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서비스 리커버리전략이 리커버리 태도 및 서비스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HI RENDAO 금오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본 연구는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 실패 이후의 대응 상황에서, 서비스 리커버리 전략이 리커버리에 대한 재사용자의 태도 및 서비스 재이용 의도를 실증 분석한 것이다. 서비스 실패에 따른 대응 수단으로 사용되는 서비스 리커버리의 4가지 유형인 ‘사과, 보상, 경청, 대응속도’가 리커버리 태도 및 재이용 의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서비스 유형을 병원과 음식점으로 나누어 그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일반인 및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오프라인의 설문지를 제작·배포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를 배포하였으며, 불성실하거나 무응답 및 누락된 응답 22부를 제외한 총 27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서비스 리커버리 유형 4가지 (사과, 보상, 경청, 대응속도) 모두 리커버리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서비스 리커커버리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서비스 리커버리 유형이 리커버리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서비스 유형 (병원, 음식점)에 의해 조절되었다. 병원 유형에서 서비스 리커버리 유형인 사과와 보상은 부(-), 경청과 대응속도는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음식점 유형에서는 경청은 부(-), 사과, 보상, 대응속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서비스 리커버리 유형이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리커버리 태도에 의해 매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네 번째, 리커버리 태도는 재이용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서비스 리커버리는 서비스 실패에 대한 대응 수단을 넘어, 적절한 대응은 오히려 기업의 이미지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입증하였고 기업에 대한 고객 충성도 강화는 물론 기존 리커버리 관련 연구의 결과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 서비스 실패에 대한 리커버리는 서비스 불만을 해소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며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긍정적 구전과 재구매 행동에 도움이 될 것임을 판단하게 함으로써, 현실적으로 서비스 실패에 대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onsumer’s recovery attitude and intention to re-use the service in response to the service provider's service failure. The four types of service recovery, 'apology, compensation, voice, and response speed', which are used as a countermeasure to service failure, were to study how each affected the manner and intention of service re-use of, and the corresponding adjustment effect was to be tested by dividing the service type into hospitals and restaurants. To that end, The survey was conducted by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of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 total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 and 278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22 which had missed or insincere. The main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four types of service recovery (apology, compensation, voice, and response speed)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covery attitude. Second, the impact of the types of service recovery on the recovery attitude was moderated by the types of service (hospital, restaurant). Apology and compensation, the types of service recovery in hospital type, had negative (-), voice had an effect of positive (+), in restaurant type, voice and response speed affected negative (-), and apology and compensation and response speed affected positive (+).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the types of service recovering on reuse intention was mediated by the recovery attitude. Fourth, the recovery attitude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re-use intention. Finally, this study showed service recovery, that is proper response can enhance the image of company which is reassurance of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o a tool to deal with service failure. It also strengthened customer loyalty to the compan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effective method to take care of service failure in practice by making customer to be more satisfied which will lead to the positive oral and repurchase behaviors.
국립대학 자원관리 시스템 도입에 따른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의 통합관리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최성혁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은 국립대학 자원관리 시스템의 도입과 통합되지 않은 상태로 운영되고 있는 연구관리 관련 시스템, 그리고 2015년 4월까지 학생인건비 통합관리를 시행해야 하는 3가지 요인이 얽혀있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약사항이 상호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상황에서 국립대학 자원관리 시스템이 도입되어 정착될 때까지 산학협력단의 업무처리를 위한 통합시스템 구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통합시스템에 대한 중요한 영향요인으로 먼저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비 공동관리규정, 학생인건비 통합관리제도, 대학연구활동 실태조사, NTIS시스템에 대한 자료입력, 연구비 종합관리시스템, 국립대학 자원관리 시스템, 현행 업무처리 시스템의 7개 항목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요인들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활용하여 산학협력단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성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행 작업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인건비 통합관리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4가지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들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전략과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The issue of development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of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was raised as a very complex and difficult issue due to the entanglement of the three factors of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university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research management related system being operated without being integrated, and the need to implement integrated management of student labor cost by April 2015. In this study, it presented plans of developing integrated system for the work processing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until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national university resource management system in the midst of a situation where such restrictions are entangled. As for the important influence factors on integrated system, seven items were deduced that were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project research cost joint-management regulation, student labor cos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university research activity present condition research, data input of NTIS system, research cost total management system, national university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current work processing system, for which detailed researched were conducted. In addition, a method of composing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as presented by utilizing the research and analysis results of such influence factors. In addition, four plans were presented for effectively establishing student labor cost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based on previous work and specific implementation strategies and respective strengths & weaknesses of these plans were analyzed.
