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소리의 지향과 실창(失唱)의 관련성 고찰

        정병헌 ( Byung Heon Chung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2 No.-

        판소리는 조선 후기에 형성된 서민예술의 정화이다. 엄격한 신분제 사회에서 드러날 수 없었던 민중적 정서가 각종의 예술로 표출된 시기가 조선 후기였고, 이는 서민의 예술적 성취에 대한 양반층의 자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판소리도 따라서 조선 후기의 서민적 정서가 예술적으로 승화되어 완성되었고, 이에 대한 양반층의 이해와 참여가 있었기에 국민예술로의 확대가 이루어졌던 것이다. 각 지역에 산재하던 초기의 판소리 형태는 호남으로 집중되면서 필연적으로 선택과 배제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각 지역에 기반을 둔 이야기와 음악으로 이루어진 초기의 판소리는 특정 지역의 판소리 형태로 통일되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 바로 가왕으로 불리는 송흥록인 것이다. 특정 지역인 호남으로 통일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은 음악의 단일화와 함께 판소리 사설이 지향하는 세계도 일정한 전형성을 갖게 하였다. 호남지역 음악으로의 집중화가 이루어지면서 장기적으로는 다른 지역의 음악을 기반으로 성장한 초기 판소리 형태는 연창의 현장에서 사라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그 사설도 지역과 시대를 뛰어넘는 서민정신과 평등을 추구하는 작품들이 판소리의 대종을 형성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초기의 판소리 연행에서 활발한 전승을 보였던 작품은 음악과 사설의 변화라는 충격 속에서 유파로서의 큰 흐름을 상실하고 호남으로의 집중화가 이루어진 판소리 형태에 자신의 흔적을 남기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판소리의 집중화와 단일화는 판소리의 정밀화, 예술화라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다양한 지역성과 세태를 배제함으로써 풍부한 민속예술의 도태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집중화와 분산화는 모든 존재가 자신의 성장을 위해 나타나는 필연적인 변화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판소리는 그런 이유에서 판소리사에서 배제되었던 각 지역의 소중한 음악적 자산과 이 시대가 요구하는 지향을 아우르기를 요구받고 있다. Pansori is the essence of popular art which was developed in the late Chosun dynasty. Unlike in the past when people had to hide their own emotions under the pressure of strict status system, people started expressing their own emotions in the late Chosun dynasty. This resulted from the realization of rulling class about the artistic accomplishment of ordinary people. As the public sentiment made into art, pansori became completed and the understanding and involvement of rulling class helped it to become more popular as a national art. The early form of pansori was scattered all over the regions and later it was concentrated in Honam area. Inevitably, i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hoice and elimination. In other words, the early Pansori, which consists stories and music based on their own regions, unified as the special region formation of pansori. Song, Heungrok played a huge role in this whole process. As it was unified in special region, Honam, it brought about the simplification of music and certain regularity of the world which pansori is aiming for. In the long term, the concentration of music into Honam area caused disappearance of the early form of pansori -which was based on musics of other regions- in pansori performance. Also, majority of pansori were about the pursuit of people mind and equality beyond regions and time. Like this, many pansori pieces once very popular in the early pansori history disappeared in a shock of the change of music and story and it only remained in the formation of pansori which was concentrated into Honam area. Although concentration and unification of Pansori led to the positive appraisal about the refinement and artistry of pansori, it also caused falling behind of abundant folk art since it eliminated regionalism and social conditions. Unification and decentralization is inevitable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any kinds. For these reasons, pansori is required to encompass precious musical assets from each regions ,which was eliminated in the history of pansori, and the aim of today.

      • KCI등재

        유성기음반을 통해서 본 당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

        성기련 ( Ki Ryun Sung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30 No.-

        본고는 20세기 전반기 등장한 유성기음반이라는 매체를 통해 근대 판소리 향유층의 미의식을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성기음반 산업이 전성기를 맞았던 1929년에서 1945년 사이에는 근대화의 진행으로 경제와 사회 구조가 변한 것은 물론 전통사회의 음악문화가 해체되어 판소리 연행과 관련한 사회·문화적 환경도 급격히 바뀌게 되었다. 특히 유성기음반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판소리 향유 방식은 향유층의 양적 확산 및 향유권의 지역적 확장으로 이어졌고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판소리에 대한 미의식도 다양해지게 되었다. 20세기 전반기에 유성기음반을 통해 판소리를 감상하는 향유층은 소수의 귀명창 집단과 다수의 대중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 판소리사에 대한 이해와 판소리에 대한 심미안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19세기 명창들의 더늠을 담은 `명창제`와 같이 정통성 있는 소릿조를 수록한 음반을 감상하고자 했던 데에 반해, 후자의 경우는 유성기음반을 취입한 판소리 창자의 인지도 혹은 특정 대목에 대한 선호도에 의해 음반을 구매하며 대중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했다. 또한 이들은 곰삭은 듯한 수리성보다는 맑은 청구성의 성음을 가진 창자의 소리를 선호하여 임방울과 이화중선과 같은 창자들이 이 시기에 부상하게 되었다. 유성기음반을 다수 취입한 명창들은 새로운 미의식을 가진 청중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소수 귀명창의 미의식뿐 아니라 다수 대중들의 미의식 역시 중요하게 생각하여 이를 소리에 반영하려고 했던 것으로 보인다. 20세기 전반기 유성기음반 산업의 발달은 1930년대 판소리 음악문화의 부흥으로 이어졌고, 당대 명창들이 남긴 유성기음반은 20세기 전반기 판소리에 대한 이해는 물론 그 이전 시기인 19세기 판소리에 대한 이해까지 가능하게 해 준다. This thesis is intended to study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Pansori audiences through the medium of phonograph records which emerged in the modern times. From 1929 to 1945 when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enjoyed its period of prosperity, the musical culture of the traditional society was dismantled and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Pansori performance changed dramatically through the Japanese ruling era of Korea as well as the change of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 caused by the modernization. Especially, the development of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created new types of Pansori enjoyment, which increased the population of audiences and diversified the aesthetic concepts of Pansori. The audiences who enjoyed Pansori through phonograph records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can be classified into a small number of Gwimyeongchang group (people who enjoyed Pansori fully and aesthetically) and a large number of the public group. While the former tried to appreciate legitimate Pansori songs with a good understanding of Pansori history and an aesthetic sense of Pansori, the latter purchased phonograph records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Pansori singers who phonographically recorded their songs or their preference for a specific phrase and strongly pursued its popularity. Accordingly, the former preferred Myeongchangje Records, which imitated Deoneum (a section unique to a particular singer) of eight master singers who lived in the 19th century. The latter group preferred Cheongguseong (Innate, glossy voice of high tone) rather than the thick vocal sound of Sooriseong. Therefore, Lee Hwajungsun and Im Bang-Ul recorded a lot more songs than other Pansori singers and won fame as a rising master singer. Pansori singers valued the aesthetic concepts of the public as well as a small number of Gwimyeongchang group and tried to actively reflect them in Pansori. Accordingly, they made records reflecting their individual legitimacy on one hand and tried to meet the demand of the public to some extent. The development of the phonograph recording industry in the early 20th century caused the revival of Pansori culture and enable the improved understanding of Pansori in the 19th century as well a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판소리를 수용한 산조의 음악 양식에 관한 연구 -판소리와 가야금산조의 장단,조,시김새 비교 고찰을 통해-

