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 내 타자의 밀도와 저항의 방식 : 청소년소설 『원통 안의 소녀』와 「B의 세상」을 중심으로

        박성애(Park, Seong-Ae)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8 No.-

        권력주체가 전유하는 공간에서 타자의 공간은 점점 좁아지고 타자들의 밀도는 낮아진다. 타자들이 자발적으로 권력주체의 공간이 되어 주체의 권력으로 머물기도 하고, 그렇지 않다고 하더라도 그들의 목소리를 의미 있는 공적 언어로 통합할 수 없기 때문에 권력주체의 공간에 타자성은 드러나기 힘들다. 「B의 세상」과 『원통 안의 소녀』는 타자적 청소년들이 권력의 공간에서 어떤 질량을 가지고, 어떠한 밀도로 존재하는지를 잘 드러내고 있다. 작품 속 청소년 인물들은 주체의 공간에서 주체의 지식으로 해석되는 존재로, 그들의 타자성을 드러내지 못한다. 이에 「B의 세상」은 공적 발화를 시도하고, 공적인 말을 획득함으로써, 그리고 타자들의 연대를 추구함으로써 타자들의 밀도를 높여가고자 한다. 그리고 『원통 안의 소녀』는 “사귐”을 통한 윤리적 주체되기를 통해 그들의 타자성이 세계에 나타날 수 있고 타자를 위한 미래를 꿈꿀 수 있다고 말한다. 청소년소설은 성인작가가 청소년독자에게 전달하는 것으로, 청소년 세계의 진실에 닿아있는 문학이어야 한다. 청소년은 우리 사회의 타자로 그들의 목소리는 잘 들리지 않기에 타자의 말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매개자로서 이 세계의 공적 목소리를 소유한 성인작가의 시선과 ‘말’이 필요하다. 목소리 없는 타자가 권력주체의 공간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포착하는 주체의 시선과 그것을 전달하는 말이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글쓰기를 통해 통합되지 않는 타자의 말을 작가는 주체로서 대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성인작가는 권력의 긍정적인 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권력은 타자의 목소리를 통합하여 사회에서 소통되는 공적인 말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우리 세계 청소년 타자에 대해 성인작가주체는 타자의 목소리를 통합하여 그림자 없이 명확한 공적인 말이 되도록 해주어야 한다. 이는 우리 사회의 타자들을 마주한 성인 작가가 글쓰기를 통해 윤리적 주체가 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In the space dominated by the subject of power, the space of the Others becomes narrower and the density of the others decreases. Because the Others become the space of the subject of power voluntarily, otherness can not reveal in that space. 「B s World」 and 『The Girl in the Cylinder』 show the youth s mass, density, and way of being in the space of power. Youth characters can not reveal their otherness in the texts, because they are interpreted as the subject s knowledge. Accordingly, youth s character of 「B s World」 trys to increase their density by attempting public utterances, and pursuing solidarity with the Others. 『The Girl in the Cylinder』 says that their otherness can appear in this world and they can dream of a future for the Others through becoming an ethical subject through friendship. The youth novel should be a literature that touches the truth of the youth s world because adult writers deliver texts to the youth reader. Because the youth are the Other in our society and their voices are hard to hear, so in order to reveal the Other s words, we need the eyes and words of the adult writer who possesses the public voice of this world as an intermediary. The gaze of the subject that captures how the Other exists in the space of the subject of power and the words to convey it are necessary. The writer should be able to speak instead of the Other s words that are not integrated through writing. For this, adult writ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aspects of power. Power can unite the voices of the Others to become a public word communicated in our society. Adult writers should integrate the youth s voices and make it a clear in this our world. This can be the way for adult writers to become an ethical subject through writing and facing the Others in our society.