3D GIS 기반 캠퍼스 시설물 관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김기호 금오공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In disregard of a spatial concept of geographic information, most of geographic databases generally has been composed of 2D plane-centered data until now. For multi-dimensional spatial analysis, however, it is necessary to utilize a 3D spatial database which is more suitable to reality circumstance. A university is the complex object of site, buildings and facilities.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needs to manage the campus facilities efficiently, analyze landscape at various view points and devise a spatial utilization plan. Recently 3D GIS provides realistic topographical representation, graphic facility modeling and even virtual reality function. It forms the basis to not only build the database of their site ground and facilities above and under the ground but also develop a facility managemen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ampus facility management system, construct 3D graphic data and attribute data of facilities on the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nd then verificate the developed system's practicability. We selected the world geodetic coordinate system based upon GRS80 and ITRF2000 which our country is supposed to put into operation in the near future. Utilized the existing campus facility data from the existing drawings, images, cadastre records and so forth, 3D position data of underground facilities surveyed with a total station and high-resolution aerial photos, 3D realistic models were produced by means of a XD2D software and a XDWORLD Builder Professional software of GIS engines. We intend to embody not only campus guide service in virtual reality space but visualization of 3D virtual campus by providing 2D and 3D data to web space using XDWORLD server soon after. It is expected that the campus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3D facility data service, the support of prompt decision-making related to spatial affairs, the work simplification through data holding in common between the members of the staff and so forth.
대·중소 상생형 지원사업을 통한 중소기업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대한 영향 평가 연구
서홍일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스마트팩토리는 전통적인 제조기업의 노동집약적인 시대에서 자동화 시대를 거쳐 ICT를 활용한 CPS까지 결점을 줄이고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고객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시스템이다. 스마트팩토리는 어느 일부만 완성이 된다고 해서 끝나는 것이 아닌 공장 내 모든 시설의 H/W 부분과 이를 오차 없이 가동하고 운영할 수 있는 S/W가 서로 유기적 관계를 유지해야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정부지원정책과 스마트팩토리와의 관계에서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정부의 다양한 지원정책과 정부의지에 따라 지원 사업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고, 둘째, 패밀리혁신활동과 스마트팩토리와의 관계에서는 모기업과 모기업의 협력회사가 동반 성장 할 수 있는 어떠한 요인들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훈련과 스마트팩토리와의 관계에서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해 중소기업 스스로 유지관리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양성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넷째, 정부지원정책과 패밀리혁신활동 그리고 교육훈련이 스마트팩토리와 경영성과 관계에서 매개효과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 하였다. 스마트팩토리 성공 구축요인인 정부지원정책과 패밀리혁신활동, 교육훈련 그리고 스마트팩토리 구축 기대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자료를 검토하여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패밀리혁신활동에 참여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이메일로 설문을 발송한 후 표본 집단의 설문을 회수하여 정리를 하였고, 설문결과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이 스마트팩토리 도입에 따른 정부지원정책과 패밀리혁신활동 그리고 교육훈련이 경영성과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결과, 경영성과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매개효과인 스마트팩토리도 경영성과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이 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팩토리 구축지원 사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동반성장 및 민간의 자발적인 스마트팩토리 확산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사업이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에 대해 대기업의 스마트 제조기술 혁신 노하우를 공유하고 정부와 대기업이 함께 구축 비용을 지원하여 중소기업이 실질적인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는 사업이므로 중소기업에서 많은 참여가 필요해 보인다. 연구의 한계점은 패밀리혁신활동은 모기업과 모기업의 협력사를 같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혁신활동이지만 아직까지 패밀리혁신활동에 참여하는 기업이 많지 않아 조사표본의 수가 충분하지 못해 심층적인 분석을 하지 못했다. 일부 중소기업은 스마트팩토리 도입은 시스템과 자동화가 우선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제조현장 기본 갖추기가 먼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을 인식시켜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부의 지원정책에 따른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사업의 중소기업 경영성과에 도움이 되었는지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를 통해 스마트팩토리 도입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에게 정부의 지원정책과 대기업의 상생경영 그리고 지속적인 인력양성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향후에는 스마트팩토리를 도입을 했지만 성공하지 못하고 실패한 원인이 무엇이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의 무엇인지를 좀 더 집중적으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
