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이전』지은이에 대한 남북의 관점과 제3의 시각

        김종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1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author of Suijeon, which occupies the forefront of the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in Korea. To this end, I would like to compare and review the author's debates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inter-Korean academia, and approach the reality of Kim Cheok-myung from a third perspective on the author. Regarding the author of Suijeon, South Korean academics recognize that the author of Shilla Suijeon is Choi Chi-won, while Suijeon in Goryeo was edited by Park In-ryang, and it is posited that Kim Cheok-myung reworked some works. In contrast, North Korean academia recognizes Choi Chi-won as only the author of “The Tomb of Two Women” among Shilla Suijeon, and holds that many works were newly created and compiled while Park In-ryang reworked and supplemented Shilla Suijeon. In the North Korean academic circle, Kim Cheok-myung was mentioned only in one kind of literary history, In later descriptions, many writers participated in the rewriting of Suijeon, and Kim Cheok-myung was excluded from the description. The discussion on the author of Suijeon in the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a is the result of strictly observing the literature records. Nevertheless, the reason that North Korean academics exclude Kim Cheok-myung, who is mentioned in the Samguk Yusa as a prospective author and categorize it as having been written by “many writers” seems to be that no evidence of Kim Cheok-myung’s authorship can be found even while comparing historical documents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find a new answer to these doubts, among the articles of Lu In-ryang included in the Cheongpa Jabji of Juwhi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I tried to suggest a third perspective that he could be Park In-ryang = Kim Cheok-myung, focusing on the fact that his courtesy name was Cheok-myung. In order for this reasoning to gain strength, the fact that Cheongpa Jabji was introduced to Goryeo before the compilation of Samguk Yusa and the circumstance in which Ilyeon encountered it must be studied.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우리 서사문학사 벽두를 차지하는 수이전 의 지은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남북 학계에서 논의된 지은이 논쟁을 비교 검토하고, 지은이에 대한 제3의 시각으로 김척명의 실체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다. 수이전 지은이에 대해 남한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 의 지은이는 최치원으로 인정하고, 고려의 수이전 은 박인량이 편찬하였는데, 김척명이 일부 작품을 개작하였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에 비해 북한의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 가운데 <쌍녀분(두 녀자의 무덤)>에 대해서만 지은이를 최치원으로 규정하고, 박인량이 신라수이전 을 개작 증보하면서 많은 작품들은 새롭게 창작해 편찬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북한 학계에서는 김척명에 대해서는 문학사 한 편에서만 언급하였고, 이후의 서술에서는 다수의 작가들이 수이전 개작에 참여하였다 하면서 김척명을 서술에서 배제하는 입장이다. 남북 학계의 수이전 지은이에 대한 논의는 문헌 기록을 철저히 준수하면서 도출한 결과들이다. 그럼에도 북한 학계에서는 삼국유사 에 언급된 김척명을 지은이에서 배제하고 ‘다수의 작가’로 범주화하는 이유는 기록 문헌을 서로 비교하는 가운데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의구심을 새롭게 구명하고자 중국 송대 주휘의 청파잡지 에 수록된 루인량의 기사 가운데, 그의 자가 척명이라는 데 착안하여 박인량=김척명일 수 있다는 제3의 시각을 제시해 보았다. 이 추론이 힘을 얻기 위해서는 청파잡지 가 삼국유사 편찬 전에 고려에 유입된 사실과 일연이 이를 접했다는 정황이 포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의 구전설화에 대한 인식 고찰

