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과 칼슘의 수준이 낮은 산란계 사료 내 미생물 Phytase의 첨가가 생산성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민병준,권오석,이원백,손경승,홍종욱,양승주,문태현,김인호,Min B.J.,Kwon O.S.,Lee W.B.,Son K.S.,Hong J.W.,Yang S.J.,Moon T.H.,Kim I.H. 한국가금학회 2005 韓國家禽學會誌 Vol.32 No.1

        본 연구는 인과 칼슘의 수준이 낮은 산란계 사료내 미생물 phytase의 첨가가 생산성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사양시험은 50주령 ISA brown 갈색계 192수를 공시하였으며, 사양시험은 7일간의 적응기간 후, 12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에 NRC 요구량에 맞춰 Available P과 Ca을 처리한 구(CON; 기초사료), 기초사료에 Available P과 Ca을 각각 대조구 사료의 $50\%$와 $90\%$를 함유한 사료에 3종류의 미생물phytase PHYTEX, Agranco. Co. $0.01\%$(P1), Natuphos, BASF $0.06\%$(P2), PHOSMAX GENOFOCUS $0.06\%$(P3)를 첨가한 처리구로 4개 처리를 하였다. 총 12주간의 사양 시험기간동안 산란율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시험 종료시 난중은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난각 두께는 시험 9주째 phytase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두꺼워졌다(P<0.05). 시험개시시와 종료시 혈청 내 Ca 함량의 차이는 P1처리구에서 가장 적은 변화를 보였으나,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P함량에 있어서도 처리구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P>0.05). 경골 내 Ca과 P의 함량은 phytase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 없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DM, N과 Ash의 소화율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P1 처리구가 P2, P3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Ca과 P에 있어서는 P2 처리구의 소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대조구와 P1 처리구는 서로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모든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하게(P<0.01) 낮았고 Ercherichia coli의 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actobacilli의 수는AM30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결론적으로 활성 미네랄수 $30\%$흡착 zeolite의 사료 내 첨가는 대조구에 비하여 육계의 증체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깔짚에서 암모니아 가스 발생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장내 Lactobacilli의 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내산에서는 S.typhimurium $(33\%)$이 분리 되었으나, 미국산 닭날개에서는 Salmonella 속균이 전혀 분리되지 않아 대조적이었다. 하지만, 중국산의 닭부분육(혼합육)에서는 S. enteritidis와 L. monocytogenes도 함께 분리되었다. 그러나 부분육의 경우 국내산 및 수입산 모두에서 Campylobacter 속균과 E. coli O157:H7 균주는 전혀 분리되지 않았다. 서울${\cdot}$경기지역의 재래시장과 백화점에서 시판되고 있는 계란 총 446개에 대해서도 동일한 절차와 방법으로 조사하였던바, 재래시장에서 구입했던 계란의 난각부분(Egg-shell)에서만 가금티푸스(fowl Typhoid)의 병원체인 S. gallinarum이 1주$(0.2\%)$만이 분리되었고, 기타 세균으로서는 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난황(Yolk)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세균오염도를 보였다. 다양한 동물종유래 S. aureus 균주들의 유전학적 분석목적에 가장 신뢰도 높고 감별능력이 뛰어난 분석기법으로 선발되었다.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생성하는 효소, 특히 $G-Rb_{2}$는 $TxA_{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crobial phytase in low phosphirus and calcium level diet on the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in laying hens. One hundred ninety two, 50 wks old, ISA brown commerical layers were used for 12 weeks feeding trial after 7-d adjustment period. Four dietary treatments included CON(control; Co.), P2 ($0.06\%$ Natuphos, BASF) and P3 ($0.06\%$ PHOSMAX, GENOFOCUS). Ca and available P concentrations of P1, P2 and P3 were 90 and $50\%$ of NRC recommecdations to accentuate difference in response to phytase availability. In whole period, egg production was not affected by treatments. At 12 weeks, egg w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dding phytase treatments (P<0.05). Egg shell thickness was increased in P1, P2 and P3 treatments compared with control (P<0.05) at 9 weeks. Ca concentration of serum tended to decrease in P1 treatmen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a and P concentrations of tibia were higher in layers fed dietary phyrase than those fed control die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P>0.05). Digestibilities of DM, N and ash were improved in P1 treatment compared with P2 and P3 treatments (P<0.05). Ca and P digestibilities were the highest in P2 treatment (P>0.05), bu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P1 treatments.