김보환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행정직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를 규명하는데 두고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대학 행정직원의 직무영역별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를 규명한다. 둘째, 대학 행정직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영역별 직무만족도를 규명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에 맞게 번안ㆍ수정한 설문지이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하는 국·사립 대학교에 근무하는 행정직원 중 무선표집한 275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216부를 분석자료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처리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과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교차분석(x^(2)-test), 차이검증(t-test),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직원의 직무만족도의 전반적인 수준은 보통(3,85<M<2.64)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영역별로는 직무자체, 급여·복지 및 근무환경, 동료, 교육훈련영역의 직무만족도는 상대적을 높게 나타난 반면, 인사 및 학교정책, 인정, 교수·학생과의 관계영역의 직무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체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재직연수가 많을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업무의 재량권과 업무량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재직연수가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사 및 학교정책영역에서는 국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상벌제도와 의사결정 참여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국립대학 보다 사립대학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급여, 복지 및 근무환경영역에서는 사립대학이 국립대학보다 급여제도와 휴가 및 보상제도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인정영역에서는 국립대학이 사립대학보다 직업선택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 학생과의 관계영역에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재직연수가 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수와의 인간관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동료영역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훈련영역에서는 50대와 20대가 40대, 30대보다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대상을 대구·경북지역 4년제 대학 행정직원을 연구대상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전국 대학의 행정직원으로 넓혀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직무만족에 대한 보다나은 연구를 위해서는 행정직원의 책임과 소신, 단체행동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서애경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중학생의 폭력태도와 폭력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 and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Violence) 서 애 경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폭력태도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고, 폭력태도와 폭력행동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폭력에 대한 실태는 어떠한가? 1) 폭력에 대한 태도는 배경변인(성별, 소재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친구에 대한 폭력가해 경험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가정에서 폭력피해 경험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4) 교사에 의한 폭력피해 경험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5) 친구에 의한 폭력피해 경험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6) 대중매체의 폭력장면 경험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폭력태도와 폭력행동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도구는 관련문헌과 선행연구 자료를 근거로 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설문지이며, 연구대상은 구미시 지역 2개교, 읍․면지역 3개교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400부를 배부하여 회수한 369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먼저 각 문항별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과 같은 기술적 통계 방법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후,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차이 검증(t-test), 상관관계 분석(Analysis of 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 여 학생들은 폭력태도에 대하여 생각을 해본 경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친구에 대한 폭력피해와 가해 경험에서 신체적 폭력피해 경험은 남학생이, 언어적 폭력 경험에서는 여학생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읍․면 지역 학생이 시 지역 학생 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격성과 폭력성이 높은 경향의 남학생은 충동성이 높고 자제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친구를 폭행함으로써 스트레스를 풀려하고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 하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욕설이나 언어적 폭력은 청소년들에게 일상화되어 폭력이라는 인식이 낮기 때문에 공격성이 낮은 여학생에게 더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 지역 학생들이 읍면지역 학생들보다 폭 넓은 문화를 접하기 때문에 폭력성이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심성교육과 인성 교육을 강화하고, 지역적으로 청소년 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폭력태도와 폭력행동과의 회귀분석 결과, 교사에 의한 언어적 피해, 가정에서의 신체적 피해, 대중매체의 폭력 장면 경험 세변수가 종속 변수를 의미 있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은 교사의 훈육지도가 행동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정도의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에서의 자녀 양육태도와 부부폭력이 자녀에게 폭력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중매체의 폭력장면을 많이 접하게 됨으로써 공격행동의 충동이 높아짐에 따라 폭력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형식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한 생활지도가 아닌 학생중심의 체계적인 상담과 지도를 위해서는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야 하며, 사회가 관심을 가지는 부모 교육을 통해 화목한 가정을 이루도록 할 뿐만 아니라 폭력장면을 다루는 대중매체 접촉을 줄이고, 부모와 함께하는 대중매체 시청지도와 폭력예방을 위한 자료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경상북도의 일부 지역의 2학년 중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청소년들의 폭력에 대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는데 는 제한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중․고등학생으로 확대하여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들의 업무나 수업 연구에서 오는 부담감을 줄여주어 학생들에게 현실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시간과 