      • KCI등재

        이현주 아동서사문학에 나타나는 강압적 질서에 대한 저항과 대안적 사유 -『웃음의 총』과 『알게 뭐야』를 중심으로-

        박성애 ( Seong Ae Park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1

        이 논문의 목적은 이현주의 『웃음의 총』과 『알게 뭐야』를 중심으로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기, 외부의 강압적 질서에 저항한 아동문학적 사유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찾는 데에 있다. 이현주는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아동서사문학을 창작해 왔으며, 그의 초기 작품들은 현재에도 교과서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읽히고 있지만, 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현주는 ‘생명’에 대한 사유를 통해,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들에 대해 시대별로 다르게 읽고 해석, 적용할 수 있는 텍스트를 생산해왔다. 그의 초기 작품집인 『웃음의 총』과 『알게 뭐야』에는 당대의 현실에 대한 분명한 비판의식이 드러나는데, 그것은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이데올로기의 내용과 형식에 대한 비판으로 나타난다. 즉, 『웃음의 총』과 『알게 뭐야』에는 억압적인 정치·경제·사회적 현실에서 이분법적인 이데올로기를 강요받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겨있으며, 작가는 이에 대한 대응방식으로 강요된 선택에 대해 ‘하지 않음’을 통해 행동함, 그리고 법과 규범 이전에 먼저 존재하는 ‘벌거벗은 생명’으로 존재할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작가는 강압적이고 이분법적인, 그리고 일방적인 이데올로기에 대해 아동이 아동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 새로운 세계, 곧 잠재성의 공간을 여는 일임을 역설한다. 더불어 이 텍스트들은 인간 근원의 ‘생명’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독자들이 그들의 현재적 문제를 비판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힘이 있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resistance and the alternative to the coercive order in the 1960-70``s focused on 『the gun made laughter』, 『who care?』. Hyunju Lee has written children literature for more than 40 years and his early works has been read by children consistently through the textbook and other books, but his works was not studied enough. Hyunju Lee criticized for the reality of the day that enforced one-way ideology on people in 『the gun made laughter』, 『who care?』. He described people who suffered under the distorted political situation. He suggested an ethics of ‘preferring not to do’ and being to ‘bare Life’ for the response to the distorted reality instead of choosing the given ideology. He said these would make ‘the virtuality space’ in the reality.

