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브랜드매너의 구성차원과 측정항목의 개발

        김정구(Chung Koo Kim),허은아(Eun A Heo) 한국경영학회 2010 經營學硏究 Vol.39 No.5

        When you approach people or organizations with courteous manners, you can leave good impressions. Once they have impressive impressions of you, they are likely to invite you again and respect you more. manners can be measured by behaviors that are respected social usage. When people show consistent behaviors and fulfill their promises, they are evaluated as ‘well-mannersed’. This idea can be applied to brands however previous studies only mentioned about it without providing any clear definition. Therefore development of systematic measurements of brand manners is necessary. The concept of Brand Personality has contributed to the working level business as well as academic filed afte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measurements of it. I expect, like Brand Personality, Brand manners will make a great contribute not only to the business world but also the academic world when the systematic measurements of it are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liable measurements by giving a systematic definition to the concept of Brand manners as well as to analyze the dimensions of it. In this study, I defined Brand manners as to fulfill promises like manners in human relations. I analyzed the dimensions of Brand manners and I developed measurement items based on the ground of Gilbert(1979)’s paradigm for developing measures which has been referred in many processes of developing important concepts such as Brand Personality. I defined the concept academically based on theories of Marketing and Brands by Kotler(2008), Keller(2008), Pringle and Gordon (2001).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 measurement items are consist of thirty three variables and those variables are classified into ten factors. Ultimately those ten factors are classified into four manners dimensions - rational manners based on superior quality and skills, the emotional manners based on outstanding service and design, and the spiritual (symbolic) manners base do respectable business culture and philosophy, and political (social) manners. I also discovered that the current service manners educations that are given to employees in various companies should be approached as brand management dimension.

      • KCI등재

        휴먼 브랜드에 대한 강한 애착의 선행 요인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정구 ( Chung Koo Kim ),전미나 ( Mi Na Jun ),김미예 ( Mi Yea Kim ),한정수 ( Jeong Soo Han ) 한국소비자학회 2010 소비자학연구 Vol.21 No.4

