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내용구성과 「탐구활동」분석 : 일제 강점기 서술을 중심으로

        김일규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National curriculum is the basis of writing a text book. Author's discretion is strengthened in 2009 Korean history curriculum. After all, Author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characteristic textbook. I investigated the content layout of 『Korean History』 textbook 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exploration activities'. I investigated historical reading materials, application of ' exploration activities' and the way of question in 'exploration activities', I summarized what must have been improved. 『Korean History』textbook is formed by various unit, each textbook were to differentiate. Most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consist of unit, sub-unit, Only one textbook consist of the way to organize units according to subjects. 『Korean History』textbook emphasized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 so reading materials and exploration activity we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extbook. Some describe the text briefly, and emphasized " exploration activities", reading materials. Others describe the text in detail. but don't emphasized " exploration activities", reading materials relatively. Subsections of the body between the "exploration activities" by placing the body of the quest to learn by reading textbooks, organized, and stopped by placing the section won for finishing the cleanup and the mai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learning about the depth was even proposed. The exploration question will appear in the form of presenting data and answer a given task using it. The way of question in exploration task are presented in detatil, It will help student find answers. However, some of the questions explored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at required higher-order thinking. It was not uncommon. "Exploration activities," To be meaningful education for students from the questions posed to do their activities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ntellectual curiosity to act aggressively to help businesses pay. The data presented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explores the question of the intention to develop the material for the students' attention and interest that can lead to many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may need to show. 교육과정은 교과서 집필의 근간이 된다. 2009 한국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대강화 원칙이 적용되어 교과서 저작의 재량권이 강화되었다. 그 결과 집필자의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해석에 따라 특색있는 교과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 교과 내용은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와 세계사를 유기적으로 연계해서 구성하도록 하였다. 본고에서는 2009교육과정에 준거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내용구성 방식과 「탐구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사료를 이용한 읽기 자료와 「탐구활동」의 활용, 탐구과제의 질문 방식을 검토하여 개선되어야할 점을 정리하였다. 『한국사』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대강화에 따라 다양하게 단원을 구성하여 교과서마다 차별성을 보였다. 대부분의 『한국사』교과서는 대단원 아래 중단원과 소단원으로 구성하는 단원 구조 방식을 취하였고 1종의 교과서는 주제 중심의 단원 구성방식으로 교과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한국사』교과서는 학생들의 활동이 강조되면서 사료 및 읽기 자료와 탐구 활동이 교과서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본문 내용은 핵심적으로 간략하게 서술하고 본문 사이에 읽기 자료와 「탐구활동」을 구성하여 활동하는 교과서의 성격을 강조한 교과서도 있고, 상대적으로 본문을 비중있게 서술하고 읽기 자료와 「탐구활동」의 비중이 적은 교과서도 있었다. 소단원의 본문 사이에 「탐구활동」을 배치하여 본문을 읽으면서 탐구 학습을 기획한 교과서도 있고, 중단원의 마무리에 배치하여 단원의 내용 정리 및 주요 내용에 대한 심화 학습를 목적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탐구과제는 질문 형태로 나타나며 일정한 자료를 제시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주어진 과제로 답하게 하는 방식이었다. 탐구과제에서 질문 방식은 대체로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본문과 주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일부의 탐구 질문들은 차이점의 비교나 역사적 의의와 한계의 규명을 요구하는 종합적이고 고차적인 사고를 요구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보였다 「탐구활동」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으려면 학생들이 제시된 질문으로부터 자신들이 해야할 활동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끌어내야 한다. 그리고 탐구과제로 제시된 자료는 탐구질문의 의도에 적합한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많이 제시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대강화, 『한국사』교과서, 교과서 내용구성, 단원구성, 탐구활동, 탐구질문

      • 저전력 GPS 수신 알고리즘 설계

        김일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expans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device, interest has been growing in personal navigation system integrated with wireless system. In portable consumer electronics, such as cellular phones, GPS and PDA, one of major design factors is the power conumption. Solutions of reducing the power dissipation are low voltage, low system clock, power management and so on. This paper develops a GPS receiver based on the advanced power management algorithm that achieves very low average power consumption. Both RF and DSP chips are powered down and reactivated only when the position fixing is required. In order to run, the developed includes the RTC calibration function and the fast reacquisition function using XMC(eXtended Multiple Correlator). The test result shows that the developed receiver is very useful in all navigation system headed by portable navigation system.

