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사회의 타자와 동아시아의 얼굴

        김익균(Kim Ik-g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본 논문은 해방기 사회의 상해에서 온 이주자 표상을 다루고 있다. 주요 대상텍스트는 「맥에의 결별」, 「악야惡夜」, 「탁류 속을 가는 박교수」, 「뺨」, 「상해에서 온 여자」이다. 동아시아의 ‘탈식민’은 구(舊)제국의 권역이 국민/민족 국가의 영토로 축소되는 경험으로 나타난다. 한반도에서 ‘해방기 사회’는 해외에서 돌아온 이주자들과 중층적인 관계를 맺는다. 이주자의 다수는 ‘전재민’으로서 민족주의가 호명하는 ‘동포’를 표상하게 된다. 하지만 전재민에 한정되지 않는 다층적인 이주자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동포이면서 동시에 ‘비조선적’인 것을 표상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복합적인 성격의 이주자 표상을 연구하기 위해 식민지 시기 코스모폴리탄의 상징이던 상해에서 온 이주자가 표상된 해방기 소설 텍스트를 분석하고 있다. 「맥에의 결별」은 ‘맥’이라는 환상 동물과 상해에서 온 이주자 표상이 동일시된다. 맥은 구일본제국의 권역에서 여행자를 보호하는 힘을 상징한다. 상해에서 온 이주자(맥)와 결별하는 서사는 탈식민기 국민/민족 국가로 축소되는 공간감각을 상징한다. 「악야惡夜」, 「탁류 속을 가는 박교수」, 「뺨」 등의 작품은 해방기 사회에서 상해에서 온 이주자 표상이 맡는 다양한 역할을 보여준다. 특히 「상해에서 온 여자」는 ‘비조선적인 것’의 관념을 총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이들은 국제도시인 상해의 복장을 하고, 상해풍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미군과 멋들어지게 댄스를 춘다. 해방기 사회의 ‘양갈보’는 ‘전재민’의 전락이라는 면에서 계보학적으로 인식가능했다면, 상해에서 온 여자는 미군과의 관계를 순수하게 향유하고 있는, ‘양갈보’로조차 표상할 수 없는 잔여물로 나타난다. 상해에서 온 여자는 ‘모리배’, ‘양갈보’, ‘도둑’, ‘아편쟁이’ 등의 어떤 규정도 비껴나가기에 서술자는 이들을 규정할 어떤 언어도 찾지 못한 채, 이들의 하루를 길게 재현한 후 ‘침뱉기’라는 행위로 서사를 종결짓는다. 해방기 사회의 이주자 연구는 그동안 일본과 만주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온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체로 전재민이라는 특징에 집중되었다. 비교적 소수의 이주자가 거주했던 좁은 지역인 상해에서 온 이주자 표상 연구는 좀 더 구체적인 지역 연구의 시도이다. 상해에서 온 이주자는 해방기 사회에서 국민/민족의 타자가 갖는 중층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해방기 사회에 다양하게 존재했을 타자적인 것 혹은 동아시아의 코스모폴리탄적인 근대성이 억압되어 온 냉전의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다른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이주자 연구는 좀 더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concerns with the representation of immigrants from Shanghai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main texts for analysis are “Farewell to Maek”, “Evil Night”, “Professor Park going through muddy flow”, “Cheek”, “A woman from Shanghai”. The ‘Postcolonial’ process of East Asia was accompanied by the experience that made the wide sphere of Japanese Imperial be reduced to many narrow space of nation states. In Han peninsula ‘the society of Liberation Period’ was made of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with numerous immigrants from overseas. The majority of immigrants were war victims, and those represented the compatriot called by nationalism. But there were remnants who were not reckoned war victims. They also were evidently compatriots, but refered to something non-Chosuniac. This article analysed the immigrants from Shanghai as a so-called sample in order to research the complex of compatriot-immigrant people. In “Farewell to Maek” an anonymous man is identified with a imaginary animal “Maek”. This animal symbolizes the protect power of Japanese Imperial. “Evil Night”, “Professor Park going through muddy flow”, and “Cheek” show the various role which the immigrants from Shanghai took. Especially, “A woman from Shanghai” represents the idea of ‘non-Chosuniac’. The research about immigrants in the Liberation Period hitherto focused on their aspect as war victim. By means of outcome which this study made, this research field may be widened and more or less be concreter. Immigrants from Shanghai materialized the multilayer character of the Other excepted from nation. To escape from the paradigm of cold war which excepted the various character of Otherness in East Asia, we might have to deepen this research about those immigrants.

