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영어교육의 실태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박유리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군산시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영어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논문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영어교육 실시여부와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유아영어교육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교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와 영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유아영어교육과정에의 문제점 및 개선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군산지역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하면서 학급을 맡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로는 유아교육기관의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 질문지는 선행연구(조은정,2008)와 관련 자료를 근거로 하여 수정・보완하여 재구성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여 유아교육기관의 영어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그리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검증), t-test (검증)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 본 결과 유아영어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유아 영어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한 가장 비중 있는 응답은 모국어 습득에 장애가 됨으로라고 조사되었다.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반 이상의 교사들은 영어교육의 실시에 찬성을 하였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 교육이 유아들에게 흥미와 동기 유발을 가져올 수 있다고 했다. 영어교육을 실시하는 담당교사로는 외부 내국인 강사가 교육을 실시하는게 적합하다고 응답했다. 일부는 외부강사가 영어교육을 하는 게 맞다고 응답하였는데, 외부강사가 영어교육을 실시할 때의 장점은 영어교육방법의 전문성이라고 조사되었고, 반대로 외부강사가 영어교육을 실시할 때 단점은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결여가 문제 될 것 같다고 조사되었다. 유아 영어교육의 방법으로는 노래나 손유희 방법 그리고 영어와 관련된 교규를 이용한 게임이나 놀이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이 포함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그리고 교사는 주 1회 교육시간으로 10~20분이 적당하다고 인식 되어있으며, 일과 시간 중 대그룹활동으로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하였다. 둘째, 영어교육의 실태를 살펴보면, 유아교육기관의 72.3%가 학급에서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 이유는 자연스러운 환경 속에서 유아와 영어가 접할 수 있어서로 나타났다. 영어 교육 실시 형태는 일과활동 중 대그룹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나, 어린이집의 경우 어린이집 평가인증 기준안에 영어교육은 방과 후에 하는 것으로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과 후 특별활동으로 영어 교육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고 나타났다. 셋째, 유아 영어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보면, 유아 영어교육을 하는데 유아가 실제 영어를 활용하는데 기회가 없다고 조사되었다. 이것은 정말 심각한 문제이기도 하다. 유아 영어교육을 실시할 때 개선해야 할 점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배운 영어를 실제로도 유아가 영어를 활용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하는 것이 제일 시급하고 그 다음으로는 체계적인 연구를 제공해줘야 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조은정(2008) 등의 선행연구들의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군산지역의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들은 유아 영어교육의 실시에 대부분의 교사가 찬성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만 5세 의무 교육 실시와 함께 국가 차원의 공동 교육 과정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유아 영어 교육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둘째, 유아 영어 교육 실시와 관련하여 영어 교육의 적용이 필요하며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운영되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하다. 유아 영어교육과 연계 할 수 있는 표현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게 하고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하며, 유아의 흥미와 발달에 맞는 영어교육을 실시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효과적인 영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아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유아에게 실제 영어활용기회를 마련해주어야 영어교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다.

