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문법 문식성 연구의 과제와 방향

        남가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6 No.-

        This paper examines the purpose and directions of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some important issues regarding it. ‘Grammar literacy’ is examined in two directions. Firstly, grammar could be regarded as a construct of literacy. Secondly, refinement toward grammar could be concerned. According to these directions, this paper presents some main issues about grammar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s a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ose issues. First, in early literacy, grammar plays important roles especially in phonological and spelling awareness. Reading and writing ar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se two awareness. Second,grammar should be redescribed as a strategic resources in literacy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s. Third, learners’ knowledge about grammar is developed in two tracks; voluntarily and scientifically.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planned and implemented that these two concepts are able to interact mutually. 본 연구에서는 ‘초등 문법교육’의 기획 및 설계를 위한 토대로서, ‘문법 문식성’의개념화 방향을 설정한 후 이를 토대로 초등 문법 문식성에 대한 주요 연구 문제를설정하고 그에 대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문식성의 구인으로서 문법에 주목하는 방향과, 문법에 대한 소양에 주목하는 방향으로 나누어, 문법 문식성을 개념화할 수 있음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의 문법 문식성 연구의 과제를 다음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문법이 어떻게 읽기 및 쓰기 능력의 출발점이 되는 음운 및 철자 인식의 형성 및 발달에 기여하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과학적으로 살피고 언어학적으로 기술하여, 문법에 대한 명시적, 형식적 교육의 필요성 및 절차와 방향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초등학교문식성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할 때에는, 문법이 문식성의 각 발달 단계에서 어떻게기여하고 작용할 수 있는지 그 구체적인 양상을 살피되, 문식성을 발달시키는 전략적자원으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 방식을 정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문법에 대한명시적 교육이 공식적으로 처음 제공되는 초등학교 문법교육에서 어떻게 학습자의기존 자발적 개념이 과학적 개념을 만나 구조화되는지 그 양상을 살필 필요가 있으며, 기존의 자발적 개념과 괴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과학적 개념을 도입, 전개하는방법 및 방향에 대한 면밀한 탐색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학문적 상상력을 통한 국어교육 연구의 지평 확장- 문법 교과의 생태와 문법교육학의 진화 과정을 중심으로–

        남가영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7

        This paper aims to genealogically explore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has evolved through scientific imagination within the complex and dynamic subject ecology, with a focus on studies on grammar education. For this purpose, it identifies the role of scientific imagination in the evolution of grammar education research and genealogically examines the evolutionary process through review of critical and core literatures including researches pertaining to constant self-denying, studies that aim to understand and fill gaps, and scholarship connecting existing things to new things. The above approach can reveal the evolutionary process that grammar education research has undergone and its distinctive ecological contexts, and can also suppose current problems and pathways to a more transformative future. "본 연구에서는 국어교육학이 독특한 학문 생태 안에서 학문적 상상력을 발휘하며 그간 어떻게 스스로 자기 갱신을 거듭해 오면서 학문으로서 자리매김해 왔는지, 그 과정을 ‘문법교육학’을 중심으로 계보학적(系譜學的)으로 추적해 보고자 한다. 이는 국어교육학에 대한 일종의 메타 담론으로서, 이러한 반성적 성찰 과정을 통해 국어교육학의 현재를 면밀히 살피고 국어교육학이 학교 제도를 넘어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태를 타진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위해 학문적 상상력에 의거해 학문이 진화하는 양상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각각의 유형 안에서 유의미한 분기점으로 작용하는 연구들을 탐색하고 그 의미와 계승 양상을 면밀히 추적함으로써, 문법교육학이 ‘부정의 사유’를 거쳐 기존 개념 체계의 창조적 재형성을 시도함으로써 새로운 이론 체계로서 거듭나는 학문 여정을 밟아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독특한 학문 생태 안에서 독자적 학문 체계로서 끊임없이 진화하기 위해 현재 문법교육학이 처해 있는 난관과 과제 역시 함께 성찰할 수 있었다. "

