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래턱 어금니 부위에서 임프란트의 볼혀쪽 식립 방향

        박찬우(PARK Chan Woo),박광범(PARK Kwang Bum),박국필(PARK Kuk Pil),인혜정(IHN Hye Jung),박매자(PARK Mae Ja),김희진(KIM Hee Jin),배용철(BAE Yong Chul) 대한체질인류학회 1998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1 No.1

        아래턱 어금니 부위에서 임프란트의 볼혀쭉 식립 방향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해부학적 형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54개의 아래턱뼈를 한전 인상재로 음형 복제를 한 후, 각 큰어금니의 치아뿌리부에서 교합평면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아래턱뼈몸체, 치아머리 장축의 경사도, 턱목뿔근선의 위쪽 이를 및 아래쪽 턱뼈바닥부의 경사도, 길이 및 비율 그리고 턱밑샘오목의 깊이를 계측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l 아래턱뼈몸체, 치아머리 장축의 경사도, 턱목뿔근선의 위쪽 이틀 및 아래쪽 턱뼈바닥부의 경사도는 어금니 부위 뒤쪽으로 갈수록 강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치아머리 장죽과 아래턱뼈몸체의 경사도에 대한 상관관계는 99% 신뢰도에서 가장 높았으며 (r_O 793), 치아 머리 장축이 아래턱뼈봉제 경사도에 비해서 첫째 큰 어금니 안쪽뿌리에서는 6 2 。’ 둘째 큰 어금니 안쪽뿌리에서는 7 6 。 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3 턱목뿔근선 위쪽 이틀의 길이는 어금니 부위 뒤쪽으로 갈수록 감소하였으나 아래쪽 턱뼈바닥부의 길이는 증가 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위쪽 이틀에 대한 아래쪽 턱뼈바닥부의 비용은 어금니 부위 뒤쪽으로 갈수록 증가 하였다. 4 턱밑샘요목의 깊이는 어금니 부위 뒤쪽으로 갈수록 오목함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아래턱 큰 어긍니 부위에서 임프란트의 볼혀쪽 식립 방향은 발치 후 이틀의 흡수가 거의 진행되지 않고 치유된 발치와인 경우에는 납형 제작원 치아머리 장축에 비해 첫째 큰 어금니 안쪽뿌리에서는 6 2 。들째 큰 어금니 안쪽뿌리에서는 7 6 。 정도 혀쪽으로 기울여야 혀쪽 천공이 없이 파노라마 사진에서 설정된 임프란트의 길이 대로 안전하게 식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흰쥐 삼차신경감각핵에서 $P2X_3$와 TRPV1의 공존에 관한 연구

        문용석,류창현,조이슬,김홍태,박매자,백상규,문제일,김윤숙,배용철,Moon, Yong-Suk,Ryoo, Chang-Hyun,Cho, Yi-Sul,Kim, Hong-Tae,Park, Mae-Ja,Paik, Sang-Kyoo,Moon, Che-Il,Kim, Yun-Sook,Bae, Yong-Chul 한국현미경학회 2008 Applied microscopy Vol.38 No.3