      • 대학에서 실시하는 초·중·고 과학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장지숙 群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육이란 개인적인 측면에서 인간이 지닌 잠재적인 가능성을 바람직한 방법으로 표현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과정이다. 잠재능력이 뛰어난 영재들과 이공계를 이끌어갈 학생들에게 실험 교육은 무엇보다 많은 시사점을 준다. 본 연구는 국가 경쟁력을 키우고 기초과학분야의 많은 발전과 함께 지방대학들의 여러 가지 현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교에서 실시한 고교생의 과학참여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의식을 알아본다.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 화학영역의 오 개념들을 알아보고, 2000년 의원 입법으로 제정·공포 된 영재교육진흥법에 따라 군산시 교육청과 연계한 영재교육원 영재교육을 통해 대학에서 실시하는 초·중·고 과학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우리가 노력해야 하는 점은 무엇이며, 그 개선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먼저 과학적 오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실태에 대한 조사는 물질의 과학, 원자와 분자, 산과 염기, 화학반응으로 7차 교육과정에 맞는 내용으로 학습량을 고려하여 문항으로 작성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분석은 남·여 학생의 백분율 통계로 하였으며, 대부분의 개념에서 남학생의 오 개념 인식이 높았으며, 여학생 경우 화학반응에 대한 개념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열린과학교실의 참여 학생들의 만족도 영역의 설문지의 경우 열린과학교실 프로그램의 화학영역의 내용, 실험수업에 대한 효과와 과학정보에 대한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하였고, 결과분석은 남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군산영재교육원 영재교육은 영재교육의 내용, 과정, 교수-학습 등의 영역들로 나누어서 설문지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결과 분석은 백분율의 통계로 나타내었다. 과학교육의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첫째, 창의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대학은 본연의 학문 탐구의 역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교육의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하는 또 하나의 역할이 있다.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여러 과학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과학교육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nation's competitive power, to develop basic science, and to seek the methods to solve a variety of current problems of local universities. More specifically, it's purpose is to expend and improve science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run by the Gifted Children Education Center of the Gunsan Office of Education in cooperation with Kunsan National University. It is done on the basic of Gifted Children Education Promotion Law of 2000. It also looks at the level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and their knowledge and misunderstanding of Chemistry. Frist of all, I tried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understanding about material science, atom and molecules, acid and base, chemical reaction, Male students made more mistakes in scientific calculations except for chemical reaction than did the female student. Seventy-nine percent of the male participants and 71 percent of the female students thought the experiment was interesting. Twenty-one percent of the female student. Seventy-nine percent of the male participants and 71 percent of the male participants and 16 percent of the female students thought it was unforgettable. The investigation consisted of the contents, curriculum, teaching-learning of the Gifted Children Education Center. The analysis was done with percentage statistics. Universities should play an important role both in academic research and the education of the community. In order to do this, they should try to develop a variety of fine scientific programs to vitalize science education.

      • 유보통합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의 인식 조사 연구

        김예린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both kindergarten directors and daycare center directors for the teacher qualification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the perceptions of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and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lifications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an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reflected in the policy direction of the teacher qualification and training system for governmental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directors regarding teacher qualifications? 1-1. What are the perceptions on the recruiting standard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1-2.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differences in job skills by majors? 2. What are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ers regarding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3. What are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ers regarding teachers' qualifying criteria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3-1.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qualifying systems and qualifying frameworks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3-2.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qualifying standards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4. What are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directors about the desirable teacher training system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4-1.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he desirabl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4-2.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he preferred teacher training methods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In this study,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al systems about the teacher qualification and training system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a total of 193 kindergarten directors and 100 day-care center directors in J city, G city, and I city in Jeonbuk were surveye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rossover analysi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through the SPSS WIN 21.0 program. First, for the perceptions of teacher qualification,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 directors referred to teachers' major as the first criterion when choosing teachers, and especially preferred to th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ecaus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qualities. The difference of the job ability of the teacher by the major of the municipality recognized that the kindergarten had a relative difference compared to the daycare centers, and for the differences of the job abilities, it was recognized that the teachers who major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better in the teacher's job abilities excluding the office related works; education and child care plan as well as operation, infant-child interaction, infant-child care related work, parent related work. Second, for the perception to integrate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day-care center directors seemed to need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more necessarily than the kindergarten