      • KCI등재

        자돈 및 육성돈에 있어 α-1,6-galactosidase와 β-1,4-mannanase의 사료내 첨가가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

        권오석,김인호,이상환,홍종욱,김지훈,문태현,이지훈 한국동물자원과학회 2003 한국축산학회지 Vol.45 No.2

        본 연구는 양돈사료내 대두박 항영양인자인 α-galactosides와 galatomannan의 분해를 유도하는 α-1,6-galactosidase와 β-1,4-mannanase의 사료 내 첨가가 자돈 및 육성돈의 성장과 영양소 소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1은 개시시 체중 10.57±0.30㎏의 3원 교잡종 자돈 6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설계는 옥수수-건조유청-대두박 위주의 사료에 NRC (1998)의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처리한 대조구 (CON), 대조구 사료내 복합효소제를 0.1% 첨가한 처리구로 하였다. 사양시험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EC0.1 처리구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사료효율에 있어서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EC0.1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P<0.05).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가 향상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시험 2는 개시시 체중 22.30±0.45㎏의 3원 교잡종 육성돈 36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설계는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사료에 NC (1998)의 영양소 요구량에 따라 처리한 대조구 (AME, adequate ME diet), 대조구 사료내 복합효소제를 0.1% 첨가한 처리구 (AME+EC0.1, Adequate ME diet + 0.1% 복합효소제), 대조구 사료에서 대사에너지 함량을 4% 낮춘 사료에 복합효소제를 0.1% 첨가한 처리구 (LME+EC0.1, Low ME diet + 0.1% 복합효소제)로 하였다. 총 30일간의 사양시험 기간동안, 일당증체량에 있어서는 AME 처리구와 비교하여 복합효소제 처리구가 유의적인 성장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5). 건물 및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AME 처리구와 비교하여 복합효소제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P<0.05). 결론적으로, 자돈 및 육성돈 사료에 복합효소제의 첨가는 성장능력 및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For the Exp. I, a total of sixty pigs (10.57±0.30㎏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in a 15-d growth assay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etary α-1,6-galactosidase and β-1,4-mannanase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CON (corn-dried whey-SBM based diet), 2) EC0.1 (CON diet + 0.1% enzyme complex of α-1,6-galactosidase and β-1,4-mannanase).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gain/feed of pigs fed EC0.1 diet was higher (0.43 vs 0.52) than that of pigs fed CON diet (P<0.05). Pigs fed EC0.1 diet showed significant (P<0.05) improvement in dry matter (74.82% vs 82.41%) and nitrogen (70.59% vs 77.88%) digestibilities compared to pigs fed CON diet. For the Exp. 2, a total of thirty six pigs (22.30±0.45㎏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in a 30-d growth assay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α-1,6-galactosidase and β-1,4-mannanase in low energy diet on growth performance and nutrient digestibility. Dietary treatments included 1) AME (adequate ME diet), 2) AME+EC0.1 (AME diet + 0.1% enzyme complex) and LME+EC0.1 (low ME diet + 0.1% enzyme complex).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verage daily feed intake of pigs fed enzyme complex supplemented diets was higher than that of pigs fed CON diet (P<0.05). Also, pigs fed AME+EC0.1 diet showed significant (P<0.05) increase in ADFⅠ (1,401g vs 1,733g) compared to pigs fed CON diet. Pigs fed enzyme complex supplemented diet showed significant (P<0.05) improvement in dry matter and nitrogen digestibilities compared to pigs fed CON diet. In conclus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se feeding trials suggest that the supplementation of α-1,6-galactosidase and β-1,4-mannanase was an effective means for improving growth performance and dry matter and nitrogen digestibilities in nursery and growing pigs.

      • KCI우수등재

        Phytase 첨가 및 Extrusion 처리 쌀겨가 함유된 비육돈 사료의 Ca:P 비율이 Ca 및 P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길,김인호,이현우,손중천,김은주,권기범,문태현 한국축산학회 1999 한국축산학회지 Vol.41 No.5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etary Ca:P ratio on phytate P availability in growing pig diet formulated with 30% extruded rice bran and phytase. Four crossbred barrow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46㎏ were employed in 24-d metabolism experiment(4 x 4 Latin square). DM digestibility was the highest(P$lt; 0.05) when Ca: P ratio was 1.0: 1.0 in the diet. With increasing dietary Ca: P ratio, the DM digestibility was decreased(P$lt; 0.05). Both nitrogen and ash digestibilities were the highest among the treatments when Ca:P was 1.0:1.0. However, Ca digestibility was improved for pigs fed diet with 1.5 Ca:1.0 P. When dietary Ca: P ratio was 1.0: 1.0, P retention was increased due to decreased P excretion(P$lt; 0.05). Ca intake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dietary Ca : P. Therefore, Ca excretion was also increased in pigs fed diet with higher Ca : P ratio. In conclusion, when pigs fed diets containing 30% extruded rice bran supplemented with 500 unit phytase, the recommended ratio of Ca:P was 1.0:1.0.