      • KCI등재
      • KCI등재

        서정주의 50년대 시세계와 신라정신의 구체성 : 『신라초』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김익균(Kim Ik-gyun)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3

        서정주의 『신라초』가 출간되는 과정과 그 이후의 논의 과정을 통해서신라정신이라는 이름은 실질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신라초』가 대표하는 시적 세계가 구현되는 과정에서 신라정신은 유행 담론이 아닌 서정주의 고유한 담론이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신라초』의 분석을 통해서 1950년대 후반이라는 당대적 상황과 신라정신이라는 담론을 유기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신라초』는 첫째 『신라초』의 전작인 『서정주시선』이 성취한 서정주의 고유한 장소를 계승한 공간을 창안하고 있다. 둘째 『신라초』에 나타나는 '1·4후퇴'라는 표상은 『서정주시선』에서 줄곧 침묵되던 '사회적 고통'의 절제된 표현으로 간취된다. 셋째 『신라초』의 「후기」는 『신라초』의 2부를 해명하는 데 중요한 참조점이 된다. 「후기」에 나타나는 '인연'이라는 단어는 '신라'라는 표지를 벗어난 공간에 신라정신을 어떻게 구현할지 모색하는 서정주의 자의식을 담고 있다. 본 논문은 특히 신라정신을 설명하는 '혼교'라는 단어가 '인연'이라는 단어와 갖는 문화번역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신라초』의 전모는 시적 실험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이때 실험은 서정주 개인에 의해 요청되었다고 보기보다는 한국전쟁이 대표하는 50년대의 '사회적 고통'이 침묵 혹은 절제된 슬픔으로 표현되는 과정에서 요청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서정주의 『신라초』와 신라정신은 서구적 현대의 한계에 대한 대안 담론들이 충만했던 50년대적 상황 속에서 '사회적 고통'에 대한 대응으로 '다른 현실', '시의 현실'을 창조하는 정신을 전유해내고 있었다. 그것은 실정성을 갖는 내용이라기보다 실험이었으며 시의 형식을 통해서 드러나는 정신이었다. 이러한 신라정신의 출현이 단선적으로 1960년대적 정황으로 충실하게 나아간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서정주의 시세계가 놓인기나 긴 궤적의 구체성에 밀착한 논의는 이제 시작인 것이다. Since Suh, Jung-ju's poetry collection "Shillacho"'s publication and discussion afterward, it attached subsequent meanings to Shilla spirit. In the process of "Shillacho"'s poetic world being represented, the spirit of Shilla became Suh, Jung-ju's authentic discourse rather than a fashionable discourse. In this paper, by analyzing "Shillacho", will explain circumstances of the late 1950s and Shilla spirit discourse organically. "Shillacho", first invented successor of a unique place as a space, which had been accomplished by "Shillacho"'s predecessor "Suh, Jung-ju poetry collection". Second representations of sign '1.4 retreat' which appears in "Shillacho" is perceived as a restrained expression of silent 'social pain' which appears in "Suh, Jung-ju poetry collection". Third, "Shillacho"'s 'epilogue' is a crucial reference to explaining "Shillacho" Part 2, which was not clarified before. The term 'connection' which appears in the 'Epilogue' contains Suh, Jung-ju's self-consciousness how to implement the spirit of Shilla outside the space of 'Shilla' sign.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to describe the spirit of Shilla which is explained by 'hongyo', and how this term have cultural translational relationship with the word 'connection'. "Shillacho"'s entire picture can be seen in terms of poetic experiment. The experiment can be regarded as request by 50's 'social pain' represented by Korean war, which has been expressed by silence or restrained sorrow rather than a request by an individual Suh, Jung-ju. Suh, Jung-ju's "Shillacho" and Shilla spirit appropriate response to the 'social pain' as 'other reality' and create 'poetic reality', when alternative discourses to limitations of modern West flourished. Rather than actualness, Shilla spirit was experiment and spiritual express by poetry's form. The emergence of Shilla spirit can not be unilineary connected to the context of the 1960's. Concrete discussion about Suh, Jung-ju's vast poetry world's is just getting started.

      • KCI등재

        보육정책의 복지혼합적 고찰

        김익균(Kim, Ik Gyun),강국진(Kang Kook Jin) 한국보육학회 2010 한국보육학회지 Vol.10 No.2

        외국의 보육정책의 패러다임이 복지혼합의 정부-시장의 이원화 체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 공동체적 보육의 역할을 인정하고 이를 위하여 민간비영리 부분과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면,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은 가족위임형의 보육에서 국가.사회.가족 책임공유형의 보육정책 이 요구되어 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민간의존형의 보육에서 보육의 공공성을 강화하며 공급자 중심의 보육정책 에서 수요자 및 공급자 만족형의 보육을 추진정책과제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서비스의 공급주체에 따른 국가.시장.가족의 복지삼각모형의 분석틀을 통하여 우리나라 보육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고 보육정책의 영역으로 보육대상자 사회적 급여, 전달체계와 재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국가 사회공동체적 보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자 하였으며, 보육서비스를 위한 국가(정부)가 제공하는 역할과 기업(시장), 가족(부모) 의 역할과 기능을 제시하여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보육정책은 복지공급주체 간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를 살펴보고 둘째 보육정책분석을 통한 보육대상자, 사회적 급여, 전달체계, 재정에서 보육정책의 현황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통하여 국자 시장 가족의 역할부담은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고찰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cessity for the day care policy to provide child care services to all the environmental areas such as family, government, and market beyond simple protection and education. A consideration of the role of state, market and family which are regarded as subjects which provide daycare services accord to the Welfare Triangle Model resulted in a conclusion that though the child care budget is rapidly increasing, the role of state is still insufficient by far. Based on this, an analysis of the daycare policy was conducted by dividing it into child care recipient, social benefit, delivery system, and fiance in accordance with Gilbert's four frameworks of analysis, reaching an interpretation as policy. The government will have to construct a child care infrastructure suitable for the social community above any things.