        유선미 ( Sun Mi You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29 No.-

        산조는 무악(巫樂)의 흩은 가락에서 판소리의 영향을 받아 정형적(定刑的)이면서도 즉흥성이 살아있는 음악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오늘날 서양음악 형식의 채보와 교육방법에 의해 산조가 지니는 전통적인 음악 특징을 잃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조 형성과 발달에 절대적 영향을 끼친 판소리의 음악양식과 오늘날 산조의 음악양식을 비교하여 산조가 판소리와 동일한 음악양식을 갖고 있음을 고찰하고, 산조의 전통적인 음악특징을 바르게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고에서 산조와 판소리의 음악양식을 비교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판소리와 산조는 음악적 근원을 무악에 두고 있음이 같다. ·산조장단의 `명칭, 진양조 기(起)경(景)결(結)해(解)에 따른 장단구성, 각 장단의 내드름, 도섭장단형식` 등이 판소리의 그것과 같다. 다만 판소리는 사설 내용에 따라 장단이 사용되며, 사설이 없는 산조는 장단을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등 빠르기 순으로 정형화 하였다. ·산조의 악조(樂調)는 판소리의 악조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판소리의 악조는 이전부터 전해 내려 온 전통음악, 즉 가곡이나 영산회상 등에서 사용하던 우조·평조·계면조를 사용하되 사설의 내용에 따라 좀더 세분화시켜 발전되었고, 가사 없는 산조의 악조(樂調)는 판소리의 악조를 더욱 세분화 시켜 악상을 표현하였다. ·판소리의 시김새를 선율과 결합되어 있는 목으로 분류 고찰하고, 산조의 선율에 따른 성음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산조는 판소리의 시김새를 악기로 표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산조는 판소리의 음악양식을 그대로 흡수 발전시킨 음악이다. 이러한 음악을 단지 편하다는 이유로 서양 음악의 리듬과 박자, 그리고 음 이름을 사용하여 교육하고, 또 서양음악 어법으로 이해하여 연주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본 연구자는 산조를 교육하고 연주하는데 있어 표기는 서양음악식 기보를 사용하더라도 음악의 장단·시김새·악조(樂調) 등은 국악어법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본다. 또한 산조를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조 선행학습으로 판소리를 배우거나 많이 들어서 장단·시김새·악조(樂調)등이 익숙해지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Sanjo had been developed as a music having improvising with a fixed foam under the influence of Pansori from the Heotuen melody of Korean Shamanism music. Currently, this traditional musical characteristic of Sanjo has been loosed by adapting the Western music notation and approach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considered Sanjo and Pansori had the same musical style by comparing Sanjo and Pansori influence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anjo, and aimed to understand the traditional musical characteristic of Sanjo.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s after comparing the musical style of Sanjo and Pansori. ·Both Sanjo and Pansori were based their origins on Korean Shamanism music. ·The names of Sanjo Jangdan, the constitution of the Jangdan by Ki·Kyung· Kyul·Hae of Jinyangjo, and the Naedueruem of each Jangdan and the foam of Doseop Jangdan are the same with those of Pansori. However, Pansori used Jangdan by the contents of its texts, and the Sanjo Jangdan having no its texts had fixed the foam by the orders of tempo, like Jinyang-Jungmori-JungJungmori-Jajinmori-Hwimori. ·The musical mode of Sanjo used those of Pansori, like Utjo·Pyungjo·Gyemyunjo which had used in Gagok or Youngsanhwoesang, and had been developed by the content of its texts. However, the mode of Sanjo having no its texts expressed by subdividing that of Pansori. ·After the Sigimsae of Pansori considered the sound with combining its melody, and compared the sounds by the melodies of Sanjo, this paper concluded that Sanjo expressed the Sigimsae of Pansori using instruments. Consequently, since Sanjo is the music which absorbed and developed the musical style of Pansori, it is improper that this music has been taught, and played by the Western musical approaches for the simple reason of its convenience. Furthermore, the author argued that the Jangdan, Sigimsae, and mode of Sanjo should be understood by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style although the music wrote by the Western notation. She also proposed that the learners of Sanjo need to be familiar to the Jangdan, Sigimsae, and mode of Pansori by learning or deep listening it.