        현대의 유명인은 단순히 유명한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가 아니라 그 자체로 하나의 휴먼브랜드로써 대중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다. 이런 휴먼브랜드의 역할이 확대되고 중요해지면서 많은 사람들이 이들에게 사랑과 관심을 보내고 또 강한 애착을 형성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휴먼브랜드에 대해서 사람들이 가지는 강한 애착의 선행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애착이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하기 위해 연구 1과 연구 2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휴먼브랜드에 대한 강한 애착의 선행요인으로써 A-R-C(자율성, 관계성, 유능감) 욕구 충족이 애착 형성에 미치는 영향과 휴먼브랜드에 대한 애착의 사람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2에서는 기존연구를 기반으로 휴먼브랜드를 일반 유명인(Celebrity)과 영웅적 유명인(Hero)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A-R-C 욕구충족이 각각의 휴먼브랜드에 대한 강한 애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각각의 휴먼브랜드에 대한 애착이 사람들의 삶의 만족에 어떻게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첫째, A-R-C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욕구 충족이 휴먼브랜드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휴먼브랜드에 대한 애착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지만, 휴먼브랜드를 분류하였을 때 일반 유명인에 대한 애착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끼치지 못하고 영웅적 유명인은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학문적 공헌이 있다면, 첫째, A-R-C 욕구 충족이 휴먼브랜드에 대한 애착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처음으로 증명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둘째, 휴먼브랜드에 대한 애착이 개인적 차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처음으로 검증하였다. 셋째, 휴먼브랜드를 분류함으로써 영향력의 차이를 증명하고 영웅적 유명인의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IME and FORBES which are well-known worldwide media announce most influential and popular 100 people every year. Every time they announce the list, world shows interest in who would be in the list every year. This new social phenomenon indicates that people perceive well-known persona like TV stars or sports stars etc. as human brands. As the role of these human brands is getting more important, people tend to develop strong attachment toward them. Another notable social phenomenon in these days is people`s pursuit of satisfaction with life or social well-being. People want to increase quality of life by having quality time with family and friends, and also attachment with celebrities, sports stars, and so on. Thus, the central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address why people develop attachments toward human brands and how the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affects quality of life.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we conducted 2 studies. In study 1, we examined how the A-R-C needs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needs) fulfillment as antecedents affects strong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and how the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affects life satisfaction. In study 2,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we divided human brands into two types which are heroes and celebrities. Heroes are defined as people who have considerable and lasting importance at both society and individual level and celebrities are defined as people who are well-known but who have less or no impact at both society and individual level for a shorter period time, Afterward we examined how A-R-C needs fulfillment affects attachment toward each types of human brands and how attachment toward each types of human brands affects life satisfaction. Major findings from study 1 are that A-R-C needs fulfillment has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strong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and the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also has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n general. That is, more human brands fulfill people`s A-R-C needs, stronger attachment people develop toward human brands and stronger attachment people develop toward human brands, more satisfaction people feel about life. Major findings from study 2 are that A-R-C needs fulfillment has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attachment toward both heroes and celebrities. However, only the attachment toward heroes has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while the attachment toward celebrities has no impact on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suggests the difference between heroes and celebrities and emphasizes importance of role heroes play in increasing quality of life. In terms of major findings combined from study 1 and 2, the present research has three contributions. First,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 on strong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that had revealed only autonomy and relatedness needs fulfillment positively affects forming strong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Thomson 2006, Ahn and Lee 2010), our research empirically proved that all of the A-fl-C needs fulfillment has positive impact on developing strong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for the first time. Second, our research empirically analyzed life satisfaction at personal level as the outcome variables of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In contrast to most researches on brand attachment that focused on brand commitment, brand loyalty and so on at corporate or products level, our research showed meaningful results by focusing on quality of life rather than products. Third, our research emphasized role of heroes by dividing human brands into celebrities and heroes. The result of study 2 showed that the attachment toward heroes increases quality of life by having people feel more satisfaction about life while the attachment toward celebrities doesn`t. Thus, heroes who have considerable and lasting importance at both society and individual level can play very important role to increase quality of life. Although the present research gives considerable contributions, there are some limitations and further researches we would like to address. First, while our research shows that competence need fulfillment positively affects to develop strong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other studies showed different results. Therefore, more study would be necessary to find out the role of competence need fulfillment in forming attachment. Second, while heroes positively affect life satisfaction, celebrities does not. According to Frankl(1997), people pursue three types of value, entertainment, power, meaning. Of these three values Frankl(1997) suggested, entertainment and power values may represent short- term value that celebrities have while meaning value may represent long-term value that heroes have. Hence, further research should empirically study if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values Frankl suggested and values that heroes and celebrities have. Third, although the present research assessed life satisfaction level as the outcome of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further research should adopt more comprehensive wellbeing index which is more detailed multidimensional scale to assess Quality of life as the outcome of attachment toward human brand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Down's Syndrome(몽고증)의 세포유전학적 연구

        김정훈,오선경,김정구,문신용,이진용,장윤석,Kim, Chung-Hoon,Oh, Sun-Kyung,Kim, Jung-Koo,Moon, Shin-Yong,Lee, Jin-Yong,Chang, Yoon-Seok 대한생식의학회 1986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ytogenetic characteristics of Down's syndrome in Korea. For this study, selected were 9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Down's syndrome by the chromosomal analyses, among 115 patients who were supected of Down's syndrome and referred to the Cytogenetic Laboratory, Institute of Reproductive Medicine and Popul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for 2 years from January 1984 to December 1985. Among 92 patients with Down's syndrome 83 (90.2%) had G-trisomy, 4 (4.3%) had translocation, and 2 (2.2%) had mosaicism of normal and G-trisomic cell lines. Two patients of the remaining 3 had both G-trisomic and translocation, 47, XX, t (1:21) (p32:q22), +21, 47, XX, t (9:11) (q34:q14), +21. The remaining 1 patient had 47, XY, +mar.