directors. It is proven that the reasons to agree on the integ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are 'to spread the social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ut the reasons for unnecessary of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are that 'the purposes of those institutions and the teacher training systems are different. In addi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should be done in the right direction regardless of the preparation period. Third, for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 qualifying systems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the qualification system of teachers should be the same to both the qualifica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center teachers, and for the qualifying standards of current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kindergarten teachers' certifications are the highest. In addition,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of re-verification of the existing certification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 hood institutional systems seems to be necessary for the kindergartens to re-verify the existing certification relative to the daycare centers. Fourth, in the recognition of desirable teacher training system in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 hood institutional systems, the desirable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methods for the integration of early child hood institutional systems were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4-year university which was the highest response with 55.4%, and The most centered method was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In addition, the way of qualification through the related credits of other departments and majors and the way of granting qualifications through institutions such as cyber universities were relatively unconcerned with the kindergarten, compared to the daycare center, because it was recognized as lack of teachers' qualification and professionalism. In the futu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transition has to be done into the functional transition as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Therefore, the discussion on the integ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has been made for a long time, but it still has various perceptions, so tha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gradually through the field-oriented verification rather than the administrative administration and the desk administration when establishing the teacher qualification and the policy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in the integration of the early childhood institutional systems. For those, experts from each field should continuously discuss and draw consensus to establish a policy based on infants and preschoolers, not which is prioritized by policy interests but which can help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preschoolers, and the integration policy should be made by presenting the progress at the national level and by distributing the data, for the field and each person concerned to know the progress and data.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의 교사자격에 대한 인식, 유보통합에 대한 인식, 유보통합 시 교사자격에 대한 인식,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양성체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정부의 유보통합을 위한 교사자격 및 양성체계의 정책 방향에 반영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교사자격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교사 채용기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2. 교사의 전공별 직무능력 차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유보통합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3. 유보통합 시 교사자격기준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3-1. 유보통합 시 교사의 자격제도 및 자격체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2. 유보통합 시 교사의 자격기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4.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교사양성체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4-1.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교사양성기관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4-2.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교사양성방식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보통합의 교사자격과 양성체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라북도 J시, G시, I시의 유치원 운영자 93명과 어린이집 운영자 100명, 총 1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SPSS WIN 21.0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자격에 대한 인식에서 유아교육기관 운영자는 교사 채용 시 1순위의 기준을 전공이라고 하였고, 특히 유아교육전공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교사의 전문성과 자질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교사의 출신전공별 직무능력 차이 인식은 유치원이 어린이집에 비해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였고, 교사의 직무능력 중 사무 관련 업무를 제외한 교육·보육 계획과 운영, 영유아 상호작용, 영유아보호 관련 업무, 학부모 관련 업무, 교재·교구 제작 및 환경구성에서 유아교육전공 교사가 더 잘한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보통합에 대한 인식에서 유보통합의 필요성 인식은 어린이집 운영자가 유치원 운영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요 이유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중요성에 대해 사회적 인식을 확산시키고 유아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가 불필요한 이유는 ‘기관의 목적과 교원 양성 체제가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보통합 시기에 대해 준비기간 상관없이 바른 방향으로 유보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유보통합 시 교사자격기준에 인식에서 유보통합 시 교사의 자격제도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자격이 같아야 하며, 자격 기준은 현행 유치원교사 자격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보통합 시 기존 자격증의 재검증 필요성 인식은 유치원이 어린이집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존 자격증의 재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보통합 시 현행 보육교사3급 자격의 방향은 ‘보조교사 업무를 하며 현장에서 경험을 쌓고 연수와 교육을 통해 승급 후 담임교사로 전환’과 ‘보육교사 3급 자격 폐지 및 보육교사교육원 폐지’의 의견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교사양성체계에 대한 인식에서 유보통합 시 바람직한 교사양성기관과 방식은 ‘4년제 대학 이상의 유아교육학과’가 55.4%로 반절 이상이 응답하여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아교육학과와 아동학 관련 학과의 학과중심제’방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타 학과 전공의 관련학점 이수를 통한 자격부여 방식과 사이버대학 등의 기관을 통한 자격부여 방식은 유치원이 어린이집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의하지 않았고, 그 이유는 교사의 자질과 전문성의 결여로 인식하였다. 향후 바람직한 전환 방향은 교사 연수기관으로 기능 전환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보통합에 대한 논의가 오랜 기간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다양한 인식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 유보통합의 교사자격 및 양성체계 정책 구축 시 무리한 추진과 탁상행정이 아닌 현장중심의 검증을 통해 점차적으로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각 계층 전문가들이 지속적으로 의견을 나누고 합의점을 도출하여 정책적인 이익이 우선되는 것이 아닌 영유아의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영유아 중심의 정책을 구축하여야 하고 진행 상황을 국가적 수준에서 발표하고 자료를 배부하여 현장과 각 관계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하여 통합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희정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부모 또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가 많이 시행되어 졌으나 부모 또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히는 연구의 수행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이 유아가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유아교육과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1.