      • KCI등재

        문화 변동과 판소리

        최동현 ( Tong Hyon Choe ) 판소리학회 2011 판소리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판소리의 공연문화의 변동과 판소리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씌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이전의 연구 결과를 충분히 활용하면서 현상을 기술하는 데 그치고자 하였다. 다만 20세기 이후 전체를 아우르던 쇠잔기는 1964년을 기준으로 쇠잔기와 보존기의 둘로 나누어 각 시기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첫째 시기는 판소리의 형성기인데, 이 시기의 판소리는 제의에서 놀이로 존재했다. 문희연을 비롯한 특별한 행사에 그 행사를 빛내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가지 놀이 중 하나로 판소리가 향유되었던 시기였다. 공연장소는 전정이었다. 두 번째 시기는 전성기로서 1902년까지인데, 이 시기의 판소리는 중상층의 오락과 유흥에서 노래로 향유되었다. 판소리가 그 자체로 향유되기 시작하면서, 판소리는 예술적으로 크게 발전하였고, 이 과정에서 이름을 얻은 사람들이 명창으로 이름을 남겼다. 공연장소는 방중으로 바뀌었다. 세 번째 시기는 쇠잔기로서 1902년부터 1964년까지이다. 이 시기에 판소리의 공연장소는 극장이 되었으며, 공연 종목은 창극, 또는 협률사 형태로 다른 공연 종목과 함께 공연되었다. 향유층은 일반 대중이 되었고, 판소리는 흥행 예술이 되어 상품으로 존재했다. 이 시기의 끝에 판소리는 여성국극을 끝으로 판소리는 완전히 몰락하였다. 그리하여 판소리는 상품으로서의 존재 가치를 완전히 상실하게 되었다. 네 번째 시기는 보존기로서 국가가 판소리의 보존과 전승에 관여하게 된 시기이다. 이 시기의 판소리는 민족문화 유산으로 그 가치가 재발견되어 고급예술이 되었다. 공연장소는 극장이었으나, 완창발표회라는 양식이 도입되어 판소리 단독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부르는 형식이 유행하였다.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설립된 기관에서도 판소리와 창극을 공연하였다. 이 시기 청중은 각성된 지식인과 학생이 주류를 이루었고, 원형 유지를 중요한 원칙으로 삼아 사진소리가 유행하게 되었다. 각급 교육기관에 판소리 전공을 두어 학생을 가르치게 된 것도 이 시기의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 시기 판소리 공연의 가장 큰 특징은 무료 혹은 거의 무료로 공연된다는 점이다. 이제 판소리는 자생력을 완전히 잃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지원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완전히 잃고, 더불어 판소리로부터 감흥을 느낄 수 있는 적극적 향유층도 갖지 못한 판소리가 언제까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에 힘입어 생존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판소리 관련자들의 대오각성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아니할 수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lo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of pansori performance and the pansori itself.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former studies were fully adopted. Therefore in this study I am going to concentrate on the description of being. But the declining period that covers the period from 2,000 to present, will be divided into declining period before 1964 and the preservation period after 1964 in this study. The first period is the formative period of pansori. In this period, the pansori was enjoyed as a play in the rites. The pansori performance was held to celebrate the special events for example passing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a court. The second period is the period of prosperity. This period is from the end of the first period to 1902. In this period pansori was enjoyed as a song in the middle and upper class`s pleasure and amusement. The pansori was highly developed as an art. In this process, many singers became famous as a pansori myeonchang(maestro).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changed from a court to a room. The third period is the period of declining. This period is from 1902 to 1964. In this period the pansori performance was held in the theater. The major form of performance was the changgeuk(pansori theater) or hyeopryulsa (package performance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 The class of audience was the mass of people. The pansori became an popular entertainment. And pansori was considered as a goods. At the end of this period the pansori was throughly declined and lost the value of a goods. The fourth period is the period of preservation. In this period the government intervened in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pansori. The pansori was reevaluated as a major national cultural asset. The place of performance was a theater. But the form of performance was wanchang (singing a pansori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Many provincial governments established the changgeuk company. So the most of the performance were held for free. The audience of this period were the intellectuals and the students. It is very distinguishing that pansori is taught in many art schools. Now the pansori throughly lost the power of self-existing. The pansori is preserved by the financial support of government. But the future of pansori is very uncertain. Because the pansori had lost its value as a goods and there are not so many positive audiences who can feel the emotion of pansori.