      • 金海地域에 있어서 軟質土器의 硏究

        김일규 慶星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oft pottery begin to appear it's style in the latter age of Three Hans. It's precursor is the wa-gil(瓦質) pottery. The soft pottery is formed by the influence of the coarce(無文) and wa-gil pottery. Oxidizing flame that is emerged around 600 or 800 C temperature is needed in the manufecturering of this. The soft pottery used to be for coking in common life and for recites in funeral ceremony. About 300 hundred years, from AD 2C that time the soft pottery begin to appear to AD 5C whan the great tumulus disappear around Kim-Hae district, should be divided to four phrase. The first phrase: the soft pottery's advence of by the influence from the wa-gil and coarce pottery. The second phrase: the soft pottery is generalized and begin to manifest it's kinds of variaties and types. But in the latter of phrase Ⅱ, it threaten to prevailence of the soft pottery that the hard pottery'nativity(陶質土器) from the climbing kiln. Therefore the soft pottery's quantity of production start to deduce. The third phrase: the soft pottery is to revive. So both the quantity of excavating and variety of classes increase. But, the climbing kiln is so pervaded that the wa-gil pottery begin to decrease gradually. Besides, some kind of japan-oriented pottery(古式土師器) has been excavated in this time. The fourth phrase: the foreign-oriented pottery make it's appearance outside of Kim-Hae style's and soft pottery. Also, the japan-oriented pottery is aboriginaliged by degress. I have compared the chronicle, the above mentioned, with a couple of soft potteries that has been excavated in some historic relics.( Bu-Won of Kim-Hae, Yong-Won of Jin-Hae, the shell mound of Sung-San) All of that relics have been supposed to shape in the first stage of Three Kingdoms(原三國時代). But, viewing from this antithesis, this time is nearly correspondent with about 150 years through the latter half of 3C(A. D) to the former half of 5C(A. D). As the result, the Kim-Hae type of pottery, has been occupied it's position in the academic world, is not existent really. And, in the latter of Three Hans, the wa-gil and soft pottery diffused broadly. Also it is the era of Three Kingdoms(exactly 3C A. D) that the hard pottery begin to complete it's original form.

      • 수학교육에서 수학사 도입에 관한 연구

        김일규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in the 21st centuryisan era of rapidly changing.Modern industrial society in the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thematics has been more strong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especially computer and mathematical logic and rational thinking as a much-needed live in an age. The reality of our society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right direction should look for. Especially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because of the varying roles and functions of human math major impact o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that is the study.21st century math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 variety of teaching methods to create interesting and fun math classroom has an obligation to us.History of changes happening in the story and mathematical discoveries and for the effective and fun math were investigated.

