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임계수 처리에 의한 인삼 중 진세노사이드 변화특성

        민준홍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물은 가장 친숙한 식품가공에 있어서 안전한 용매이면서, 매우 간단한 분자 구조를 가지는 용매로써 실생활 추출 공정 및 모든 화학 공정에 많이 사용되는 물질 중의 하나기도 하다. 초임계수(Supercritical Water) 및 아임계수(Subcritical Water)를 이용한 화학반응 및 분리 공정에 대한 연구는 미국, 일본 등의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그 응용분야도 기존의 방법으로 분리하기 어려운 고농도의 폐수 처리, 화학반응 및 재료공정 등으로 급속히 확대되고 있고 추출 및 정제도 진행되고 있다. 임계점 이상의 초임계수는 부식성이 증가하여 추출용기가 서서히 파괴되는 원인이 되며, 열적으로 불안정한 몇몇 유기물에 대한 추출이 어렵다. 하지만 아임계수를 이용한 유기물 추출을 이용한 가수분해는 식물에 단단한 조직을 끊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아임계 상태로 만들어 외부에서 인위적으로 ginsenoside의 가수분해에 필요한 산을 첨가하지 않으면서도 아임계 수의 산 촉매 활성을 이용하여 홍삼 특유의 성분인 ginsenoside Rg3, Rh2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인삼의 새로운 가공 실험에 관한 것이다.

      • 본초학 교재에 수록된 식물 약재 학명의 명명자 연구

        민준홍 東新大學校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식물의 명칭은 방언(dialect), 보통명(common name), 그리고 학명(scientific name)의 세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1) 식물에 대한 명칭을 부여하는 명명의 역사는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식용식물, 약용식물, 기호식물 등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식물들에 대한 명명은 자연의 개척으로 인해 명명해야할 식물 양의 증가로 인해 유사한 식물간의 명확한 구분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그 결과 명명의 보편적 체계인 학명이 만들어졌다. 학명은 屬名, 種名, 그리고 命名者로 이루어진다. 학명을 규정할 경우에는, 보통명과는 달리 명명에 충족되어야 하는 제반 필요사항들이 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국제식물명명규약(International Code of Botanical Nomenclature)의 절차에 따라야 한다.2) 학명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면, 먼저 특정 식물이 식물 채집가에 의해 발견되고, 이 식물을 압착해 건조하는 식물 표본의 형태로 과학적 기록을 남긴다. 이 과학적 기록을 토대로, 식물을 관찰하여 특성을 파악하고, 계통적 분류를 한 후, 이를 모두 아우를 수 있게 명명을 한다.3) 이것이 곧 명명자의 역할이며, 이 작업이 마무리되면 비로소 식물 목록에 등재된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명명자를 파악한다는 것은 곧 해당 식물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동양을 중심으로 수천 년동안 이루어진 약용식물에 대한 사용 및 연구에 대한 기록에서 본초학이 시작되었다. 오늘날 본초학에서 다루는 한약재들은 각각의 학명을 중심으로 한약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본초학에 대한 과학적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초학의 학문적 발달을 위해서는 본초학 속 약용식물의 학명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지금까지 약용식물의 학명에 대한 조사 연구는《本草學》에 수록된 약용식물의 屬名에 관한 어원 연구4),《本草學》에 수록된 약용식물의 種名에 관한 어원 연구5)가 보고되었다. 하지만, 아직 命名者에 대한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屬名, 種名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命名者에 대한 연구를 통해 命名者의 생애를 파악함으로써 학명이 명명되어지던 시대의 역사적 배경을 알고, 약용 식물의 명명 속에 담긴 이야기들을 살펴보는 것 또한 명명에 담긴 의미나 식물의 효능 파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저자는 한의과대학 교재인 <本草學>6)과 <臨床本草學>7)에 수록되어있는 식물성 한약재 학명의 命名者를 체계적으로 조사 분석함으로써 식물성 한약재에 대한 특성 파악과 교육 및 연구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보고하는 바이다.