      • KCI등재

        이광수 소설에 나타나는 사제관계의 윤리성 : 『사랑』을 중심으로

        박성애(Park, Seong-ae)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70 No.-

        이광수는 소설쓰기를 통해 계몽을 실천하고자 하였던 작가이다. 그의 소설 속 인물들은 자주 계몽의 주체와 대상으로서 교사와 제자의 관계(사제관계)를 맺는다. 본고의 목적은『사랑』을 중심으로 이광수 소설에 나타나는 주체와 대상의 관계, 즉 인물들의 사제관계에서 발생하는 욕망의 양상을 살피고, 주체와 타자의 나타남에 대해 고찰하여, 그 윤리적 의 미를 타자윤리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에 있다.『사랑』에서 안빈은 개인으로서 완벽한 윤리를 구현하는 인물로, 타자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여기고 가르친다. 그러나 완벽한 안빈의 모습은 그에게 교육받은 인물들의 자발적 희생에 의해서만 유지될 수 있다. 곧 교육을 매개로 하는 주체와 타자의 관계(사제관계)에서 주체인 안빈의 욕망을 자신의 것으로 여기고, 그의 욕망을 욕망하는 인물들에 의해 지켜지는 것이다. 이러한 타자들의 희생을 통해『사랑』에서 안빈의 완벽함은 지켜질 수 있었으나, 순옥, 인원, 옥남 등 타자적 인물들은 안빈의 욕망을 욕망함으로써 그와 동일화 되고, 결국 자신의 개성과 ‘물질성’을 상실하게 된다.『사랑』의 이러한 결말은 비록 교육주체가 그 자체로 완벽하게 윤리적인 인물이라 하더라도, 타자윤리의 실천 없이는 타자의 소멸을 불러올 수밖에 없다는 것을 증명한다. 즉, 교육을 실천하는 주체가 완전함에 가깝다하더라도, 타자(교육대상)가 주체에게 완전한 “외재성의 존재”라는것을 망각한다면, 주체가 속한 세계에서 타자(교육대상)는 사라지고, 주체만이 홀로 남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안빈이 교육주체로서 완전한 윤리를 이루려하면 할수록, 주변 인물들은 안빈 속으로 소멸되고, 복제된 안빈의 모습으로만 살아가게 된다. 이는 곧『사랑』의 내적 윤리에 타자 윤리가 부재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광수는 현실세계에서 존경받는 교사였고, 그의 독자들은 교육의 대상이었다. 따라서『사랑』의 교육주체와 대상의 관계는 현실세계에서도 흡사하게 반복될 수 있다. 그러나 당시의 현실에서 작가는 또한 절대주체인 일본에 대해 타자였기에, ?사랑?의 논리대로 타자의 소멸이 정당화 된다면, 일본에 대해 작가 스스로 자신을 주장하지 않음도 정당화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교육주체가 타자를 소멸시키지 않는 주체이자, 교육의 대상에 대해 동일화될 것을 요구하지 않는 주체로서 윤리적인 주체가 되려면, 즉 주체가 타자윤리를 지킬 수 있으려면, 완전한 교육주체가 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미숙하더라도 스스로 회의하는 주체여야 한다. 자신의 열정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대한 끝없는 회의가 사라진다면, 그 교육주체의 완전함은 결국 타자인 교육 대상들의 연쇄적 소멸을 낳고 주체 스스로에게는 열정 대신 피로를 안길 것이기 때문이다. Lee Kwang-su was a writer who tried to practice an enlightenment by writing. Characters are structurized by relations of teacher(an educational subject) and pupil(a n educational object) through an enlightenment in his works. In this way, An Bin is a perfect educational subject morally and other characters become educational objects voluntary in Sarang. But An Bin can maintains his perfection only by the sacrifice of his pupils. An bin's pupils, educational objects take An Bin's desire to their things and they desire his desire. Therefore An Bin's perfection can be keep by the others in Sarang and educational objects become identified with An Bin. It means the others lose their individuality by An Bin's teaching. It shows that even though the educational subject is a perfect being morally, the others are disappear without ‘the Ethic of the Other’. Because the other is an external existence against the subject. Lee Kwang-su was an educational subject and the readers were educational objects in the real world. Therefore relations between an educational subject and object of Sarang are repeated in Korea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f disappearance of the other could be right, it could be also justified that Lee Kwang-su was disappeared because he was the other of the absolute subject, Japan. When the subject doubts himself, the educational subject can be an ethic subject. If they do not doubt their desire, the perfection of the subject makes the others disappeared.

      • KCI등재

        아동문학의 가족 담론과 경계적 사유 고찰

        박성애 ( Park Seong-ae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9 한국문학연구 Vol.0 No.61