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2.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정서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1-3.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주의결핍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양육태도로 인한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이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의 대상 전라북도 군산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곳의 원아들 중에서 만 4세에서 6까지의 유아 200명을 대상으로 1월4일부터 2월 말까지 약 두 달간 I유치원에 교사용 100부, 어머니용 100부, K어린이집 교사용 100부, 학부모용 100부 교사용 총 200부, 어머니용 2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수거된 설문지에서 짝이 맞지 않거나 불충실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교사용 122부, 어머니용 122부의 설문지가 회수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Schaefer가 개발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의 내재화 문제를 측정하기위하여 한국판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를 오경자(1977)등이 표준화 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의 유아교육기관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기관 적응 질문지(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aire: PAQ)를 김현경(2009)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질문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a값을 측정하고,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주요 변인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인 우울불안, 정서불안, 주의력 결핍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 통제적 양육태도와 애정적 양육태도, 거부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애정․거부적 양육태도와의 상호작용 효과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자율․통제적이고 애정․거부적인 양육태도는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애정․거부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유치원기관 적응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자율․통제적 양육태도와 애정․거부적 양육태도와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통제․애정일 때 유아가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있어 자아상태, 기관정서, 일과적응의 하위영역에 있어 영향을 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교육기관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있지 않았지만 어머니 뿐 아니라 유아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여러 요인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조기 영어 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 조사 연구 : 군산 지역 유치원과 사설 영어학원을 중심으로

        이정란 群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조기 영어 교육을 실시하는 전라북도 군산시의일반 유치원과 영어 전문 학원을 중심으로 조기 영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은 조기 영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교육 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영어 전문 학원 학부모들이 일반 유치원 학부모에 비하여 조기 영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부모들은 자녀들이 영어교육에 대하여 흥미를 가지고 있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으며, 영어 전문 학원의 유아들이 일반 유치원에 비하여 흥미를 더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조기 영어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일반유치원 학부모들은 '영어에 대한 아동의 흥미와 동기 유발', '외국인에 대한 거부감 해소', '영어 발음의 유창성'의 순으로 인식하였고, 영어 전문 학원 학부모들은 '영어에 대한 아동의 흥미와 동기 유발', '영어 발음의 유창성', '영어 회화 능력 향상'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 대상 영어 교육에 대하여 일반 유치원에 비하여 영어 전문 학원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교재에 대한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섯째, 영어 교수방법 및 교구에 대한 만족도는 일반 유치원에 비하여 영어 전문 학원의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더 높았으며 영어 담당 교사에 대한 만족도도 더 높았다. 영어 담당 교사에 대한 만족의 이유는 '교사에 대한 신뢰', '재미있는 수업 진행 방식', '정확한 발음'의 순이었다. 여섯째, 영어 교육 시간 및 횟수에 대한 만족도는 일반 유치원에 비하여 영어 전문 학원이 더 높았으며, 이러한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요컨대, 유아 대상 조기 영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는 일반 유치원 학부모와 영어 전문 학원 학부모 사이에 특별한 차이가 없었지만, 실제 영어 교육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즉, 영어 교수방법 및 교구, 영어 담당 교사, 영어 교육의 시간 및 횟수 등에 대하여 영어 전문학원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of parents regarding early English education performed in such educational institutes as preschools and private English academies in Gunsan, Jeollabukdo.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perceived the necessity of early English education at an intense level overall. The intensity of perception, however, varied depending on which types of educational institutes their children attend.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private English academies turned out to have a higher demand for more professional English education in general than th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general preschools. Second, the parents were convinced that their children are interestedin English education, and th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private English academies were more convinced of their children's willingness to learn English than th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general preschools. Third, parents of general preschoolers ranked the effects/outcomes of their English education in the order of 'stimulation of the children's interests in and motive for learning English', 'decrease in rejection of foreigners', and 'improvement in English pronunciation'. On the other hand, parents at private English academies ranked the outcomes in the order of 'stimulation of the children's interests in and motive for learning English', 'improvement in English pronunciation', and 'increase in ability to verbally communicate in English'. Fourth, parents were generally more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provided at private English academies than at general preschools. The satisfaction rate with the texts used by each type of educational institutes showed no remarkable statistical difference. Fifth, parents at private English academies showed a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instructors, their teaching methods and texts than those at general preschools. Factors for satisfaction with English instructors included 'trust in the instructors', 'fun and efficient way of teaching', and 'native-like pronunciation'. Sixth, par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efficiency of the volume and number of classes of English education provided at private English academies than at general preschools, and the difference in response of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remarkable.In other words, parents of students attending private English academies were found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methodologies and tools used in teaching, English instructors, and the quantity of English education provided to their children than the parents of general preschoolers.