연수 기회를 제공하여 주어야 할 것이며, 학급 수에 따라 상담교사를 배치시키는 인사를 제고하여 학교에 항상 상담교사가 상주 할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장현철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대학행정직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University Administrative Staff) 장 현 철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오늘날 세계화․정보화 시대라고 일컫는 무한경쟁시대에 있어서 대학행정직원들이 최선을 다해 직무에 전념하고 직무만족을 충족시켜 나갈 수 있는 조직의 직무환경여건개선이 시급한 시점에서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거나 직무에 만족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대학 입장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대학행정직원들이 조직의 목표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행정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방법과 직무만족은 대학발전에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었다. 2. 연구의 내용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첫째, 대학행정직원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분석, 둘째, 직무영역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 분석,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3. 연구의 방법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이며, 조사대상은 대구․경북지역에 소재하는 국․사립 대학교에 근무하는 행정직원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213부를 회수하여 분석자료로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처리는 빈도와 백분율과 같은 기본적인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교차분석(x²-test), 차이검증(t-test), 분산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4. 결 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행정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의 전반적인 수준은 대체로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중 보수영역, 인사영역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난 반면, 직무영역,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영역에서는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같은 학력과 경력의 타 기관과 비교하여 보수가 낮고, 현재의 전보 및 승진제도에 대하여 공정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직무에 대하여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있고, 부서 내에서 동료 및 상사들과 친밀하고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추론된다. 따라서 대학행정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타 직장과 비교하여 적정한 급여 및 복지 향상 등을 위한 처우개선이 필요하고, 아울러 근무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한 순환전보, 승진제도 등 인사기준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대학행정직원들은 근속기간이 짧을수록, 직급이 낮을수록, 여자가 남자보다, 사립대학이 국립대학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근속기간이 짧고, 직급이 낮을수록 업무에 대한 전문성이 떨어지고, 보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상급자와의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여자가 남자보다 근속기간이 짧고 하위직이 많으며, 사립대학이 국립대학보다 직무수행에서 제한을 많이 받기 때문이라고 추론된다. 따라서 대학행정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력이 짧은 행정직원에 대해서는 담당직무와 관련된 각종 연수 및 교육프로그램의 참여 기회를 확대하여 전문성을 신장시킴으로써 업무수행에 도움이 되도록 하며, 부서 내에서 상급자 및 동료들과 친밀하고 원활한 관계를 유지하도록 많이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사립대학은 행정직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환경을 개선하여 행정직원들이 최선을 다해 직무에 전념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대학행정직원들이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비교적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직무만족을 의미있게 설명하는 주요변수는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 스트레스, 인사만족은 인사 스트레스, 보수만족은 보수 스트레스, 근무조건만족은 근무조건 스트레스,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만족은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 스트레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직장 내에서 동료 및 상급자와의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이 잘 될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도와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직장 내에서 승진 및 전보 등이 객관적이고 공평하게 잘 될수록 인사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내가 받는 보수가 같은 학력과 경력의 타 직종과 비교하여 많을수록 보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직장 내의 복지시설을 확충하고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업무에 필요한 사무기기가 잘 갖추어져 있을수록 근무조건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행정직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장 내에서 동료 및 상급자와의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이 잘되도록 하고, 순환전보 및 승진제도 등 인사기준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마련하여야 하고, 타 직장과 비교하여 적정한 급여기준을 마련하여야 하고, 복지시설을 확충하고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필요가 있다. 5. 제 언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련된 요인을 직무, 인사, 보수, 근무조건, 인간관계 및 의사전달 요인으로 한정하였기 때문에 후속 연구에서는 모든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대상을 대구․경북지역 대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행정직원으로 제한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전국 대학의 행정직원으로 넓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행정직원이 지각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를 관찰과 면담 등의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좀 더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채동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 실태 분석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in the Career Decision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채 동 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경상북도 문경시내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선택에 관한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 문제점을 바탕으로 바람직한 진로지도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이며,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재학하는 고등학생 300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먼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과 같은 기본적인 통계치를 산출하여 자료의 일반적 분포를 확인한 다음, 차이검정(t-test),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이 계열을 선택할 때 우선적으로 고려할 요인으로 나의 적성, 장래직업 전망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대학이나 학과 선택 시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장래직업 전망, 적성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입학원서를 작성 할 때는 학과, 적성, 졸업 후 진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의 진로 상담 대상자로 부모, 친구, 형제 순으로 나타났고 학교에서 진로 지도에 필요한 내용으로 대학 학과의 사회 진출 현황, 진학 가능성, 공부 방법, 적성이나 흥미 검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나 뚜렷한 차이 없이 비슷하게 반응하였다. 