      • 백제 고고학 편년 연구

        김일규 釜山大學校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is aimed to analyze of the process which Baekje(百濟) came and developed into system of state through the chronology of Baekje archaeological materials. To do this, at first it examined the consistency of existing chronology system by performing the form classification of porcelain of Six Dynasties(六朝瓷器), horse Harness of Three Yans(三燕馬具) of China and Goguryeo(高句麗) Wadang(瓦當). As a result, horse trappings(騎乘用馬具) was the chronological materials that could embrace northeast China of that period as well as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At the same time, it was performed typology about the harness of Goguryeo, Gaya(伽倻) and Baekje, and inter compared, there by suggesting them as the standard data of that period. As a result of cross chronology between the era of Horse trappings(騎乘用馬具) of early period and Silla(新羅)·Gaya archaeological material, the chronology of Baekje archaeological data was arrived at the result that was distinct from existing chronology based on porcelain of Six Dynasties(六朝). All porcelain of Six Dynasties corresponded to Baekje was dated after the middle of the 4th century, except only one piece of Celadon Bowl(靑瓷盌) excavated in Pungnabtoseong(風納土城) and dated at about 2/4 quarter of 4th century, early period of Eastern Jin Dynasty. Also coin-patterned pottery(錢文陶器) dated as the artifact of Eastern Wu Dynasty(東吳)·Western Jin Dynasty(西晉) in existing orthodoxy turned out to be the type on late period of Eastern Jin Dynasty(東晋)~Liu-Song(劉宋) considering to the form of the pottery, a method of glazing, a color of glaze and making method. Therefore porcelain of Six Dynasties corresponded to Baekje period was the artifact obtained in the process of ambassador exchange with Eastern Jin Dynasty and Southern Dynasties(南朝) that was being continued after 27 years of King Geunchogo(372), the year of sending an envoy to Eastern Jin Dynasty. In the late of 4th century Baekje had sovereignty connecting from Han River area(漢江流域) to Asan Bay(牙山灣), Miho Stream(美湖川) area and Chungju(忠州). In the mid to late 4th century the change in daily pottery, tombs and grave goods began to appear. The change of pottery was the introduction of paddling pattern pottery(打捺文土器) production system of reducing flame firing to daily pottery of oxidizing flame firing. Relatively larger tombs started to be erected in the same cemetery, horse trappings(騎乘用馬具)began to be buried. The time from the late 4th century to the first part of 5th century was the stage that Baekje completed the state system. The establishment of settlement(城園聚落) such as Pungnabtoseong, enlargement of the tomb, the establishment of the pottery called Hansung style throws a sidelight on it. In particular the castellation of a large castle like Pungnabtoseong implies that economic base and a political structure that could control it had developed into state stage. porcelain of Six Dynasties made in China represents the fact that Baekje sent an envoy to and made an exchange with China in this stage. In the mid - 5th century, Baekje expanded its sovereignty to Guem River area(錦江流域). The prevalent pottery generalized down to paddling pattern pottery and pottery production system was completely unified into the stage equipped with a type of Hansung style pottery. In this stage pottery Hajiki styled pottery(土師器系) excavated in Hansung area and dated at the first half of the middle of the Tumulus period of the Japan suggests that Baekje made an direct or indirect exchange with Wae(倭) of the Japan in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In the mid – to – late 5th century, Stairway style Stone-filed tombs(階段式積石塚) was erected in the Hansung central, High mound tomb(高塚古墳) such as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and Great pit-style stone burial(大型石槨墓) was erected in surrounding area. This distinction between the Hansung central and its provinces on the type of tomb allude to stratification between the Hansung central and the provinces. In addition elite grave goods such as bronze Official crowns(冠帽), Shoes(飾履) and porcelain of Six Dynasties excavated in a tomb of provincial head suggest that stratification in the provinces was completed with the political relevance of the Hansung central. In the late of 5th century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discovered in Gyeonggi-do that was surrounding of Hansung was also erected in Gongju(公州), Chungcheong region. This means that stone chamber tomb with horizontal entrance settled as major type of tomb of Baekje at the period of Woonjin(熊津). However the fact that pit burial(土壙墓) was still erected means that the use of the type of tomb according to the rank was strict. Mounds of the site at Suchon-ri(水村里), Gongju and the site at Songwon-ri(松院里), Yeongi(燕岐), the site at Songdam-ri(松潭里 ), Yeongi dated at the period of Woongjin, not the period of Hansung presented in existing common opinion. In the site of the Hansung central such as Pungnabtoseong and Mongchontoseong(夢村土城) Baekje pottery of Hansung style was found to be excavated until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It is the attestive data that after transference of the capital the ownership of Hansung area still belonged to Baekje, although Hansung fell temporarily to King Jangsu(長壽王) of Goguryeo and Baekje transferred the capital to Woongjin in 475. This correspond with the fact confirmed by the article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三國史記)』 that Hansung was the territory of Baekje until the first year(523) of King Seong(聖王) of Baekje. Through the fact that starting with the first quarter of the 6th century Hansung style Baekje Pottery was not found in north of Asan Bay area and Han River area, the time of Goguryeo had sovereignty over the area from the Han River to Asan Bay was after the first quarter of 6th century.

      • 소형화를 위한 재구성된 도허티 전력 증폭기

        김일규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oposes Reconfigurable Doherty Amplifier (RDA) with Reconfigurable Doherty Coupler. In case of N-stage RDA, carrier amplifier input signal has a phase delayed by 90 degrees, and there is no phase delay on the inputs of the (N-1) peaking amplifier. By preserving a maximum phase delay of 90 degrees, the additional input and output phase delay element associated with N-stage CDA (Conventional Doherty Amplifier) system to accommodate up to 90×(N-1) degrees of phase delay are removed. As a result, in case of WCDMA 1FA signals, 3-stage RDA obtained a measured 51.3dBm output power. An efficiency of 24.7% is achieved at 6.5dB back-off point. A gain is more than 8dB, ACLR (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is less than -30dBc at 6.5dB back-off point. Thus ACLR is satisfied with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specification in case of using additional linearizer.

