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팩션 시대의 역사 만화 - 김진의 『바람의 나라』를 중심으로 -

        김지영 ( Kim Chi-you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08 국제어문 Vol.42 No.-

        역사에 대한 공통감각을 위반하고 허구성이 표나게 강화된 팩션형 역사서사의 등장 배경과 그것이 창출하는 효과 및 새로운 역사의식 대한 관심에서 출발한 이 글은, 만화의 서사 관습이 팩션형 대중 역사물이 추구하는 감성적 서사 관습의 한 기원을 이룬다고 보고, 이 같은 만화 서사 기법을 탁월하게 활용한 작품으로서 『바람의 나라』에 주목했다. 『바람의 나라』는 고립적이고 내면적인 자기성찰성을 드러내는 내레이션의 초점 주체들을 자유롭게 교차 이동시킴으로써 상호주관적 서정성을 강화하고, 이미지와 내레이션 주체의 교차 병치를 통해 인물과 인물간의 교호적 감성 교차를 가능하게 하는 등, 인물 간 감성적 공감대를 심화시킬 수 있는 만화 서사의 가능성을 탁월하게 활용하였다. 이 같은 만화의 서사기법은 왕조사 중심의 화려한 역사에 의해 가려져 있는 모순과 슬픔, 그리고 소외되고 외면당하는 순진하고 여린 정서들에 초점을 맞추게 함으로써 정치사-전쟁사의 무게를 해체하는 데 적절히 기능하며, 이후 『다모』, 『왕의 남자』 등에서 영상 역사의 서사 관습에도 영향을 미친다. 한편, 『바람의 나라』는 고전 역사의 환의 세계관과 신화적 모티프들을 복원하여 고전의 신이적 상상력을 통해 이성 중심의 지배 역사를 이질적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는 구조를 마련했다. 추악하고 끔찍한 괴물들이 지배 역사의 폭력을 고발하는 모티프로 작용한다면, 화려한 사방신의 이미지는 지배자·왕(자)의 존재 속에 숨어 있는 불안과 고독, 모순된 내면성을 드러냄으로써 남성적·이성적 역사의 불완전성을 노출했다. 『바람의 나라』는 또한, 아버지와 아들의 살(殺)이라는 모티프를 통해 지배적인 역사의 현실원칙과 소외된 자들이 꿈꾸는 이상원칙 간의 대립을 구체적 형상으로 그려냈다. 이해와 포용의 역사라는 대중적 이상을 단선적으로 추구하지 않고, 어느 한 쪽만을 지지할 수 없는 부자간의 운명적 살을 통해 끝까지 긴장을 유지하며 역사에 대한 지속적 성찰을 유도한다는 사실은 작가의 균형감각의 결과이자 『바람의 나라』가 구현해낸 독보적인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이 같은 서사적 특징은 더 이상 거대 역사의 추이에 기대를 걸지 않는 대중의 정치적 허무주의와 피해의식을 반영하는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릴 수 없는 참여에의 소망을 투영한다는 점에서 최근의 팩션형 서사가 공유하는 역사의식을 일정하게 드러내고 있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Faction narrative by analyzing the kingdom of wind, which is a history cartoon written by Jin Kim. I focused on the kingdom of wind, in two different reasons. First, a cartoon has greatly impacted on recent customs of Faction narrative, in that it developed the new trend of sentimental narrative in Korean history films and drama. Second, Kim`s the kingdom of wind reflected not only the new trend of history narratives but also the change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mass. For the first aspect, I analyzed how the kingdom of wind used such factors as frames, words, images, a focalized person, and a de-focalized person, etc. For the second aspect, I focused on why the kingdom of wind adapted such motifs as fantastic beings, which were almost prohibited in history narratives until the 1990s and how this work developed these motifs to describe the history of the ancient Korea, Kogu`ryo. In addition, the killing motif between the opposing father and son was also closely examined, in that this motif was articulated to reflect the recent historical consciousness of the mass in Korea.