      • 불확실성 평가를 위한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의 개발 및 확률론적 최적설계로의 적용

        민준홍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finds the optimal design taking input uncertainty in the system into account. Uncertainty assessment that quantifies output uncertainty caused by uncertain inputs is essential to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Therefore,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an uncertainty assessment method have a significant and direct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In this study, an efficient and accurate uncertainty assessment method, named adaptive dimensional decomposition (ADD), is proposed to evaluate the probabilistic properties such as statistical moments of system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a constraint for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such as reliability based design optimization (RBDO) and robust design optimization (RDO). Then, a unified framework for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including the proposed ADD method is developed and applied to RBDO, RDO and tolerance optimization to demonstrate the usefulness of the ADD method. The ADD method is based on the high dimensional model representation (HDMR) which represents a multivariate function using component functions. The ADD method modifies the second-order cut-HDMR to enhance efficiency without deteriorating accuracy. The ADD method does not include all the second-order effects (also referred to as interaction effects) in the HDMR, but includes som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from the viewpoint of the uncertainty assessment. This notable feature of the proposed method can provide more efficient and accurate results for the so-called high dimensional, expensive, and black-box problems with lots of interactions between input random variables. In this study, “random effect” (RE) that measures the relative effect of each random variable on the probabilistic properties of a performance function is devised, and a RE based combination rule which makes a reduced set of index pairs is proposed to identif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Also, a one-point checking scheme is presented to make sure that the significant interaction actually exists in the performance function, and mathematically proven in this paper. Additionally, a variable sampling method and a fixed sampling method are proposed for meta-modeling of the one- and two-dimensional component functions in HDMR, respectively. In the proposed method, once the meta-model based second-order cut-HDMR with som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s defined, the probabilistic properties are evaluated by the Monte Carlo simulation using Latin hypercube sampling.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five uncertainty assessment problems including mathematical, engineering and structural problems.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competing methods including UDR, BDR, FFMM, PCE, FORM and SORM in the literature. The comparison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method is more accurate than the UDR and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s. In this study, a unified framework for the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is developed. It includes: (a) an uncertainty assessment module using the proposed ADD method; (b) a probabilistic design sensitivity analysis module using the score function (SF) method; and (c) a gradient-based optimization module. The unified framework developed is applied to four RBDO problems, two RDO problems and one tolerance optimization problem, and optimization results obtained a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using a variety of other probabilistic optimization methods. For all seven probabilistic design optimization problems, the unified framework employing ADD method yields more accurate and/or efficient optimum solutions than those obtained by other probabilistic optimization methods. This demonstrates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ADD method to other competing methods. 확률론적 최적설계는 시스템의 입력에 존재하는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주어진 설계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설계안을 도출하는 방법론이다. 그리고 불확실성 평가 기법은 입력의 불확실성에 기인한 출력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확률론적 최적설계를 위한 필수적인 도구이다. 따라서 불확실성 평가 기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은 확률론적 최적설계 기법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의 관심응답에 대한 통계적인 모멘트와 설계 구속조건의 신뢰도를 포함하는 확률론적인 특성치들을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불확실성 평가 기법을 제안하였고,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이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기법이 신뢰도기반 최적설계 및 강건 최적설계와 같은 확률론적 최적설계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서, 제안된 기법을 이용하여 확률론적 최적설계를 위한 통합 프레임웍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은 원래의 다변량 함수를 요소 함수들을 이용해 분해하는 고차원 모델 표현법을 이론적 근거로 한다. 제안된 기법은 2차 고차원 모델 표현법에 의해 분해된 모든 1차 효과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모든 2차 효과들 즉, 모든 교호작용들 중에서, 불확실성 평가 관점에서 중요한 일부 교호작용들만을 선별하여 포함시킨다. 이런 특징으로 인해 제안된 기법은 해석 비용이 크고, 문제의 차원이 높으며, 블랙박스 형태이고, 확률변수간 교호작용이 많은 문제들에 대해서 특히, 효율적이고 정확한 불확실성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중요한 교호작용 선별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각 확률변수들이 확률론적 특성치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의 평가기준인 랜덤효과를 제안하였고, 이 랜덤효과를 기반으로 하여, 중요한 교호작용을 구성하는 변수들의 인덱스 조합을 결정할 수 있는 조합규칙을 제안하였다. 또한 중요하다고 판단된 교호작용이 실제 성능함수 내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수학적으로 증명하였다. 추가적으로, 고차원 모델 표현법을 이용해 분해된 1차와 2차 요소함수들을 효과적으로 근사화하기 위해서 각각 가변 샘플링과 고정 샘플링 방법을 제안하였다. 근사화된 모든 1차 요소함수와 근사화된 일부 중요한 2차 요소함수들을 이용해 원래의 성능함수가 명시적으로 표현되면,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과 같은 추출법을 이용하여 확률론적인 특성치들을 평가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수학적인 문제와 공학적인 문제를 포함하는 5개의 문제를 문헌을 통해 선정하였고, 제안된 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결과를 역시 같은 문제에 대해서 일변량 차원 감소법, 이변량 차원 감소법, 전조합 모멘트법, PCE, FORM 그리고 SORM과 같은 불확실성 평가 기법을 적용한 문헌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서 제안된 기법은 특히, 일변량 차원 감소법보다 정확하고 다른 방법들에 비해 유사한 정확성을 가지면서 보다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확률론적 최적설계를 위한 통합 프레임웍은 3가지로 구성된다. 첫째는 제안된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을 이용한 불확실성 평가 이고, 둘째는 스코어 함수 기법을 적용한 확률 민감도 해석이며, 셋째는 기존의 민감도 기반 최적화 알고리즘이다. 개발된 통합 프레임웍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4개의 신뢰도기반 최적설계 문제, 2개의 강건 최적설계 문제 그리고 1개의 공차 최적설계 문제를 문헌을 통해 선정하고, 통합 프레임웍을 이용해 해결하였다. 또한 문헌에서 제시된 각종 확률론적 최적설계 기법들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개발된 통합 프레임웍은 모든 문제들에 대해서 구속조건을 만족하는 최적해를 얻었으나, 함께 비교된 다른 기법들은 일부 문제에서 구속조건을 위배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서 제안된 불확실성 평가 기법인 적응적 차원 분해 기법과 이를 이용한 통합 프레임웍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한국산 진달래과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