      • KCI등재후보

        폐경 여성에서 갑상선 기능과 골밀도의 연관성

        정혜원 ( Hye Won Chung ),강병문 ( Byung Moon Kang ),김미란 ( Mee Ran Kim ),윤병구 ( Byung Koo Yoon ),이병석 ( Byung Seok Lee ),최훈 ( Hoon Choi ),박형무 ( Hyoung Moo Park ),김정구 ( Jung Gu Kim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1

        연구목적: 골다공증은 가장 흔한 대사성 질환 중의 하나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골량이 감소하고 골의 미세구조 변화로 인한 골의 강도가 약화되어 골절의 위험성이 증가되는 전신성 골격계 질환이다. 최근 갑상선 호르몬이 골밀도와 연관성에 대한 보고가 있는데, 갑상선 자극호르몬이 낮은 경우 골밀도가 낮으며 티록신이 높을수록 골밀도는 낮아진다는 보고도 있다. 따라서 한국 폐경 여성에서 갑상선 질환이나 갑상선 기능의 변화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재료 및 방법: 서울 소재 8개 대학병원의 건강검진 센터에서 검진을 한 2,279명의 폐경 후 여성의 의무기록과 신장, 체중, 골밀도와 갑상선 기능검사결과를 조사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 로 분석하여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다기관에서 조사한 비교적 대규모 수의 폐경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갑상선 기능 검사 중 혈청트리요오드사이로닌과 티록신은 골밀도와 연관성이 있으며 갑상선 자극호르몬은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이러한 연관성은 연령을 보정한 후에는 유의하지 않아 혈청 트리요오드사이로닌과 티록신의 골밀도 연관성은 연령에 따른 변화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갑상선 질환의 유무에 따라 요추 골밀도와 대퇴골 및 total hip 골밀도의 평균값은 차이가 없었다. 갑상선 자극호르몬이 0.5mU/L 미만인 group에서 갑상선 자극호르몬이 정상이거나 증가된 그룹보다 골감소증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한국 폐경 여성에서 갑상선 기능과 골밀도는 연관성이 있었다. Objectives: Osteoporosis, defined as decreased bone mass and structural deterioration of bone, increases the incidence of fractures. Recently, there have been reports suggesting that thyroid hormones are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BMD). It has been reported that low normal circulating thyrotropin (TSH) levels correlate with lower BMD and that thyroxine (T4) and bone density are negatively related.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MD and thyroid diseases and other functional changes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2,279 postmenopausal women who attended the health care clinic in eight university hospitals between March 2001 and December 200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We determined the baseline characteristics of the women, including age,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The BMD was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yroid status and BMD was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Results: This research used data from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postmenopausal women gathered in a multicenter approach. Of the thyroid functional tests,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riiodothyronine or T3) and T4 correlated with BMD, while free T4 and TSH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 cant correlation. After adjusted age, thyroid function test did not correlate with BMD. Osteopenia was signifi cantly higher in the group with TSH below 0.5mU/L compared with groups that had normal or high TSH.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umbar BMD and total hip BMD among patients with thyroid diseases and healthy patients. Conclusion: The level of T3 and T4 correlated well with BMD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브랜드 경험에 따른 긍정적 감정이 자아인식의 향상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류주연(Ryoo Juyoun),김정구(Kim Chung Koo)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4