      • SCOPUSKCI등재

        pKT230 벡터를 이용한 Pseudomonas sp. P20의 2,3-Dihydroxybiphenyl Dioxygenase 유전자의 클로닝

        김지영,김치경,가종억,민경희,박용근,Kim, Ji-Young,Kim, Chi-Kyung,Ka, Jong-Ok,Min, Kyung-Hee,Park, Yong-Keun 한국미생물 · 생명공학회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6

        Pseudomonas sp. P20 isolated from the polluted environment is capable of degrading biphenyl and 4-chlorobiphenyl. The pcbABCD genes responsible for degradation of biphenyl and 4-chlorobiphenyl were cloned using pBluescript SK(+) from the chromosomal DNA of Pseudomonas sp. P20 to construct pCK1 and pCK102, harbouring pcbABCD and pcbCD, respectively. The 2, 3-DHBP dioxygenase gene, pcbC, was cloned again from pCK102 by using pKT230 which is known as a shuttle vector and pKK1 hybrid plasmid was constructed. The E. coli KK1 transformant obtained by transforming the pKK1 into E. coli XL1-Blue showed 2, 3-DHBP dioxygenase activity. The specific 2, 3-DHBP dioxygenase activity of E. coli KK1 was similar to that of the E. coli CK102, but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natural isolates, Pseudomonas sp. DJ-12 and Pseudomonas sp. P20.

      • KCI등재

        영원회귀, 혹은 차이와 반복으로서의 역사 쓰기 : 김연수의 『나는 유령작가입니다』에 나타난 역사 서사방식 고찰

        김지영(Kim Chi-Young) 우리문학회 2010 우리文學硏究 Vol.0 No.31

        『유령작가』는 진실의 불확정성에 대한 작가의 일관된 관심이 역사의 진실, 존재와 시간, 역사 쓰기의 의미에 대한 의식적 성찰로 나아간 작품집이다. 기록이 지닌 한계와 소통의 불능에서 비롯한 역사에의 회의는 무엇이 우연이고 무엇이 필연인가라는 실체적 구분보다는 우연과 필연을 명명하는 주체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것, 우연과 필연을 함께 내장한 그 역사의 길을 ‘걷는’ 것이 중요하다는 자각에 이르고, 이 자각은 작가에게 쓰기라는 행위의 형식으로 현상한다. 역사의 실체성에 대한 작가 특유의 부정의식은 쓴다는 행위의 자의성을 의식적으로 드러내는 쓰기의 형식을 창안함으로써 재현의 욕망과 재현에 대한 회의를 접속시킨다. 쓰기의 자의성을 드러내는 쓰기란 현재의 서사가 매순간 서로 다른 지평과 서로 다른 지향 속에서 부딪히는 과거와 미래의 순간적 기록임을 인지하고, 기록하는 바로 그 순간 다음 쓰기를 예기함으로써 서로 다른 관점들의 역동적인 교섭과 접합을 꿈꾸는 역사 쓰기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독특한 서사형식을 통해 김연수는 다른 관점과 배치들이 투사되는 차이의 공간으로 역사를 투영해낸다. 현재 속에 지속되고 있는 잠재적이고 다질적인 공간으로 과거를 의식함으로써 『유령작가』의 작품들은 이질적인 관점과 배치를 통해 끊임없이 차이나는 의미를 빚어내는 창조적 생성의 작업으로 역사 쓰기를 소환하고 촉발한다.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Ghost Writer written by Kim Yeon-su in the perspectives of the methodology for writing historical fiction. Kim strongly emphasized on the uncertainty of the historical truth. On the clear sense of the limitation of record and communication, Kim reached to the cognition that the interpellation of the subject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before determining what was the logical necessity and what was the coincidence. This cognition was developed for kim to create the writing style which revealed the arbitrariness of the writing itself. By creating this kind of unique style of fiction, Kim could make a reconciliation between the desire to write and the skepticism on writing the past successively. From this specific narrative style, Kim projected the past as a space of diverse perspectives and dispositions. Regarding the past as potential and multi-layered, the fictions in The Ghost Writer turn the historical fiction writing as a creative formation, which constantly was making different meanings from the same past in different and diverse perspectives.