        삼차신경계에서 $P2X_3$와 TRPV1 면역양성 일차들신경섬유는 통각정보의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삼차신경절 및 삼차신경꼬리핵에서 $P2X_3$와 TRPV1 면역양성 신경세포의 형태학적 특성 및 투사양식을 이해하기 위하여, 흰쥐 삼차신경절 및 삼차신경꼬리핵에서 $P2X_3$와 TRPV1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형광면역염색법 및 형태계측학적인 기법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2X_3$ 면역양성 신경세포중 77.4%의 신경세포에서 (1,401/1,810) TRPV1이 동시에 발현되었으며, TRPV1 면역양성 신경세포중 51.9% (1,401/2,698)의 신경세포에서 $P2X_3$와 공존을 보였다. $P2X_3$와 TRPV1에 동시에 면역양성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는 중간크기의 신경세포에서 주로 관찰되었으며, $P2X_3$ 혹은 TRPV1 면역양성 신경세포중 아주 작거나 큰 신경세포에서는 공존하지 않았다. 삼차신경꼬리핵에서 $P2X_3$ 면역양성 신경섬유 및 신경종말들은 제1층과 제2층에 분포하는데 주로 제2층의 안쪽부위에서 밀도가 높게 관찰되었으며, TRPV1 면역양성 신경섬유 및 신경종말들은 제1층과 제2층의 바깥쪽에서 밀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P2X_3$와 TRPV1이 공존하는 신경섬유 및 신경종말들은 제2층의 안쪽과 바깥쪽의 경계부위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P2X_3$와 TRPV1을 동시에 발현하는 신경세포는 구강안면영역에서 통각정보의 처리에 독특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Trigeminal primary afferents expressing $P2X_3$ or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TRPV1) are involved in the transmission of nociceptive information. In order to characterize $P2X_3$- and TRPV1-immunopositive neurons in the trigeminal ganglion (TG) and trigeminal caudal nucleus (Vc), we performed immunofluorescence experiments using anti-$P2X_3$ and anti-TRPV1 antisera and a morphometric analysis. 77.4% (1,401/1.801) of all the $P2X_3$-postive neurons coexpressed TRPV1 and 51.9% (1,401/2,698) of all the THFV1-immunopositive neurons also costained for $P2X_3$ in the TG. Immunoreactivity for both $P2X_3$ and TRPV1 were present in medium-sized neurons but not in small- and large-sized neurons. $P2X_3$ and/or TRPV1-immunopositive fibers were observed in the primary afferents and their associated axons in the Vc. These fibers and terminals were distributed in the superficial lamina of Vc: $P2X_3$-immunopositive fibers and terminals were distributed in the lamina I and II, expecially in the inner part of lamina II (lamina IIi), whereas TRPV1-immunopositive ones were densely detected in the lamina I and outer part of lamina II (lamina IIo). Immunopositive fibers and terminals for both $P2X_3$ and TRPV1 were observed on the border between lamina IIi and IIo.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rminals coexpressing $P2X_3$ and TRPV1 are involved in specific roles in the transmission and processing of orofacial nociceptive information.

      • KCI등재

        치아인대깨물근반사에 관여하는 치아인대유래 들신경섬유종말의 정량적 분석

        박국필(Kuk-Pil Park),공정욱(Jeong-Uk Gong),이청희(Cheong-Hee Lee),조광헌(Kwang-Heon Jo),박매자(Mae-Ja Park),배용철(Yong-Chul Bae) 대한해부학회 2003 Anatomy & Cell Biology Vol.36 No.1

