels, by reading stories hidden in secret rooms, watching the process in which cast members escape from them. The cast members of 〈Great Escape〉 do not compete with each other, but function as a team which should gather strength to achieve the common goal of escape, different from other detective entertainment programs in the format of competition based on each members’ detective ability. Moreover, it increases viewers’ concentration on the escape process, by actively using horror contents such as zombies and ghosts, featuring cast members who play roles as NPC appearing in games and rescuing or evacuating them, and also secure the reality, by invoking the cast members’ responses.

      • KCI등재

        서울과 부산의 연극문화지형도 연구

        박소영(Bak Soyou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1

        문화예술축제, 그중에서도 연극을 중심으로 한 공연제는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개최지역의 문화적·경제적 성장을 도모하고 지역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리고 경연대회의 형태에서 시작하여 이제는 문화축제로 성장하면서 그 형태는 다양화되었으며, 다른 장르로의 확장까지 가능하게 되었다. 게다가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를 중심에서 지방의 소도시까지 확산되며 지역 발전의 도구로서 인정받기 시작했다. 서울의 경우 대한민국의 문화의 중심지로서 기능하며 한국의 많은 예술인들이 서울에서 예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그리고 대학로라는 특수한 지역을 중심으로 공연예술이 성장해왔으며, 문화예술축제 역시 그 곳에서 대부분 이루어지고 있다. 그로 인해서 공연예술 공간으로서의 대학로의 이미지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었다. 정부의 기획을 통한 지원, 그리고 예술인들의 생존을 위해서 선택되었던 ‘공간’이 이제 한국의 공연예술의 중심지라는 장소성을 보유한 ‘장소’로 거듭난 것이다. 그러나 부산은 공연예술을 상징할 수 있는 공간이 부재한 형편이다. 이는 부족한 문화인프라와 만나 정부의 지원 없이는 생존이 어려울 정도로 허약한 지방공연문화를만들어냈다. 문화성장의 동력이 되어야 할 축제가 일회적 행사에 그칠 수밖에 없는 이유도 바로 그것 때문이다. 부산지역의 예술인들은 부산전역에 산포(散布)되어서 각자의 생존을 도모하며 예술생활을 이어나갈 수밖에 없는 실정인 것이다. 부산의 황폐한 문화적 토양에서 생존과 예술을 동시에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은 적어도 몇 개의 문화예술축제가 될 수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부산지역의 문화인프라를 성장시켜서 예술인들이 서울이 아닌 부산에서 자신의 예술생활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Culture and art festivals, especially theatre-based performances, have grown steadily since the 2000s and became the effective means of promoting cultural·economical growth in the holding areas and establishing regional identity. Furthermore, the form has diversified from the contest to cultural festival nowadays, and it also expanded into other genres. In addition, it began to be recognized as a tool for local development by spreading to major cities including Seoul and small cities in the provinces. In case of Seoul, which functions as a cultural center of South Korea, many Korean artists continue their artistic activities there. The performing arts have grown up in the special area called Daehangno, and most culture and art festivals have also held in that place. As a result, the image of Daehangno as a performing arts space became more solid. The ‘space’ that was selected for the survival of artists and support of the government has now been reformed into the ‘place’ which possesses the placeness of Korean performing arts. However, Busan is absent from the space to symbolize performing arts. With the lacking culture infrastructure, this has created the local performing culture which was fragile enough to survive without the support of the government. That was why the festivals, which should have been the motive of cultural growth, have just become the one-time event. Artists in Busan had to scatter throughout Busan to survive and continue artistic life. In the desolate cultural soil of Busan, the way to alleviate both survival and arts at the same time should not be at least several culture and art festivals. The culture infrastructure should rather be developed so that artists can continue their artistic life in Busan, not Seoul.

