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동의 인식개선을 위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연구 -무화과 인식개선 콘텐츠 사례를 중심으로-

        민은혜,박보람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develop digital content as an effective way to improve awareness of children. The universalization of smart devices has also occurred among children and has become easier to access their digital media. As a result, children whose eating habits were important were frequently exposed to content dealing with provocative foods and it has also adversely affected their eating habits, including feelings of rejec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The researchers developed contents to improve children’s negative awareness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chose figs, which are said to be particularly unpopular with children, among fruits and vegetables. Interaction elements, visual storytelling and fairy tale illustration technique have been applied to develop digital content that is interesting and effective in educational aspects. Digital contents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im to inform information about fruits and vegetables, improve awareness, and reduce rejection in order to establish proper eating habits of children unfamiliar with fig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kinds of digital contents for positive growth of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동의 인식개선에 효과적인 방안으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해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스마트기기의 보편화는 어린이들 사이에서도이루어졌으며 아동의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접근이용이해졌다. 그에 따라 식습관이 중요시되는 아동들이자극적인 음식을 다루는 콘텐츠에 빈번하게 노출되었고, 과일⋅채소류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등 식습관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자는 어린이의 과일⋅ 채소류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며, 과일⋅채소류 중에서도 아동에게특히 선호도가 낮다고 알려진 무화과를 주제로 선정했다. 디지털 콘텐츠가 어린이들에게 교육적인 측면으로 흥미롭고 효과적으로 콘텐츠가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터랙션 요소, 비주얼 스토리텔링과 동화적일러스트레이션 기법을 연구 분석한 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디지털 콘텐츠는 무화과를낯설어하는 어린이의 올바른 식습관 확립을 위해 과일⋅채소류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고 인식을 개선 및거부감을 감소하는 목적으로 제작되었으며, 향후에는어린이의 긍정적인 방향으로 성장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콘텐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가정과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 연구동향

        유인영,배현영,이종희,민은혜,최미선,조재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8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0 No.4

        Doctoral professionals who majored Home Economics Education are relatively rare and recently have been produced in a limited number of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the Ph.D. Dissertation majo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by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Just twenty dissertations published in domestic universities were selected through internet search to be analyzed in this paper. This research showed five research subject areas of the dissertation such as core concepts and perspectives,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s empowerment, and others. Each subject had three to five references and time difference in publication. The research subject related to concepts and perspectives was more likely to be studied in an early stage, followed by the subject of curriculum. The research subject became to be varied to teaching and learning and teachers empowerment areas. The research methods were associated with the research subject, as expected. Literature analysis was common in the subject on concepts and perspectives,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while survey was in teachers empowerment. Teaching and learning subject used various research methods together. Numerous dissertation with variety of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would be expected to be followed to develop research on Home Economics Education.

      • KCI등재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기술·가정 의생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

        김남은,이현정,한주,김순주,민은혜,최미선,곽선정,이혜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1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3 No.3

        We investigated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an-style(Korean cuture) in order to promote it, and developed and applied the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contents related to Han Style. We selected 5 major fields representing Han Style including Han-gul(Korean alphabet), Han-sik(Korean food), Han-bok(Korean traditional clothes), Han-ji(Korean traditional paper), and Han-ok(Korean traditional house).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6 types of high school testbookds under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and chose seven traditional clothing-lifestyle culture contents. Also we developed 14-period Teaching-Learing processes and 21-teaching materials(9 for teachers, 9 for students and 3 for classes) and applied it to usual classes. The mean score of middle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Han Style in the post-tes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pre-test. Students evaluated it positively that the classes could raise the pride on the Han-culture and provoke the interest in it through the direct experiencing activities. We suggest that the various themes on Han-style should be developed, and the theoretical classes on the identity as well as the experiencing activities on it.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한문화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한문화와 관련된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 별로 교수-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한문화를 대표하는 한글, 한식, 한복, 한지, 한옥 5개 분야를 선정하고, 7차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교과서 6종에 제시된 의식주 생활문화 영역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7가지 전통 의생활 문화 콘텐츠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전통문화 콘텐츠에 대하여 14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안 및 21종(교사자료9, 학생자료9, 수업자료3)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적용하였다.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결과 한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도는 사전 검사 평균에 비해 사후 검사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한문화 인식 증진을 위한 수업에 직접 체험해보는 활동을 통해 한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이고 흥미와 관심을 유발 시킬 수 있는 수업이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문화와 관련하여 더욱 다양한 한문화 관련 주제가 개발되어야하며 한문화에 대한 체험활동뿐만 아니라, 정체성에 대한 이론 수업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