        소비자는 구체적인 제품이나 서비스의 형태뿐 아니라 다양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도구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를 통하여 정서적으로나 인지적, 또는 행동적인 방법 등으로 브랜드를 경험하고 있으며, 바람 직하고 매력적인 브랜드를 경험하는 것으로도 개인의 장점을 개발하고 만족스러운 삶의 기본이 되는 긍정적 감정 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비자가 브랜드를 경험하면 브랜드가 갖는 매력적이고 강력한 브랜드개성을 마치 소비자 자신의 개성인 것처럼 인식하게 되어 좀 더 향상된 자아로 인식하게 되는 브랜드 효과와, 이러한 브랜드 경험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국내 실정에서 실제의 브랜드를 가지고 실증해보고자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최신식이고, 유행에 민감하며, 현대적인’ 개성을 갖는 갤럭시S 스마트폰 브랜드를 선정하였으며 브랜드 경험 이후 세 가지 브랜드개성에 대한 소비자의 자아인식이 향상된 것으로 타나났다. Brakus 외 (2009)의 연구를 근간으로 12개 측정항목을 이용하여 브랜드 경험에는 감각적, 감정적, 경험적, 그리고 인지적 경험의 4가지 차원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브랜드 경험과 긍정적 감정, 자아인식과 브랜드 애호도의 네가지 연구 개념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경험은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 적 감정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들이 바람직한 브랜드개성을 갖는 브랜드를 경험한 이후 브랜드에 대한 만족과 애착, 관계 등과 같은 브랜드 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기존 연구에서 더 나아가 소비자 차원에서는 긍정적 감정이 향상된다는 결과를 실증한 것이다. 둘째, 브랜드 경험으로 인한 긍정적 감정은 자아인식의 향상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됨을 발견하였다.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생각과 행동의 폭을 넓히고 관계를 지속하게 함으로써 삶의 만족과 행복의 바탕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고 할 수 있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브랜드 경험이 브랜드 애호도와 자아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한국적 실정에서도 유효함을 확인하였고 넷째, 브랜드를 경험하면 소비자의 긍정적 감정이 향상되고 자아인식이 향상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긍정적 감정과 자아인식의 향상이 브랜드 애호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는 관계는 밝히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학문적, 실무적 공헌점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onsumers experience brands directly or indirectly both by purchasing or consuming brands`` offerings and communicating brand related aspects in the sensory, emotional, perceptual, or actual way. This research replicates the brand effects on self perception enhancing and brand loyalty and examines how consumers` positive emotion can be formed and increased through brand experiences using a real Korean brand. Positive emotions broaden consumers`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thought-actions and provide variety experiences which can be the fundamentals of subjective well-be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nd the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by brands on self perception enhancing and brand loyalty in the Korean market situation. In the pretest, 53 respondents selected five personality traits that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Samsung Galaxy S. Three traits out of 42 personality scales were most frequently selected; up-to-date(53%), contemporary(45%), and trendy(45%). Also these three traits revealed a high degree of interests in an opportunity to enhance themselves: up-to-date(m=.68), contemporary(.74), and trendy(.68). Based on this data, Galaxy S was used in the main survey where 450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the business undergraduate classes and MBA classes. Excluding foreign students` data and inappropriate data, 321 sample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by emplo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people perceive themselves to be more up-to-date, more contemporary, and trendier after experiencing Galaxy S through manipulation information. The result confirms that brand experience helps self perception enhancing, especially to people who like certain brand personalities and have interest in increasing the personalities. Second, consumers` positive emotion was increased after they experience the brand, thus a brand can provide positive outcomes both corporations and consumers. The notion that positive emotion produces novel thoughts, activities, and relationships suggests that brand experience has an important aspect regarding consumers` psychological strengths. Third, positive emotion induced by brand experience can affect self perception enhancing. Experiencing brand through sense, feel, behavior, and cognitive way increases consumers` self perception like consuming real products or services. Forth, brand experience affect brand loyalty and self perception positively. Finally, the positive emotion induced by brand experience and self perception do not affect brand loyalt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procedure and the suggestions on futur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영웅적 유명인에 대한 애착이 기업진정성과 소비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미나(Jun, Mina),김정구(Kim, Chung Koo) 한국소비문화학회 2020 소비문화연구 Vol.23 No.1