      • 대입수학능력시험의 직업탐구영역이 상업교육 활성화에 미친 영향

        조경아 群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In 2005, the vocational research area was adopted as an optional area in KSAT to invigorate the commercia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is introduction affected on student's career assessments, the normalization and improvement of commercial education. To identif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residence senior grade students in commercial high school who are preparing for higher education. However, the students who will not choose vocational research area on KSAT were excluded from the survey to meet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research.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irst, the reason for this introduction were normalization and improvement of commercial education. The result of survey reveals that improvement commercial education didn't influenced by the introduction. Most of students were interested on inquiring the occupational certification. The second, an another reason for this introduction was to improve their technical confidence in certain area. The result of survey reveals that improvement of their expertise didn't affec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vocational research area. The third, the introduction enabled easier access to KSAT and it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candidates who wish to pursuit higher education. The last, the most important factors were students' interest in that subject and teaching methods. In conclusion, the adoption of vocational research area as an optional subject in KSAT increased number of candidates. However, the main purpose which was to normalize the commercial education was not achieved as expected.

      • 보육시설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참여실태 및 인식조사연구

        홍경미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보육시설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유치원에서 부모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및 교육방법 등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참여도를 조사함으로서 보다 바람직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문항의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이것을 전라북도 군산에 위치 한 보육시설에 자녀를 취원시 키고 있는 부모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이 조사에서는 1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나 이 중 133부을 회수하여 백분율에 의한 빈도처리와 x^(2)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참여를 살펴보면, 학부모의 71.0%가 보육시설에서 정기적으로 갖는 각종 모임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한 적이 있으며, 69.7%의 학부모는 자녀의 보육시설 생활실태 및 보육시설 교육을 파악하기 위해 보육시설을 방문·관찰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91.7%의 학부모가 면담을 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8.3%의 학부모는 자녀의 생활 및 여러사항에 대하여 교사와의 면담이 없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자녀가 배우는 미술, 게임, 노래 등을 보육시설에서 부모에게 가르쳐주는 모임 또는 강습회에 참여한 적이 없는 학부모가 전체의 56% 이상이 었으며, 78.1%의 학부모가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교육 지도에 도움이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부모 중 42.6%가 부모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올바른 자녀교육을 위해서는 부모도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응답하였고,자녀를 교육시키는데 있어서 부모의 역할이 중요하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학부모도 35.2%이었다. 그리고, 학부모가 윈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으로는 자녀의 성격 및 정서안정에 관한 프로그램이 가장 높았으며 , 성장발달에 따른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으로는 아이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45.8%)과 전문강사에 의한 강의(30.8%)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시간에 대해서는 10:00-12:00이 65.1%로 가장 높게 응답되었으나, 직장을 다니는 어머니는 17:00-19:00, 퇴근후 시간을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은 보육시설에서 행해지고 있는 각종 모임에 많은 부모들이 참여하고 있었으나, 강습회 또는 자녀가 배우는 미술, 게임,노래 등을 가르쳐주는 모임에 참여한 비율은 낮았다. 따라서 부모교육의 개념 인식 및 필요성의 인식의 향상되어야 한다. 