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cent Advances in the Transparent Conducting ZnO for Thin-Film Si Solar Cells"

        문태호,신광수,박병우 대한금속·재료학회 2015 ELECTRONIC MATERIALS LETTERS Vol.11 No.6

        The key challenge for solar-cell development lies in the improvement of power-conversion efficiency and the reduction of fabrication cost. For thin-film Si solar cells, researches have been especially focused on the light trapping for the breakthrough in the saturated efficiencies. The ZnObased 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TCOs) have therefore received strong attention because of their excellent light-scattering capability by the texture-etched surface and cost effectiveness through in-house fabrication. Here, we have highlighted our recent studies on the transparent conducting ZnO for thin-film Si solar cells. From the electrical properties and their degradation mechanisms, bilayer deposition and organic-acid texturing approaches for enhancing the light trapping, and finally the relation between textured ZnO and electrical cell performances are sequentially introduced in this review article.

      • KCI등재

        Enhancement of Crystallinity in ZnO:Al Films Using a Two-Step Process Involving the Control of the Oxygen Pressure

        문태호,윤원기,이승윤,지광선,어영주,안세원,이헌민,Moon, Tae-Ho,Yoon, Won-Ki,Lee, Seung-Yoon,Ji, Kwang-Sun,Eo, Young-Joo,Ahn, Seh-Won,Lee, Heon-Min The Korean Vacuum Society 2010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19 No.2

        ZnO:Al 박막은 산소 압력을 조절한 두 번의 증착 과정을 이용하여, DC 펄스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방법에 의해 증착되었다. 시드막은 다양한 Ar/$O_2$ 압력비에서 증착되었으며, 벌크막은 순수한 Ar가스를 사용하여 증착되었다. 시드막 증착시 산소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결정성과 (002) 배향성의 정도는 증가했다. 비저항은 시드가 없는 샘플의 경우 $4.7\times10^4\Omega{\cdot}cm$ cm로부터 Ar/$O_2$ = 9/1 샘플의 경우 $3.7\times10^4\Omega{\cdot}cm$까지, 결정성의 증가와 함께 점차 감소했다. 에칭된 표면은 분화구 형상의 구조를 보여주었으며, 급격한 형상 변화가 결정성 증가와 함께 나타났다. Ar/$O_2$= 9/1 조건의 샘플은 500 nm 에서 88%의 매우 높은 haze 수치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AFM 이미지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큰 표면 구조 크기에 의해 설명된다. ZnO:Al films were deposited by DC-pulsed magnetron sputtering using a two-step process involving the control of the oxygen pressure. The seed layers were prepared with various Ar to oxygen flow ratios and the bulk layers were deposited under pure Ar. As the oxygen pressure during the deposition of the seed layer increased, the crystallinity and degree of (002) texturing increased. The resistivity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crystallinity from $4.7\times10^4\Omega{\cdot}cm$ (no seed) to $3.7\times10^4\Omega{\cdot}cm$ (Ar/$O_2$ = 9/1). The etched surface showed a crater-like structure and an abrupt morphology change appeared as the crystallinity was increased. The sample deposited at an Ar/$O_2$ flow ratio of 9/1 showed a very high haze value of 88% at 500 nm, which was explained by the large feature size of the craters, as shown in the AFM image.

      • 지구온난화가 2020년 동아시아 여름 몬순에 미친 영향

        문태호,차동현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한반도는 동아시아 몬순지역에 위치하여 연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여름에 내린다. 동아시아 여름몬순은 북서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따뜻하고 습한 남서기류가 동아시아에 유입되어 차갑고 습한 오호츠크해 고기압 등 다른 기단과 충돌 시 정체전선이 형성되어 나타난다. 2020년 동아시아 여름 몬순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도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일으켰다. 2020년 여름에는 라니냐로 인해 북서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높았으며 북서태평양 고기압이 북서쪽으로 확장하여 동아시아 지역에 수분 공급이 활발해 강한 강수를 유발했다. 또한, 양의 Indian Ocean Dipole (IOD)등 종관기압 배치에 대한 영향 및 온대 저기압의 영향도 함께 작용하였다. 이에 더해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전반적으로 높아진 해수면 온도가 몬순의 강도 및 종관적 배경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 동아시아 여름몬순이 강했던 원인인 종관적 규모의 현상에 지구온난화가 미친 영향은 어떠하였는지 수치모델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모델에 ECMWF Reanalysis v5 (ERA5)를 initial & boundary data로 이용하여 Control 실험을 수행한 후, ERA5의 격자별 해수면 온도를 선형회귀분석하여 지구온난화가 22년 덜 진행된 것과 같은 해수면온도를 initial & boundary data로 이용한 실험과 지구온난화가 22년 더 진행된 것과 같은 해수면온도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Control 실험과 다른 대조 실험군의 비교를 통해 해수면온도가 2020년 여름철 동아시아 지역의 종관적 배경 및 동아시아 여름몬순 모의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해보았다.

