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2022 개정 지리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초・고급중학교 지리학습내용의 연계성

        김화실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hanges in Chinese 2022 revised compulsory curriculum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pper second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changes, and to explore the linkag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eography content. The Chinese Ministry of Education promulgated the “double reduction” policy and successively promoted teaching reforms in the 2022 compulsory curriculum. Compared with the 2011 compulsory curriculum, the revised compulsory curriculum has brought about qualitative changes in terms of curriculum goals and content. In particular, the curriculum reform was deepened by establishing interdisciplinary subject learning, and the core competencies were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curriculum content by adding new academic quality. The appendix is designed to implement the core competencies, ensure the practicality of geography learning, and promote the all-round development of students. The revised compulsory school curriculum and the advanced middle school curriculum have a common curriculum goal of core competencies and are closely linked in curriculum content, and the learning content at different school levels shows a spiral upward structure, indicating a gradual deepening.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2022개정 의무교육과정의 변화를 소개하고, 그 변화에 따른 상위 고급중 교육과정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초・고급중 지리학습내용의 연계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중국 교육부에서 ‘이중감소’정책을 공포함과 더불어 2022년에는의무교육과정에서 교수 개혁을 추진하였다. 2011년 의무교육과정과 비교해보면, 개정 의무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등 면에서 질적인 변화를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타 교과 간 주제학습의 확립을 통해 교육과정 개혁을 깊이 있게 수행하였고, 학업의 질을 새로 추가함으로 핵심역량을 교육과정 내용과 유기적으로 연결하였다. 부록은 핵심역량을 구현하고 지리학습의 실용성을 확보하고 학생의 다방면 발달을 꾀하였다. 개정 의무교육과정과 고급중 교육과정과 핵심역량이라는 공통한 교육과정 목표를 가지고, 교육과정 내용에서 긴밀하게 연계되며, 학교 급별 간 학습 내용도 나선식 상승 구조를 보여줌으로 점진적으로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뉴 실버세대를 위한 웹사이트 신문 현황분석 및 사용자 평가 -5,60 대 이상의 뉴 실버세대 웹사이트를 중심으로-

        김화실 ( Hwa Sil Kim ),백진경 ( Jin Kyung Paik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8 No.-

        고령화 시대가 도래 하면서 기존의 실버세대와는 다른 적극적 특성을 가진 뉴 실버세대가 늘고 있으며, 고령자들의 컴퓨터에 대한 접근성이 증가하고,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해 웹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이 더욱 용이해지고 있다. 하지만 뉴 실버세대들조차도 이러한 문화를 접하는데 있어 젊은 세대에 비해 어려움을 겪는다. 이에 본 논문은 뉴 실버세대의 신체적,정신적, 문화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반영한 뉴 실버세대를 위한 웹사이트신문 사용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뉴 실버세대를 위해 제작되어진 종이 신문을 바탕으로 웹사이트 신문을 발행하고 있는 웹사이트(시니어스 타임즈, 백세시대, 실버넷뉴스)를 분석하였다. 1 차로 디자인 전문가5 명에게 4 가지의 평가 척도(레이아웃, 그래픽, 컬러,서체)를 통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뉴실버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뉴 실버세대를 위한 사이트에 접속해 본 경험은 적었으나, 웹사이트 신문의 필요성은 높게 나타났다. 웹사이트 방문 시 가장 고려하는 요소는 신문기사의 위치였으며 가장 읽기 편한 서체의 크기는 12pt 로 나타났다. 본논문에서 선정한 3 개의 웹사이트 중 메인페이지에서 기사를 잘 찾을 수 있는 화면에 대한선호도 분석에 서는 <백세시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개별 의견으로는 웹사이트에 뉴 실버세대들이 접근하기 쉽도록 건강이나 취업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뉴 실버세대를 위한 웹사이트 신문의 적절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aging society, the new silver generation, whose active characteristics distinguish it from the existing silver generation, is on the rise. Seniors’ access to computers is increasing, and the introduction of smart-phones has made the use of websites or applications easier. However, the new silver generation still experiences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modern culture compared with the young gene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s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an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examines the usability of news websites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Given these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analyzed websites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Seniors-Times, Backsea-shidae, and SilverNet-News) that publish online news based on traditional newspapers. They were primarily analyzed through four evaluation criteria (layout, graphic, color, and font) by 5 designexperts. A survey targeting the new silver generation was conduct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experts. The result showed that the new silver generation places a high importance on news websites despite the former’s limited experience in accessing the said sites. The most noteworthy factor when visiting websites was the location of news articles. Further,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most reader-friendly font size is 12pt. Preference analysis for the screen on which a reader could easily locate an article on the main page was conducted for the three websites studied in this research. The result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for Era of 100-year Life Expectancy (formerly News for the Old-Age). Meanwhile, individual opinions suggested that websites should include a wide range of information, including that on health and employment, for the new silver generation to access easi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is study proposes appropriate guidelines for future news websites that cater to the new silver generation.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종합병원 디지털 정보안내사인의 효과적 정보전달을 위한 연구