즉 보육시설에서의 부모교육은 소극적 형태에서 벗 어나 보다 적극적이고 전문적이며 학부모들의 참여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올바른 자녀교육을 위해서 부모도 교육을 받아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녀 교육에 있어서 부모의 역할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학부모들은 부모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으로는 아이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으며, 전문강사에 의한 강습회도 윈하고 있었다.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for the parents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aims to acquire basic materials on the development of more desirable program for parents in kindergarten, by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and participation of parents regarding to the education program operation and education method for the parents in kindergarten. A questionnaire having 16 articles is created, and selecting a kindergarten located Kunsan city, Jeallabuk-do, besides, by this questionnaire the parents, who send their children to the kindergarten, were investigated as an objective. 15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in this investigation, but only 133 copies were returned and taken statistics by the frequency of percentage and the verification of x^2.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for looking for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t is found that 71.0 percent of parents of pupil participated or have participated in the meeting of kindergarten periodically, and 69.7 percent have experiences of visiting and observation of the kindergarten for seizing life and education condition of their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And also, 91.7 percent of parents of pupil were investigated for parents to have interviewing, but 8.3 percent had not investigated to have any interview with the teacher for the life and various aspects of their children. Parents of pupil, who never had participated in the meeting or seminar at which they can learn art, game, and song, etc. That their children learned, were 56 percent and aner among all parents, and 78.1 percent of parents of pupil were investigated to be helped for instruction of their children through parents education program. Second, for the reason requiring the education of parents of pupil, 42.6 percent of parents of pupil responded parents should be educated for the right education of their children, and 35.2 percent respond it was because the role of parents was important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education program content of parents of pupil was found highest in the program on the stable characteristic and emotion of their children, and the program for the understanding in accordance with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showed to be needed too. In addition, the orientation of program for parents of pupil was investigated to be required by the program (45.8%)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and the lecture (30.8%) from progressional instructor. The executing time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was responded as 10:00-12:00 by the 65% most highly, but Working mothers showed to consider 17:00-19:00 after work most suitable. The result acquired from above study is as follows: First, many parents have participated in various meetings held in the kindergarten, but they have low rate of participation of meetings teaching art, game, and song their children learned. Therefore, the concept and necessity recognition of parents education in kindergarten should be more positive and professionalized getting out of passive pattern, besides, should be performed with various patterns including the participating of parents of pupil. Second, parents recognized parents should receive the education for the right education of their children in the aspect of necessity of parents education, and considered the parents' role was important for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parents of pupil preferred the program together with children most, and wanted seminars by professional lecturers, too. In addition, they wanted the program for the understanding in accordance with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nd for the stable characteristics and emotion of children in the content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 단편소설을 활용한 일본어교육방법 연구 : 太宰治의 『走れメロス』를 중심으로