      • KCI등재

        다양한 영상작품과 설치예술의 융,복합을 통한 효과적 의미전달

        김지영 ( Chi Young Kim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과학문화전시디자인연구소 201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5 No.-

        현대 예술작품은 하나의 장르에 국한되기보다 다양한 장르들의 결합을 통해 복합적이고, 새롭게 창출되고 있다. 다양한 장르들의 융 복합은 하나의 장르가 극복할 수 없는 한계를 넘어, 새로운 영역으로의 도전과 확대를 의미한다. 본 작품은 하나의 작품 개념 하에, 설치와 영상, 설치와 애니메이션, 실사촬영영상과 애니메이션영상이 결합된 연구결과로, 효과적 의미전달을 통해 관람자들에게 예술적 경험과 공감을 극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자료조사, 현장촬영, 작품제작이다. 자료조사는 인터넷, 전문잡지, 학술지 등을 검색하였으며, 현장촬영은 현지 탐방을 통하여 이루어졌다. 작품내용은 발코니와 스크린이 결합된 영상설치작업, 산타페지역의 영상이미지, 마운틴 발디(Mountain Baldy)의 자연을 담은 애니메이션영상이다. 3개의 작품은 “여정”이라는 주제 하에 서로 간에 시너지효과를 가져다준다. 최종 연구결과는 장르의 경계를 넘어 하나의 작품이미지 창출에 집중하였으며, 예술적인 면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적 부분까지도 세밀히 검토하여 제작하였다. 향후 유사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어짐에 따라, 연구자뿐 아니라 관람자 모두에게 새로운 예술적 경험과 공감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Modern art works are being created in combination of the diverse genres, not limited to one. The fusion or blending of the diverse genres goes over the limit that one genre cannot overcome, and means the challenge and expansion into the new realm. This work is a result of combining the installation and the moving images, the installation and the animation, and the live shooting and the animation, under one work concept, with its objective to provide fresh art experiences and to draw the empathy from the audience by fusing or blending the pieces. The study methods are research data, field filming, and the work production. The research data includes researching the internet, the professional magazines, and the academic journals and for the field filming, I visited the site. The contents are 3 pieces with their integrated synergy effect produced under the theme of "journey": the video installation work combining the balcony and the screen, Santa Fe area filming pieces, an animation piece with the scene of Mountain Baldy`s nature. The final art work focuses on creating a work image transcending the divisions of the genres, producing the art work with the artistic aspect based on the technology aspects. I hope there will be similar studies in diverse fields in the future and that thi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both the researchers and the audience to get a new art experience and to form a art empathy.