      • KCI등재

        판소리 역대 명창 및 더늠에 대한 문화적 기억의 전승

        송미경 판소리학회 2017 판소리연구 Vol.44 No.-

        This paper examined the tradition of cultural memories regarding former Pansori singers and deoneums, and explored its functions and meanings. First, Soripuri displays the ritualization of cultural memories regarding the name and lineage of previous Pansori master singers. It was a cultural tradition to commemorate them. Their names and genealogies were the objects of cultural memory. Thus, the names of the former Pansori singers were stored in the memories of those who followed, thus being passed down. Second, texts such as Byeol Chunhyangjeon, 75 Jangbon, and Tansedanga correspond with the characterization of the cultural memories of former Pansori singers and deoneums. These texts embodied their cultural memories and placed them in their own dramatic framework. This not only served as memory storehouses for contemporary or later generations in the Pansori community, but also enjoyed the popularity of being read as books. Finally, Myeongchangje records and radio broadcasting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demonstrate that these cultural memories were stored and transmitted through voice media. In terms of the recordings,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recording singer gave information regarding the names of former Pansori singers and deoneums, and radio broadcasts such as “Myeongchangjo Narrate” would have been similar. The recordings primarily consisted of famous singers from the Song and Kim clans and the radio broadcast “Myeongchangjo Narrate” was conducted by Cho Hak-jin, a disciple of Park Ki-hong. This contributed to the enjoyment of traditional Pansori style music that was based on the cultural memory of deoneums. These cultural memories possess the following functions. The Pansori community formed and maintained its identity through the cultural memories of former Pansori singers and deoneums, and utilized it as a subject of knowledge transfer through generations. This has become the motivating factor behind the development of Pansori art. Conversely, the Pansori community has built a sense of legitimacy and identity within the group through cultural memory, and sought social recognition from the outside. This has contributed to the social status of Pansori art to a certain extent. Modern Pansori also maintains a tradition of cultural memory regarding former Pansori singers and deoneums. By observing the recordings or productions of Pansori performances, one can often identify the singer through the content and discover its history. Cultural memory constitutes its content. Moreover, the legitimacy and genealogy of Pansori art is emphasized when modest speech is employed as a formal expression when dictating the cultural memory of Pansori deoneums. 본 논문에서는 판소리사에 존재하였던 역대 명창 및 더늠에 대한 문화적 기억의 전승 양상을 고찰하고 그 기능과 의미를 탐색해보았다. 우선 소리풀이는 역대 명창의 이름 및 계보에 대한 문화적 기억의 의례화 양상을 보여준다. 후기팔명창 시대에 이르기까지 본격적인 판소리 공연에 앞서 치러졌던 절차적 의례로서의 소리풀이는 판소리 역대 명창을 기념하는 문화 전통이었다. 문화적 기억의 대상은 판소리 역대 명창의 이름으로, 하은담과 최선달이 그 선두에 호명되었으며, 이른바 전기팔명창이 항상 포함되었다. 이를 통해 판소리 역대 명창들의 이름은 후세의 기억에 저장·전승될 수 있었고, 특히 팔명창에 대한 내용은 판소리의 ‘교양기억’으로 공고화되었다. 다음 경상대 소장 <별춘향젼> 75장본의 ‘사명창 변ᄉᆞ도ᄌᆞᆫᄎᆡ’ 나 안도의 <탄세단가> 등에서 볼 수 있는 더늠 사설의 기록은, 역대 명창의 더늠에 대한 문화적 기억의 문자화 양상에 해당한다. 이들 텍스트는 역대 판소리 명창들의 더늠에 대한 문화적 기억을 나름의 극적인 틀 안에 담아냈다. 고수관의 ‘사랑가’, 권삼득의 ‘제비 후리러 나가는 대목’ 등 역대 판소리 명창들의 더늠에 대한 문화적 기억은 기록을 통해 더욱 구체화되었다. 이것은 판소리 공동체 내에서 동시대 또는 후대 창자들이 참조할 수 있는 기억 저장소의 역할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독서물의 성격을 띠고 대중적으로 향유되기도 했다. 마지막으로 일제강점기 명창제 음반 및 라디오방송 ‘명창조 구연’은 역대 명창의 더늠에 대한 문화적 기억의 음성매체화 양상을 보여준다. 명창제 음반의 경우, 녹음하는 이가 소리를 하기에 앞서 역대 명창의 이름과 소리제, 즉 더늠에 관한 정보를 제시한 것이 특징이며, 라디오방송의 ‘명창조 구연’ 역시 비슷한 방식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명창제 음반의 녹음에는 송문과 김문의 명창들이 주로 참여했으며, 라디오방송 ‘명창조 구연’은 박기홍의 제자 조학진이 주도했다. 이것은 판소리 더늠에 대한 문화적 기억에 토대한 판소리 고조(古調)의 전승과 향유에 일조하였다. 이상의 문화적 기억은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하였다. 판소리 공동체는 판소리 역대 명창들의 이름이나 더늠을 둘러싼 문화적 기억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유지했으며, 이것을 세대 간 지식 전승의 대상으로 삼기도 했다. 이는 판소리 문화 전통의 유지와 재창조에 일조함으로써 판소리 예술의 발전을 견인하는 동력이 되었다. 한편 판소리 공동체는 문화적 기억을 통해 판소리 역대 명창과 더늠의 내력을 공식화하여 집단 내부적으로 정통성과 정체성을 구축하는 한편, 외부로부터도 일종의 사회적 인정을 받고자 했다. 이는 실제로 판소리 예술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데 일정 정도 기여했다. 현대 판소리에서도 판소리 역대 명창 및 더늠에 대한 문화적 기억의 전승을 볼 수 있다. 판소리 공연 현장이나 명창들의 녹음 또는 창본을 살펴보면, 특정 더늠 바로 앞의 아니리를 통해 그것이 누구의 더늠인지, 자신은 그것을 누구로부터 전수받았는지 그 내력을 밝히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사승 관계를 통한 판소리 전수 과정에서 저장된 문화적 기억이다. 그리고 판소리 더늠에 대한 문화적 기억을 구술할 때의 공식적인 표현으로 자리 잡은 겸사는 판소리 예술의 정통성과 계보성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 KCI등재