      • 효모 세포벽으로부터 MANNOPROTEIN 과 β-GLUCAN 의 분리

        조광근,최윤재,윤연화,문태현,김성찬,복진덕 한국영양사료학회 1999 韓國營養飼料學會誌 Vol.23 No.6

        본 연구는 효모 세포벽으로부터 manoprotein과 β-glucan을 분리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효모로부터 분리된 manoprotein과 β-glucan은 동물의 면역기능을 강화시키는 기능성 가축용 면역증강제로 개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알칼리 추출 원리에 근거한 Catley의 방법 (Yeast, a practical approach, 1988, edited by Campbell and Duffus, IRL Press)을 변형하여 사용하였으며, 효모의 처리는 파쇄한 것과 파쇄하지 않은 것을 이용하여 manoprotein, β-glucan 및 protein 함량과 순도를 조사하였다. 세포건물로부터 추출된 세포벽 함량은 파쇄한 세포와 파쇄하지 않은 세포에서 각각 15.4%와 28.8%로 나타났으며, mannan의 함량은 파쇄하지 않을 경우 단백질을 제외한 mannan의 함량이 28.5%, 파쇄할 경우 52%로 나타나 mannoprotein은 파쇄된 효모에서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효모세포벽으로 부터 추출된 mannan 순도에 있어서 파쇄된 효모와 파쇄되지 않은 효모에서 각각 97.6%와 77.6%로 나타나 파쇄할 경우 mannan의 추출 순도를 높이는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glucan 추출율에 있어서는 파쇄할 경우와 파쇄하지 않은 경우 7.2%와 18.2%로 나타나 파쇄하지 않을 경우 추출율이 높게 나타난 경향을 보였으며, glucan의 순도는 70.8%와 71.7%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확립한 방법은 알칼리 용해성 glucan을 제외하였으므로 실제로 분리할 수 있는 glucan의 함량은 더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확립한 방법은 효모 세포벽으로부터 mannoprotein을 분리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extraction method of both mannoprotein and β-glucan was established from yeast cell wall fractions. From this method, both mannoprotein and β -glucan was used as an immune potentiator for domestic animals by activating the overall immune activity. Both mannoprotein and β-glucan were extracted from yeast cell wall fractions or total cell using basically Catley's method (Yeast, a practical approach, 1988, edited by Campbell and Duffus, IRL Press) with minor modification and simplification to be fit into an industrial application. With our modified extraction method. the extractable cell wall contents from mechanically broken cells and unbroken cells were 15.4% and 28.8%, respectively. Mannan contents of cell wall fractions from unbroken and broken cells were 28.5% and 52%, respectively, showing much higher extraction efficiency when the yeast cells were mechanically broken. Mannan contents extracted from cell wall fractions from unbroken and broken cells were 77.4% and 97.6%, respectively. For a higher purity of mannan, thus, it is necessary to break up the yeast cells. On the other hand, the extraction of glucan moiety was obtained 18.2% and 7.2% extraction rates from the cell wall preparation of unbroken and broken yeast cells, respectively, with similar sample purity in both samples (71.7%, 70.8%). In this study, alkali-extractable glucan was not included in the extraction process for the sake of simplicity necessary for the industrial application. However if this step is included in our modified protocol, the glucan yield will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the mannoprotein extraction method from yeast cell wall established in this study may be very effective and applicable in the industrial scale.

      • MANNOPROTEIN 과 GLUCAN 의 첨가가 쥐의 성장과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에 미치는 영향