      • 그룹 자서전쓰기 경험학습에 관한 세대별 비교 연구 : 중·장년과 노년기를 중심으로

        김일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그룹 자서전 쓰기에 참여한 중·장년기와 노년기 참여자들이 경험학습 과정에서 어떤 차이점이 나타나는지를 탐색하여 차후에 프로그램 운용 시 두 세대를 별도로 분리해서 실행할 필요성이 있는지 알아보고, 이 결과가 자서전 쓰기와 평생학습에 어떤 시사점을 도출해주는지를 고찰해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장년기와 노년기 참여자들이 그룹 자서전 쓰기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각각 무엇이며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둘째, 중·장년기와 노년기의 그룹 자서전 쓰기 경험학습 과정은 각각 어떠하며 각 단계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 셋째, 위 연구문제 1, 2의 결과가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및 평생교육에 대해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연구자는 위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또 학습자들이 집필한 자서전 문헌자료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그룹 자서전 쓰기에 참여한 중·장년기와 노년기는 동기면에서 그 차이점이 뚜렷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기에서의 참여동기는 자녀나 배우자 등 가족 간 갈등 문제해결, 그리고 보다 의미 있는 미래 삶 찾기를 모색해보려는 데 관심이 더 있었다. 반면 노년기에서는 가족들의 권유와 지원, 자신이 살아온 사연과 듣고, 보고, 경험했던 이야기를 후세에 남기고 싶다는 동기가 더 강했다. 두 번째, 콜브의 경험학습 4단계 이론을 적용하여 살펴본 결과, 중·장년기와 노년기의 경험학습은 ‘구체적 경험’, ‘성찰적 관찰’, ‘추상적 개념화’, ‘적극적 실험’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을 거치면서 나타나는 차이점은 구체적 경험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찰적 관찰’, ‘추상적 개념화’, ‘적극적 실험’에서는 차이점이 있었다. 첫째, 구체적 경험 측면에서는 중·장년기와 노년기 모두 ‘회상 활동’, ‘서로 배움’, ‘세대 간 소통’을 구체적으로 경험했다. 여기에서는 두 세대가 차이점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성찰적 관찰 측면에서 두 세대에서는 모두 ‘과거 경험에 대한 성찰’, ‘경험을 사회적 맥락에서 성찰: 역사, 문화속의 나’, ‘자서전 쓰기 방법에 대한 성찰: 아름다운 구속’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큰 범주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과거 경험을 사회적 맥락 속에서 성찰하는 내용에서 두 세대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추상적 개념화 측면에서 노년기와 중·장년기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다. ‘자아수용’, ‘주변인과의 관계회복’, ‘자서전쓰기의 개념화: 돌아봄·바라봄·내다봄’으로 인식하는 것은 두 세대 모두에서 공통점으로 나타났으나 중·장년기는 자서전 쓰기를 자기표현의 과정이라고 인식하였고, 노년기에서는 상대적으로 효능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년기 참여자들은 완성된 자서전이 주변 타인들에게 읽히는 것에 대한 커다란 자부심을 가졌으며 자신의 자서전을 본 타인들의 반응에 매우 만족해했다. 넷째, 적극적 실험측면에서도 중·장년기와 노년기는 차이가 있었다. 노년기는 ‘미래설계’, ‘정신적 유산’, ‘사회적 참여’를 적극적으로 실천하였고 중·장년기에서는 ‘미래설계’, ‘적극적 효실천’, ‘자기개발’에 능동적인 행동을 했다. 중·장년기는 미래설계에서 자기개발과 직업적 전략 모색의 인생이모작 설계에 보다 적극적인 반면 노년기에서는 사회적 참여 방법으로 봉사에 관심이 있었다. 위의 첫 번째, 두 번째 연구 결과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그룹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운용 시 노년기에서 중·장년기를 따로 분리해서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는 청소년기부터 노년기에 이르기까지 각각의 세대를 세분화해서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성도 있다는 점을 알게 해주었다. 또한 그룹 자서전 쓰기가 중·장년기의 생애주기 과업 발달에 매우 중요한 프로그램임을 함의하고 있다. 한편, 그룹 자서전 쓰기가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및 평생교육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예를 들어,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마무리를 위한 성인 교수법으로도 응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평생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자서전 쓰기를 단순화한 포맷을 가지고 몇 시간만이라도 응용 접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또 자서전 글쓰기를 활용한 ‘인문학 프로그램’, 인문학적 성찰을 활용한 ‘버킷리스트 쓰기’, ‘유언장 및 사전 의료의향서 작성하기’, 생애주기에 따른 ‘생애설계 프로그램’, 지역 사회의 주민자치위원회 ‘갈등관리 프로그램’, ‘재소자 교화 프로그램’, ‘자살예방 프로그램’등으로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자서전 쓰기는 기사화되지 않은 문화와 역사를 발굴하는 ‘문화기술지’ 발굴 프로그램으로도 의미가 있다. 이렇게 자서전 쓰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적극 활용한다면 평생교육 방법론으로서도 매우 큰 쓰임새가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주제어 : 자서전 쓰기, 그룹 자서전 쓰기 프로그램, 평생교육, 경험학습 담화학습 A Comparative Study by Generation on Group Autobiography Writing Experiential Learning - Focused on the Middle-aged and elderly - Il-gyou Kim Major in Lifelo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gang University This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iddle-aged and elderly, who participated in a group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over the process of experiential learning. Based on the exploration, this study discovers whether there was any necessity to separate the two generations in running the program and delves into the implications over autobiography writing and lifelong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research contents were set as below: Firstly, what made the participant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to engage in the group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and how different are the motivation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Second, what does it look like the process of the experiential learning process between the two groups and what are the differences by each stage? Third, with regards to the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and lifelong learning, what implications we could gain from the findings of the two previous matter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nd researched related materials