        신재효의 풍류인으로서의 면모와 판소리 활동

        최동현 판소리학회 2013 판소리연구 Vol.3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Sin Jae-hyo's pungryu and pansori activities. People say that Sin Jae-hyo is a man of pungryu. But the meaning of pungryu has many different connotations. We can define the meaning of pungryu as to enjoy aesthetically. In this aspect, Sin Jae-hyo is really a man of pungryu. Especially meeting in Buyongheon to write poems shows the highest level of Sin Jae-hyo's pungryu. In his pansori literature, Sin Jae-hyo used the pungryu as the meaning of the man of pungryu and the music. This indicates the fact that Sin Jae-hyo considered the music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pungryu. In reality we can't call Sin Jae-hyo the man of pungryu without pansori. Sin Jae-hyo found the pansori as a means of expression of his own discontent. But he did not express his discontent explicitly. Instead, he decided to hide himself in the anonymity of pansori. This is his limit. The Sin Jae-hyo's pungryu exercises best in meot(멋). The meot of Sin Jae-hyo is expressed in his pansori literature especially in the parts of humor, to put it concretely, joke or satire and absurdity. The humor of Sin Jae-hyo's pansori literature synchronizes with rationality. This is a common characteristic of pansori. But it appears more than common especially in Sin Jae-hyo's pansori literature. 이 논문에서는 신재효의 풍류인으로서의 면모와 판소리 활동에 대하여 밝혀보려고 하였다. 신재효를 ‘풍류인’이라고 하는 데는 이견이 없으나, ‘풍류’의 의미에 대해서는 그 쓰임새가 매우 다양해서 종잡을 수 없을 정도이다. 동양 3국의 공통된 풍류개념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그것은 ‘예술적으로(혹은 미적으로) 노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다. 풍류를 이렇게 규정하고 보면, 신재효의 삶에서는 풍류인으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진다. 집안을 운치 있게 꾸민 것이라든가, 판소리 창자들을 모아 가르치고 즐긴 것, 또 진채선에 대한 애틋한 연정 등도 다 신재효를 풍류인으로 규정짓게 하는 요소들이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특기할 만한 것은 부용헌에서의 시 모임이다. 신재효가 부용헌을 짓고 판소리 소리꾼들을 가르치기 시작한 시점과 시 모임을 갖기 시작한 시점은 비슷하다. 따라서 부용헌에서 자연스럽게 판소리 감상도 이루어졌을 것으로 본다면 부용헌은 신재효판 풍류방이라고 할 수 있다. 부용헌에서의 시작과 판소리는 신재효 풍류의 한 정점을 보여준다. 신재효가 풍류를 어떻게 생각했을지 알아보기 위해서 신재효 판소리 사설 속의 ‘풍류’의 쓰임새를 조사한 결과 풍류인, 풍류객과 같이 사람을 대상으로 사용한 경우와 음악이라는 의미로 쓴 경우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신재효가 어떤 사람을 풍류인이라고 할 때는 음악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 신재효의 삶과 활동을 보면, 판소리라는 음악을 제외하고도 신재효를 풍류인이라고 할 수 있을지 심히 의심스럽다. 이념적 측면에서 볼 때 풍류는 사물․현상의 본질에 접근하는 것이나, 사물․현상의 극(極)까지 추구해 들어가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신재효는 다양한 판소리 활동을 통해 판소리의 본질에 다가가려고 했다. 그러나 신재효가 판소리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능동적인 탐색의 결과는 아니었다. 자신의 불만의 표현 수단으로 판소리를 발견하고 이를 활용하기는 했지만, 자신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려고는 하지 않았다. 판소리라는 익명성 속에 숨어서 소극적으로 의사 표시를 했다. 결국 신재효의 풍류는 판소리를 통해서만 발현되는데, 이 또한 매우 소극적이고 제한적인 부분에 국한된다고 할 수 있다. 신재효를 평가하는 말 중에서 풍류인과 가장 근사한 것은 아무래도 민요에 있는 “한량 멋 알기는 고창의 신오위장이 날개라”라는 표현일 것이다. 신재효의 멋은 그가 정리한 판소리 사설에 잘 나타난다. 신재효 사설의 ‘멋’은 골계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드러나는데, 구체적으로는 해학, 풍자, 터무니없음 등으로 나타난다. 신재효 사설의 골계는 합리성과 표리를 이루며, 때로는 각각 독립적인 부분에서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복합되어 동시에 나타나기도 한다. 그 결과 일관성을 심각하게 저해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러한 양상이 신재효 사설만의 특징이 아니라, 판소리 일반의 특징일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특징으로 신재효 사설을 특징지을 수 있는 것은 다른 곳에서보다 신재효 사설에서 더 두드러진다는 데 있다.

      • KCI등재

        한중(韓中) 전통(傳統) 소리 예술(藝術) 판소리와 곤곡청창(崑曲淸唱)의 전통(傳統) 계승(繼承) 발전전망(發展展望)에 관한 비교연구(比較硏究) -전주(全州) 판소리 대사습(大私習)과 중국(中國) 소주(蘇州) 호구(虎丘) 곡회(曲會)를 중심(中心)으로-