        김화실(Kim, Hwa Sil),백진경(Paik, Jin Kyu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본 연구는 현재 종합병원 대기공간에서 사용 중인 안내사인의 시각요소(레이아웃, 서체, 컬러)와 디지털 안내사인의 요소(시간, 영상타임라인)에 대해 최근 5년 내에 디지털 안내사인을 설치한 병원을 선정하여 현황조사 및 사용자 선호도 조사,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색채의 경우 서로 상반되는 배경과 서체의 색을 이용하여 명시성을 높여 내용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으며, 서체는 상대적으로 가독성이 뛰어난 고딕서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디지털 안내사인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시간과 영상 타임라인에서는 진료안내 혹은 병원 광고화면과 진료안내를 일정한 간격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사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디지털 안내사인을 경험한 적이 많았으나, 안내사인의 회전 속도가 빠르거나 글자의 크기가 작아 안내사인에서 제공하는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과반수를 넘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디지털 안내사인에서 가장 많이 찾는 정보로는 진료과를 들었으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정보 또한 진료과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진행한 실험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안내사인의 디자인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용을 재구성한 새로운 샘플을 만들어 2~50대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모든 연령대에서 조건이 같고 서체크기가 클 경우, 찾고자 하는 정보를 약 3.5초 정도 빨리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 연령에 따른 샘플 별 차이를 봤을 때 2-30대와 4-50대는 별로 서체크기가 작은 샘플에서 4.7초, 큰 서체 샘플에서는 6초의 시간차를 보여, 서체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경우에 연령대별 화면 회전에 대한 실험 시간에 따른 격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For this study, I conducted a survey investigating current situation, user preference, and field experiment. Hospitals utilizing digital sign systems at least five years were selected, which are connected with visual elements (layout, typo, color) used in waiting areas and elements of the systems (time, video time lin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field survey showed that digital sign systems used the color of typo and background contrasted to one another to increase explicitness and to ensure easy understanding of contents. In addition, the Gothic typo with relatively high legibility was adopted. Time and video timeline, which characterize digital sign systems, showed the advertising screens of the hospitals and the guidance of medical treatment at regular intervals. Moreover, survey results on user satisfaction showed that a majority of respondents indicated they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digital information conveyed from digital sign systems due to time setting for rotational speed or the small size of typo although most of the users had previous experience with digital sign systems.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n=86, 86%) answered that information related to medical departments was what they sought most frequently and that this kind of information should be importantly considered in digital sign systems. For the experiment, new samples with restructured contents of current digital sign systems were created and tested while keeping its design unchanged as well as applying these new samples. Study participants were in their 20s through 50s. When the size of typo was larger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all age groups, study participants found the desired information approximately 3.5 seconds faster. In addition, those in their 20-30s and 40-50s showed the time difference of 4.7 seconds for small typo and 6 seconds for large typo, which sugges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y age in the amount of time taken in the experiment to find the desired information from the rotating digital sign system regardless of age and the size of typo.