        김종군 국문학회 2010 국문학연구 Vol.0 No.22

        The folktale in North Korea is a creature of people in terms of class, and oral traditions in terms of its existence. And the meaning is from real story which people's life culture was reflected, people's desire was inspired into the fiction, which was formulated. In aspect of concept, there's lots of difference between north and south because we're focusing on verbal and north is on people. First of all, text books regarding oral literature and paper written as cultural level for the people who create and enjoy tale, and present scientific logic for the creature and classification of tale pattern. The pattern of tale is being explained by not a category of academy, but a cultural level. On this basis, people's creativity can be possible even currently, therefore modern oral literature is set up and the oral literature history is being described. This phenomenon was from the pattern that oral literature is arranged in the principal of history, but they have a merit which can secure a plenty of new materials and expand oral literature, it's far better than we do. This can show us big issue because south treats oral literature as classic literature. Tale pattern was appeared in terms of the text in discussion of north. There are classified as myth, legend, people story, fairy tale, fable and gag. The culture of oral literature seems to be survived in North Korea. People's song has been created during mass labor scene for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This seems to be similar to our 1960's through 70's, it's necessary for us to have interest in this old custom. There should be literal commun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even unification seems hard near future. Communication for the comparison of each study is being eagerly expected.

      • KCI등재

        코리언 평화 공동체를 위한 통합서사의 기능

        김종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7 No.-

        이 논문에서는 한반도 평화 공동체의 사회 통합 장치로 통합서사를 제시하고, 남북 주민과 코리언 디아스포라에게 적용할 수 있는 통합서사의 모형을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예시로 통일정책 영역에서 ‘자주성’과정서적 영역에서 ‘남북 이산가족 상봉’을 통합서사의 사례로 제시하면서 그 기능을 밝히고자 한다. 분단 70여 년을 넘어서는 현 시점에서 한반도의통일정책은 ‘선 평화 후 통일’로 전환되고 있다. 즉각적 통일체제에서 점진적평화체제로의 전환이 현실적 대안이 되고 있는데, 그 형태는 코리언 평화공동체이다. 한반도의 분단구조는 분단체제-분단 트라우마-분단서사의 세 요인이 악순환하면서 재생산되는 시스템으로 공고하게 구축된다. 악순환하는 삼각구조에서 감정적이고 정서적인 영역인 분단서사를 완화하는 대안으로 통합서사를 제시한다. 코리언 평화 공동체에서 통합서사의 개념은 남북 주민과코리언 디아스포라를 포괄하는 전체 코리언들이 상호 적대성과 이기적 욕망에서 비롯된 갈등을 해소하고 체제 · 정서 · 문화적인 전 영역에서 서로의차이를 인정하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공동체 의식으로 연대하고 소통하는일련의 과정으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코리언 평화 공동체에서 통합서사의 전개 모형은 우선 분단 70여년동안 흩어져 생활하면서 축적한 모든 요소들에 대해서 남북 주민과 코리언디아스포라가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는 가운데 이해의 서사가 구축되고, 그다음 단계는 각자 달리 누리고 살아온 문화 요소에서 접점을 찾아보는 가운데 공통의 서사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민족 동질성 논리로 통합하려하기보다는 민족 공통성 논리로 구축하는 가운데 통합의 서사를 완성할수 있다고 제안한다. 평화 공동체에서 통합서사는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학문의 전 영역에서 시도되어야 통일 논의는 더욱 풍부해지고 온전한 상을 갖출 수 있다. 그 가운데 남북 주민들에게서 가장 효과적으로 접점을 발견할 수 있는 영역은 우선 통일정책에 있어서 자주성 담론과 정서적인 분야에서 남북 이산가족상봉에 대한 온정적인 시선이다. 분단체제 속에서 상호 적대와 대결이 체화되었지만 통일의 과정에서 열강의 개입은 또 다른 민족 비극을 낳을 수있다는 역사의식이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민족 공통의식으로 자리 잡았음을확인하게 한다. 또한 분단과 전쟁으로 적대 관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이산가족이 만나야 한다는 정서적 연대는 모든 코리언들의 민족 공통성으로 일찍이자리 잡은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통합서사는 결국 평화 공동체를 유지 보존하면서 더욱 확산되는 가운데 장기적으로 통일체제로 진입하는데 긴밀하게 기여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come up with integrated narrative as a device of social integration in the Koran peace community, would like to propose a model of integrated narrative that can be applied to the inhabitants of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Korean Diaspora. As a concrete example, I would like to reveal the function, While presenting 'independence' in the political unification policy area and 'reun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separated families' in the emotional unification policy area as an example of integrated narrative. At this point, more than 70 years since we were separated,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transformed into 'first peace and then unification'. The transition from an immediate unification system to a gradual peace system is becoming a realistic alternative, the form is the Koran peace community. The notion of integrated narrative in the Koran Peace Community is that the whole Korean people, including the inhabitants of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Corian Diaspora, resolve conflicts arising from mutual hostility and selfish desire. It can be organized into a series of process of solidarity and communication with the consciousness of community living together while acknowledging the difference in all areas of the system, emotion and culture. The development model of integrated narrative in the Koran peace community is as follows. ① Building a narrative of understanding while the people of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Korean Diaspora have admitted their differences. ② Building a common narrative while finding a point of contact in cultural elements that have enjoyed each different cultures. ③ Completion of narrative of logical integration based on ethnic commonality rather than ethnic homogeneity. In the peace community, the integrated narrative must be tried in all area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and scholarship. That way, the discussion about unification will become more abundant and will be able to have a complete shape. Among them, the area where the most effective contact points can be found among the inhabitants of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is independent discourse in unification policy and a warm gaze for reun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n separated families in emotional field. Such integrated narrative will contribute closely to enter into the unification system in the long run while maintaining and preserving the peace community.