      • 폴리몰픽 쉘코드 탐지 기술 동향

        김대원,김익균,오진태,장종수,Kim, Dae-Won,Kim, Ik-Gyun,O, Jin-Tae,Jang, Jong-Su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8 전자통신동향분석 Vol.23 No.1

        공격자의 주요 목적은 원격 호스트의 제어 권한을 얻는 것이다. 이것은 공격자가 원격호스트의 컨트롤 플로를 변경시켜 악의적인 코드를 임의로 실행시킬 수 있는 취약한 서비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공격자들이 원격 호스트의 제어 권한을 얻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취약한 서비스를 대상으로 쉘코드(shellcode) 전송을 통해서이다. 네트워크 기반 최신의 공격 탐지 기술들이 점점 사용영역을 넓혀가면서 이를 회피하기 위해 쉘코드들도 진화를 계속하고 있으며, 최근 2~3년 전부터 폴리몰픽(polymorphism)과 메타몰픽(metamorphism) 기법의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중,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엔진들이 많이 알려져 있어 그 예상 피해가 심각하리라 생각되는 폴리몰픽 형태의 쉘코드가 가지는 특징 및 이를 탐지하기 위한 최신 기술들을 소개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동발달과 조기영어 학습에 관한 연구

        이경호(Lee Kyung Ho),김익균(Kim Ik G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최근에 논란이 되고 있는 조기영어학습에 대해 논의 하고자 한다. 과연 아동발달에 있어 조기영어 학습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조기영어 학습이 아동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아동발달의 주요한 영역인 기초성과 적기성을 중심으로 이것을 아동의 언어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해 봄으로써 영어 조기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조기영어교육은 단순하게 접근하지 말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아동발달에 맞게 과학적이고 전문적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uss early childhood English learning currently under debate. What kind of effect does early childhood English learning have on child development? We survey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early childhood English learning by focusing child language development concerning the foundation and opportunity, important factors in child development.<BR>  There is no consensus on whether people approve or object early childhood English learning socially. However it makes both teachers and parent hard because English have become one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s a part of globalization since 1997. This situation makes the nursery and kindergarten to be a field of early childhood English lear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argument about pro and con of early childhood English learning would diminish difficulty on the education ground. Therefore it should not be approached simple-mindly but according to child development professionally and scientifically on national level.

      •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는 폭력에 대한 분석 - 성역할고정관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근양 ( Park Keun Yang ),김익균 ( Kim Ik Gyu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6 사회복지경영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지각하고 있는 폭력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고, 성역할고정관념에 다른 요인을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가정폭력의 문제에 대한 여성주의적 접근을 통해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정책의 변화를 통해 보다 근본적인 실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가정폭력상담소, 여성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설문지조사방법을 통해 실시하였고, 2016년 4월 15일부터 7월 22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 경험은 평균 1.71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협상` 2.87점, `심리적 폭력` 1.75점, `신체적 폭력` 1.29점, `상해` 1.29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 간의 평균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는 것은 가정폭력 가정 내에서는 한 가지 유형의 폭력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가지 유형 이상의 가정폭력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립변수간 관계에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정폭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력과 가정폭력 경험의 관계의 경우 학력은 폭력 경험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낮을수록 폭력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가정폭력 예방 및 근절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성역할고정관념과 가정폭력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가정폭력 사전교육의 효과를 위한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결과가 가정폭력의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보완하여 재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evels of violence perceived by fema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to explore the factors other than gender stereotype in multilateral aspects. To achieve this, a more fundamental means which maximizes the effectiveness through feminist approach to domestic violence and the changes to the domestic violence victim protection policies. For this study, women residing in domestic violence centers and women`s shelters in Seoul were surveyed for information and data from Apr. 15 to Jul. 22, 2016. Summary and discussions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experience in domestic violence, in average, was 1.71 points. By subcategories, `negotiation` was 2.87, `psychological violence` was 1.75, `physical violence` was 1.29 and `injury` was 1.29. The minor differences in the average values between subcategories indicate that domestic violence usually exhibit in two or more forms. Second, when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domestic violence, level of educ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domestic violence.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more experience they had in domestic violence. Based on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an be suggested to prevent and eliminate domestic violence : 1.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stereotype and domestic violence must carry on; and 2. An object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system must be built for a more effective education on domestic violence and these research results must be verified to stop domestic viol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