of autobiography authored by participants of the learning program. The findings based 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wo groups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showed distinct differences in terms of motivation. The middle-aged seemed to have more interests in addressing conflicts with their children, spouse, or other family members and seeking for more meaningful life for the future, while the elderly were recommended or encouraged by their families and they were more motivated to leave their life story and things they have heard, watched, and experienced throughout their lives to their descendants. Second, based on the Kolb’s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involving a four-stage cycle, the experiential learning of the middle-aged and elderly seemed to go through four phases of ‘concrete experience’, ‘reflective observatio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active experimentation.’ While going through the cycle, the two generations showed no differences in ‘concrete experience’, while presenting differences in the phases of ‘reflective observation’, ‘abstract conceptualization’, and ‘active experimentation.’ In terms of the concrete experience, firstly, both groups specifically experienced ‘recollection activity’, ‘discourse learning’, and ‘communications between generations.’ During this phas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Within the stage of the reflective observation, secondly, the two generations engaged in ‘reflecting on past experiences’, ‘reflecting on experiences in social context’, and ‘reflecting on the way of writing autobiography.’ In this process, there were no noticeable differences in overall category, however, the two generations showed gaps in terms of the contents of reflecting on past experiences in social context. In regarding to the abstract conceptualization, thirdly, there were gaps between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Participants from both generations commonly recognized the abstract conceptualization as ‘self-acceptance’ and ‘relation recovery with people surrounding them.’ The middle-aged understood writing autobiography as the process of self-expression, while the elder was confirmed to relatively feel more efficacies. The older participants were very proud of their autobiographies being read by others and satisfied with responses of people who had read their autobiographies. Lastly, the two generations implied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ctive experimentation. The older generation aggressively exercised ‘future life design’, ‘mental heritage’, ‘social engagement,’ and the middle-aged showed passive behaviors in ‘future design’, ‘active practice of Hyo (a Korean word meaning filial piety)’, and ‘self-development.’ In terms of future design, the middle-aged paid more attention to self-development and future life design as part of efforts in seeking for strategic career path. The elderly, however, were more interested in charity works as means of social engagement. As this study confirmed from the first and second findings, it was identified that the group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s needed to be run by separating both different generations. The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the program need to be conducted by dividing each generation from the adolescent to the elderly as well. Also, they implied that the group autobiography writing was a considerably critical program in the process of life cycle for the middle aged. In the meantime, the group autobiography writhing proposed important implications with regards to the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and lifelong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group program could be employed as one of methodologies in teaching adults, for example a way of ice breaking or wrapping up lectures. Moreover, with simplified format of autobiography writing, lecturers could use its application for some hours in design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humanities program’, ‘making a bucket list’ utilizing humanistic reflection, ‘writing wills and medical letter of intent’, ‘life design program’ according to life cycle, ‘conflict management program’ of residents committee of community, ‘inmate correction program’,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Additionally, writing autobiography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as a program discovering ‘cultural technology’ that excavates unwritten culture and history. As such, writing autobiography is expected to offer substantial values as a lifelong education methodology when it is aggressively utilized in various ways. Keywords: autobiography writing, group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lifelong education, experiential learning, discourse learning