        치아인대깨물근반사 (periodontal masseteric reflex)에 관여하여 씹는 힘을 조절하는 신경회로에서 치아인대로부터 입력되는 감각정보가 처리되는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고양이의 치아인대유래 들신경섬유를 축삭내 horseradish peroxidase 주입법을 이용하여 동정한 후 전자현미경용 절편을 제작하였다. 그 후 삼차신경운동핵에서 39개의 표식종말을 대상으로 연속절편을 형성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사진을 찍어 화상분석장치를 이용하여 종말의 형태계측학적 분석을 행하였다. 표식종말은 대부분이 둥근모양 혹은 둥근지붕(dome)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분석한 표식종말의 53.8%가 가지돌기 몸체 혹은 먼쪽 가지돌기와만 연접을 이루었으며, 나머지 표식종말 (46.2%)은 p-ending으로부터 연접신호를 받는 것으로 나타 났다. 표식종말의 상당수 (64.1%)가 1개 혹은 2개의 가지돌기 혹은 축삭종말과 연접을 이루어 대단히 단순한 연접양상을 보였고 5개 이상의 가지돌기 혹은 축삭종말과 연접을 이루는 경우(2.6%)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표식종말의 부피, 함유 사립체의 체적, 인접면적, 활성부위면적 등은 매우 다양한 값을 나타내었고, 이들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량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변수 (parameter)들은 종말의 체적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p-ending과의 연접에 있어서 인접면적, 활성부위의 면적 등은 가지돌기와의 연접에 있어서 인접면적, 활성부위의 면적 등에 비해 편차가 적었으며, 표식종말의 체적과도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치아인대깨물근반사에 관여하는 치아인대유래 들신경섬유종말은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와 관련된 세포소 기관들에 있어서 고유의 정량적 특징을 나타내었고 각 종말은 연접이후 운동신경세포에 대해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Little is known about processing mechanism of sensory input from the periodontal ligaments to the trigeminal motor nucleus for the control of chewing force and modulation of chewing pattern. Low threshold mechanoreceptive periodontal afferent was labeled with horseradish peroxidase by use of intra-axonal injection technique and investigated with electron microscopy. Quantitative ultrastructur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39 serially reconstructed labeled boutons in the trigeminal motor nucleus in cat. Labeled bouton contained clear spherical vesicles and one or two large dense cored vesicles. Most of labeled boutons were dome or round shape. All the analysed labeled boutons were presynaptic to dendritic shaft or distal dendrite and those presynaptic to soma or proximal dendrite were not observed. A large number of labeled boutons (46.2%) were postsynaptic to one or two presynaptic pleomorphic vesicle containing endings. Synaptic triad, in that a presynaptic ending which is presynaptic to the labeled bouton, in turn, is presynaptic to dendrite that is postsynaptic to the labeled bouton, was observed in 10.3% of the labeled boutons. Most of the labeled boutons showed simple synaptic organization, in that 64.1% of the labeled boutons made synaptic contacts with one or two neuronal profiles. One (2.6%) of the 39 analyzed labeled boutons showed synaptic contacts with 5 or more neuronal profiles. Labeled bouton volume, mitochondrial volume, apposed surface area and active zone area showed wide variation. These ultrastructural paramet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outon volume. The values for apposed surface area and active zone area with presynaptic p-endings, in contrast to those with postsynaptic dendrites, showed narrow range and had little correlation with bouton volume. The present study revealed characteristic features on ultrastructural parameters of labeled boutons from periodontal afferent which is involved in periodontal masseteric reflex, and that influence on the postsynaptic trigeminal motoneurons showed wide variability.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후보

        Colocalization of ANG II and mRNA for the Renin-Angiotensin System Components in Cultured Rat Glomerular Epithelial and Mesangial Cells

        이원정(Won-Jung Lee),고철우(Chul-Woo Ko),박매자(Mae Ja Park)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2

        안지오텐신 II는 혈액 내의 레닌-안지오텐신계에서 생성되어 순환계를 통해 작용할 뿐 아니라, 다양한 조직에서 독자적 인 레닌-안지오텐신계에 의해 생성되어 국소적인 파라크린이나 오토크린으로 작용함이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구체 상피세포와 혈관사이세포 내에 레닌-안지오텐신계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쥐에서 분리하여 배양한 사 구체 세포 내에 안지오텐신 II의 분포는 면역염색 법으로 확인하였고, 레닌-안지오텐신계 구성인자들의 유전자 발현은 RT-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안지오텐신 II에 특이적인 항체를 사용하여 형광염색한 결과, 안지오텐신 II가 사구체 상피세포와 혈관사이세포의 세포질 내에 분포하였다. 또한 RT-PCR 결과, 레닌, 안지오텐시노겐, 안지오텐신 수용체 아형인 1A와 1B의 유전자가 모두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사구체 상피세포와 혈관사이세포에서 모두 레닌-안지오텐신계 구성인자들이 발현되어 안지오텐신 II를 생성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주고 있다. 사구체에서 서로 인접하여 존재하는 두 가지 세포에서 각각 생성되는 안지오텐신 II의 생리적인 중요성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Mesangial cells are found to have renin and angiotensin II-AT1 receptors, but the presence of other components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and production of angiotensin II within the cell have not been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components in the glomerular epithelial cell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We studied expression of each component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in primary cultured rat glomerular epithelial cells and mesangial cells. We assessed mRNA expression by RT-PCR and the presence of angiotensin II by immunocytochemistry. Both cultured glomerular epithelial cells and mesangian cells expressed mRNA for components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such as renin, angiotensinogen and angiotensin II type 1A and 1B receptor subtypes. Immunocytochemical studies with specific antibody for angiotensin II demonstrated significant immunoreactivity in both glomerular epithelial cells and mesangian cells. These results, for the first time, provide direct evidence that both the glomerular epithelial cells and mesangian cells contain a complete renin-angiotensin system and generate angiotensin II with intracellular mechanism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fine the subcellular localization of angiotensin II with electron microscopy and to elucidate the physiological importance of the intracellular reninangiotensin system.