        신경숙 群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647

        今までの外國文學の敎育は主に作品の背景と審美的裝置についての說明,單語と文法中心の講讀授業で敎師中心の敎育が行われてきた。このような敎師中心の授業から離れ,文學の效用性を生かし,學習に動機づけできる學習者中心の授業が必要だと思う。 日本語を學習することにあたって日本の文學作品と接するということは,日本語の知識を習得することだけではなく,日本人の思想と情緖を感じることができる。特に,日本語學習者において,文學作品は日本語を母語として使っている人人の慣習と文化が味わえるよい機會ができる。日本語の初級學習者の場合,實用的意思疏通の向上のみ授業の目標になっていた。しかし,日本人の情緖と意識が含まれていて,文學的にも認められている作品らを敎師が嚴選して授業に提示したら學習者たちはその時間に習わなければならぬ意思疏通能力の向上と文法意識の習得とともに,文學作品の鑑賞を通じて言語についての創造的な感覺も習得できる。日本人の情緖と意識も自然に接することができて 言語としての日本語について關心も高められると思う。 外國文學作品が語學資料として十分な價値があるにもかかわらず,今までは文學作品が日本語敎育の授業であまり重要視されていない。しかし最近の言語敎育プログラムでは文學を言語敎育のための價値のある資源と認定,積極活用している。 したがって本硏究では日本語敎育の資料として文學テキスト活用の妥當性を檢討して,旣存の語彙能力と文法·講讀中心の授業から脫して文學作品を通じてより效果的な日本語授業の模型と第7次敎育課程に「意思疎通能力の向上」に合わせて言語の4機能を强化することができる日本語敎育方法を模索して見た。 文學作品を通じて日本語敎育をする時には敎材の選擇が重要だ。易しくて簡單な語彙が使われた作品,學習者たちが理解しやすくて興味をひくことができる內容の作品を選定しなければならない。そんな意味で短編小說,童話,詩などがこのような要件に一番よくかなう種類の作品と言えるでしょう。 したがって本硏究では具體的に太宰治の代表作である『走れメロス』を活用して見た。『走れメロス』はスト―リ―が簡單で主題も友達との友情と正義感,信賴に關する健全な小說だから學生時代に學生たちが一番重要視する友達との友情を扱っていて興味をひくには大變良い作品だと思う。また,作品の題目で感じられる好奇心のため作品に對する動機誘發を起こすこともできるでしょう。だから『走れメロス』を用いる日本語の授業模型と讀み, 書き, 聞き取り, スピ―キング 4機能の指導に效果的な日本語敎育方法を提示して見てその效果性を調べようとした。 本硏究では文學作品を通じて日本語の授業で活用することができる何種類の敎育方法などを例示した。實際の授業模型の例示で文學作品が學生たちの言語的な感覺を育てることができるし,また,言語の4機能を統合的に發達させることでその活用價値が高さを提示した。これは日本語敎育で文學作品を活用するようになることで興味誘發と情緖の涵養,文化の理解などを土台とした效果的な敎授方法を模索するようになるきっかけを用意することができると思う。 しかし,この授業模型は實際の敎育現場で適用して見なかったから,實踐的な模型提示後の效果と問題点に對する資料を提示することができない。實際の敎育現場にこの授業模型を適用させて見て,模型提示後の效果と問題点はこれからの硏究課題にしたい。

      •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활용을 통한 영어능력학습능력 신장방안 연구

        주란 群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활용을 통해 농어촌지역 중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에 맞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와 태도 및 영어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서천군 소재 S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49명으로 학급별로 1주일에 두 시간씩 인터넷 전용선이 설치된 어학실과 컴퓨터실에서 실힘 수업을 실시하였다.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활용과 온라인 학습방을 활용한 영어학습 활동에 대한 내용을 설문조사와 관찰, 면담, 학습자의 자기평가, 학습 결과물, 및 다양한 체험학습 활동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태도 및 참여도, EBS 교육방송 인터넷 VOD 활용의 효과와 시사점들을 분석하였다. 실험 연구는 기초단계의 학습자들에게 인터넷 VOD 활용을 통한 실제적인 영어 학습 활동이 되도록 학습의 안내, 조력 역할을 할 온라인 학습방을 구축하고 인터넷 VOD 활용 교수-학습 모형으로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교사에 의해 제시된 학습 목표와 동기유발 자료, 참고 자료를 활용하고 소집단으로 협력적 학습 활동을 하며 pre-viewing, while-viewing, post-viewing 의 단계별 학습활동을 수행하였다 정리 부분에서는 학습 결과물을 발표하고 교사의 피드백을 받으며 학습활동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활동 제시가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요약하면, 첫째, EBS 교육방송 「중학2학년 영어」 와「English Cafe」 프로그램의 교재를 재구성하였고, 둘째, 학생들의 영어학습 능력 신장을 위해 「중학2학년 영어」와 「English Cafe」의 인터넷 VOD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영어수업 절차 모형을 구안하었다. 셋째, 모듬별 역할극, 게임, 온라인-학습방 등 다양한 체험 학습 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인터넷 VOD프로그램 활용이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설문지, 면담, 관찰, 학생들의 자기평가, 학습 결과물, 4가지 영어학습 능력 평가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반응과 의견을 분석하여 알아보고 영어교육에의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은 농어촌 지역의 학생들에게 영어 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항상시키고 영어 사용에 대한 두려움도 점차 줄여 학습 의욕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교육방송 「중학2학년 영어」 와 「English Cafe」 프로그램 교재를 재구성하고 VOD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여 단계적 교수-학습 활동을 전개함으로써 학생들의 영어학습능력 신장에 크게 기여하였다. 셋째, VOD를 통해서 윈어민과 영어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 대한 인식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고 영어 말하기 능력을 신장시켰다. 넷째, EBS 교육방송의 인터넷 VOD 프로그램 활용은 교사 중심의 수업에서 학습자들의 문제 해결력과 발견적 사고를 증진시길 수 있는 학습자 중심 수업으로 변화시키는데 좋은 방법이 되었다. 다섯째, EBS 교육방승 인터넷 VOD 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은 효과적인 인터넷 사용에 관한 인식을 증진시켰고,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되었다. 