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 내용구성과 「탐구활동」분석 : 일제 강점기 서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00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ational curriculum is the basis of writing a text book. Author's discretion is strengthened in 2009 Korean history curriculum. After all, Author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characteristic textbook. ...

      National curriculum is the basis of writing a text book. Author's discretion is strengthened in 2009 Korean history curriculum. After all, Authors’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characteristic textbook.
      I investigated the content layout of 『Korean History』 textbook 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exploration activities'. I investigated historical reading materials, application of ' exploration activities' and the way of question in 'exploration activities', I summarized what must have been improved.
      『Korean History』textbook is formed by various unit, each textbook were to differentiate. Most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 consist of unit, sub-unit, Only one textbook consist of the way to organize units according to subjects.
      『Korean History』textbook emphasized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 so reading materials and exploration activity were an important component of textbook.
      Some describe the text briefly, and emphasized " exploration activities", reading materials. Others describe the text in detail. but don't emphasized " exploration activities", reading materials relatively. Subsections of the body between the "exploration activities" by placing the body of the quest to learn by reading textbooks, organized, and stopped by placing the section won for finishing the cleanup and the main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learning about the depth was even proposed.
      The exploration question will appear in the form of presenting data and answer a given task using it. The way of question in exploration task are presented in detatil, It will help student find answers. However, some of the questions explored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that required higher-order thinking. It was not uncommon. "Exploration activities," To be meaningful education for students from the questions posed to do their activities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ntellectual curiosity to act aggressively to help businesses pay. The data presented to explore the challenges and explores the question of the intention to develop the material for the students' attention and interest that can lead to many different types of materials may need to show.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과정은 교과서 집필의 근간이 된다. 2009 한국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대강화 원칙이 적용되어 교과서 저작의 재량권이 강화되었다. 그 결과 집필자의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해석에 ...

      교육과정은 교과서 집필의 근간이 된다. 2009 한국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대강화 원칙이 적용되어 교과서 저작의 재량권이 강화되었다. 그 결과 집필자의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해석에 따라 특색있는 교과서의 개발 가능성이 높아졌다. 교과 내용은 근·현대사를 중심으로 한국사와 세계사를 유기적으로 연계해서 구성하도록 하였다.
      본고에서는 2009교육과정에 준거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한국사』교과서의 내용구성 방식과 「탐구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사료를 이용한 읽기 자료와 「탐구활동」의 활용, 탐구과제의 질문 방식을 검토하여 개선되어야할 점을 정리하였다.
      『한국사』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대강화에 따라 다양하게 단원을 구성하여 교과서마다 차별성을 보였다. 대부분의 『한국사』교과서는 대단원 아래 중단원과 소단원으로 구성하는 단원 구조 방식을 취하였고 1종의 교과서는 주제 중심의 단원 구성방식으로 교과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한국사』교과서는 학생들의 활동이 강조되면서 사료 및 읽기 자료와 탐구 활동이 교과서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본문 내용은 핵심적으로 간략하게 서술하고 본문 사이에 읽기 자료와 「탐구활동」을 구성하여 활동하는 교과서의 성격을 강조한 교과서도 있고, 상대적으로 본문을 비중있게 서술하고 읽기 자료와 「탐구활동」의 비중이 적은 교과서도 있었다.
      소단원의 본문 사이에 「탐구활동」을 배치하여 본문을 읽으면서 탐구 학습을 기획한 교과서도 있고, 중단원의 마무리에 배치하여 단원의 내용 정리 및 주요 내용에 대한 심화 학습를 목적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탐구과제는 질문 형태로 나타나며 일정한 자료를 제시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주어진 과제로 답하게 하는 방식이었다. 탐구과제에서 질문 방식은 대체로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본문과 주어진 자료를 활용하여 답을 찾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일부의 탐구 질문들은 차이점의 비교나 역사적 의의와 한계의 규명을 요구하는 종합적이고 고차적인 사고를 요구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보였다
      「탐구활동」이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으려면 학생들이 제시된 질문으로부터 자신들이 해야할 활동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지적 호기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이끌어내야 한다. 그리고 탐구과제로 제시된 자료는 탐구질문의 의도에 적합한 자료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많이 제시할 필요가 있다.


      주요어 :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대강화, 『한국사』교과서, 교과서 내용구성, 단원구성, 탐구활동, 탐구질문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머리말 1
      • 제2장 『한국사』교과서의 특징 9
      • 제1절 ‘교육과정의 대강화’ 9
      • 제2절 세계사 비중의 강화 13
      • 제1장 머리말 1
      • 제2장 『한국사』교과서의 특징 9
      • 제1절 ‘교육과정의 대강화’ 9
      • 제2절 세계사 비중의 강화 13
      • 제3절 일제 강점기 시기 서술의 체계화 18
      • 제3장 『한국사』교과서의 내용구성 방식 검토 21
      • 제1절 『한국사』교과서 단원 체제 특징 21
      • 제2절 『한국사』교과서 단원 구성 방식 비교 24
      • 제4장 『한국사』교과서의 「탐구활동」분석 37
      • 제1절 교과서 내용구성 요소로서 「탐구활동」37
      • 제2절 「탐구활동」배치 39
      • 제3절 「탐구활동」주제 41
      • 제4절 「탐구활동」과제 분석 46
      • 제5장 맺음말 66
      • 참고문헌 71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