      • KCI등재후보

        BMP 신호 하부 인자인 PV.1 단백질의 결합 단백질 동정

        황유석(Yoo-Seok Hwang),채정필(Jeong-Pil Chae),김동선(Dong-Sun Kim),박권무(Kwon Moo Park),배용철(Yong Chul Bae),박매자(Mae Ja Park) 대한해부학회 2007 Anatomy & Cell Biology Vol.40 No.3

        척추동물에서 BMP의 배(ventral)쪽 신호 전달 경로의 하위에 있는 전사조절인자들은 등배(dorsalventral)쪽 축을 따라 형성되는 중배엽에 있어서도 그 기능을 공유 한다는 것이 보고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BMP 신호 물질의 하위 유전자인 PV.1 단백질이 배쪽과 등쪽에서의 신호전달에 있어서 차별적 기능을 알기 위하여 PV.1과 상호 결합하는 단백질을 검색하였다. 효모 이중 접합법을 이용하여 24개의 PV.1 결합 단백질을 검색하였고, 이중 결합하는 Xvent-2와 Xclaudin-6에 대한 PV.1 단백질의 도메인(domain) 연구를 하였다. PV.1 단백질의 C-terminus인 197-241 지역이 Xclaudin-6와 결합하는 반면에 Xvent-2는 PV.1 단백질의 C-terminus 전반에서 결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V.1과 결합하는 Xvent-2는 동형 이중 결합(Homodimerization)뿐만 아니라 PV.1과 결합하는 Xclaudin-6과도 이형 이중 결합(Heteodimerization)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Homeodomain transcription factors functioning downstream of BMP ventral pathway have been reported to share similar domain of roles in mesoderm patterning along the dorsal-ventral axis. To elucidate the differential role of PV.1 in the aspect of relationship between dorsal and ventral region, we tried to screen PV.1- interacting proteins. Twenty-four PV.1-interacting proteins were identified by yeast two-hybrid screening. Xvent-2 and Xclaudin-6 among these, went under domain study. The C-terminus of PV.1, more specifically 197-241 region was found to interact with Xclaudin-6. Meanwhile Xvent-2 has mild affinity to overall C-terminal region of PV.1. At the same time it was found that Xvent-2 homodimerizes and also binds to Xclaudin-6.

      • KCI등재후보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the Xbr-1a/Xvent-2 Gene by BMP-4 Signaling during Xenopus Embryonic Development

        김재봉(Jae-bong Kim),이효상(Hyo-sang Lee),노동현(Dong-Hyun Roh),황유석(Yoo-Seok Hwang),Ren-He Xu, Hsiang-Fu Kung, Yong-Chul Bae, 박매자(Mae-Ja Park) 대한해부학회 2000 Anatomy & Cell Biology Vol.33 No.5