        이글의 목적은 한국아동서사문학에 나타난 ‘정상가족’ 담론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정상가족 너머 ‘다양한 가족’의 가능성과 그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법적 부부와 그 자녀로 이루어진 혈연 공동체로서의 가족이라는 ‘정상가족’ 담론 하에서는 ‘정상’의 형태 유지를 위한 가족 구성원의 희생이 당연시 된다. 또한 ‘정상가족’에 포함되지 않는 이들은 박탈감을 느끼게 된다. 현실에서 ‘정상가족’의 형태가 급속도로 와해되어가고 있는 요즘, 아동 독자에게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긍정적으로 제시하는 일은 시급한 과제이다. 혈연이라는 폐쇄성을 뛰어넘고 부모와 자녀라는 틀에서 자유로워질 때에 다양한 모습으로 서로를 지지하며 살아가는 ‘다양한 가족’에 대한 이해와 인식도 더욱 높아질 것이다. 『뺑덕』과 『섬마을 스캔들』은 이러한 ‘정상가족’ 담론의 폭력성과 그 경계를 사유한 작품이다. 『뺑덕』이 ‘정상가족’ 담론의 문제점을 가족을 위해 희생되는 여성인물을 통해서 보여주었다면, 『섬마을 스캔들』은 혈연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순수한 관계’로서의 공동체를 그려 보임으로써 대안적이며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드러내었다. 두 작품은 모두 ‘혈연 공동체’가 아닌 ‘생활 공동체’로서의 가족을 긍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대안 가족의 특성은 ‘주변성’과 ‘책임성’이다. 생활공동체로서의 가족은 타자적 구성원의 일방적 희생이 아니라, 구성원 모두의 자발적 책임으로 유지된다. 『뺑덕』의 중심인물인 병덕은 혈연으로 맺어졌으나 가족으로 받아들이기 힘들었던 엄마를 ‘생활 공동체’ 속에서 함께 생활한 이후에 가족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섬마을 스캔들』의 다율은 아무런 혈연관계가 없는 공동체 구성원들과 자발적 책임의 관계를 맺으며 진짜 가족이 되어간다. 그리고 이들은 서로에 대한 상호의존성으로 서로를 양육하고 지역공동체를 가족으로 여긴다. 이처럼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서 정상가족 너머를 사유하는 것은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긍정하는 일이자, 가족 구성원 간의 동등한 관계를 가능하게 하고, 정상의 경계를 넘어 새로운 가족의 도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Normal Family’ discourse and to study the Various Family in the recent children's literature. The family is a community of blood relation in the ‘Normal Family’ discourse. Under this perceptions, sacrifice of a family member for maintenance of normal family is taken for granted. It also makes some people who can not belong to normal family feel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as their own family. Nowadays, the family pattern is getting changed, so it is very urgent for children's readers to present various family as positive perspectives. When we overcome the closedness of blood and become free from the nomal family discourse, we will understand better the various family that support each other in various ways. Writers of < Ppaengdeok > and < Island Village Scandal > think about this violence and the boundaries of the ‘normal family’ discourse. < Ppaengdeok > shows the problem of the ‘normal family’ discourse through the female characters sacrificed for the family and < Island Village Scandal > shows the Family as pure relationship that is not made up of blood relatives. These works contribute to reveal alternative and diverse forms of family. The writers of these works think positively the family as a ‘living community’ rather than the family as a community of blood rel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alternative families are ‘marginality’ and ‘responsibility’. The family as a living community is maintained by the voluntary responsibility of all the members not the one-sided sacrifice of the other members. Byeongdok of < Ppaengdeok > could accept her mother as a family after he had lived with her in the living community. Dayul of < Island Village Scandal > becomes a genuine family with the members of the Island community by a relationship of voluntary responsibility. The reason for thinking beyond the normal family at the border between normal and abnormal is to make various family that enable equal relations between family members instead of sacrifice within the family be positive.