      • 1930년대 카페 여급 담론의 탈식민주의 연구 : 『삼천리』와 『별건곤』을 중심으로

        박소영(Bak So-You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10 No.5월

        This paper tries to study how general discourse about cafe waitresses is produced through articles about them of the popular magazines, Samchully and Beolgeongon in 1930s. The current study on cafe waitresses just reproduces and understands 1930s and defines their identity. Waitresses are the historical existence who reproduced Joseon's modern contradictions through many dominant relationship in the colonial society. They exist as subaltern of colonialism. And through many upper classes who have relationship with them, they can be analyzed by postcolonialism. So They was examined based on Resistance Discourse of the colonized by Fanon and Baba and Post-Colonial feminism by Spivak in postcolonialism. Cafe waitresses wore the mixed clothes of Japan and the West in Joseon and provides sexual service for men. Waitresses were powerless women who lived in Joseon of patriarchy and, at the same time, she had mixed appearance. So the writing staffs who were colonial intellectuals used waitresses as a tool to clean up their own complex and incapacity and recover their pride. Waitresses are in conflict with general women with men between them as well as mean opposition between Joseon and Japan.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modern women in their appearance and origin (came from intellectuals and actresses) but they became corrupt by love or poverty. Gisaeng (Korean geisha) who worked in demimonde together were judged as artists but waitresses were done as entertainment women who simply sold smile and their image is more negative than Gisaeng. At the same time, they have the double relationship that they substitute for the central place of love discourse that Gisaeng enjoyed waitresses

      • KCI등재

        한국 특촬물 시리즈에 나타난 과학적 인식 - <지구용사 벡터맨>을 중심으로

        박소영 ( Bak So-young ) 한국공연문화학회 2021 공연문화연구 Vol.- No.43

        <지구용사 벡터맨>은 한국 특촬물 시리즈를 대표하는 작품이자 특촬물 시리즈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둔 작품이다. 이 작품이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은 80년대 중반부터 계속된 일본 특촬물의 인기와 로봇 애니메이션의 유행이 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의 텔레비전 방송에서는 어린이 프로그램의 고질적인 문제인 수입프로그램의 범람과 거듭된 재방송으로 인해 국산 어린이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이 꾸준히 대두되고 있었다. 그러나 90년대 중반 한국 애니메이션의 인기가 줄어들면서 애니메이션 제작에 대한 부담감 또한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그로 인해 <지구용사 벡터맨>은 애니메이션이 아닌 특촬물로 제작되었는데, 이때 특수효과기술을 방송국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던 시기적 특성과 맞물려 컴퓨터 시각효과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 <지구용사 벡터맨>이라는 새로운 국산 특촬물 시리즈의 등장에 대한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벡터맨 시리즈는 이제 우주의 과학기술이라는 모호한 단어 대신 DNA 합성, 뇌세포 변이, 특수심리조종장치 등 구체적인 과학적 용어들을 활용해 우주적 존재들의 능력을 설명한다. 비록 그 과정과 원인에 대해서 상세하게 말할 수는 없으나 공상과학이 아닌 구체적 용어들로 정의되는 모습은, 이제 한국사회에 과학적 상상력이 구체적인 형태로 발현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리고 벡터맨과 우주인들의 동등한 관계는 지구의 과학 용어로 설명되는 우주의 과학은 지구로 대변되는 한국 과학 기술 발전에 대한 자신감의 표현이기도 하다. 그러나 여성캐릭터들은 과학의 영역으로 진출하지 못하고 여전히 비과학적 존재로 묘사되며 과학적 인식에 대한 한계를 드러낸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scientific awareness appearing in Korean tokusatsu series by focusing on Vectorman: Warriors of the Earth. As a work representing Korean tokusatsu series, Vectorman: Warriors of the Earth achieved the greatest success among tokusatsu series. This work was released thanks to the continued popularity of Japanese tokusatsu since the mid-1980s and the trend of robot animations. Due to the chronic problems regarding Korean children’s programs―the oversupply of imported programs and repeated reruns―the need for domestically produced children’s programs has continued to come to the fore. However, as the popularity of Korean animation waned beginning in the mid-1990s, inevitably the burden fr producing animation increased. As a result, Vectorman: Warriors of the Earth was produced as a tokusatsu rather than an animation, and because this was a time when an environment for using special effects technology was being fostered in broadcasting stations, computer visual effects were actively used for the series. The response to the new domestically produced tokusatsu series Vectorman: Warriors of the Earth was explosive. The Vectorman series explained the abilities of cosmic beings by using specific scientific terms such as DNA synthesis, brain cell transformation, and special psychological control device instead of ambiguous words like the scientific technology of space. Although the series is unable to describe in detail about the process and cause, the way it defines technology using concrete terms rather than science fiction shows how scientific imagination is manifesting in specific forms in Korean society. Furthermore, the equal relationship between Vectorman and the aliens shows how the science of space, explained with the scientific terms of earth, is an expression of confidence regarding the advancement of Korean scientific technology which represents earth. However, the female characters fail to gain entry into the domain of science and are portrayed as unscientific beings, revealing limitations in terms of scientific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