여섯째, 모듬별 역할극, 게임, 온라인-학습방 등 다양한 체험 학습 활동과 결과물 발표 등의 활동을 통해 학습자 개인이 학습과정에서 보인 노력의 결과를 함께 관찰함으로써 과정중심의 교수-학습으로 이끌어갈 수 있었다. 이러한 EBS 교육방송 인터넷 VOD 을 활용한 교수-학습 활동이 학교현장에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다양한 프로그램 활용 자료 개발과 평가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의 적극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과 활동참여가 절실히 요구된다.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중요하며 학생용 컴퓨터와 인터넷 전용선을 갖춘 교과전담 교실과 지속적인 관리 및 업그레이드가 되어야 학습의 실효를 거둘 수 있다 또한 EBS 교육방송 인터넷 VOD 프로그램 활용에관심이 있는 교사들의 협의회가 활성화되고 인터넷 활용 영어 교수-학습에 유용한 정보의 공유가 필요하며 함께 협력하여 발전적 영어 교수-학습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English learning ability via webcast, which is suitab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effects of using the EBS Internet VOD with 「Middle School second-grade English」 and 「English Cafe」 on student's English learning abilities and attitudes were examined. The study re-organized the program textbooks, developed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considering the students' level and suggested various kinds of activities, such as role-play, game, online learning community, e-mail, chat, and so 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9 second-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Chungnam. They pre-studied basic contents through webcast for the next class. They learned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with various kinds of task worksheets and activities while viewing the Internet VOD. Out of class, tasks and contents of the instruction were presented at online learning community.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 questionnaire, face-to-face interview, teacher's observation, students' self-assessment and a listening ability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rise in students' affective domains( interest, participation, confidence, self-directedness, and motivation ) after having used the Internet VOD for English learning ability. Second, the studen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English learning abilities while developing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pre-viewing, while-viewing, post-viewing ). Third, the vvebcast activity turned out to be an appropriate means to change the focus of the classroom from teacher dominated to student-centered; thus it could increase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ies. Fourth, through the actual experience with a native speaker on VOD, the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learning English than before and could be good at speaking English. Fifth, process-oriented instruction was possible while students have role-play, game, e-mail, chat and upload their products to the online learning community. It also could get teacher's feedback. In conclusion, using the EBS Internet VOD for English learning ability will be able to improv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terest, participation and confidence, and it will be effective for learning in the classroom. Also the Internet VOD will help to give students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and it can be used for supplementary or enriched classes according to students' level and motivation. So in order to generalize the use of webcast for English learning and teaching, teachers and webcast developers will have to make special studies of good contents for webcast and research the ways to lead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motivation. Also, more resources are needed for evaluation. To implement webcast activities, execu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effective instruction using internet and computers to take place, systematic management of computer labs and regular system upgrades are necessary. In addition, English teachers should share useful information and research products through collaborativ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