        민준홍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진달래과(Ericaceae, 杜鵑花科)식물은 교목, 관목 착생으로 엽록소가 소실된 균기생성 초본이다. 털은 단순하고 흔히 다세포성 또는 단세포성이며 다지형으로 두상선모, 또는 순형 인모로 별보양은 없다. 전세계적으로 분포하지만, 특히 열대의 산악지대, 남아프리카, 북미의 동부, 동아시아 그리고 호주에 흔하다. 흔히 산성토양의 양지에 나는 관목이다. 산앵도속(Vaccinium)의 열매는 식용하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1). 진달래과에 관한 연구는 중국 장백산의 진달래과 식물 분포와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2), 중국 장백산 습지대의 진달래과 식물 분포와 생태적 특성3), 수목원 소장표본을 중심으로한 국내 진달래과 목본식물의 분포지와 식별4) 등의 생태학적인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의학에서는 진달래과 식물 중 월귤엽(越橘葉, Vitis ldaeae Folium, Vaccinium vitisidaea L.)은 中華本草에서 "味苦, 寒, 小毒. 解毒, 利濕. 主治淋證, 痛風"이라 하였으며5), 생약학에서는 요로방부작용과 이뇨작용으로 요로결석을 치료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6). 진달래과 식물 중 효능에 관한 연구는 들쭉나무 과실의 성분 및 생리활성 연구7), 진달래꽃으로부터 분리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항산화성에 관한 연구8), 만병초 잎의 플라보노이드9) 등으로 들쭉나무(Vaccinium uliginosum)와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아직 진달래과에 관한 性味나 效能에 관한 한의학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므로 체계적인 분류와 관리 및 데이타베이스 구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우선은 문헌적으로나마 한국에서 자생되고 있거나 재배되고 있는 진달래과 식물에 관한 자료를 수집 파악하여 체계화시는 연구가 필요하고, 이와 관련된 기존의 논문으로는 한국산 薔薇科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10), 한국산 柳葉菜科 식물에 관한 본초학적 연구11) 등 다수의 연구 보고가 있었으나 진달래과에 대한 조사 보고는 없었다. 따라서 진달래과에 체계적인 분류 및 정리는 본초학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국내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진달래과에 대하여 우선 문헌적으로 조사하여 총목록을 만들고, 이용가능한 약재와 분포현황을 조사한 다음, 약용부위에 따라서 한약명, 학명 및 식물명 등과 더불어 각 약물의 성미, 귀경, 효능 및 주치 등에 관하여 조사하고 독성에 대해서도 정리하였다.