        BMP-4 signaling is mediated through Smad proteins which may translocate to the nucleus to activate transcription. Little is known about how BMP-4 signaling regulates the transcription of its target genes, e.g., Xvent genes. Therefore, we isolated the genomic clone of a BMP-4 responsive homeobox gene, Xbr-1a/Xvent-2. This clone contains a promoter and three exons for the entire coding region. Using the primer extension, we identified the transcription initiation site corresponding to position -64 bp upstream to the ATG codon of the Xvent-2 gene. The promoter was linked to the luciferase reporter gene, and promoter activity determined by luciferase assay. The temporal promoter activity peaked between embryonic stages 13~17, in agreement with its temporal mRNA expression in the whole embryo. Through the serial deletion mutation, the upstream -235 bp of the promoter retains the full transcriptional activity, and is regulated by BMP-4 signaling. Th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the BMP-4 responsive element is located on the upstream 235 bp of the promoter. BMP-4의 세포 내 신호전달은, Smad 단백질이 세포핵내로 이동하여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자극하는 과정에 의하여,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BMP-4가 자신의 표적유전자 중의 하나인, Xvent유전자의 전사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실험실에서는 BMP-4 responsive homeobox 유전자인, Xbr-1a/Xvent-2의 genomic clone을 분리하였으며, 이렇게 분리된 clone에는 promoter와 coding region의 전부위에 해당하는 세개의 exon이 들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primer extension 실험결과, 전사시작 지점이 Xvent-2 유전자의 ATG 코돈에서 상류쪽 -64 bp이란 것을 알 수 있었다. Promoter 부위를 luciferase reporter 유전자에 연결한 다음, promoter 활성을 luciferase assay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Promoter 활성은, 개구리 배자에서의 Xvent-2 유전자의 mRNA 발현양상과 비슷하게, 13~17 배자기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serial deletion mutation실험을 통하여, promoter 부위의 -235 bp 부위에서 BMP-4/Smad1에 의하여 조절되는, 완전한 전사활성이 관찰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Xbr-1a/Xvent-2유전자의 promoter부위에서, 상류쪽 -235 bp 부위에 BMP-4 response element가 존재한 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Xenopus laevis 초기 발생 단계에서 Xsui1유전자의 Functional Cloning과 FGF 신호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이재희(Jae-Hee Lee),이정숙(Jung-Sook Lee),임수경(Soo-Kyung Lim),문진수(Jin-Soo Moon),이재용(Jae-Yong Lee),박재봉(Jae-Bong Park),김종일(Jong-Il Kim),박매자(Mae-Ja Park),김재봉(Jaebong Kim) 한국실험동물학회 2004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20 No.1

        We isolated Sui1 gene from Xenopus cDNA library using functional cloning method. The morphology of Sui1 injected embryo was very similar with dominant negative FGF receptor injected embryos. The Sui1 gene encodes a highly conserved, translation initiation factor interacting with eukaryotic initiation factor 2 (eIF2). We found that Sui1 might be involved in FGF signaling which is essential for the trunk and tail mesoderm formation in Xenopus development. In animal cap received Sui1/CSKA-eFGF co-injection, the expression of GATA2 that normally diminishes in high CSKA-eFGF concentration was markedly increased, whereas the expression of Xbra that is enhanced by CSKA-eFGF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ddition, we measured the AP-1 reporter gene activity, FGF downstream target gene, to see whether Sui1 affects FGF signaling. Sui1 injection leaded to decrease in AP-1 reporter gene activity in animal cap explants. In addition, this decrease was more pronounced in the Sui1/ CSKA-eFGF/AP1 reporter injected animal caps when compared with CSKA-eFGF/AP-1 reporter injected on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Sui1 may be involved in the control of the FGF signaling during the early development of Xenopus embryos.

