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압요법이 기능성 변비를 가진 여대생의 변비 완화에 미치는 영향

        민주연,박효정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7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o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to propose auricular acupressure as an effective and evidence-based nursing intervention. This is an experimental study designed with randomization and single-blind in a Sham-control approach. The subjects included 44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functional constipation whose symptoms met the Rome Ⅳ criteria.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acupressure sites were appli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n=23) received auricular acupressure on rectum, large intestine, lung, san jiao, and shenmen, whereas the Sham control group (n=21) received acupressure on ankle, helix, tooth, jaw, and external ear.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six weeks. After six weeks, the severity of constipation, stool form, and quality of life regarding constip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the Sham control group (p<.001). Consequently, the study showed that auricular acupressur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alleviate constipa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기능성 변비를 가진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압요법을 적용하여 변비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무작위 배정, 단일 맹검, Sham 대조군 비교 설계를 이용한 실험연구이다. 로마 기준 Ⅳ의 기능성 변비에 해당하는 여대생 44명이 참여하였으며, 이압요법은 왕불류행 씨앗을 이용한 이압 스티커를 귀에 부착하고 자극하는 방법으로 1주일 단위로 6회, 즉 6주 동안 시행하였다. 처치군(n=23)에게는 변비와 관련된 귀 반응구역(점)인 직장, 대장, 폐, 삼초, 신문에, Sham 대조군(n=21)에게는 변비와 관련이 없는 귀 반응구역(점)인 발목, 이륜, 치아, 턱, 외이에 이압스티커를 부착하였다. 이압스티커 부착 부위를 하루에 3회, 한 개의 귀 반응구역(점)마다 한 번에 30초 동안, 얼얼한 느낌이 들 정도로 손으로 눌러 자극하도록 대상자를 교육하였다. 이압 스티커는 5일 후에 대상자가 스스로 제거하고 귀를 가볍게 마사지하고 2일간 쉬는 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6주간 이압요법 적용을 통해 이압요법이 기능성 변비가 있는 여대생의 변비의 정도, 대변 형태, 변비 관련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渤海․日本의 교류와 相互認識

        延敏株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1 No.-

        발해와 일본관계의 교류상의 쟁점으로 부각된 것은 違例와 無禮와 같은 명분론적인 외교의례와 年期違犯이라 하여 발해사의 年期문제이다. 양국관계는 이를 일본측이 제기하고 발해가 대응하는 가운데 전개된다. 8세기 일본은 천황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적 율령국가를 이룩하였으며, 소중화의식으로서 한반도제국을 일본의 번국으로, 그 사절단을 번국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발해는 일본을 동등하게 때로는 舅甥관계, 형제관계를 내세우며 우월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중화주의의 충돌로서 발해 와 일본이 상대를 보는 인식의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일본의 발해에 대한 인식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패망 전후의 일본에 온 고구려사, 그 후 고구려유민으로 성립한 보덕국의 사절, 일본천황의 신분적 질서하에 포섭되는 고구려유민의 존재가 있었다. 고구려의 계승국으로서의 발해의 일본에 대한 강한 메시지는 자연히 고구려와 발해가 중첩되면서 일본으로 하여금 발해와 발해사를 번국, 번국사로 인식하게 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기대와는 달리 발해는 천손으로서의 왕권의 자부심을 과시 하며 수없는 「無禮」를 반복하였다. 국서의 표기문제가 매번 지적되었지만 발해의 입장은 변하지 않았다. ‘商旅’인식에서 나타나듯이 발해는 교역의 이익을 취하기 위해 빈번히 내항하였다. 발해인의 눈에 비친 일본은 거대한 교역시장이었다. 일본측에서는 신라와의 공적관계가 단절되고 견당사가 종료되는 9세기 이후가 되 면 발해는 유일한 통교국이자 문물수입처였다. 양국은 상호인식의 차이, 외교적 마찰에도 불구하고 장년의 교류가 중단없이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서로를 필요로 하는 내부적 조건과 국제적 환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발해와 일본은 신라를 경계한다는 공동의 인식이 있었고, 특히 일본의 신라에 대한 경쟁의식은 너무도 커 발해와의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일은 왕권내부의 주요 과제였다.