      • KCI등재

        통속오락잡지 『명랑』을 통해 본 戰後(전후) 사랑의 인식구조 -1950년대 수록 소설을 중심으로-

        김지영 ( Chi Young Kim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8

        이 글은 1950년대 통속오락잡지『명랑』의 소설들이 연애와 결혼을 서사화 해낸 방식을 파악함으로써 戰後 세속적이고 일상화된 삶의 영역에서 성, 사랑, 결혼에 대한 감각과 의식이 어떻게 굴절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명랑』은 배우자 선택의 자유를 바탕으로 자발적으로 연대하는 가족의 재구성을 국가 재건의 기초로 역설했던 당대 지식인 담론을 기본적으로 공유했으나, 국가적 대의명분보다는 연애 대중화가 촉발한 자 유감과 섹슈얼리티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명랑』 의 소설들은 자발적 선택의 문제로 변화된 사랑과 결혼의 문화에 대한 경쾌한 기 대감을 그려내면서도, 일상적 삶의 현장으로 옮겨오게 된 연애라는 근대적 관계 앞에서 당대 대중 독자들이 직면했던 이질감과 두려움, 윤리적 거부감과 감각적 호기심의 이율배반을 정직하게 드러냈다. 개방적인 사랑의 풍속에 대한 기대와 활력의 한편에서『명랑』은 관음증적 렌즈를 통해 사랑과 성에 대한 대중들의 세속적 호기심에 적극적으로 부응하려 했다. 애욕에 초점을 맞춘 소설들은 여성들의 육체와 성적 욕망을 예각화함으로써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호기심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그러한 여성들이 비극적 파 탄을 맞는 결말구조를 통해 여성 섹슈얼리티를 제어하고자 하는 양면적 태도를 보였다. 탕녀들의 육체에 비극적 결말을 부여하는 서사 양식은 여성 섹슈얼리티 의 자율성을 규제하면서도 그에 대한 관음증적 욕망에 면죄부를 부여하는 기만적 이중성을 드러낸다. 청춘 남녀의 유쾌한 만남과 사랑의 실현을 다룬 명랑소설들은 철저히 남성적 시각에 기초한 남성 판타지에 의해 진행되고 있었다. 성적, 정서적으로 적극적인 여성 태도에 기반을 둔 가볍고 경쾌한 사랑의 성취는 개방된 사랑의 가능성 앞에 신중하거나 소극적인 남성 주인공들의 불안을 제거하고 무거운 현실 문제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거리감의 확보를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남성의 관점에 서 주도되는 이 같은 명랑성은 사랑의 파트너여야 할 여성을 이해와 소통의 주체 가 아니라 사물화된 대상이나 규범 성이 강제되어야 할 타자로 변형시켰다. 지나 치게 활달하고 적극적인 여성성을 희화화의 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소설은 다시 젠 더 규범을 강화했으며, 낭만적 사랑의 이데올로기는 여성을 가정 안에 묶어 두는 데 이용될 뿐, 그로부터 벗어나는 잉여의 욕망들이 죄의식을 위장하는 유우머와 남성적 명랑성의 코드에 의해 은밀하게 공유되고 있었다. 이 같은 이야기 구조는 여성의 위치를 남성의 보조적 역할로 재확인함으로써 남성 주도권의 회복을 도모 하는 젠더 정치학과 낭만적 사랑의 규율이 한 쪽의 성에게만 강제되는 불균등한 섹슈얼리티가 이 시기 세속세계의 사랑의 인식구조를 관통하고 있었음을 알려 준다. In this research I explored how the postwar romantic discourse had been accepted and refracted in the daily life of the public, and in what way the popular narrative and discourses came to establish their own new structure of sensibility about sex, love, and marriage by examining the pop magazine Myeongnang, especially focusing the fictions in the 1950s. As it claimed to be a pop magazine, not limiting itself to the theoretical dimension, Myeongnang could show how the problems of sexuality, love and marriage were refracted and actualized in the real life of the public of the day since it designed and carried on its pages various lectures and counseling about love affairs and romantic novels. Accordingly, Myeongnang`s articles and novels about love affairs are precious data which witness how the discourse of love, theoretically advocated by intellectuals` magazines like Sasanggye and women`s magazines like Yeowon, was accepted and refracted in the everyday life of the public. Myeongnang mad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popular literature by providing a good deal of its space for a variety of popular novels. Authors to which it offered its pages included popular writers of high reputation like Heunpa Jo, Pung-yeon Jo, Ho Yu and Ingeun Bang as well as contemporary renowned writers like Hansuk Jeong, Gyeju Park and Biseok Jeong, and young writers like Se-uk Cheon and Neungsik Jo made the magazine their main stage for literary career. The magazine printed popular novels with various genre titles like aejeong (love) novel, cheongchun (youth) novel, sunjeong (pure love) novel, etc. These novels show the most secularized form of the contemporary popular novels, and enable us to comprehend the response and the structure of sensibility of the day toward the issues of aberrant sexuality, love and marriage. Novels of Myeongnang visualized the sensibility of sexuality and love overflowing in and out of the boundary of the dominant discourse, but they sutured this rupture through the unique sense of balance of the public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 focuses upon the question of what mechanism of suture constituted the structure of sensibility of the day. Considering the experiential representation of social discourse and popular narrative in a complicated way, the research tries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inter-relationship among institution, discourse and work of art. It will provide a useful lesson on the basis of which we can embrace popular literature ignored so far to make up a new literary history which not just focuses exclusively on aesthetics but encompasses cultural and social perspectives.