      • KCI등재

        <열녀춘향수절가>의 구연적 과장 표현 양상과 그 의미

        김종군 판소리학회 2005 판소리연구 Vol.19 No.-

        <열녀춘향수절가>를 포함한 몇몇 판소리계 소설은 여타 문장체 소설에 비해 서사 전개가 산만하고 유기적이지 못하다. 서사 전개 과정에 과장된 표현과 인물이 설정되기도 하고 시공간이나 서사 상황 설정이 착오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단점은 판소리계 소설이 구연 예술인 판소리 사설을 그대로 방각화한 결과이다. 판소리 사설은 청중을 앞에 두고 창자가 구연하는 공연 예술의 측면이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청중의 기대치에 부응해야 한다. 그러므로 창자는 유기적인 서사 진행과 아울러 구연 현장에서의 청중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해야 한다. 그 방편으로써 사설과 서사 전개에 의도적인 과장을 도입하는 것이다. 곧, 판소리계 소설의 서사 전개 허술함은 창자나 사설의 내용의 미숙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구연적 공연 방식에서 계산된 장치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청중의 웃음을 유발하려고, 풍자의 상황에 실없는 허풍쟁이가 되어 과장되게 서사에 개입하기도 하며, 양반 청중을 고려하여 어설픈 반풍수가 되어 한시구나 전고를 지나치게 오용하기도 하고, 극 진행을 위해 상황 설정에 무리를 두기도 한다. 그리고 극적 긴장감 이완을 위한 방편으로 과장되게 회화된 인물을 구연 상황에 개재시키기도 한다. 또 정보 나열식 과장 표현을 통해 청중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지식을 함양토록 하는데, 역사지리적 요소, 격식과 치레 요소, 의례와 절차 요소를 지나치게 과장하고 있다. 이러한 구연적 과장 표현은 창자가 일부러 실수를 연발하여 청중으로 하여금 폭소를 자아내게 하고, 더 나아가 표면적인 혼란스러움과 과잉 정보로써 청중을 자신의 소리판으로 몰입시키는 의도적 장치로 활용한다. 이를 통해 청중은 흥미뿐 아니라 다양한 교양 체험을 하게 되어 자기성장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Pansori type novels including <The Faithfulness story of Virtuous woman, ChunHyang> are unsystematical and non-organized compared to other types of novel. In the process of story, overwhelmed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s are set-up and time & space and even story situation establishment happen in wrong ways. The reason why this defects happened is to describe the original traditional verbal song as just way it is. Pansori song story is a kind of concert to appeal to audiences' expectations. Therefore singer systematically manage the story and must endlessly generate the exciting from audiences in the concert scene. As a method, intentional exaggeration can be taken in the process of story. So unpreparedness of this kind novel is not originated by immaturity but by estimated equipment from verbal concert system. For fun and satire, various methods are utilized for example, exaggeration, slapstick comedy, overwhelmed situation. Also making a travesty of some situation to relax the dramatic stress. And in order to present the information to audiences they are using some factors exaggerated as historical & geographical factor, manners & embellishment factors, and courtesy & procedure etc. This verbally exaggerated expression is utilized as intentional equipment in order to make audiences laugh loudly and conquer the audiences in their own concert. By this equipment, audiences could experience not only the excitement but various education and after all audiences can prepare their own growth.