      • 방송환경에서 인터넷 채널 서비스 구현

        민준홍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방송의 도입으로 고화질의 방송과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지만 여전히 디지털 방송은 새로운 컨텐츠에 목말라 하고 있다. 반면 인테넷은 참여 공유 개방의 웹2.0 페러다임과 더불어 다양한 컨텐츠의 생산과 소비의 장으로 활기를 띄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인터넷에 존재하는 수많은 영상 컨텐츠들을 방송환경에서 제공하기 위한 기술과 방법을 제안하고 그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상의 영상 컨텐츠를 전달하기 위한 메타데이터로 웹2.0 환경의 콘텐츠 배급기술인 RSS를 이용한다. 또한 RSS가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XML형식의 문서라는 점을 이용하여 PC에 익숙하지 않은 TV시청자들도 리모컨만으로 인터넷 컨텐츠를 네비게이션 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여 실현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러한 모델이 적용 되었을 때의 효과를 예측, 분석해본다. With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levision, various services and high-definition programs can be now conveyed through this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new Killer contents are still demanded. On the other side, internet becomes active with web2.0 paradigm and the creation and consumption of diverse contents. Bringing the Web2.0 to TV may represent an attractive opportunity to inject new fuel into the TV world, thus creating a wider and accessible container of digital services for entertainment. In this study, the technology and methods are proposed to offering on a TV the video contents that exist on the internet and about realization for the technology. The model which can be navigated the internet contents with remote control by users who unfamiliar with PC was suggested using RSS is XML documents has hierarchical structure. Our system is based on the Digital Video Broadcasting ? Multimedia Home Platform (DVB-MHP) standard. We also developed a client application which permits to browse internet channel contents on a TV set via the remote control.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realized application was tested and the affects were predicted and analyzed when the model was applied

      • 인공지능(AI)활용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분석

        민준홍 수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AI)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어 우리 사회의 많은 부분을 변화시키고 있다. 교육 분야에서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육으로 학생의 학습 방식과 교사의 지도 방법에서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교육부에서는 인공지능(AI)을 미래 발전의 핵심으로 인식하고 다양한 교육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적 노력과 기대에도 불구하고 교사의 AI활용 교육에 대한 부담과 우려는 여전히 남아 있다. 인공지능(AI)이 학교 현장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에 여러 가지 이슈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대응책을 고민해 보는 것은 AI활용 교육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교사의 인식과 수용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육 현장의 교사를 대상으로 AI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용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교사의 AI활용 교육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AI활용 교육의 가능성을 예측하고 여러 가지 이슈 및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AI활용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I활용 교육을 하려는 교사의 교육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AI혁신성과 교사효능감, AI용이성과 AI유용성, 사회적 영향을 설정하였고,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xtended TAM)에 근거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여 이들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크게 3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AI활용 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교 교사의 AI활용 교육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고등학교 교사의 AI활용 교육을 위한 지원과 노력은 무엇인가? 본 연구를 위해 인천 지역의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2022년 11월 28일부터 2022년 12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1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AI활용 교육의 일반적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밖에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성별과 연수 경험을 기준으로 하는 비교분석 그리고 각 요인들의 영향 관계 파악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교사의 AI에 대한 이해도는 어느 정도 AI에 대해서 들어봤거나 알고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고, AI의 개념 정의에 대해서는 ‘빅데이터 기반의 데이터 수집, 분석, 가공의 자동화’로 가장 많이 인식하였으며 수업에 활용해보고 싶은 AI플랫폼이나 AI앱은 다양하게 선택되었다. 둘째, AI혁신성과 교사효능감은 AI용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AI용이성과 AI유용성, 사회적 영향도 AI교육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I활용 교육을 위해서는 교사 역량 측면, 기반 환경 측면, 교육 정보 측면의 세 가지 측면을 고려한 지원이 교사에게 필요하고, 교사는 연수 참여, 자세·태도의 개선, 교수학습 방법 연구, 교육 정보 공유 등의 실천적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I활용 교육을 위해 AI교육 자료의 개발 및 제공, AI 교육 실시, AI 커뮤니티 조직, AI 연수 프로그램, AI 활동 교사 포상제, AI 교육 플랫폼 마련, 디지털 학습 연수 학기제 등의 AI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being used in many fields and is changing many parts of our society. In the field of education,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expected to bring about many changes in the way students learn and teachers teach. The Ministry of Education recogniz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as the core of future development and is promoting various education policies. However, despite these policy efforts and expectations, the burdens and concerns of AI-using education still remain. It can be said that it is a desirable direction for AI-using education to identify various issues and requirements and consider counter-measures b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introduced in earnest in the school field. However, research on teachers' awareness and acceptance of the education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duct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AI-using education targeting teachers in the high school education field. Based on high school teachers' awareness of AI-using education, the possibility of AI-using education was predicted and various issues and requirements were analyz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AI utilization in education. To this end, AI innovation, teacher efficacy, AI ease and AI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were set as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educational intention for AI-using education, an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xtended TAM) was presented to verify their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ree mai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teachers on AI-using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affect high school teachers' intention to use AI? Third, What are the Ministry of Education’s support and Teacher’s efforts for AI-using education in high school educa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8, 2022 to December 1, 2022 targeting high school teachers in Incheon, and the data of 101 teacher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general perception of AI-using education, and other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gender and training experience, an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each factor.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understanding of AI appeared to have heard or knew about AI to some extent, and for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AI, 'big data-based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automation of processing' was most recognized, and There are various AI platforms and AI apps that they want to use. Second, it was found that AI innovation and teacher efficacy had a positive (+) effect on AI ease of use, and AI ease, AI usefulness, and social influ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AI educational intention. Third, for AI-using education, teachers need support considering three aspects: teacher competency, base infrastructure, and educational information. Teachers participate in training, improve attitudes, stud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share educational information. Practical efforts were found to be necessar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ctivation plans such as AI education materials development and provision, AI education implementation, AI community organization, AI training program, AI activity teacher reward system, AI education platform, and digital learning training semester system were proposed for AI-using education.