        정원지 ( Won Ji Chong ) 판소리학회 2010 판소리연구 Vol.29 No.-

        본고는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전통소리 예술인 판소리와 곤곡청창을 과거 현재 미래 세 단계별로 살펴봄으로써 전통문화의 계승 발전 전망에 관한 논의를 펼쳤다. 논의방법은 전주대사습놀이와 소주 호구곡회의 경우를 들어 양자를 상호 비교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전주대사습과 중국 호구곡회에 대해 각각 연원적 배경 내지 의미를 살피고 당대의 현황 그리고 미래의 발전방안과 방향에 상호 비교의 방식으로 논의하였다. 학계에서는 그간 한국의 전주대사습의 원형 또는 연원과 의미에 대해 조사나 답사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나 故老들의 증언을 근거로 추정한 바는 있었으나, 정면으로 학술적으로 접근하여 구체적인 의미와 배경 등에 대한 본격적인 시도는 드물었다. 본고에서는 필자 본인이 기왕에 논의한 중국 소주의 호구곡회 사례를 통해 전주대사습의 연원과 발생배경을 추적하였다. 호구곡회는 음의 기운과 양의 기운이 평형한 상태에서 음력 8월 15일을 기준으로 음의 기운이 점차 성하고 양의 기운이 점차 쇠하는 국면을 기념한 `迎寒儀式`이라는 민속제전임을 감안하여 볼 때, 전주대사습은 단순히 조선조에서 양편으로 나눠 벌였던 단순한 경연대회가 아니며, 대회를 주관한 계층도 通人들에 의해 거행된 것이 아니라 역시 천지기운의 순환을 기념하는 민속 제전이었으며 일반 백성들이 주체가 된 민속축제일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漢書』 에서의 冬至陽氣起 즉 `冬至가 되면 陽의 기운이 비로소 생겨나기 시작`한다는 말이나 『史記』 에서의 氣始於冬至, 周而復生 즉 `기는 동지에서 시작하여 일 년을 주기로 하여 다시 생긴다`라는 지적에 따르면 동짓날 거행된 전주대사습은 `양의 기운이 태동하고 음의 기운이 물러가는 순간`을 기념하기 위해서, 순환의 첫 단계 즉 새해를 맞이하는 차원에서 거행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주대사습놀이가 동짓날에 행해졌던 이유는 1년을 주기로 한 기의 순환을 기념하는 우주적 행사로서, 새해를 기념하는 조상들의 민속절기행사였다는 데 있다. 여기서 우리는 `판소리`라는 전통 소리예술은 천지자연의 기운의 순환을 기념하는 차원에서 즉 새해를 맞이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을 것이라는 하나의 중요한 가설을 확보할 수 있어 판소리 발생배경을 구명하는 데 하나의 논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거행되고 있는 전주대사습이나 중국 소주 호구곡회는 모두 민속제전이란 측면을 계승하고 있는 바, 전주대사습은 1975년에 소주호구곡회는 1980년에 재개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고대 민속제전을 계승한 호구곡회는 그대로 전통을 계승한 측면이 강하다하겠으나, 전주대사습의 경우는 원래의 本府와 營門 둘로 나누어 경연을 벌이던 본질적인 민속놀이 정신을 망각하고 그 외형만 취한 나머지 오늘날처럼 심사위주의 경연대회로 변화되었음을 살폈다. 전주대사습도 물론 처음 출발 때는 호구곡회와 다를 바 없었다. 다만 끊겨진 전통을 잇는다는 명분아래 재개된 대사습은 민속놀이 내지 민속제전이 아닌 심사위주의 경연대회 일색으로 탈바꿈하였다. 반면, 호구곡회는 금세기에 와서 계승된 활동 모두가 전통적인 방식인 곤곡의 淸唱을 위주로 한 활동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순수한 동호인이 주체가 되고 동호인들끼리 벌이는 활동인 曲社도 동호인들의 잔치로 계승되고 있다. 호구곡회는 전국적인 曲社들의 한 차례의 盛會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어 전문가 배양이라는 큰 틀을 뒷받침하는 든든한 배경이 되고 있다는 점, 즉 곤곡청창의 저변인구의 확대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전통예술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학습을 통해 정규교육기관에서 감당해내지 못한 부분을 메우는 중요한 역할을 해내고 있다는 점에서 크게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주대사습이 과연 심사위주의 경연대회로 나아가야할 것인가 아니면 예전처럼 순수한 민간제전으로 재개되어야할 지 방향을 모색하는 데 호구곡회의 현황이 참조 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한국에서는 동호인의 활동이 활성화되는 대신 전국적인 규모의 판소리 경연대회가 전주 대사습을 위시하여 무려 20여개 이상 난립하고 있다. 현재의 모든 전국규모의 판소리 대회는 심사를 통한 장원을 탄생시키는 단순한 목적 외에는 판소리에 대한 진정한 자긍심이나 인식이 결여되어 있는 형국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 판소리 예술에 대한 재인식, 판소리의 저변인구 형성을 위한 대안과 방안을 살펴보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판소리 경연대회는 대회 그 자체만으로 대회의 진정한 의미와 성과 미래의 방향을 제시하기 어려운 바, 그에 대한 보완책으로서 학술대회를 병행하여 경연대회를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20여개가 넘는 판소리 대회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판소리대회는 1개 대회만으로도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지역 간 지방정부간 벌이는 무한 경쟁방식의 대회를 청산하고 일등만을 뽑는 형식적인 행사를 지양해야할 것이다. 20여개에 달하는 각종 판소리 대회 가운데 유일하게 민속적 배경아래 시작되었을 대회로서 전주대사습놀이를 지목할 수 있다. 이에 전주대사습 대회를 판소리 대회의 대표주자로 격상시켜 판소리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문화예술의 표본으로서 나아가서는 세계무형문화재로서의 위상을 갖도록 하는 것도 판소리를 전통소리예술로서 제대로 대접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or the purpose of seeking the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ansori, the thesis studied the origin of Jeonju Daesaseup Noli,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n Jeonju Daesaseup Noli and Huqiu Performance. It has been made a field survey on the orgin of Jeonju Daesaseup Noli and Huqiu Performance by other studies before, but there is little full?scale academic research. We suppose that Jeonju Daesaseup Noli has folkloric origin which is similar to Huqiu Performance. We see both of them as the performances of celebrating the change of seasons, in order words, the change of yin and yang energy. Huqiu Performance was held on the fifth day of the eighth month of the lunar calendar every year when yin and yang energy are gradually changing. Therefore, we can regard Huqiu performance as a sort of `Greeting Winter Ceremony`. Similarly, Jeonju Daesaseup Noli was held in winter solstice(冬至) every year. According to the `Historical Records Shiji(史記)` and the `History of the Han Dynasty Hanshu(漢書)`, winter solstic is the starting point in which the yang energy is rising. We can regard `Jeonju Daesaseup Noli` as a folkloric ceremony which was performed to celebrate the circulation of the seasons, that is, the New Year. Jenoju Daesaseup Noli was restarted in 1975, and Huqiu Performance was in 1980. Huqiu Performance inherits the traditional heritage more desirably than Jeonju Daesaseup Noli, because Jenoju Daesaserup Noli merely turned into a contest from the original folkloric ceremony, while Huqiu Performance is namely composed with traditional `Qing Chang` which is the singing opera arias without makeup and acting from this century. Kunqu Opera has many amateur members in China, and Huqiu Performance also has the meaning of the grand meeting of many amateur Kunqu Opera members. Huqiu Performance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to foster professionals. We can consider Huqiu Perfomance as a good example of private ceremony. There are more than twenty Pansori contests in Korea including Jeonju Daesaseup Noli. And today, these Pansori contests simply select the winners with less understanding and sense of pride for Pansori. Hence, the paper made a proposal for the new understanding and the expanding of basic population of Pansori. Besides, it suggests that Pansori contest also needs to be combined with academic conferences to diagnose the present condition of Pansori contest and seek the future developmental direction of Pansori. We suggest that the number of Pansori contests could be minimized, and the convention which selects winners by competing between local governments could be changed. We can say that Jeonju Daesaseup Noli is the only one which has folkloric background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Pansori contests. Therefore, we could evaluate Jeonju Daesaseup Noli to be a representative of Pansori Contest, and let it contribute to Pansori, which is World Heritage, as the model of traditional cultural art.