      • KCI등재

        남북의 국문학(조선문학) 지형 구축 과정

        김종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통일인문학 Vol.94 No.-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에 시작된 신학문으로서 조선어문학이 해방 공간에서 국어국문학으로, 분단의 상황에서 남쪽은 국어국문학, 북쪽은 조선어문학으로 정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이에 최종 연구 목적은 학문으로서 국문학과 조선문학의 지형 구축 과정과 민족문학 교육장으로서 국어국문학과와 김일성종합대학의 조선어문학부 현황을 고찰하여 비교하면서, 남북이 통합된 민족문학 분야로서 ‘우리문학’의 온전한 면모를 도출할 소통 지점을 발견하는 데 있다. 우선 국문학계의 흐름을 고찰하면, 신학문으로서 국문학은 1926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의 문학과 조선어문학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시기 우리 문학 연구는 조선소설사와 구비문학 연구에 집중되었다.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과 및 지나어문학과 졸업생들은 국어국문학 1세대 연구자로서, 해방정국에서 국립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 교원이 되어 연구와 후학 양성에 참여하였다. 분단 이후 남과 북은 각각 달라진 체제 속에서 국문학 지형을 구축하는데, 남쪽의 경우 4년제 종합대학 대부분에 국어국문학과가 개설되어 있어서, 북쪽의 김일성종합대학과 사회과학원에서 양성하는 조선어문 연구자들과는 양적인 측면에서 비교가 불가하다. 그럼에도 그 설립 목적과 교육 내용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상호 소통의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국문학과 조선문학의 학술적 영역에서의 지형은 현재 시점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지만, 그 구축 과정은 차이가 존재한다. 분단 이후 연구 인력과 학과 등이 양적인 측면에서 남쪽이 월등한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국문학의 학술적 지형을 구축해 가는 과정은 북쪽이 앞서갔다. 특히 국문학의 영역에 한문학과 구전문학을 포함하는 문제에 있어서 북쪽은 초창기부터 김일성의 지시와 인민성을 강조하는 분위기 속에서 국문학의 영역으로 수용하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그에 비해 남쪽은 학계의 다양한 시각 차이로 치열한 논쟁을 거듭하였다. 남북의 국문학 영역 확정에 있어서, 한문학 수용의 문제는 남북이 그 명분과 취지에는 차이가 있지만 실질에서는 큰 차이가 없어 접점을 찾을 수 있을 듯하다. 구전문학의 수용 역시 현재 남북 학계에서 당위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므로 외형상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구전문학에서 기록문학으로의 이행에 대한 시각은 장르의 발생 발전 문제와 연동되어 접점 찾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로 만나서 본격적인 학술 토론과 논쟁이 있어야 한다.