        손광수,조광근,최윤재,윤연화,김재영,한영근,문태현,김성찬 한국영양사료학회 1999 韓國營養飼料學會誌 Vol.23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효모 세포벽, 또는 효모의 세포벽으로부터 본 연구에서 확립한 방법으로 분리한 mannoprotein(MP)과 glucan(Glu)을 동물에 급여하므로써 동물의 일당중체량, 일당사료섭취량과 사료:중체량의 비율, 그리고 동물이 가지고 있는 면역기능의 활성화정도를 조사하는데 있다. 산업적 측면에서 대량 추출하기 위하여 기존에 있는 방법을 개선하여 변형된 방법으로 효모세포벽제제를 분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효모세포벽제제(cell wall, mannoprotein glucan)와 시판중인 효모세포벽제제(Bio-Mos^(TM))를 0.1%로 4주령 횐쥐에 4주간 급여하였다. 일당중체량은 개선된 방법으로 분리한 glucan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중체량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 mannoprotein 급여구가 높았으며 cell wall과 시제품(Bio-Mos^(TM)) 급여구에서 낮은 중체량을 보였다.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 glucan 급여구가 cell wall과 시제품 급여구들과 비교할 때 높았으며 사료:중체량 비율 또한 glucan 급여구에서 가장 좋은 경향을 보였다. 사양 4주깨 횐쥐로부터 spleen을 채취하여 YACl 세포에 대한 natural killer cell의 cytotoxicity를 분석한 결과 본 실험실에서 분리한 mannoprotein과 glucan이 면역 증진효과가 큰것으로 보였다. Mannoprotein 급여구와 glucan 급여구에서 대조구와 cell wall 급여구보다 면역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으며(MP, P<0.01; Glu, P<0.05), mannoprotein 급여구가 glucan 급여구보다 natural killer cell의 활성도가 높았다(P<0.01). 결론적으로 효모세포벽, mannoprotein과 glucan을 횐쥐에 급여했을 때 성장능력에 있어서 유의성 있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세포배양수준에서 spleen natural killer cell의 activity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verage daily gam, average daily feed intake, feed gain ratio and immune system activation of rats when feeding yeast cell wall, mannoprotein (MP) and glucan (Glu) which were isolated from yeast cell wall. In order to isolate the yeast cell wall products in large scale, we used the improved isolation method basing on the typical one. In this study, yeast cell wall products (cell wall, mannoprotein, glucan) and commercial product (Bio-Mos^(TM)) were fed to 4-week old rats by 0.l% during 4 weeks experimental period. Glucan(extracted from improved method) provided the highest average daily gain. Mannoprotein treated group showed the second highest average daily gain. Cell wall and Bia-Mos^(TM) fed groups showed lower average daily gain. Treatment fed glucan also showed higher average daily feed intake than that of cell wall and commercial Bio-Mos^(TM) groups. And in feed: gain ratio, glucan fed rats showed the respectively good results. At the 4th week of feeding trial, rats' spleens were obtained from all the treatments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natural killer cell against YACl tumor cell.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nnoprotein and glucan had the significant effects on activating immune system. Rats of mannoprotein and glucan treated groups showed the higher immune activity than that of cell wall and control groups (MP, P<0.01; Glu, P<0.05), and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of mannoprotein fed rats was higher than that of glucan fed rats (P<0.01). In conclusion, although the addition of yeast cell wall, mannoprotein and glucan to the diet of rats did not provide the significant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it was clear that the mannoprotein and glucan isolated in this study could stimulate the activity of spleen natural killer cell in the cell culture.

      • 육성돈에서 Phytase 첨가가 Extrusion 한 쌀겨의 P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길,김인호,손중천,김은주,권기범,문태현 한국영양사료학회 1999 韓國營養飼料學會誌 Vol.23 No.3

        본 시험은 육성돈에 있어 extrusion된 쌀겨에 대한 P의 이용성과 extrusion된 쌀겨에 phytase를 첨가하므로서 P의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영양소 소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Extrusion된 쌀겨와 extrusion된 쌀겨에 phytase을 첨가한 구간의 비교는 phytase의 첨가에 의해 건물 소화율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4). N 소화율은 쌀겨구 보다는 extrusion된 쌀겨구에서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P<0.07). Ca(P<0.06)과 P(P<0.01)의 소화율은 모두 extrusion된 쌀겨에 phytase의 첨가수준이 다를 경우 500 unit보다는 1,000 mini에서 더 좋은 효과를 보였다. 분 중 P 배설량(2.72g/d vs 3.89g/d)은 extrusion된 쌀겨보다는 extrusion된 쌀겨에 phytase을 첨가하므로서 줄어들었다(P<0.08). 또한 phytase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P의 축적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P<0.04). 한편 Ca 섭취량, 배설량 및 축적량은 모든 처리구 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그러나 최종 Ca 축적량은 쌀겨에 비해 extrusion된 쌀겨의 경우 15%가 향상되었다(6.64g/d vs 5.77g/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icrobial phytase and feed processing on production and phytate P utilization of pigs. Four crossbred barrow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30㎏ were used in 24-d metabolism experiment(4 x 4 latin square)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truded rice bran and phytase supplementation on nutrient utilization. Digestibility of DM in pigs fed extruded rice bran with phytase improved compared to that in pigs fed extruded rice bran(P<0.04). N digestibility was greater for extruded rice bran than rice bran(P<0.07). However, there was no effect of phytase supplementation to extruded rice bran. Digeshbilities of Ca(P<0.06) and P(P<0.01) were greatest for extruded rice bran with phytase 1,000 unit. Fecal excretion of P(2.72g/d vs 3.89g/d) was less for extruded rice bran with phytase than without phytase(P<0.08). Also, when phytase supplementation was increased in diet, there was increased P retention(P<0.04). There were no treatment effects intake, excretion and retention of Ca. However, Ca retention improved by 15% in extruded rice bran compared to rice bran(6.44g/d vs 5.77g/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