        대중은 영웅 및 유명인과 같은 휴먼 브랜드에 대한 큰 관심, 사랑, 나아가 존중감까지 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소비 문화를 반영하듯, 휴먼브랜드는 사람들의 소비 행동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그들의 삶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영웅적 유명인들은 소비자의 가치관과 삶의 태도에도 영향을 끼친다. 이렇게 휴먼브랜드의 역할이 소비문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그들에게 형성하는 애착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휴먼브랜드에 대한, 특히 영웅적 휴먼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애착이 그들이 광고하는 브랜드의 기업 진정성 및 소비자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영웅적 유명인을 일반 유명인과 비교하여, 이들에 대한 애착이 기업진정성과 소비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 검증에 중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브랜드 성과 측면에서, 영웅적 유명인에 대한 애착은 일반 유명인 애착보다 기업의 진정성에 더 강한 긍정적 영향을 끼치고, 삶의 질 측면에서, 영웅적 유명인에 대한 애착은 일반 유명인에 대한 애착보다 자아효능감에 더 강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휴먼브랜드 애착의 결과로서 브랜드 성과와 소비자의 삶의 질을 통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소비 문화에서 영웅적 유명인의 역할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활용방법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general public shows great attention, love, and respect for human brands, such as heroes and celebrities. Reflecting on such consumption culture, human brands significantly affect not only on people’s consumption behaviors, but also on their life in many ways. As the role of these human brands has become important in consumption culture, people are likely to build strong attachments toward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how attachment to human brands affects not only brand performance but also their quality of life. We focus on the different effects of attachment to a hero versus a celebrity on brand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aspect of brand performance, hero attachment has a stronger effect on corporate authenticity than brand supportive behavior, while celebrity attachment has a stronger effect on brand supportive behavior. In the aspect of quality of life, hero attachment has a stronger effect on self-efficacy than stress-relief, while celebrity attachment has a stronger effect on stress-relief. By examining both brand performance and consumer’s quality of life as the outcome of human brand attachment, this research can provid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hero’s role in consumption culture.

      • KCI등재후보

        호르몬 치료에 대한 한국 폐경 여성의 인식도 변화: Women`s Health Initiative 연구결과 발표 전과 7년 경과 후의 변화

        정윤지 ( Youn Jee Chung ),김미란 ( Mee Ran Kim ),정혜원 ( Hye Won Jeong ),윤병구 ( Byung Koo Yoon ),이병석 ( Byung Suk Lee ),강병문 ( Byung Moon Kang ),최훈 ( Hoon Choi ),박형무 ( Hyoung Moo Park ),김정구 ( Jung Gu Kim ) 대한폐경학회 2012 대한폐경학회지 Vol.18 No.2