      • KCI등재

        이야기 구술 현장에서의 세대 간 갈등과 소통

        김종군 한국구비문학회 2018 口碑文學硏究 Vol.0 No.49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critical mind that the generations can not communicate in the oral story field of our society at present. The oral field which was a place of communication was transformed into a place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We will look at this corrupted aspec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al field, the theme of the story, and the way of speaking. Storytellers in central park story stage tend to be instructive and educative to audience. The genre of the story text is focused on the legend, the historical story, the character legend, and the unofficial historical story. and the theme is generally the ethical story such as the devoted son, the devoted daughter and the virtuous widow. In such characteristics, when a storyteller of old age describes the story of social conditions or affairs of state, he strongly displays a complaint or criticism against young generations. and in this process, the oral field becomes a place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 When storytellers of old age talk about the story of social conditions, intergenerational conflict arises by blaming the young generations impolite. In the case of the golden tower(금자탑), a talented storyteller of Pagoda Park, he is transforming the field of oral statement into the field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method of speaking with the steps of blame – admonition – plea – encouragement. In the story stage, the experiences of the Korean War are mainly narrated as contemporary historical story. Storytellers of old age blame plainly that young generations have no consciousness of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In this process, ideological conflicts are substituted for generation conflicts. However, the oral method of war experience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antiwar and humanitarianism functions as the way of speaking of communication that postwar generation expresses sympathy and respect for the trace of war generation. In order to turn intergenerational conflict of the oral field into communication, the way of speaking of story teller should be changed. Do not force self-consciousness excessively, as dictating the way of speaking based on humanitarian and rational personality, the oral field can be reborn as a place of discourse that generations communicate and sympathize each other. 이 글은 현재 우리 사회의 이야기 구술 현장에서 노년과 젊은 세대가 소통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한다. 소통의 장이었던 구술 현장이 세대 갈등의 장으로 변질된 양상을 구술 현장의 특성과 이야기의 주제, 말하기 방식 등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구비문학이 갖는 세대간의 소통과 갈등 양상을 살피기 위해서는 이야기를 조사하여 기록한 텍스트보다는 구술의 현장에 주목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필자가 직접 경험한 도심공원의 이야기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도심공원 이야기판에서 이야기꾼은 청중에 대해 교시적이며, 계몽적인 태도를 취하는 경향이 있다. 이야기 텍스트의 장르는 전설이나 사화 · 인물전설 · 야담에 치중되며, 주제도 대체로 효자 · 효부 · 열녀 등의 윤리적인 이야기가 대세를 이룬다. 이런 특징 속에서 노년의 이야기꾼이 세태나 시국이야기를 구연할 때 젊은 세대들에 대한 불만이나 비판을 강하게 표시하고, 이 과정에서 구술 현장은 세대 갈등의 자리로 변한다. 노년층의 이야기꾼들이 세태이야기를 구연할 때 젊은 세대들을 버릇없고 어른 공대를 못하는 존재로 비난하면서 세대 갈등이 일어나는데, 탑골공원의 유능한 이야기꾼 금자탑의 경우는 비난-훈계-당부-격려의 단계로 말하기 방식을 진행하여 구술의 현장을 소통 장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야기판에서 한국전쟁 체험담은 현대의 사화로 주로 구연되는데, 노년층의 이야기꾼은 젊은 세대들이 투철한 국가관과 반공의식 · 대북 적대감을 갖지 않는다고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낸다. 이 과정에서 이념 갈등은 세대 갈등으로 전치된다. 그러나 반전의식과 인도주의 사상을 바탕에 깔고 구술하는 전쟁 체험담 구술 방식은 전쟁 세대의 고생에 대해 전후 세대들이 공감과 경의를 표하게 하는 소통의 말하기 방식이다. 구술 현장의 세대 갈등을 소통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구술자의 말하기 방식을 바꾸어야 한다. 자기의식을 과잉되게 강요하지 말고, 젊은 청중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과정에서도 비판-훈계-당부-격려 등의 단계적 말하기 방식을 익힐 필요가 있다. 그리고 몇몇 사람들에 대한 불만을 세대 전체로 확장하는 말하기 방식도 자제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인도주의적이고 합리적인 인성을 바탕에 둔 말하기 방식이 요구된다. 그런 가운데 구술의 현장은 세대가 서로 소통하고 공감하는 담론의 장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왕이 된 새샙이> 설화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김종군 겨레어문학회 2007 겨레어문학 Vol.38 No.-

        The meaning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fable; <SAESAEBI who became King(왕이 된 새샙이)> <왕이 된 새샙이> 설화의 서사적 특성과 의미

      • 첨가물에 의한 찹쌀떡의 텍스쳐 변화

        김종군 세종대학교 1986 세종대학 논문집 Vol.13 No.이공

        To examine what effects the addition of sugar and egg white have on waxy rice cake which becomes retrograded, the textural changes according to the period and temperature of storage was estimated by Rheometer. Subsequently the concentration of amino acid was measured and sensory test was conducted. It was concluded that the addition of sugar and egg white was excellent in the sense of nutrition but had no effects on the inhibition of retrogradation. The concentration of amino acid was high in the sample of the cake which was cooked with egg white. The kinds of amino acid were as many as 18; among these the level of glutamic acid was the highest and both the level of cystin and that of tyrosin were just a trace. After 3 days of storage the level of amino acid was lower than that of a raw cake of but after 5 days the level become higher than the raw cake. According to the result of sensory test the change of hardnes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period of storage and experimental materials.