      • KCI등재

        輔國將軍·本國王과 金官國

        민수(延敏株) 한일관계사학회 2011 한일관계사연구 Vol.38 No.-

        『남제서』가라국전에 보이는 가야제국의 유일한 대중국 통교국이었던 가라국은 대가야가 아닌 금관국이 추진한 것으로 보았다. 加羅란 명칭도 대가야의 전유물이 아니라 김해에서 먼저 사용하였고 후에 고령이 답습하였다. 대가야설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가야연맹체론과 남제통교는 시기적으로 거리가 있어 양자의 결부는 한계가 있다. 가라왕 하지에게 제수된 보국장군 외에 本國王이야말로 금관국의 정체성을 말해주는 것이다. 가야제 국의 母體로서 금관국의 ‘本國’意識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금관국의 國記라고 추정되는 『本國本記』는 금관국의 뿌리와 왕통의 역사를 기술하고 있는 사서라고 생각한다. 금관국의 대중통교의 목적은 송의 책봉체제에 들어가 왕권의 안정을 꾀하고 송조의 권위를 이용하여 주변국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위한 것이었다. 이는 장년에 걸쳐 송조와 통교했던 왜왕권으로부터 얻은 정보였다. 그러나 사절단이 도착할 때에는 이미 송조는 망하고 새로이 남제왕조가 들어섰다. 결과적으로 남제는 신왕조 개창의 축하사절로서 받아들였고, 미지의 왕국 금관국왕에게 보국장군본국왕을 제수하였다. 남제의 책봉체제에 들어간 금관국은 위기적인 현실 돌파를 꾀했지만, 신라의 군사력 앞에 남제측의 장군호도 무용지물이 되었다. 명목적인 장군호가 현실의 어려움을 해결해 주지 못하는 상황에서 더이상 남제통교는 무의미했다. 금관국의 대중통교는 단발성으로 끝나고 대중통교에 정보를 제공했던 왜왕권도 이후 1세기 이상의 공백을 보이게 된다.

      •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김경은,김필송,민주연,박수경,신서인,이지은,정해인,조호정,최정원,최정인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13 이화간호학회지 Vol.- No.4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nd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Method: In this study, 379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smart phone addiction measure, the CES-D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and the STAI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Scheffe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mean score for smart phone addiction was 40.45±17.27, depression was 36.56±9.58, state anxiety was 44.00±9.61, and trait anxiety was 45.70±9.7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and the following variables: gender (t=-4.953, p<.001), hours of smart phone use per day (F=12.259, p<.001), types of frequently used features (F=3.485, p=.008), and satisfaction level for smart phone (F=5.18, p<.00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p<.001) among degree of smart phone addiction, depression level, and state and trait anxiety level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d mental health, specifically, depression and anxiety among adolescent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nursing strategies to provide care for adolescents who frequently utilize smart phones.

      • KCI등재

        ‘리좀 지도그리기’를 통한 유아 미술표현 연구 : Deleuze의 기호론을 중심으로

        민주(Seo, Min Ju),임부(Lim, Boo-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현재 유아 미술표현이 동일성으로 환원되는 재현을 강조하며 간과하고 있는 신체와 감각, 생성과 창조를 강조한 Deleuze 기호론의 관점에서 유아들의 미술표현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관계의 양상과 그 의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리좀 지도그리기를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A어린이집 만 4, 5세반 유아 1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8년 3월 ~ 8월까지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의 미술표현은 기호와의 마주침으로서 시작되었으며, 다양한 관계맺음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의미들을 생성하였다. 그리고 유아들은 이성이나 개념에 의해 미술표현을 하거나 미술적 배움을 획득하는 것만이 아니라 신체가 구체적인 물질을 직접 만나서 감각과 감성, 기억 등을 통해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발견하는 역동적인 과정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 미술표현은 이성과 지식 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감각, 감성, 기억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도록 안내하였으며, 유아 미술교육은 결과중심에서 벗어나 유아들의 일상의 삶과 함께하며 다양한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확장되고 연결되어 나타날 수 있는 과정중심 교육으로 바뀌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art with the assumption that their artistic expressions are not simply representation or reproduction, but more then something of their experiences and memory. With this assumption, this study explored young children’s art expressions which are virtually observable on the rhizome mapping, the concept which is supported by Delueze’s theory that emphasizes the senses and the body, which are often overlooked in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14 infants from a 4&5 year old class in A Daycare Center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collected and interpreted data from March to August, 2018. As a result, art expression of infants started as an encounter with symbols and constantly created new meanings through various relationships. Also, it was identified that infants not only make art expressions by reason or concept or acquire artistic learning but they go through a dynamic process of meeting specific materials in person and discovering in their own way through sense, sensibility, and memory as well. Art expression of infants helped to see sense, sensibility, and memory anew beyond reason and knowledge-centered perspective,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needs to be changed to process-oriented education beyond results that constantly expands and gets connected in various relationships in their daily life.

      • KCI등재

        유아 미술활동에서 조형매체를 통한 소통의 의미 탐구

        민주(Seo, Min-Ju),임부(Lim, Boo-Yeun)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2