셋째, 대학이나 학과선택은 대부분 학생자신이 하고 있으며, 시기는 주로 고등학교 3학년 2학기 때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학생들이 희망하는 계열과 실제 지원계열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미래에 대한 자신의 인생설계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비교적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적성에 맞는 직업, 장래성 있는 직업, 보수가 많은 직업을 원하고 있었다. 다섯째, 대학이나 학과의 정보는 주로 대학요람이나 안내서에 의존하며 교사로부터 얻는 정보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의 학과, 과목, 졸업 후의 진로 및 전망에 대해서는 대충 알고 있거나, 거의 알지 못한다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지도)는 조금 도움이 되었을 정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진학과 관련된 진로결정요인은 성적, 직업전망, 본인의 적성, 학습내용 등이었으며, 부모의견, 교사의견, 친구의견 등은 중요한 진로결정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하였다. 또한 계열결정, 대학(학과)결정, 원서 작성 시 고려하는 내용은 직업전망, 본인적성, 취업전망 등이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해 합리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학교에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계발하여 지속적으로 지도하고, 학부모에 대한 진로교육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학생들의 진로 상담 대상자로 부모, 친구, 형제 순으로 나타났으므로 정확한 진로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진로문제 결정에 있어서는 담임교사나 진로지도 담당 교사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고 학부모의 영향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학생들이 희망하는 계열과 실제 지원계열과는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미래에 대한 자신의 인생설계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비교적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로 고등학교 시절에 장래 직업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적성에 맞는 직업, 장래성 있는 직업, 보수가 많은 직업을 원하고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교육 또는 직업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학생의 발달단계에 맞는 진로정보의 제공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대학이나 학과의 정보는 주로 대학요람이나 안내서에 의존하며 교사로부터 얻는 정보는 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의 학과, 과목, 졸업 후의 진로 및 전망에 대해서는 대충 알고 있거나, 거의 알지 못한다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학교에서의 진로교육(지도)는 조금 도움이 되었을 정도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일선학교에서는 학생 본인의 진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적성검사, 흥미검사 등을 활용하고, 진학지도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지원대학보다 지원학과를 먼저 결정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며, 성적을 바탕으로 한 진학지도는 지양 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유형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현대 정보화 사회는 성별의 차이는 큰 의미가 없으므로 성별에 따른 차별적인 진로지도보다는 전문적인 조력체제가 필요하다. 또한 진로의사결정유형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기대 같은 가정환경 요인뿐만 아니라 개인적 배경과 학교나 대중매체, 또래의 영향과 같은 사회적인 배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좀 더 역동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고등학교 과학 물리단원 ICT 수업자료의 개발 및 적용 : 전류와 전기저항을 중심으로-
우병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CT Class Materials for High School Physics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Focused- Woo byeong sik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umoh National Institude of Technology ABSTRACT The developed IT technology is expanding over the whole of education now and it is also bringing complete innovation to educational target, educational time and place, educational method, etc,. As a result of driving the school information busines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base facility for utilizing IC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t school was acquired and the teacher and students utilizing Internet are suddenly increasing.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nduct ICT class that utilized contents and review and analyze learner's opinions about its effect on learning performance and content-utilizing class by using the advantage of ICT data-utilizing class through ICT contents development for enhancing students'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in the unit of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among the units of high school physics and raising its learning efficacy. Ga. What kind difference is there in students' sympathy when ICT-utilizing class method and general class method are applied in the range of the unit of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of "Physics" in high school science? Na. What kind of effect is there on students' software-utilizing ability when ICT-utilizing class method and general class method are applied in the range of the unit