        연구목적: Women`s Health Initiative (WHI) 발표 이후 임상의뿐만 아니라 일반 폐경 여성에서 많은 혼란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WHI 연구 보고 이후 한국 일반 폐경 여성들의 호르몬 요법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WHI 발표 이전의 인식도와 비교 연구하고자 했다. 연구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2009년 서울과 지방에서 시행된 한국 폐경 여성의 달 기념 건강강좌에 참석하였던 폐경 여성 71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결과: 폐경의 원인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여성이 2009년 86.7%로 2002년 56.6%에 비해 증가했다. 호르몬 요법에 대한 정보원은 대중매체가 34.0%로 1위로 2002년 의사가 60.7%로 1위였던 것에 비해 큰 차이를 보였다 (P < 0.05). 호르몬 복용을 중단하게 된 이유는 암 발생 두려움이 31.8%로 가장 많았고 2002년 9.3%였던 것에 비해 증가되었다 (P < 0.05). 유방암 정기 검진을 받는 여성의 빈도는 2002년 35.0%에서 2009년 82.3%로 골밀도 검사를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의 빈도도 2002년 40.2%에서 2009년 71.8%로 증가되었다 (P < 0.05). 결론: 우리나라 폐경 여성들은 폐경에 대한 인식도는 증가되었고, WHI 이후에도 폐경 증상에 대한 호르몬 치료가 필요하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관련 정보를 다양한 정보원으로부터 얻고 있으며 대중매체의 역할이 매우 증가되었다. 호르몬 치료와 연관되어 암 발생 특히 유방암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o compare Korean menopausal women`s perception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before and after publication of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WHI) study.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713 postmenopausal women, who attended lectures on health to commemorate Korean Menopause Awareness Month, during 2009 in Seoul and the provinces (Incheon, Daejeon, Daegu, Gwangju and Busan), Results: Respondents` knowledge concerning the cause of menopause have been increased to 86.7% in 2009, compared to 56.6% in 2002. Women who required hormone therapy increased to 57.6% in 2009, compared to 56.6% in 2002. As a source of information about hormone therapy, media was about 34.0% in 2009,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y that doctor`s advice was 60.7%. Among the women who stopped hormone therapy, the most common reason was fear of cancer (31.8%), which increased compared to 9.3% in 2002. Women who received regular screening for breast cancer increased to 82.3% in 2009, compared to 35.0% in 2002. Women who checked bone mineral density (BMD) increased to 71.8% in 2009, compared to 40.2% in 2002. Conclusion: Menopausal women in Korea have increased their awareness of menopause. They responded that hormone therapy was helpful to manage menopausal symptoms, even after WHI study. They obtained menopause-related information through various sources, and the role of mass media has been greatly increased. But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increased risk for cancer, especially breast cancer.

      • KCI등재

        한국 폐경 여성에서 운동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강병문 ( Byung Moon Kang ),김미란 ( Mee Ran Kim ),윤병구 ( Byung Koo Yoon ),이병석 ( Byung Seok Lee ),정혜원 ( Hye Won Chung ),최훈 ( Hoon Choi ),박형무 ( Hyoung Moo Park ),김정구 ( Jung Gu Kim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한국 폐경 여성에서 운동이 골다공증이나 골감소증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폐경 여성 1,105명을 대상으로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기를 이용하여 요추와 대퇴골의 골밀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상 폐경여성들의 나이, 월경력, 신장, 체중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에게 운동에 관하여 자가 기입식으로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결과: 하루에 걷는 거리가 1 km 이상인 군과 미만인 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요추와 대퇴부의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위험도가 덜 걷는 군에서 30% 정도 증가하였다. 하루에 오르는 계단의 수가 20개 이상인 군과 미만인 군으로 나누어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지만 요추와 대퇴부의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위험도가 계단수가 적은 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주일간에 운동시간이 2시간 이상인 군과 1시간 미만인 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요추와 대퇴부의 골다공증 및 골감소증 위험도가 운동 시간이 적은 군에서 40∼50% 정도 증가하였다. 나머지 설문 문항중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없었다. 결론: 운동은 골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골소실 방지나 골량의 유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이며 그 효과는 운동강도나 크거나 운동시간이 길수록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o determin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and femur sites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in 1105 Korean menopausal women, mean+SD age 55.8+7.0 years, all healthy and free of medications affecting bones, including estrogen. We explored physical activ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Bone mineral density (BMD) of lumbar and femur regions and body composition were measured by dual X-ray absorptiometry. Types, duration and other variable measures of exercise were assessed by questionnaire. Results: A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more than 1 km daily walking showed 30% less risk of osteopenia or osteoporosis than women with less than 1km. A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more than 20 step climbing showed tendency of less risk of osteopenia or osteoporosis than women with less than 20. A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doing exercise more than 2hours/week showed 40-50% less risk of osteopenia or osteoporosis than women doing exercise less than 1hour/week. Other variable measures of exercise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higher intensity and longer duration of exercise is more effective for bone sparing than lower intensity and shorter duration of exercise.