        본 연구는 능동적 주체인 유아에게 초점을 두고 유아가 미술활동에서 조형 매체를 통해 어떻게 소통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조형매체와의 소통은 오감을 통한 주체적 앎과 사고를 통한 표현가능성의 탐구이다. 둘째, 자아와의 소통은자신의 내면적 감정을 상징화하고 사회ㆍ문화적 기호로 상징화 한다. 셋째, 타자와의 소통은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고 공동의 목표를 위한 협력으로서 소통한다. 이처럼 유아 미술활동에서 조형 매체를 통한 소통은 오감과 사고를 통해 스스로 구성하고 발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과정임과 동시에 앎의 과정이다. 또한 유아들에게 내면의 감정이나 문제, 그리고 수 없이 많은 다른 경험과 지식들을 타인과 공유하고 협력하며 소통할 수 있게 해 주는 매개체이다. 즉 조형 매체를 통한 소통은 그 자체로 확장된 세계를 향해 성장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young children communicate through the art materials in the young children's art activities as agent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what communication means to the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hile young children were exploring the art materials, they pried into representability through deep insights and knowledge actively through their senses. Second, while young children were exploring the art materials, communication with themselves enabled their inner feelings symbolized as a social and cultural sign. Third, while young children were exploring the art materials, they experienced communication with others by sharing knowledge and by cooperating for a common goal. Thus, communication through the art materials in the young children's art activities was not only a significant process that young children constructed and found out themselves through their senses and thought but also a process that they constructed knowledge. In addition, art materials allowed young children to share their inner emotion, problems, diverse experiences and rich knowledge. As a result, it helped them cooperate and communicate with others. That is young children's communication through the art materials itself conduced toward a broad range of world that young children would experience significantly enhanced life.

      • KCI등재

        예술작품을 통해 본 유아미술교육의 방향 탐색

        민주(Seo Min Ju),임부(Lim B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8

        본 연구는 예술장르중의 하나로서 미술은 예술가의 존재론적 의미를 드러내는 것이라면, 미술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예술가들이 하는 존재론적 체험을 할 수 있 도록 도와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유아기의 미술교육도 예외는 아니며 어린시기 유아들의 미술 경험은 평생을 두고 예술가적 삶을 살도록 안내해 주는 것이 되어야 한다. 유아미술교육은 이러한 미술이 예술로서 가지는 본질과 교과로서 가지는 미술 지식을 동시에 담아내야 하는 복잡한 교과이며, 자칫 기능과 결과위주의 미술교육으 로 흘러가기 쉽다는 어려움을 가진다. 본 연구는 잘 알려진 예술작품에서 드러나는 예술가적 정신을 통해 예술교육이 가져야하는 본질과 의미를 되짚어 보고, 이를 유 아미술교육이 가진 문제와 한계를 진단하여 보다 바람직한 유아미술교육을 위한 교 육적 함의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예술작품이 예술가의 경험의 응축으로 존재론적 물음에 상상력을 동원하여 의미를 찾아 답하는 것이라면, 유아미술도 이러한 예술작 품이 가지는 본질을 더 충실히 반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현재 유아를 위한 미술교 육은 보다 의미화된 경험을 제공하고자 예술가들이 탐색하는 보다 다양한 조형재료 를 통해 열린 상상과 의미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안내해 가는 것이 필요함을 강 조하였다. This study aims at extracting educational implications form art works in order to improve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is study particularly focused on analyzing some famous art works to find out their existential meaning embedded in theme. Art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is not an exception and experience in art of children in their childhood needs to guide for them to live artistic lives through their life. Art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is a complex subject that needs to treat the essence of artistic value of art and knowledge of art at the same time, and it may easily flow in a direction of functional and results-oriented art educ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trace the essence and meaning that art education needs to have through artistic spirit through famous artworks, to examin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early childhood art education, and to deduc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more desirable art education for children. This study suggests that ar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hould reflect what artists have done on their art work, which include utilizing a variety of art materials, using their kinetic sense coming from their life experience, and using artistic imagination to boost up symbolic representation on children’s art works. Conclusively, the arts works give us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art education should always reflect artist spirit, existential being, and meaning of experience.

      • KCI등재

        유아교사와 미술교사의 유아미술교육에 대한 개념 및 지식수준의 비교 분석 연구

        민주(Seo Min ju),임부(Lim Boo 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본 연구는 유아기 미술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미술교사와 유아교사의 유아미술 교육에 대한 개념과 내용지식을 비교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교육적 함의를 알아보고 자 하였으며, 이에 유아교사와 미술교사가 작성한 개념도를 기초하여 개념의 내용 과 수준, 위계와 밀도, 그리고 특성점수 등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의 개 념의 내용은 표현과 교수방법적인 문제에 대해 초점을 두었고 미술교사는 표현과 미적체험에 초점을 두고 조형매체와 교실환경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미술교육의 지식수준과 관련하여 미술교사는 미술에 대한 위계적이고 통합적으로 구성내용을 보여준 반면에 유아교사는 누리과정 예술영역관련 중심의 구성내용을 보여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유아미술교육의 질적 향 상을 위하여 미술전공자인 미술교사와 교육과정 전공자인 유아교사가 가진 미술에 대한 개념 및 내용지식의 차이와 다양성을 서로 융합되어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논 의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oncept and content knowledge of art teache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art education for children in view of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and to analyze the contents and level of concepts, hierarchy and density, and characteristic scores based on the conceptual diagram prepared by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rt teachers. As a result,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ncept conte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re focused on problems of expression and teaching methods, and art teachers are perceiving art materials and class environment importantly. Also, regarding the knowledge level for art education, art teachers showed art contents hierarchically and comprehensively, whereas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ed art related contents of Nuri curriculum. Lastly,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art education for children, this study discussed the necessity of combining and supplementing the difference and diversity of concept and content knowledge of art teachers who majored in art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majored in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