      • KCI등재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연구

        남가영,김호정,박재현,김은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4 No.3

        This study deals with a current issue of textbook selection which has been newly focus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Especial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ully describe the process and results of textbook selection through the interviews with Korean teachers and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The task of text selection challenges Korean teachers to perform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based on their field-specific professionalism. Nevertheless, the teachers have not been provided with detailed guidelines and systematic supports. So it is highly necessary to conduct a research about theoretic and scientific approach to textbook selection. With these purposes the study have conducted interviews with four Korean teachers, analyzed them, and describ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textbook selection. The study adopts qualitative methods as the basic tool of investigation. In order to fully substantiate the content-validity, the four co-researchers have closely cooperated throughout the whole process of research, discussed the issues of the research, and depicted the results. At the final stage of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selection experiences, all the teachers who were interviewed proofread and evaluated the study, and all the results were utterly reflected. 이 연구는 검정 교과서 시대를 맞아 국어교육계에 본격적으로 주목하기 시작한 ‘교과서 선정’이라는 현상을 다루고 있다. 특히 국어 교사가 경험한 검정 교과서 선정의 과정과 결과를 교사 면담을 통해 세밀하게 기술하고, 이러한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장의 국어 교사에게 교과서 선정이라는 과제는 교과 전문성에 기반하여 수행해야 할 새로운 과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과서 선정 활동에 대한 상세한 안내와 체계적 지원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어과 검정 교과서의 선정에 대한 좀 더 이론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연구는 이상의 문제의식 아래 국어 교사 4인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면담 결과물을 분석하여 국어 교사들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기본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취한 이 연구에서는 내용 타당도를 위하여 연구자 4인이 모든 과정에서 수회의 검토를 거듭하고 숙의 과정을 거쳐 연구 과정을 진행하고 결과를 기술하였으며, 결과 정리 과정에서는 연구 참여자인 면담 교사 전원의 평가 작업을 거친 후 그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국어 교사의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양상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규범성’ 담론의 의미와 작용 양상

        남가영 한말연구학회 2019 한말연구 Vol.- No.5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meaning and implementation of ‘norm-oriented discourse’ in 2015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Subject. For this purpose, curriculum documents were analysed, and also in the view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12 units of textbooks were analyzed and its development process were explored through FIG toward 4 unit writers. The result is as follows : In the curriculum document, norm seems to be main rationals for choosing learning contents or to be as tools for decreasing learning contents. After exploring textbooks and its development context, norm does not be used as the former, and also not be used as the latter. It means that norms have been actually introduced as tools for decreasing learning contents, however, it has been thrown out easily because of loss of considerate deliberation. Therefore, the task for positioning of the norm-oriented discourse in grammar education should be examined in more detailed.

      • KCI등재
      • KCI등재

        3.11 이후 영화에 나타난 변화상

        남가영,조영호 한국일본근대학회 201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48

        2011년 3월11일, 일본 사상 미증유의 사건이 발생했다. 그것은 쓰나미로 인한 원전폭발이다. 3.11은 일본 역사상 전쟁이후최악의 자연재해로 기록되었다. 본고에서는 3.11이라는 사건을 전후로 일본인들의 의식변화와 그 사회 시대상을 반영하는 영화라는 콘텐츠에 나타나는 변화상에 대해 고찰하기로 한다.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극영화나 이미지로 전달되는 영상콘텐츠 제작자들은 3.11의 여파로 사회적 모순에 눈뜨고 탈 원자력운동과 후세에게 전해야 하는 메시지들을 담은 영상을 제작하였다. 또한 일본인들이 안고 있는 불안감과 결핍들을 표현하기 위해 영화 속에 3.11을 통해 체험한 이미지들을 침투시켰다. 콘텐츠 제작자들의 윤리적인 태도의 결핍과 본질이 왜곡된 정보가 무자비하게 실시간으로 전 세계로 전송됨으로서 3.11로 인해 고통 받은 피해자들에게 이중의 고통을 안겨주기도 했다. 3.11 전과 후의 의식변화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분석한 결과 3.11 이전보다 일본인들은 인간의 본질의 중요성 및 가족과 인간 유대관계를 더욱 가치있게 생각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일본인의 기본적 가치관 변화는 미래에 중점을 두며, 자기본위적인 가치관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동경전력과 일본 정부의 지나친 안정성 강조에도 불구하고 2015년 3월 19일에 NHK은 일본후쿠시마의 제 1, 2, 3호기의 멜트다운 확정을 보도함으로서 3.11은 더 이상 일본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닌 전 인류의 문제로 대두되었다. 추가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폐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과 인간본질이 표백되거나 누락되지 않도록 범세계적인 관심과 자각이 요구된다. On march 11, 2011, the unprecedented accident in Japanese history occurred. That was a nuclear power plant explosion caused by tsunami. 3.11 was recorded as worst natural disaster since WWII in Japanese history.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onsciousness change of japanese around accident of 3.11 and the aspect of change which appeared in the film contents reflecting social aspect of the time. The producers of play film based on picture or picture contents transmitted as image manufactured pictures which contain the campaign for free from nuclear energy and message for next generation by recognition of social inconsistency by aftereffect of 3.11. And they put images of 3.11 experience through into the movie to express anxiety and wants that Japanese have. By brutal and real time transmission of nature distorted information due to lack of ethical attitude of contents manufacturers, the victims of 3.11, who already damaged, had doubled pain.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results of public opinion survey on consciousness change of Japanese around 3.11 shows the aspect that Japanese think the importance of human nature and the unity of family and human more valuably. Even though the excessive emphasis of Japanese government and Tokyo Electric Power on stableness, NHK reported confirmation of meltdown of Fukushima NPP unit 1,2,3 in Japan, so the 3.11 was on the rise as no more a problem limited in Japan but a problem of all human.The detailed plan on finished nuclear reactors to reduce additional damage and worldwide attention and self-consciousness not to bleach or omit the human nature are needed.