      • KCI등재

        『무정』에 나타난 ‘사랑’과 ‘주체’의 근대성

        김지영 ( Kim Chi-young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26 No.-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modernity of Mujong by focusing on love and the protagonist’s subjectivity in the novel. Mujong reflected the author’s argument about ‘Jong(affection)’ and ‘Y nae(love)’ directly. Literary concretization of the author's theoretical assertion made two different effects : on one hand, the novel delivered the author's ideas of enlightenment in easy words, on the other hand, it exposed the blind spot of the author’s theoretical assertion. Yee believed that true love come from spiritual understanding and realizing inner love and affection made a person a subject. It was because he thought that a person who realized love and affection could awake his/her responsibility for others and for the society. Mujong reified this theoretical thoughts on the bases of the period's reality by building a protagonist who considered his personal love as a 'spiritual revolution'. However,literary materialization exposed the deficiency and inconsistency the fixed theoretical idea. The inconsistency could he represented by two major points. One was the protagonist Hyong-sik's intense interests in the body of Yongche, the other was the unsolved state of Hyong-sik who could not select one of the two women Son’h yong and Yongche by his own passion to the end. These two facts were resisting against the author's theoretical thoughts pointing out its aperture. The confusion brought from love made the protagonist ask his subjectivity for himself, although the author stressed Hyoug-sik’s awakening of the self several times in the story und Hyong-sik was described as a enlightened person. This self-interrogation revealed the protagonist's feeling alienated from his own belief, and this fact discovered that the described subjectivity of Hyong-sik was an artificial effect of the author's discourse. However, Yee Kwang-su solved this problem by Hyong-sik’s desire for education, especially learning from the West. This way of solution prohibited dismantling and reconstructing the pre-constructed thoughts which had its base in the West. Likewise, Yee’s illuminism could not but settling in pre-constructed identity, excluding the possibility for the liberation movement from the pre-modern society to create a space to play liberal variations of possibilities and to find out new symbolic order without certain pre-constructed orders. Thus, love in Mujong proved that the modern subjectivity stressed by the author concluded to colonial subjectivity in the end.

      • KCI등재

        일반논문 : “명랑”의 역사적 의미론 - ­명랑 장르 코드의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김지영 ( Chi young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14 한민족문화연구 Vol.47 No.-