      • 축산밀집지역 하천에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및 대사체의 거동에 대한 연구

        김일규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축산밀집지역의 농촌에서 가축 배설물에 의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와 대사체 잔류 수준 및 거동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조사대상지역은 축산폐수의 직접적인 영향이 예상되는 저수지를 시작으로 소하천을 따라 강까지 약 7 km이며 이를 9 지점으로 구분하여 2회(2010년 11월, 2011년 10월) 시료 채취하였다. 분석물질은 총 11종으로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3종(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oxytetracycline) 및 대사체 8종(4-epitetracycline, anhydrotetracycline, 4-epianhydrotetracycline, 4-epichlortetracycline, 4-epianhydrochlortetracycline, 4-epioxytetracycline, α-apo-oxytetracycline, β-apo-oxytetracycline)이었다. 분석은 카트리지를 이용한 고체상추출법으로 전처리를 한 후 LC/MS/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제 및 대사체의 잔류 수준은 모두 13.6 μg/L 이하로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농도가 낮아졌다. 측정된 잔류 농도는 기존에 보고된 독성정보(ED50)에 비해 대사체는 약 40 ~ 4000 배,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은 약 30 배, 옥시테트라사이클린는 약 15 ~ 20 배 낮은 수준이었지만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린의 경우 불과 약 3 ~ 4 배 낮은 수준으로 향후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하류로 갈수록 이들 물질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은 희석 이외에도 생물학적인 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토대로 향후 다양한 환경 매체에서 테트라사이클린 및 대사체 잔류 및 거동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te and residual levels of tetracycline antibiotics and their metabolites in the streams near concentrated livestock industries. The sites are from reservoir which are expected to have a direct impact on livestock wastewater to river along the small stream. The samples were collected twice in November, 2010 and October, 2011 from nine point about 7 km. The total 11 types of analytes are three types of antibiotics of tetracyclines (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oxytetracycline) and eight types of their metabolites (4-epitetracycline, anhydrotetracycline, 4-epianhydrotetracycline, 4-epichlortetracycline, 4-epianhydrochlortetracycline, 4-epi-oxytetracycline, α-apo-oxytetracycline, β-apo-oxytetracycline). The analysis were carried out using LC/ESI(+)-MS/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combined with solid phase extraction (SPE). The residual levels of tetracycline antibiotics and their metabolites were lower levels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nd were detected all below 13.6 μg/L. The detected residual level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reported toxicity information (ED50). The levels were lower about 40 ~ 4000 times of metabolites, about 30 times of tetracycline of antibiotics, about 15 ~ 20 times of oxytetracycline, but lower just about 3 ~ 4 times of chlortetracycline, I think that it need continuous concern in future. It is assumed that the concentration levels have been decreased to the downstream due to both dilution and biological degradation. On the basis of this result, the advanced study on the fate and transformation of tetracycline and their metabolites in the environment may be expected to identify the effect on ecosystems in the future.

      • 조합론적 증명을 활용한 수학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피보나치 항등식을 중심으로