      • 트랜스포머 기반 3차원 한국 수어 동작 생성 모델

        민준홍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수어 생성 분야에서의 딥러닝 모델 활용에 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수어는 음성 대신 손동작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언어 체계이며, 이는 몸동작과는 다른 언어 체계로 국가별로 다른 문법 및 표현 방법을 가지고 있다. 농아인은 수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상생활에서 한국어를 쓰는 비율에 비해 수어를 쓰는 비율이 현저히 낮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CNN과 같은 이미지 분야가 출현하면서 수어 인식 분야는 이미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나, 수어 생성 분야는 그동안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발전된 딥러닝 모델이 출현하면서, 수어 생성 모델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자연어 처리 기반 딥러닝 모델은 다른 나라의 언어 간 학습뿐만 아니라, 자연어와 수어 같은 동작 기반의 언어체계와의 학습도 가능해지며, 보다 효과적인 언어 학습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어 처리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고 있는 트랜스포머 모델을 활용하여, 한국어를 번역하여 스켈레톤 좌표를 예측하고, 예측한 좌표를 Unity로 구현한 아바타 생성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수어 아바타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어 생성 데이터셋은 AI Hub 데이터셋을 사용하였으며, 다른 데이터셋을 개발한 모델에 넣어 선행 연구와의 성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트랜스포머 기반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수어 생성 분야에서의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 대학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기업가적 특성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민준홍 경상국립대학교 창업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 창업지원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기업 가적 특성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했 다.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요인을 창업지원 교과, 비교 과, 창업 사업화지원 3가지로 설정하고. 학생들의 기업 가적 태도, 역량을 매개변수로, 창업의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적 특성은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들의 기 업가적 태도와 역량의 변화는 현재 그리고 향후의 창 업의지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해석된다. 또한 창업 사업화 지원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업지원 교과, 비교 과 프로그램은 사업화 지원보다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해당 결과로부터 파악되는 바는 학생들이 현재 시점에서의 사업화 지원을 높이 평가한 다는 점이며, 이에 대학은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더욱 다양하게 제공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 창업지원 프로그 램은 학생들의 기업가적 태도와 역량, 창업의지에 영 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대학, 정부, 창업 유관기관은 대상에 따른 다양 하고 체계적인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 광범위한 학생 대상으로 분석이 확장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on students'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intentions. The factors of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components: entrepreneurship support cours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entrepreneurship business support. The students' entrepreneurial attitudes and competencies were considered as mediating variables, while entrepreneurial intentions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fo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positively influence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is implies that changes in students' entrepreneurial attitudes and competencies can significantly affect current and future entrepreneurial intentions. Furthermore, entrepreneurship business support showed a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However, entrepreneurship support course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were found to have a lower impact compared to business suppor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s highly value current business support, prompting universities to diversify and cater to various demands through different cours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university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influence students' entrepreneurial attitudes, competencies, and intentions.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for universities, government bodies, and entrepreneurship-related institutions to operate diverse and systematic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tailored to specific target groups.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expanding the analysis to a broader spectrum of students nationwi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