      • KCI등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현황과 과제

        송미경(Mi kyoung Song)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6 No.-

        본 연구에서는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 등 주관 기관별로 2014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을 개관하고, 선정된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특징을 고찰하는 한편, 기 선정된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유형, 특징 등을 토대로 향후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문화재청 산하의 ‘무형유산 복합기관’이라 할 수 있는 국립무형유산원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인류무형유산 국고보조사업 공모’ 사업을 주관했으며, 2021년 해당 사업을 한국문화재재단으로 이관했다. 판소리의 경우 단독으로 사업에 선정된 것은 2019년 경서도소리포럼의 ‘서도명창 박월정의 판소리 재현’뿐이며, 그 외에는 합동 공연의 한 프로그램 또는 구성 종목으로 포함되었다. ‘인류무형유산 국고보조사업 공모’ 사업은 2021년부터 그 운영 주체가 한국문화재재단으로 전환되면서, 명칭도 ‘인류무형문화유산 민간 지원 사업 공모’,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 사업 공모’ 등으로 바뀌었다. 문화재청 산하 공공기관이자, 문화유산의 전승·보급·활용을 위한 전문기관이라는 정체성을 아울러 지니는 한국문화재재단은 2022년부터 지원 분야를 ‘1. 공연/전시/체험, 2. 축제/의례, 3. 평생교육, 4. 연구과제/도서출판/학술대회, 5. ICT 및 영상 등 홍보콘텐츠, 6. 상품 디자인 및 제작’으로 확장하고 심사 배점을 수정하는 등 기존 내용과 방향에 상당한 변화를 주었다. 이 공모에서는 판소리 종목 사업이 꾸준히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어, 경서도소리포럼, (아트플랫폼) 동화, 한국판소리보존회, 동리문화사업회의 경우 지난 3년 간 2회 그 수혜 대상이 되었을 정도이다. 주제로는 김초향, 100년 전 판소리 <춘향가>, 판소리 갈라쇼, 판소리유파대제전, 대한민국 판소리 한마당, 동리 신재효 등이 활용되었다. 전통공연예술진흥재단은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재단설립허가를 받아 전통공연예술 민간부문 활성화의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공식적으로 확인 가능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지원사업은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진행된 ‘세계무형유산활용 관광자원화 사업’, 그리고 2019년부터 지속되어오고 있는 ‘인류무형문화유산 활용 공연사업’ 등이다. 명칭에서 보듯, 공연 콘텐츠 활성화에 집중하는 사업, 등재 종목 기반 우수 공연콘텐츠를 확산하는 사업 등으로 방향 전환이 있었으며, 이들 사업에서 판소리 종목 활용 사업은 전 시기 상당한 비중으로 선정에 포함되었다. ‘판소리 유파대제전’, ‘구례동편제소리축제’, ‘서편제보성소리축제’, 창작국악극 ‘춘향난봉가’, ‘판소리동화시리즈_안데르센’, ‘완창판소리프로젝트2_강산제 수궁가’, ‘3색 소리극 ‘흥보가 비하인드 스토리’’, ‘바로크 판소리 심청’ 등이 그 예이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을 활용한 최소 35개 이상 사업 또는 콘텐츠가 3개 기관이 주관한 지원 사업에 선정·발표되어 온 만큼, 이들 지원 사업의 기여도는 분명히 인정할 필요가 있다. 다만 그동안 선정된 판소리 관련 지원 사업을 살펴보면 그 유형이 공연과 축제에 대체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향후 이를 전승공동체 활성화 또는 교육 등과 관련짓는 것도 하나의 전략적이고 의미 있는 움직임이 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pport projects that have been ongoing since 2014. These projects are undertaken by organizations such a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nd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projects and discusses their directions and challenges based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pansori support projects.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Institute, identified as an “intangible heritage complex”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rganized the Human Intangible Heritage State Subsidy Project from 2017 to 2020. In 2021, the project was transferred to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In the case of Pansori, the only item selected for the project was the “Reproduction of Pansori of Seodo Myungchang Park Wol-jeong” by the Gyeongseodo Sori Forum. Other items were included as parts of joint performances or programs. Since 2021, the Competition for State Subsidized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been renamed the Competition for Private Support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Competition for Support Projects for Hum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is change was prompted by the transition of the operating entity to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As a public institution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a specialized organization for the transmission, dissemina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has made significant changes in content and direction by expanding its support areas to include: 1. performances/exhibitions/experiences; 2. festivals/ceremonies; 3. continuing education; 4. research projects/book publishing/conferences; 5. promotional content such as ICT and videos, and 6. Product design and production, and by revising the scoring system. In this competition, Pansori projects have been consistently received support, with organizations like the Gyeongseodo Sori Forum, (Art Platform) Donghwa, Korean Pansori Preservation Society, and Dongri Culture Business Association being selected twice in the past three years. The topics included Kim Cho-hyang, the 100-year-old Pansori ‘Chunhyangga’, Pansori Gala Shows, the Pansori Yupa Grand Festival, Korea Pansori Hanmadang, and Dong-ri Shin Jae-hyo. The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undation is licens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function as a base for revitalizing the private sector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its officially verifiable UNESCO ICH projects include the Tourism Resource Utilization Project for Worl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ran from 2014 to 2018, and the Performance Project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 ongoing initiative since 2019. The new project names signify a shift in focus towards revitalizing performance content and promoting exceptional performance content based on registered item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projects in the selection have utilized pansori items or offered pansori events. Examples include “Pansori Yupa Daeje Festival,” “Gurye Dongpyeonje Sori Festival,” “Seopyeonje Bosung Sori Festival,” the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drama “Chunhyang Nanbongga,” “Pansori Fairy Tale Andersen,” “Wanchang Pansori Project 2 Gangsanje Sugungga,” “Heungboga Behind Story,” and “Baroque Pansori Simcheong.” As at least 35 projects or contents involving pansori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e been selected and announced for support projects organized by these three organizations, the contribution of these support projects needs to be clearly recognized.