      • KCI등재

        교과서 선정에 관한 국·영·수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남가영,맹은경,고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중등 국어, 영어, 수학 교사 287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인)정 교과서 선정 과정을 살피고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 문제는 1)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은 무엇이며 교과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교과서 선정 과정에 중요하다고 인식한 기준과 실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 사이에는 차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결과를 정량 분석한 결과, 첫째,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된 기준이 교과별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평가 기준별로 가중치나 배점을 달리하거나 교과서 선정 맥락에 부합하는 기준을 선별하는 등 교과서 선정 기준을 체계화하고 교과별로 특화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둘째,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기준과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반영한 기준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실제에 부합하도록 이끌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합리적 소통을 보장하기 위해 교과서 선정 과정과 절차를 체계화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with respect to the selection of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for Korean secondary schools. To be more specific, this study identifies the process of selecting textbooks and analyzes teachers‘ perceptions on evaluation areas and standards for selecting textbooks. The study also compares th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teachers on the selection criteria. A survey was conducted and 278 secondary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o analyze the data, descriptive frequencies, cross-tabulation analysis, MANOVA, and paired t-test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condary teachers, regardless of their subject area, mostly used the general standard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hen they were selecting a textbook for their school. Second, the degrees and orders of perceived value and applied value of the teachers on the general textbook selection criteria appeared different. Overall, they perceived 'Content Selection (4.02)’ as the most important area of the textbook selection criteria, and 'Assessment (3.98)' as the second most important area. They considered, however, 'Content Selection (3.65)' and Content Organization (3.65)' the most important sub-standards, followed by 'Assessment(3.83)', when they were actually selecting their textbooks. In addition, 'motivating', 'appropriate levels of content', and 'appropriate amount of materials' were perceived, in that order, as important sub-standards. Third, the results of the above perceptions varied according to teacher subject area: Korean Language, English, and Mathematics.