of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of "Physics" in high school science? Da. What kind of effect is there on IT technology-utilizing recognition when ICT-utilizing class method and general class method are applied in the range of the unit of Electric current and Electric resistance of "Physics" in high school science? This study distributed total 145 questionnaires for the 1st grade students of 5 schools within the province where teachers work from February 2007 to November 2007 and collected total 139 questionnaires. Among them,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otal 131 questionnaires except for 8 questionnaires that didn't answer or answered insincerely. The conclusions got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CT knowledge education at school is essentially necessary as computer utilization is becoming to be essential for our daily life as well as for our learning, and it was possible to cultivate the ability to retriev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students, collect right information and use those information for their learning and material making through Internet utilizing the most. Second, as a result of learning ICT knowledge education as a web-based learning, learner became to have some interest in class and be able to get new information by becoming to be familiar with computer and I think that as learners' recognition on ICT-utilizing class can make to get various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learning desire and make actively self-leading and effective learning. Therefore, ICT education has its meaning in enhancing information knowledge ability of learners naturally by utilizing ICT to all subjects effectively without limiting ICT education to particular subjects. 고등학교 과학 물리단원 ICT 수업자료의 개발 및 적용 -전류와 전기저항을 중심으로- 우 병 식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요 약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은 이제 교육 전반에 걸쳐서도 널리 확산되고 있으며, 교육의 대상, 교육시간 및 장소, 교육의 방법 등에 일대 혁신을 가져오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의 학교 정보화 사업의 추진 결과 모든 초·중·고교에서 ICT 활용을 위한 기반 시설이 확보되었으며, 학교에서 인터넷을 활용하는 교사와 학생이 급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고등학교 물리 단원 중 전류와 전기저항 단원에 대해 학생들의 흥미도와 참여도를 증진시키고 학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ICT 컨텐츠를 개발하여 ICT 자료 활용 수업의 장점을 살려 컨텐츠를 활용한 ICT 수업을 실시하고 학습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및 컨텐츠 활용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조사 분석하고자 한다. 가. 고등학교 과학 “물리” 전류와 전기저항 단원 영역에서 ICT 활용 수업 방식과 일반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호응도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나. 고등학교 과학 “물리” 전류와 전기저항 단원 영역에서 ICT 활용 수업 방식과 일반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 학생들의 소프트웨어 활용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다. 고등학교 과학 “물리” 전류와 전기저항 단원 영역에서 ICT 활용 수업 방식과 일반 수업 방식을 적용했을 때 정보통신기술 활용 인식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2007년 2월부터 2007년 11월까지 교사가 근무하는 관내의 5개 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총 145부를 배부하여 139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미 응답이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8부를 제외한 131부를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의 ICT 소양 교육은 컴퓨터의 활용이 학습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생활화가 되어가므로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가장 많이 활용하는 인터넷을 통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검색하고 올바른 정보를 수집하는 능력과 학습 및 자료 제작에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었다. 둘째, ICT 소양 교육을 웹 기반 학습으로 학습한 결과, 학습자는 컴퓨터와 더욱 친숙하게 되어 수업에 흥미를 느끼며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ICT 활용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은 학습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학습에 대한 의욕이 생기며 능동적으로 자기 주도적이며 효율적 학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ICT 교육은 특정교과에서 ICT 교육을 하는데 그치지 않고 모든 교과에서 IC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학습자에게 정보 소양능력이 함양되도록 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김도형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동전기 정화기술을 이용한 무기오염물에 대한 정화 타당성 연구 김도형 /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초록 최근 수십 년간 급속한 산업화와 산업의 발달로 환경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 토양환경 분야에서 폐광산, 미군부대 부지, 농경지 및 산업단지 등에서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있어왔다.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은 정화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농작물의 피해뿐만 아니라 토양, 지하수, 대기를 통하여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엄청난 피해를 주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 중 불소는 수돗물 사용 등 인간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독성뿐 아니라 기준치 이상으로 섭취 시 뼈와 신경계의 손상을 야기하는 뼈 불소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아연, 니켈 및 비소와 같은 중금속은 높은 독성 및 발암성 까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므로 토양 및 지하수가 중금속 및 불소로 오염되면 건강과 안전을 위해 신속하고 적절한 기술로 정화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이러한 무기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서 현장 내에서 처리가 가능하고 점토질 같은 입경사이즈가 작은 토양에도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기술로서 동전기 정화기술(EK)이 많이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내에서 음이온 형태로 존재하는 불소와 비소, 양이온 형태로 존재하는 아연과 니켈로 오염된 토양을 동전기 정화기술을 이용하여 정화하는데 있어서 오염물질의 용출 및 이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양극 및 음극을 전해질로 순환시켜서 각각의 제거율 및 정화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전해질 순환에 의한 동전기 정화기술은 무기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인 방법이다. 