        만화, 소설, 청소년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 사이에서 유쾌하고 건전한 내용을 다루는 장르 코드로 활용되고 있는 어휘 ‘명랑’은 한국, 일본 등지에서만 사용되는 독특한 의미장을 지닌 개념이다. ‘명랑’은 또한 일제강점기 총독부의 군국주의적 총동원 체제가 표방하는 체제 선전의 슬로건이자, 1960년대 군사정권이 국가주의적 규율담론을 습속화하기 위해 실시한 사회 운동의 기표이기도 했다. 한국 역사에서 ‘명랑’이라는 어휘가 지닌 독특한 의미장과 시대마다 빚어지는 의미의 차이는 ‘명랑’이란 용어의 함의와 ‘명랑’을 표방하는 장르의 코드가 역사적으로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정치적 힘들 속에서 한국 사회와 관계 맺어 왔음을 알려 준다. 1950년대 ‘명랑소설’의 ‘명랑’과 1970년대 ‘명랑만화’의 ‘명랑’이 비슷하면서도 다른 것처럼, 1980년대 대유행했던 MBC TV 프로그램 ‘명랑운동회’의 ‘명랑’과 일제 식민지 체제의 ‘조선 명랑화 프로젝트’의 ‘명랑’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존재하는 동시에, 연속적인 정치적 권력의 구도가 또한 숨어 있는 것이다. 실제로 중세 시대 날씨, 소리, 성격, 용모, 자연환경의 긍정적 측면을 두루 지칭했던 어휘 ‘명랑’은 일제강점기 국가주의적 규율 담론의 기표로 전환되면서 인간 성격과 사회 환경을 가리키는 말로 변모했으며, 이 변화를 통해 발생한 어휘의 이데올로기적 함의는 어휘의 주도권이 상대적으로 대중에게 옮겨 갔던 1950년대를 지나 1960년대 군사정권이 권력을 잡으면서 새롭게 부활했다. 1960년대 ‘명랑’이 일상의 습속을 정서적 차원에서부터 규율화하는 사회정치적 언표이면서, 국가주의적 생활 윤리를 유쾌하고 즐거운 감성으로 서사화하는 ‘건전’ 장르 코드인 동시에, 질 낮은 하위문화의 일부를 구성하는 ‘저급’ 장르 코드라는 혼종적 의미를 동시에 띠게 되는 것은, 이 같은 규율담론에 ‘순응/저항’했던 대중적 반응의 결과였다. ‘명랑’이라는 기표가 지닌 이 같은 문제적 지점에 주목하면서, 이 글은 개념의 의미란 고정불변의 ‘실체’가 아니라 끊임없이 ‘운동’하는 것이라는 전제 아래, 어휘의 의미 변화를 인간 행위의 실천과 사회문화적 길항관계 속에서 역동적으로 고찰하여 역사적으로 정리하는 개념사 방법론을 통해‘명랑’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구성하고자 했다. 대중서사 작품에 대한 이해는 단순히 작품 내적 미학이 아니라 작품에 대한 대중적 호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사회문화적 공통감각에 대한 이해 속에서 규명되어야 함을 고려할 때, ‘명랑’의 함의에 관한 개념사적 고찰은 명랑의 장르 코드가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변천해 왔는지를 올바르게 규명할 수 있는 문화적 기반의 하나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명랑서사의 구조 및 사회적 기능을 본격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In Korea, there was a unique genre code called ‘myeong-nang’. This genre name is rarely used nowadays, but was mainly used to indicate novels of humorous and wholesome content written for teenagers from the 1970s to the 1990s. However, when the term ‘myeong-nang novel’ was most actively used and greatly popular in the public in the 1950s, it was used more to describe humorous novels written for adults. The situation is further different in the 1940s when the term was first introduced. The myeong-nang novels in the 1940s were not funny novels with humor, but novels recommended by the Japanese empire containing wholesome content appropriate for the fascistized public system during wartime. The implication of the different definitions of ‘myeong-nang’ for each period and the actual meanings of myeong-nang genre consensus proves that language(concept) changes semantically because it forms a complicated relationship with society. At the same time, it shows that the term ‘myeong-nang’ formed a relationship in Korean society with different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powers of each period. Focusing on the semantic changes and continuity of the term ‘myeong-nang’, this research diachronically surveyed the formation of the genre code represented by the term ‘myeong-nang’ from the 1930s to the 1960s. By doing this, the research aimed to contribute to the historical examination on the innate social and political dynamic relationship hidden in the process of the rise and decline of the popular narrative genre called ‘myeong-nang’ unique to Korea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미결정의 공포에서 숭고한 공포로 ―식민지 조선 공포 서사의 분화과정 연구―