      • KCI등재

        북한 속신의 양상과 믿음 체계

        김종군 한국민속학회 2023 韓國民俗學 Vol.78 No.-

        이 글의 연구 목적은 북한 주민들의 일상생활 속 속신의 양상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여, 종교 활동을 통제받는 북한 주민들의 실질적인 믿음 체계를 파악하고, 북한 민속학 연구에 기여하는 데 있다. 연구 자료는 지역과 연령을 고려하여 선별한 탈북민 10명에게서 조사한, 속신으로 묶을 수 있는 구술 단문과 그에 얽힌 경험담이다. 속신이라는 용어는 북한에서 일상적 어휘가 아니지만, 주민들은 생활 속의 금기와 주술 행위를 당국이나 학자들이 단정하는 미신으로 보기보다는 민속풍습, 조상 숭배, 봉건적 행위 정도로 인식하고 믿는다. 북한의 속신은 상제례에 관련된 것과 혼인과 임신에 관련된 것, 질병 치료에 관련된 것, 여행에 관련된 것, 명절에 관련된 것, 일상생활의 규범으로 작용하는 것 등 삶의 전 영역에서 발생하고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강한 전승력과 믿음 체계를 갖춘 것은 장례와 조문, 제사에 관련된 속신이다. 북한이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유물론적 세계관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로 북한 주민들은 귀신이라는 존재를 인정하고 그에 대한 강한 공포를 드러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제보자들이 탈북민이기 때문에 여행에 관련된 속신에 대해서도 강한 믿음을 드러냈다. 의료 체계가 잘 갖추어지지 않아서 질병 치료에 대한 속신도 비중 있게 인식되고 있다. 혼인이나 임신, 명절, 일상생활 속의 일반적인 속신은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흥밋거리 이야기 정도로 인식하는 사례도 있다. 북한에서는 강한 믿음 체계를 유지하는 속신들은 현실화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조문 속신의 경우는 사람의 도리를 지키기 위해 금기를 위반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속신들이 구체화되고 심화되는 구조를 보인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주술적인 속신에 저촉이 되었을 때는 이를 대처하는 속신을 새롭게 만들어내 현실적으로 대응하는 구조를 띤다. 그리고 일상적인 속신들은 일상생활의 규범으로, 현실에서의 금기로 자리매김하는 구조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folk beliefs in the daily lives of North Korean residents and analyze their meaning, to understand the actual belief system of North Korean residents whose religious activities are controlled, and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North Korean folklo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oral short sentences that can be grouped into folk beliefs, and related story of experiences, surveyed from 10 North Korean defector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region and age. Although the term folk belief is not part of everyday vocabulary in North Korea, residents recognize and believe in taboos and magical practices in daily life as folk customs, ancestor worship, and feudal practices rather than as superstitions determined by authorities or scholars. North Korea’s folk beliefs arise and exert influence in all areas of life, including those related to funeral rites, ancestral rites, marriage and pregnancy, treatment of diseases, travel, holidays, and norms of daily life. Among these, the ones with the strongest tradition and belief system are the folk beliefs related to funerals, condolences, and ancestral rites. Additionally, because the informants are North Korean defectors, they also show strong beliefs about folk beliefs related to travel. Because the medical system is not well-equipped, folk beliefs about disease treatment are also considered important. General folk beliefs in marriage, pregnancy, holidays, and daily life tend to be relatively weakened. In North Korea, folk beliefs who maintain a strong belief system have a structure that is realized. Therefore, in the case of condolence folk beliefs, there is no choice but to violate taboos in order to protect people's morals, so the folk beliefs in response to this show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specified and deepened. When there is a conflict with the magical folk belief to treat a disease, a new folk belief is created to deal with it, showing a structure to respond realistically. In addition, we can also see the structure in which everyday folk beliefs are established as norms of everyday life and taboos in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