      • 흰쥐 척수 및 등뿌리신경절에서 Tyrosine Hydroxylase 함유구조물의 분포

        박매자,배용철,조희중,김지윤,김용주,김지윤 경북대학교 병원 1998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2 No.1

        정상 흰쥐의 각 분절별 척수 및 등뿌리신경절에서 catecholamine 함유구조물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tyrosine hydroxylase(TH)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H 함유신경세포는 목척수분절과 엉치척수분절에서 관찰되었다. 목척수분절의 TH 함유신경세포는 첫째와 둘째 목척수분절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신경돌기가 잘 발달된 다각형의 세포인 것으로 보아 이들은 뇌줄기의 TH 함유신경세포군이 목척수분절로 연장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엉치척수분절에서 관찰되는 대부분의 TH 함유신경세포는 세포돌기가 보이지 않고 세포체부분만 면역염색되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퇴화단계의 세포인 것으로 생각된다. TH 함유신경섬유는 척수의 모든 분절에서 관찰되었으며 이들 TH 함유신경섬유가 각 척수분절의 등뿔보다 배쪽뿔과 중간뿔에서 훨씬 높은 밀도로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catecholamine은 척수에서 체성감각뿐만 아니라 자율신경계 및 운동신경계의 조절에 관여하리라 생각된다. 등뿌리신경절에서 관찰되는 TH 함유신경세포는 척수의 엉치분절에서 관찰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세포돌기가 거의 보이지 않고 세포체부분만 염색되어 보였다. 또한 등뿌리 신경절의 TH 함유신경섬유는 혈관의 벽을 나선형으로 감고 돌아가는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어느 것도 등뿌리신경절의 신경세포와 연관되어 관찰되지는 않았다. 이로 보아 정상 쥐의 등뿌리신경절에서 catecholamine은 신경세포 사이의 신경전달이나 졸절보다는 신경절 내의 혈류조절과 관계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With the aim of gaining more insight into the catecholaminergic system in the nervous system of the rat, we have studied the precis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tyrosine hydroxylase immunoreactive (TH-IR) fibers and soma in the spinal cord and dorsal root ganglion. In the dorsal root ganglion (DRG) TH-IR fibers were observed to run along the vessel wall, spirally and not found in the neural tissue itself. A few TH-IR fibers were found in the spinal nerve, not in the ventral root. Many TH-IR neurons were distributed in the L3, 4, 5, and 6 DRG but none of them were found in the other DRG segments. In the spinal cord, TH-IR fibers have shown sparse distribution all over spinal cord but relatively dense distribution in the ventral hom, intermediolateral column, lamina I of the dorsal horn of the cervical, lumbar, sacral, and coccygeal segment. TH-IR neurons were found in the interrmediolateral column, dorsal gray commissure, dorsal horn of the C1 and C2 segments and S1-4 segments. TH-IR neurons in the cervical segments were polygonal or spindle shaped with well developed processes. In contrast to this, TH-IR neurons in the sacral segments were oval or spindle shaped withe no processes. In conclusion, neurons in the DRG were not influenced by catecholaminergic nervous input. Intrinsic catecholaminergic nervous systems were found in both of spinal cord and DRG.

      • 韓國人 學生의 腦機能 優勢(Cerebral Dominance)와 손잡이(Handedness)의 傾向

        박창근,김은희,박매자,배용철,홍해숙,조희중,주강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0 慶北醫大誌 Vol.31 No.4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pecialization of brain functions, the distribution of handednes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erebral dominance and handedness. This was surveyed with the samples of 1,302 Korean boys and girls attending in junior high school and senior high school, residing in Taegu city. In this study, Alfred W. Munzert's questionnaire and Tames Bliss & Joseph Morella's questionnaire were used as the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thend of cerebral dominance and handednes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Out of the total number of 1,302 examined, 73.7% of them were regarded as right hemisphere dominant type and 12.6% of them were regarded as left hemisphere dominant type. In right hemisphere dominant type, students of junior high school were higher incidence than senior high School. In bilateral and left hemisphere dominant type, students of senior high school were higher incidence than junior high school. In right handers most of them were right hemisphere dominant type. In left handers, most of them were right hemisphere dominant type and the incidence of boys were higher than gir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