      • KCI등재후보

        조기 난소 부전의 임상 양상에 관한 연구

        허지수 ( Ji Su Huh ),서석교 ( Seok Kyo Seo ),김미란 ( Mee Ran Kim ),정혜원 ( Hye Won Chung ),윤병구 ( Byung Koo Yoon ),이병석 ( Byung Seok Lee ),강병문 ( Byung Moon Kang ),최훈 ( Hoon Choi ),박형무 ( Hyung Moo Park ),김정구 ( Jun 대한폐경학회 2011 대한폐경학회지 Vol.17 No.3

        연구목적: 조기 난소 부전은 40세 이전에 무월경, 고성선 자극 호르몬증이 동반되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기난소 부전의 임상적인 양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일차성 무월경과 이차성 무월경으로 나누어 임상 양상을 비교해 보고자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8개 대학병원에서 시행한 후향성 다기관 연구로 262명의 조기 난소 부전 환자를 68명의 일차성 무월경과 194명의 이차성 무월경으로 나누어 내분비학적 소견과 혈청 검사 소견, 임신율과 배란 유도제에 따른 임신율, 내분비학적 소견에 따른 임신율, 골밀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Estradiol 2치는 일차성 무월경에서 유의하게 이차성 무월경보다 낮았으며 진단 전 임신율은 이차성 무월경에서 43.3%로 일차성 무월경의 0% 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치료후의 임신율은 일차성 무월경에서 5.9%, 이차성 무월경에서 1.5%였다. 호르몬 치료후의 임신율은 일차성 무월경에서 8.3%, 이차성 무월경에서 2.8%였으며 임신이 성공한 9 케이스에서 7 케이스는 estrogen-progestin (EP), 1 케이스는 clomiphene citrate (CC), 1 케이스는 EP/human menopausal gonodotropin (EP/hMG)로 치료받았다. 또한 9 케이스의 임신 성공 중 6 케이스에서 난자 공여로 성공하였으며 다른 내분비학적 소견에 따라 임신율의 차이는 없었다. 골밀도는 일차성 무월경에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결론: 조기 난소 부전은 젊은 여성의 신체적, 정신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질환으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하여 빠른 진단과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호르몬 보충 요법과 골다공증과 같은 장기간 영향을 미치는 질환에 대비한 적절한 약물 요법이 필요하며 난자 공여와 같은 생식 보조술도 고려하여야 한다. Objectives: Premature ovarian failure (POF) is a syndrome defined as the cessation of ovarian function before the age of 40 years that is characterized by amenorrhoea associated with elevated gonadotropin leve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linical manifestation of primary amenorrhea and secondary amenorrhea group.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ret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f 262 women with premature ovarian failure. Sixty eight women with primary amenorrhea and 194 women with secondary amenorrhea were evaluated and hormonal level, lipid profile, bone mineral density, and pregnancy rates were compared. Results: The estradiol level was markedly lower in primary amenorrhea than secondary amenorrhea. The pregnancy rate of 43.3% before the diagnosis in secondary amenorrhea was markedly higher than the rate of 0% in primary amenorrhea. The pregnancy rates after treatment was 5.9% in primary amenorrhea, but 1.0% after diagnosis and 2.8% after treatment in secondary amenorrhea. The pregnancy rate after hormonal treatment was 3.7% in total, 8.3% in primary amenorrhea, and 2.8% in secondary amenorrhea. In nine cases of pregnancy, seven cases were after estrogen-progestin (EP), one case was after clomiphene citrate and one case was after EP/human menopausal gonodotropin (hMG). And In nine cases of pregnancy, six cases resulted from oocyte donation. The prevalence of osteopenia/osteoporosis was markedly higher in primary amenorrhea than in secondary amenorrhea. Conclusion: Premature ovarian failure has negative influences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young patients. Effective management should include earlier diagnosis and intensive medical intervention to relieve symptoms of estrogen deficiency and to treat long-term disease such as osteoporosis and in assisted pregnancy by oocyte donation. (J Korean Soc Menopause 2011;17:160-16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