      • KCI등재후보

        문법교육론 자리매김의 두 방향- 문법교육 담론의 생산적 읽기를 바탕으로

        남가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7 국어교육연구 Vol.19 No.-

        There are lots of studies on grammar education. Some are theoretical and some are practical. One of main theoretical issues has been an epistemological one, such as ‘what is the phenomenon of ‘the grammar education’ anyway?’, ‘what is its educational value?’. Recently, there are two meaningful discourses which draws our attentions; the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and the Neo-Independent Grammar Education. Usually, these two discourses seem to be mutually exclusive and incompatible. Through re-reading the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mainly around concepts(function, integration, practicality), however,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se two discourses have an essential aim in common. It is just their focus that is differentiated. For exploring the nature and value of grammar education, we should think much of ‘language as an object’ and ‘language subject which deals with language as an object’. More especially, we should closely pay attention to their(language/ human) two-way interactions both. The one is to pay attention to ‘the activity to examine language closely’, and then to discuss its educational value(human→language). The other is to pay attention to ‘the activity to explore human and world though language’, and then to redescribe language in functionally-motivated mode(language→human) for it. The Neo-Independent Grammar Education comes under the former, and the Integrational Grammar Education falls on the latter. Therefore, both of these two discourse could be considered as meaningful attempts to enrich epistemology of grammar education. This is the productive way for grammar education. 소통되지 못하고 그 실현체를 내 놓지 못하였다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법교육의 실재와 현상에 대한 끈질긴 물음은 지속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문법교육의 최근 두 담론, 통합적 문법교육 담론과 신독자론이 서로 상반적인 논리로서 소통되고 논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담론이 모두 본질적인 문법교육론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통합적 문법교육 담론은 흔히 처방적이고 도구적인 관점에서 문법교육의 문제를 외재적으로 정당화한 논리로 이해되고 소통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담론의 중심 개념, 즉 ‘통합’, ‘기능’, ‘실용’ 등을 면밀히 살피고 그 논리를 맥을 구체화해 보면, 그 안에는 본질적 문법교육론을 지향하는 문법 교육 담론으로서 의미 있게 포착해야 하는 지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본고에서는 생산적 읽기를 통해, 해당 담론의 지향과 토대를 재조명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문법교육론 정립의 두 가지 방향을 제안하였다. 문법교육은 언어-인간-교육이 얽혀 있는 총체적 활동으로서, 이때 언어 주체는 언어를 대상으로서 다루고 사고한다. 그러므로 문법교육론의 정립을 위해서는 ‘대상으로서의 언어’와 이를 다루는 ‘언어 주체’에 주목해야 한다. 그리하여 본고에서는 문법교육론 정립의 기본적인 두 방향으로 ‘언어 주체의 언어 들여다보기’와 ‘언어를 통해 인간 들여다보기’를 설정하였다. 전자는 언어 주체가 언어를 들여다보는 활동의 교육적 의미화를 추구하는 방향이며, 후자는 언어를 통해 의미를 추적하는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의미 생산의 주체이자 산물인 인간과 세계를 의미화할 수 있다고 보고, 이것이 가능하도록 언어의 양태를 조율, 재기술하는 방향이다.

      • KCI등재

        교과서 선정에 관한 국․영․수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남가영,맹은경,고호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중등 국어, 영어, 수학 교사 287명을 대상으로 하여 검(인)정 교과서 선정 과정을 살피고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 문제는 1)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은 무엇이며 교과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교과서 선정 과정 에 중요하다고 인식한 기준과 실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한 기준 사이에는 차이에는 유의미 한 차이가 있는가이다. 연구 결과를 정량 분석한 결과, 첫째,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적용, 반영된 기준이 교과별 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평가 기준별로 가중치나 배점을 달리하거나 교과서 선정 맥락에 부합 하는 기준을 선별하는 등 교과서 선정 기준을 체계화하고 교과별로 특화하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 었다. 둘째, 교사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기준과 실제 교과서 선정 시 중요하게 반영한 기준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교과서 선정 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보다 실제에 부합하도록 이끌 수 있는 교사교육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합리적 소통을 보장하기 위 해 교과서 선정 과정과 절차를 체계화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우수등재

        체계기능언어학(SFL)을 통한 국어교육의 지평 확장

        남가영,주세형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200

        본 논문은 체계기능언어학(SFL)의 상상력이 문법교육 및 국어교육 연구의 지평을 어떻게 확장해 왔는지 그 역사와 계보를 조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의 미래를 전망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SFL이 문법교육학의 개신 과정에 준 영향을 이론적․철학적 층위, 실천적․실행적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론적으로는 문법 교육 내용 기술의 관점이 변화되었고, 맥락이 내재적인 변인으로 자리매김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문장 문법으로 재구성되었으며, 변이형에 대한 교육적 가치가 달라졌다. 실천적으로는 교육과정에서 문법 영역의 성취기준이 화자의 의도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으며, 학습자의 의미 체계 발달을 중심으로 문법 교육을 설계하게 되면서 학습자의 주체성을 강조하게 되었고, ‘텍스트 및 맥락 중심 문법 교육’의 의미가 명료해졌다. 또한 SFL은 국어교육학 전체에도 의미 있는 영향력을 주어 왔다. 국어과 교육과정을 사회기호학적인 관점으로 재편하여 새로운 문식성을 목표로 하도록 하였고, 텍스트 분류 기준을 장르 문법적으로 접근하도록 하여 교육과정 ‘실제’ 범주를 타당하게 규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개별 텍스트의 텍스트성에 대한 재규정,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하여 기능 영역의 언어적 교육 내용을 명세화함으로써 국어과적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엇보다도, 국어교육학의 이론 체계화 작업에도 큰 통찰을 주어, 교과서를 ‘연구’할 수 있는 대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게 하였다. 더 나아가 SFL은 국어 교과를 넘어 학습의 본질을 언어학적으로 정립하고, 학교 교육과정 전반을 보다 과학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해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