        김지영 ( Kim¸ Chi-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9 No.-

        한국의 오락적 공포물이 본격적으로 출발한 것은 1927-1930년 『매일신보』에 마련된 괴담란이었다. 『매일신보』의 괴담란은 귀신, 도깨비라는 초현실적 대상에 의거하여 공포물을 시도했고, 전래 이야기와 당대의 경험담을 병치하면서 구성되었다. 기자 가족의 견문이나 독자층의 투고라는 수평적인 시선에서 펼쳐진 발아기 『매일신보』의 괴담들은 주술과 과학의 어느 쪽도 승인하지 못하는 미결정의 공포감을 조장하면서, 근대와 전근대에 대한 양가적 저항감을 노출했다. 공포물이 귀신, 도깨비 등 소재의 기이성에 의존하는 쪽으로 진전되면서, 괴담란을 구성하는 미디어의 주체들은 귀신·도깨비의 사실성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마련해야 했다. 이때 설명하기 어려운 초현실적 경험에 대한 거리화 욕망은 괴담을 과거의 이야기로 화석화하는 논리를 통해 현존의 안정감을 확보하려 했다. 괴담이 전근대의 시간성과 밀착한 것은 논리적이고 이상적인 것을 현재의 것으로 전유하고 불합리, 부조리한 것을 과거에 투사하는 근대 知의 자기합리화 작용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우월한 근대의 입지를 확보하는 수직적인 시선 속에서 귀신과 도깨비는 선형적인 시간 리듬의 내부로 안착했고, 괴담은 근대적 삶의 주변부를 형성하는 민속의 일부로 정착해 갔다. 대중성을 추구했던 종합지 『조광』은 과거화된 ‘괴담’과 뚜렷히 구별되는 지점에서 ‘괴기’를 인식하는 위계적 시선 속에서 괴기소설이라는 새로운 양식을 출범시켰다. 자민족의 과거나 현실로부터 거리를 둔 나르시시즘적 우월감과 쾌락적 공포라는 난해한 감각에 대한 도전의식 속에서 『조광』의 괴기소설들은 숭고한 공포의 감각을 표현해냈다. ‘괴기소설’에 이르러 식민지 공포서사는 인간 내부에서 존재의 안정감에 균열을 일으키는 심연에 주목했고 이를 통해 비로소 주술적인 외적 존재에 의존하지 않고 쾌락적 공포에 대한 대중문화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사의 토대를 마련했다. 그러나 식민지 괴기소설은 그 출발 지점에서 근대에 대한 식민지 청년의 동경 내부에 숨은 결핍과 불안의 감각을 노출했다. 사랑의 광기와 죽음 충동을 소재로 한 『조광』의 괴기소설들은 근대성을 지향하는 존재 내부의 숨은 결여와 이 결여의 충족불가능성을 동시에 표현하면서, 근대성이 실패하는 지점들을 드러냈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examine the search of colonial Korean pop culture for hedonistic fear through the process of differentiation between ghost stories and grotesque novels. Korea’s recreational horror genre started with the ghost stories in the Daily Maeil in the 1927-1930. The ghost story of the Daily Maeil was constructed with attemped horror which was based on surreal objects such as ghosts and goblins, and the media juxtaposed traditional ghost stories with contemporary surreal experiences together. The ghost stories of the Daily Maeil in the 1927-1930 promoted an undecided fear that neither witchcraft nor science could approve, since it was not easy to secure narrative stability by grafting the cultural request for grotesque taste with reality in Colonial Korea. As intended horror depended on the oddities of the objects of stories such as ghosts and goblins, the publishing subjects of the media who composed the ghost story had to establish a logical basis for the reality of ghosts and goblins. The desire to streetize the surreal experience that was difficult to explain resulted in fossilizing a ghost story into a story of the past, which was a consequence of securing a sense of rationality of the present. It could be said that the fact that the ghost story adhered to the temporality of the premodern era was the result of the self-rationalization of modern knowledge, which appropriated the logical and ideal as the present and projected the irrational and irrationality into the past. The comprehensive magazine Cho-kwang, which pursued popularity, launched a new style of horror narrative called ‘grotesque novels’ in a hierarchical perspective, which was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ast ‘monster stories.’ In the ‘grotesque novel’, the colonial horror narrative focused on the abyss that caused a crack in the stability of existence within humans, which was hardly found in the old ghost stories of the past. Through this, the colonial horror narrative was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a narrative that could respond to the demands of popular culture for hedonistic horror without relying on a magical external existence. Contrary to the fact that the ghost stories pointed to the fossilized past, the grotesque novels aimed at the ideology of the absolute totality of modernity assumed as a time of infinite possibility, but exposed a sense of lack and anxiety hidden in the longing of the colonial youth for the modern era.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