동전기 기술의 실제 현장의 적용에 있어서,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서 적절한 전해질의 종류 및 최적농도의 전해질 순환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Feasibility Study of Electrolyte Conditioning on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Inorganic Pollutants Do-Hyung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Abstract Under electric field, the soil pH near anode region decreases to pH 2 ? 3, while the pH near cathode region increases up to pH 10 ? 12 because of hydrogen ion and hydroxide ion produced by electrolysis reaction. Generally, solubility of cationic metals in soil pore solution de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solution pH, while solubility of anionic species such as fluorine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pH. Therefore, there is pH distribution in soil between adnode and cathode, which reduces overall performance in electrokinetic remediation. To control pH of soil system in electrokinetic remediation, various enhancement methods including conditioning the electrolyte pH, buffer solution, and soil pretreatment with acids. In eletrolyte conditioning, strong acid solution is circulated in cathode reservoir to scavenge hydroxide ion and strong base solution is circulated in anode reservoir to remove hydrogen ion to maintain soil pH acidic or basic,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electrolyte-conditioning in electrokinetic (EK) process was investigated to enhance removal of inorganic pollutants such as Zn, Ni, As, and F from field contaminated soils. The feasibility of anolyte conditioning on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fluorine-contaminated soil was investigated with a field soil. Initial concentration of fluorine, pH and water content of the contaminated-soil were 414 mg/kg, 8.91 and 15%, respectively. Because the extraction of fluorine generally increased with soil pH, the pH of anode compartment was controlled by circulating alkaline solution to enhance the extraction of fluorine during electrokinetic remediation. The removal of fluorine increased with concentration of alkaline and applied current density, and fluorine was removed up to 75.6% within 14 days. Additionally, anolyte conditioning increased sharply electro-osmotic flow, which enhanced the removal of fluorine in this study. In many respects, anolyte conditioning in electro- kinetic remediation of fluorine-contaminated soil would be a promising technology. The feasibility of catholyte conditioning with acidic solution and acidic pretreatment of soil with acidic solution on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Zn and Ni contaminated-soil was investigated with field soil. Initial concentration of Zn and Ni were 1632 and 1324 mg/kg, respectively. Initial pH and water content of soil were 6.81 and about 20%. The electrical voltage gradient was 2V/cm. Catholyte conditioning with acidic solution and pre-treatment of soil were effective to remove Zn and Ni. Acidic solution was circulated to control pH and to enhance the extraction of Zn and Ni in the cathode. Removal efficiency of Zn and Ni increased with pre-treatment of soil with acidic solution, and Zn and Ni were removed about 41% within 28 days. The direction of electro-osmotic flow was altered by changes in soil surface charge. In this study, catholyte conditioning and pre-treatment of soil in the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Zn and Ni contaminated soil were effective. The feasibility of electrolyte conditioning with strong acidic or alkaline solution on electrokinetic remediation of arsenic-contaminated mine tailing was investigated in the laboratory. The mine tailing contained calcium oxide of more than 50%. At alkaline condition, arsenic was precipitated with calcium, and formed calcium arsenate which is very stable solid. Catholyte conditioning with strong acidic solution and anolyte conditioning with strong alkaline solution showed similar efficiency to remove arsenic. At 4 mA/cm2 of current density, the removal efficiency of arsenic was 62% after 28 days operation with catholyte conditioning using0.1M nitric acid. Electrolyte conditioning affected both removal efficiency and energy consumption. When fresh electrolyte was periodically supplied, overall energy expenditure was lower than conventional electrokinetics. As a result, electrolyte-conditioning electrokinetic process could be an effective technique to remove inorganic pollutants from real contaminated soils. With appropriate electrolyte and an optimum concentration of electrolyte, the removal efficiency of electrokinetic process can be enhanced. Especially, electrolyte conditioning was very effective to remove inorganic pollutants such as Zinc, Nickel, Fluorine and Arsenic. The removal of those pollutants is very difficult using conventional electrokinetics and soil washing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