        김일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영재 학생들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학생들의 정당화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조합론적 증명을 활용하여 피보나치 항등식에 관한 중학교 수학영재 교수․학습 자료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2. 조합론적 증명을 활용한 피보나치 항등식에 관한 교수․학습 자료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수학영재 학생들의 정당화 특성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1을 해결하기 위해 교육 대상자와 교육 목표를 확인하고, 학습 소재와 주제를 발굴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통해 영재 교수․학습 모형, 영재의 프로그램 유형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교수․학습 모형을 Renzulli의 삼부심화학습모형, 프로그램 유형을 문제 해결형 프로그램으로 선택하고, 현직 교사의 도움을 받아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연구문제 2를 위해서 문헌 연구를 통해 수학적 정당화의 의미를 알아보고 김정하(2009)의 PIRSO 분석틀을 사용하여 수학적 정당화 특징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PIRSO 분석틀은 문제의 인식, 조작적 불변자, 표현, 정당화의 단계, , 논리적 구성의 5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면 정당화의 내용을 심층 분석 가능하며 학생들이 정당화를 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차고, 그것의 개선을 위해 지도하는데 유용하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한국교원대학교 영재교육원의 수학교과 사사과정에 참여하는 중학교 3학년 학생 4명을 교육대상자로 선정하여 이 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교육과정 상으로 보면 증명이 처음으로 도입되는 시기가 중학교 2학년이고, 개발한 교수․학습 자료를 학습하기 위해 필요한 선수 내용으로 중학교 2학년 때 배우는 경우의 수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하므로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과제는 문헌의 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으며 총 4차시에 해당한다. 1차시의 주제는 피보나치 수와 n-보드 타일링이고, 2차시 주제는 여러 가지 피보나치 항등식, 3~4차시 주제는 유한단순 연분수와 피보나치 항등식이다. 1차시에 일반적인 탐색활동과 소집단 단위의 학습활동을 통해 증명문제 해결을 위한 준비를 하고, 2~4차시에 개인 단위의 문제해결 및 연구 활동을 통해 증명문제를 개별적으로 정당화하는 활동을 한다. 교수․학습 자료의 적용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정당화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A2, A3, A4 학생은 과제1, 2 보다 과제3에서 조작적 불변자와 논리적 구성이 낮은 단계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이진수 표기에 익숙하지 않은 이유도 있고, 정당화 문제가 문장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정당화 수준에서도 특정한 예에 대해서 성립하는 것을 통해 일반적으로 성립한다고 하는 정당화를 하고 있다. 둘째, 모든 학생은 모든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특정한 n에 대해 항등식이 성립함을 확인해보고 조작적 불변자를 발견하려고 하였다. 또한 과제1의 경우에는 모든 학생이 처음에 귀납적 정당화를 시도한 후에 연역적 정당화를 하였고, 과제2의 경우에는 모든 학생이 처음부터 연역적 정당화를 시도하였다. 셋째, 조작적불변자(I)와 정당화 수준(S)는 절대적으로 연관성이 있는 것이 아니다. 즉, 정당화 수준의 단계가 지식수준에 의해 좌우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과제1을 보면 A1과 A3은 조작적 불변자의 단계가 높고, 낮음에도 같은 연역적 정당화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조합론적 증명을 활용한 피보나치 항등식에 관한 교수․학습 자료는 수학영재 학생들에게 적합한 학습 자료이다. 그 이유는 먼저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본 교수․학습 자료의 과제에 대해 영재 학생들의 정당화 수준과 조작적 불변자의 관계가 적은 것으로 드러났다. 즉, 학생들의 수학 학습 수준이 정당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과제에 대해 모든 학생들이 연역적 정당화를 시도하였고, 이는 학생들의 연역적 정당화의 지도에 강점을 드러낸다. 둘째, 중학교 3학년 수학영재 학생들의 정당화 학습 과정에서 연역적이고 형식적인 학습뿐만 아니라 수학적 언어와 기호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 연구의 결과를 보면 도전할만한 문제에 대해서는 연역적인 증명을 시도하였지만 간혹 어렵다고 생각되는 문제에 대해서 귀납적으로 정당화를 하였다. 학생들이 귀납적으로 정당화를 한 것을 보면 조작적 불변자는 충분하였지만 귀납적으로 정당화를 한 것으로 보아 수학적 언어로의 표현이 부족 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역적이고 형식적인 정당화 학습뿐 아니라 수학적으로 표현하는 언어와 기호에 대한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수학 영재 학생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수학 영재 교육이 선행학습, 속진학습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해 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꾸준히 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정당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한 PIRSO 분석틀처럼 수학영재 학생들의 증명 교육에 지침을 주고, 교수학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수학영재 학생들에게 적합한 세분화 된 정당화 분석틀이 필요하다. 분석틀의 개발로 수학 영재학생들의 수준이 어떠하며 부족한 부분은 어디인지 찾아서 지도할 때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학생 4명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따라서 보다 많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정당화 특성을 분석하고 요소 사이에는 어떠한 영향이 있고, 중학교 수학영재 학생들의 증명 교육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