      • KCI등재

        서울시 종량제 쓰레기봉투의 사용법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제안

        예지,김화실,백진경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The enforcement of volume-rate disposal system which has been resulted in reducing the household waste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recycled contents is showing positive effects that are generating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However due to the lack of user's perception about how to separate and dispose of recycling wastes, some problems are constantly raised, like food waste is disposed in the standard volume-rate garbage bag. By rearranging visual information printed on standard plastic garbage bags (SPGB),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deliver the information regarding how to use them properly. In order to achieve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information design, the study examined the cases of visual information printed on nine SPGB from domestic and overseas. Among the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user's awareness of visual information printed on SPGB in three districts of Seoul, Korea. As a result, user-preferred item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elected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SPGB, established the hierarchical order of the selected information, and proposed a guideline for using SPGB with informative graphics;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delivery was improved.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guideline by comparing a survey on user's awareness. 정부의 종량제 시행 15년의 결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감소하고 재활용품의 양이 증가하는 등 사회 경제적 편익이 발생하는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쓰레기 분리 배출방법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부족으로 인해 음식물이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담겨 버려지는 등 사용방법에 대한 문제점들이 꾸준히 제기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인쇄되어 전달되는 시각정보들을 재정비함으로써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각정보디자인 관점에서 총 9개의 국내?외 종량제 쓰레기봉투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서울시 3개구의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대해서는 사용자 인식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항목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기재할 정보를 선별하고 위계질서를 정립하였으며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으로 나타내어 정보전달의 주목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킨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디자인 개선안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개선안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수술실 손 소독제의 종류에 따른 균주 수의 변화

        홍성윤,정민,소영,이수정,오은실,양서인,김화실,남초 병원간호사회 2006 임상간호연구 Vol.11 No.2

        Purpos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compare the hand washing effect of 7.5% powidone-iodine, which is used in the operation room of C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with that of Ethyl alcohol-CHG mixture recommended by the US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2002) and to adopt a more effective hand disinfectant. Method: In a quasi-experimental design, 48 medical staff who participated in operations during the period from November 2004 to February 2005 had hand washing using the two kinds of hand disinfectants: 7.5% povidone-iodine and the ethyl alcohol-CHG mixture. Their palms were swabbed and cultured just after hand washing and again after taking dff sterile gloves after the operation. The number of colonies from the two occasions were counted and compared. Result: The number of general bacillu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using 7.5% povidone-iodine compared to that in the group using the ethyl alcohol-CHG mixture. The number of general bacillus increased signficantly in doctors compared to that in nurses. The factors affecting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general bacillus were disinfectants and medical personnel. The number of general bacillus was expected to increase 9.41 times with 7.5% povidone-iodine than with the ethyl alcohol-CHG mixture and 14.87 times in doctors than in nurse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ethyl alcogol-CHG mixture has a stronger hand disinfection effect than 7.5% povidone iodine. Thus we need to change the hand disinfectant used in operating rooms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minimize the infection of wounds resulting from operations.

      • KCI등재

        논문 : 서울시 종량제 쓰레기봉투의 사용법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제안

        예지(주저자) ( Ye Ji Kim ),김화실(공동저자) ( Hwa Sil Kim ),백진경(교신저자) ( Jin Kyung Pai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4

        정부의 종량제 시행 15년의 결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감소하고 재활용품의 양이 증가하는 등 사회 경제적 편익이 발생하는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쓰레기 분리 배출방법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부족으로 인해 음식물이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담겨 버려지는 등 사용방법에 대한 문제점들이 꾸준히 제기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인쇄되어 전달되는 시각정보들을 재정비함으로써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시각정보디자인 관점에서 총 9개의 국내·외 종량제 쓰레기봉투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서울시 3개구의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대해서는 사용자 인식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항목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종량제 쓰레기봉투에 기재할 정보를 선별하고 위계질서를 정립하였으며 사용법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으로 나타내어 정보전달의 주목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킨 디자인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디자인 개선안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비교 평가함으로써 디자인 개선안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The enforcement of volume-rate disposal system which has been resulted in reducing the household waste and increasing the amount of recycled contents is showing positive effects that are generating social and economic benefits, However due to the lack of user`s perception about how to separate and dispose of recycling wastes, some problems are constantly raised, like food waste is disposed in the standard volume-rate garbage bag. By rearranging visual information printed on standard plastic garbage bags (SPGB),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ways to deliver the information regarding how to use them properly. In order to achieve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information design, the study examined the cases of visual information printed on nine SPGB from domestic and overseas. Among thes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user`s awareness of visual information printed on SPGB in three districts of Seoul, Korea. As a result, user-preferred item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selected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SPGB, established the hierarchical order of the selected information, and proposed a guideline for using SPGB with informative graphics; therefore,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delivery was improved. In addi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external validity of the guideline by comparing a survey on user`s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