      • 2020년 동아시아 여름 몬순에 대한 지구온난화 효과

        문태호,차동현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4

        물은 인간의 생존에 꼭 필요한 자원이며 인류 문명은 거대한 강 주위에 정착하여 시작했다. 이러한 유역의 발달에는 지형 및 토양 성질의 영향을 받고, 그 중 강수의 기여가 중요한 요인이다. 한반도는 중국, 일본과 동아시아 몬순대에 위치하여 연 강수량의 절반 이상이 여름에 집중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장마, 중국은 메이유, 일본은 바이유라고 부르는 여름철 정체전선은 여름철 많은 강수를 내려 동아시아 문명 발달의 기반을 제공했지만, 강한 동아시아 여름 몬순은 한국, 중국, 일본 등에 많은 집중호우를 유발하고 몬순이 약한 해에는 가뭄이 발생할 수 있다. 집중호우, 가뭄 등의 극한 강수 현상은 적절한 수자원 확보를 방해하고 인명과 재산 피해를 유발하는 위험한 재난이다. 따라서 몬순의 특성 파악 및 변화에 대한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2020년은 장마철 한반도에 내린 강수량이 2011년, 1998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해로 기록되었으며, 동아시아에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일으켰다. 2020년 여름 동아시아 몬순이 강했던 이유로는 라니냐로 인한 수분 공급과 양의 Indian Ocean Dipole (IOD)등 종관 기압 배치에 대한 영향 및 온대 저기압의 영향, 북서태평양 고기압의 확장 및 북진 등이 있으며, 지구온난화로 인해 높아진 해수면 온도가 몬순의 강도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지구온난화가 몬순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과 집중호우의 발생과 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다양한 선행연구들이 진행되었지만, 특정 해의 동아시아 몬순에 대한 지구온난화의 영향 평가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0년 동아시아 몬순이 강했던 원인인 종관 규모의 변화가 지구온난화로부터 받은 영향은 어떤 방향인지 수치모델 실험을 통해 확인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소셜 미디어 불안과 분노 전염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문태호,송원영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8 No.4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사회갈등에 대한 게시글 및 댓글을 통해 개인에게 전염될 수 있는 정서, 특히 불안과 분노를 측정하는 소셜 미디어 불안과 분노 전염 척도(Social media Anxiety and Anger Contagion Scale: SAAC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실시하였다. 먼저소셜 미디어 속 사회갈등을 주제로 문헌 탐색을 실시하여 12가지의 요인(성별, 범죄, 세대, 빈부, 정치, 지역에 대한 불안과 분노)을 선정하였으며, 이후 관련된 선행 연구 및 커뮤니티게시글과 댓글들을 탐색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에 대한 검증을 거쳐 105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20-30대를 대상으로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따라, SAACS를 12개의 요인(성별, 범죄, 세대, 빈부, 정치, 지역에 대한 불안과 분노)과48개의 문항으로 수정하였다.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SAACS는 SNS 중독 경향성 척도,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 한국판 공격성 질문지, 상태 특성 불안 척도(STAI-X)와 유의미한상관관계를 보였고, 한국판 정서전염 척도(K-ECS)와의 상관은 의미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도권 여름철 집중호우 장기변동성

        문태호,박창용,김가영,차동현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19 기후연구 Vol.14 No.4

        The long-term variability of summer heavy rainfall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for the period of 1970-2018. The study period was divided into two phases; first phase from 1970 to 1994 and the second phase was 1995 to 2018. Long-term variability of summer heavy rainfall was examined using the change-point analysis method. Annual mean heavy rainfall amounts showed increasing trends in Seoul and Incheon during summer monsoon season (June to August). Results revealed that the changes in frequency and amount of heavy rainfall were observed larger in the months of July and August as compare to June during the second phase. The upper-level trough was prominently developed at the wes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core region of the upper-level jet was shifted to the east of the area during second phase. The western North Pacific subtropical high was expanded westward and moisture flux flowed along the southwesterly wind, resultant increasing moisture supply.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ended to increase recently at the lower and mid-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