      • KCI등재

        청소년소설에 나타나는 타자성의 공간과 타자의 존재 방식 - 『아몬드』와 『산책을 듣는 시간』을 중심으로

        박성애(Park, Seongae),윤상용(Yoon, Sangyong) 중앙어문학회 2020 語文論集 Vol.84 No.-

        청소년소설은 성인작가가 미성년 독자와 그 세계에 대해 이야기하는 타자의 문학이다. 이러한 장르적 특징으로 인해 청소년소설에서는 성인작가의 타자윤리가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주체의 세계에서 타자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 타자성’이 되거나 완전히 이해되지 않는 어떤 ‘그늘을 남기는 말’이 되기 쉽다는 것에 주목하여 작가들의 타자윤리가 어떻게 발현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이 사회의 이중적 타자인 장애청소년의 타자성을 보여주는 청소년소설, 『아몬드』와 『산책을 듣는 시간』을 분석하면서 중심세계에서 타자적 청소년의 목소리가 존재하는 양상과 타자성의 발현 양상을 그들의 공간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세계의 중심은 주체에 의해 전유되므로 중심세계에 진입하는 순간 타자적 존재는 그의 타자성을 분명히 느끼게 되고 타자의 위치에 서게 된다. 『아몬드』와 『산책을 듣는 시간』에서 타자의 말은 주체의 지식 속에서 왜곡된 채 그늘을 남기고 중심세계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 이들은 중심세계에 있지만 있지 않은 존재가 되어 지속적으로 배제된다. 이에 작품의 중심인물들은 ‘타자적 인물들의 함께 머물기’를 통해 타자성의 공간을 중심 세계에 드러내고 타자성을 품고 살아간다. 타자성의 존재가 타자들의 ‘함께 머물기’를 통해 중심 세계에 존재할 수 있다면, 중심세계의 주체에게는 ‘듣기의 윤리’가 요구된다. 이 윤리적 행위로서의 듣기는 타자의 말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고, 그늘을 남기고 있음을 이해할 때 실천될 수 있다. 청소년소설의 작가는 성인주체로 타자인 청소년의 말을 그 작품에 담기 때문에 무엇보다 타자의 목소리를 듣는 것에 충실할 필요가 있다. 『아몬드』와 『산책을 듣는 시간』은 1인칭 주인공 시점을 사용하는데, 이는 말하는 이의 경험과 내면을 드러내는 데에 효과적이다. 『아몬드』와 『산책을 듣는 시간』의 작가들은 장애청소년의 목소리를 듣고, 최대한 그들의 목소리와 가깝게 표현되도록 1인칭 시점으로 서술함으로써, 이중의 타자인 장애청소년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자 한다. Youth novels are the literature of the other in which adult writers talk about the world with youth readers. Therefore, in youth novels, the ethics of the other of adult writers is required because the voice of the other, who is a youth reader, is mediated by the adult subject of the writ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the ethics of the other are expressed by noting that the voices of the other are easy to become "inaudible otherness" in the subject"s world or to become some kind of "a word that leaves a shade" that is not fully understood. To this end, this paper analyzes youth novels, Almond and Time to listen to a walk , which show the otherness of the disabled youth, the dual other in this society, and the aspect of existence of the voice of the other youth in the central world and the expression of the otherness focusing on their space. The center of the world is possessed exclusively by the subject, so the moment the center appears, the other"s existence clearly feels his otherness and stands in the position of the other. In Almond and Time to listen to a walk, the words of the other remain distorted in the subject"s knowledge and are not properly conveyed to the central world. They become those who exist in the central world but are not, and are constantly excluded. Accordingly, the main characters of the work expose the space of the otherness to the central world and live with the otherness through “staying with the characters in the other’s position,” If the existence of the otherness can exist in the central world through the “staying together” of the others, then the subject of the central world is required the “ethic of listening”. This ethic of listening can be practiced when we understand that the other"s words are not fully communicated and that they are leaving a shadow. The author of a youth novel is an adult subject and contains the words of other youth in his work, so it is necessary to be faithful to listening to the voices of the other above all else. Almond and Time to listen to a walk are described from the first-person narrative. The first-person narrative is effective in revealing the speaker"s experience and inner self. The authors of Almond and Time to Hear a Walk try to effectively convey the voices of the disabled youth, the dual other, by listening to the voices of disabled youth and describing them from a first-person narrative so that they are expressed as close to their voices as possible.

      • KCI우수등재

        4년제 간호대학(과) 간호관리학 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향

        박성애(Sung Ae Park),이향련(Hyang Yeon Lee),강경아(Kung Ah Kang) 한국간호행정학회 2005 간호행정학회지 Vol.11 No.3

        To describe the status on the education of the nursing management practice in college of nursing in Korea. Method: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47 of the college of nursing across the n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from 15th August to 10th November, 2005. Resul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In content analysis of teaching goals Nursing Management Process(n=66), management of environment, material and safety(n=16), Implication of Nursing Management Theory(n=16) were identified, 2, In 39 college of nursing, The education on Nursing Management Practice conducts 1-2 credits. Also in 41 college of Nursing, The credits on Nursing Management Practice were opened in senior grade, 3, the type of instructors of Nursing Management Practice were varied in Nursing Schools, 4. As teaching methods, conference (93.5%), ward assigned instruction (73.9%), case report (67.4%), practice report (63%), presentation (52.2%) were used. 5. The education on Nursing Management Practice was performed mainly in clinical nursing area. 6. In evaluation of the education on Nursing Management Practice, all colleges have used evaluation tools. Promptness, neatness, responsibility, sincereness etc. were founded in evaluation criteria in evaluation of the education on Nursing Management Practice. 7. A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included essential content of the education on Nursing Management Practice needs to be developed.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education on Nursing Management Practice and also proposing to develop standardized evaluation tools in evaluation of the education on Nursing Management Practice.

      • SSCI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