      • KCI등재

        극판소리의 특징과 발전 방향

        김영주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5 No.-

        Even though the stage direction has changed over time, the essence of Pansori, ‘the unique sounds and melodies, composition of narrative, and artistic achievement through Imyeon’, still remains. This study focuses on theatrical pansori. Theatrical pansori includes “Red Cliff” “Wrinkled Girl” “Pansori Hamlet Project” “Over the Crowd-singing of Pansori: Munjeonbonpuri” and “Pansori Movement Research.” “Red Cliff” gave “Jeokbyeokga” a more contemporary direction. “Wrinkled Girl” eloquently expresses the life of “Gong og jin,” who was oppressed by the times. The “Pansori Hamlet Project” reinterprets western classics. “Over the Crowd-singing of Pansori: Munjeonbonpuri” is a pansori chorus, and “Pansori Movement Research” expresses sound through the body. One among the many varieties of pansori, theatrical pansori is an independent and distinct art form that expresses the creator’s artistic philosophy. These works are an independent art-form that can be a mixture of ‘process art’ and ‘conceptual art’, being adaptable to the taste of the community. Therefore, they are able to capture and convey the Zeitgeist of the 21th century. The transformation of pansori into modern art can be attributed to theatrical pansori. 서사적 구성을 갖춘 이야기, 판소리 성음 및 곡조, 이면의 성취를 갖추면판소리로서의 장르적 정체성을 가진다. 이러한 필수 요소를 갖추면서 판소리를창조적으로 이어가려는 시도는 창작판소리로 실현되다가 근래에 음악판소리, 극판소리의 형태로 확장되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극판소리 작품의 특징과예술성을 밝히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적벽>은 젊은 패기와역동감, 웅장함의 퍼포먼스로 <적벽가>를 재구성하면서 전통의 현대적 변용을실현했다. <주름이 많은 소녀>는 시대에 억압된 불우한 예술가의 처절한 예술성과 현대 예인들의 삶을 연결시켜 깊이 있게 고찰하도록 이끈다. <판소리 프로젝트 햄릿>은 서구 명작을 판소리가 어떻게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재변용해 내는지를 명쾌하게 보여주었다. <오버더떼창:문전본풀이>는 ‘판소리는 1인 창’이라는고정된 관념을 판소리 합창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새로운 판짜기를 선보였다. <판소리움직임탐구>는 소리와 몸의 관계를 파고들어 그 상호관련성을 고민하고 관객과 함께 풀어내고자 실험하였다. 극판소리는 판소리의 ‘극적 성격 강화’ 를 통해 (재)창작의도를 표출하였으며 이는 판소리 내부적 예술성의 병렬적확산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극판소리는 현재 우리에게 ‘독립예술’의 형태로 판소리의 예술적 기능을 살려내고 있다. 이에 대해 필자는 향후 ‘개념 예술’ 및‘과정 예술’의 형태로 발전시킬 것을 제언하였다. 또 현대의 시대정신을 포착해갈무리함으로써 판소리의 본질을 충실하게 이행해야 함도 주장하였다

      • KCI등재

        근대 판소리 비평 자료의 검토 - 신문, 잡지를 중심으로 -

        최혜진 ( Choi Hyejin ) 판소리학회 2014 판소리연구 Vol.38 No.-

        본고는 1900년~1940년 사이에 쓰여진 신문, 잡지의 내용 중 판소리 관련 비평적 인식을 담은 글들을 찾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기사문, 논평문, 기고글 등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 현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현재까지 약 51편 정도의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당대 판소리에 대한 비평적 인식은 물론 그에 따른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본론에서는 수집된 51개의 자료를 유형별로 정리 제시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판소리 비평에 대해 명창/광대론, 음악론, 공연론, 이면론, 관객론, 소리학습론, 판소리인식론 등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러한 여러 유형은 당대 판소리에 대한 인식이 매우 다양하고 심도있게 진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근대 초기에는 판소리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으나, 1930년대에 이르면 조선의 음악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바뀌고, 이와 함께 음악론, 관객론, 이면론 등 관련 이론들이 속속 개진되기 시작했던 것이다.근대 판소리 비평 자료는 많지 않은 양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 준다. 당대 고민했던 많은 내용들을 통해 결국 판소리의 역할과 위상이 수립되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판소리 문화와 당대의 의식 수준을 가늠하고 미래를 예견할 수 있다. 판소리 관련 자료의 탐색은 이러한 의미에서 판소리사를 재구성할 수 있는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and introduce these critical articles about pansori which were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from 1900 to 1940. The study presented the current status after closely reviewing articles, observations, contributions and others, and until the present, the study has collected approximately 51 pieces of references. Through those references, not only did the study improve understanding on contemporary pansori but also it gained new information on the field.In the body of the research, a total of 51 collected references were categorized by type, and their significanc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critiques of pansori, the references were divided into these types such as theory of master singers/performers, theory of music, theory of performance, theory of reality, theory of audience, theory of sound learning, theory of pansori knowledge and others, and all of the types are considered proof for how understanding on contemporary pansori has developed in very much various and profound ways. In the early modern age, negative ideas about pansori were observed and yet, by the time the 1930’s arrived, pansori was regarded to represent the musical identity of the Joseon Dynasty, and consequently, those theories such as the theories of music, audience, reality and others were released only constantly.There are only a few critical references on modern pansori and yet, they are still providing considerably significant implications. The roles and reputations of pansori could have not been established without all those discussions conducted back then. The references and discussions are considered a chance for us to forecast both how people of the old times understood the pansori culture and the future of pansori as well.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believes that exploring references in connection with pansori is important work to restructure the history of panso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