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동양론과 문학장의 절합

        김익균(Kim, Ig-Kyu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3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5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the relevance of Orientalism, the dominant discourse of the colonial period, goes under a change. The Orientalismof the 1950s is positioned as a complex discourse with the remaining character of colonialism, that of the East Asian discourse of the West, and also of an alternative discourse to Western civilization. This study takes a look at Orientalism as the autogenic alternative discourse of the 1950s, and at the ways it was appropriated by the literary field. Yu Young-mo and Ham Suk-hun of Sung-seo Chosun (Bible Korea) continually suggested an alternative discourse through their lectures on Eastern classics. Cho Ji-hoon and Kim Su-young then appropriated the effectsof their Eastern discourse, attempting public comments symbolic struggles within the literary field. Their object of struggle was the Eastern Lyricists, from the school of Hyundaemoonhak(Modern Literature). Kim Tan-heo, from his monastery in the Odae mountains, recruited pupils for the study of oriental classics. Kim Tan-heo had experiences of studying them as a member of the Shimjeongaebal (development of the mind) movement, aiding Bhang Han-am. Kim Jong-hu of Hyundaemoonhak goes into the monastery at this time; he had an ambition to develop poetics that developed the Shilla spirit of Suh Jung-ju. Kim’s attempt was related to the project of developing an Eastern poetics, held by Cho Young-hyun and Suh Jung-ju. The project was the countermovement to the new criticism, then becoming the symbolic capital of the academic field.

      • KCI등재후보

        문학적인 철학과 한국 지성사의 예/예외 : 한용운과 김종한을 중심으로

        김익균(Kim, Ig Kyun)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근대성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이성의 영역과 감성의 영역, 지식의 영역과 취미의 영역을 분리하고 철학과 문학/미학이 지닌 각각의 자율성을 구별하는 데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분 역시 역사의 생산물이라는 점에서 이 구분의 결정론적 성질은 제거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모든 위대한 작가는 문학과 철학의 조우를 경험하고 그 경험에 대해 남긴 ‘기록’ 즉 작품을 생산한다. 한국의 근대의 여명기와 황혼기의 정세(conjoncture) 아래에서 한용운과 김종한은 ‘문학과 철학의 조우’를 경험하고 문학적 철학 텍스트를 남겼다. 한용운은 ‘혁명가와 선승과 시인의 일체화’를 통해서 ‘통문예적’인 문학적 철학을 지성사의 과제로 남겼다. 김종한은 ‘불확실성에 대한 불확실성을 가중하는 개입’으로서 유행가요, 순수시, 아방가르드로의 이행의 경험을 통해 “말장난의 명상적 기능”으로서의 문학적 철학 텍스트를 지성사의 과제로 남겼다. 근대의 위기를 배태한 정세(들) 아래에서 이루어진 문학과 철학의 조우는 한국 근대 지성사의 풍요로운, 때로는 ‘위험한’ 과제로 남겨져 있다. One of the greatest characters of modernity is drawing a distinction between reason and sense and between knowledge and taste. Under these distinctions each discipline-philosophy, literature, aesthetics-is to gain its autonomy. However, when it is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se distinctions are the products of history, we feel a need to lift some determinedness off them. All the great writers experience some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and the experieces mark their products, their works. In Korea at the conuncture of dawn and twilight of modernity Han Yong Woon and Kim Jong Han experienced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and left the texts which could be in the boundary of the literary philosophy. Han aimed at the integration of a revolutionist, zen monk, and poet. The task he left for the history of the intellectualism is from Tongmunyje(통문예; going beyond the distinctions among disciplines) to reach after the literary philosophy. Kim embraced popular songs, pure poems, and transitional experience with avant garde in order for them to engage in increasing uncertainty about uncertainty. The literary philosophy in which playing with words also works as meditative function is the task he left in the history of the intellectualism. The convergence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which happened at the conjuncture of modern crisis is left on us as a rich but risky task for understanding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intellectualis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의 사회적 궤적과 시의 상관성

        김익균(Kim, Ig-kyun)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8

        서정주는 1940년대 전반기 자신의 시세계에 식민지 시기의 동양론을 반영하기 시작한다. 한편 해방 이후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의 시세계는 동양적 전회를 심화시키고 있다. 이처럼 동양이라는 매개는 해방 이전과 이후 서정주의 시세계가 마치 하나의 세계인 것 같은 착시를 불러일으킨다. 본 논문은 해방 이전 서정주의 시세계와 변별되는 해방 이후 서정주의 시세계의 원리를 해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동양론의 위상의 변화에 주목해 보겠다. 1940년대 전반기의 동양론은 일종의 지배 담론이었다. 하지만 해방 이후 동양론은 더 이상 지배 담론이 아니었다. 따라서 동양론에 인접해 있는 서정주의 시세계는 해방 이전과 이후 서로 다른 효과 속에 놓인다. 해방 이후 서정주의 욕망의 대상은 대학이라는 제도이다.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의 시세계에는 대안 담론이 된 동양론과 지배 담론이 된 대학이 동시에 작동한다. 해방 이후 사회의 혼란 속에서 서정주는 안정된 직장과 시인으로서의 인정을 추구하였다. 하지만 어떻게 해야 안정과 인정을 얻을 수 있는지 답을 알고 있지는 않았다. 1940년대 후반 서정주의 시세계를 해명하기 위해서 당대 혼란스러웠던 서정주의 사회적 궤적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 시세계가 동양론과 관련해서 사회주의적 절충론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을 증명하려 했다. 한편 서정주는 대학이라는 제도를 의식하여 시론을 적극적으로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서정주는 1940년대 후반의 자의식을 식민지 시기의 시에 투사하면서 일관된 시세계를 재구성하게 된다. 본 논문은 1940년대 후반기 서정주의 자의식에 의해 재구성되는 과정에서 탄생한 서정주의 시세계를 밝히고자 한다. The Orientalism of the colonial period is reflected in the poetry of Suh Jung―ju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1940s. After the Liberation and into the latter half, however, the Oriental turn is intensified in Suh’s world of poetry. This medium of the oriental, thus, is what causes thefalse impression that the world of Suh’s poetry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is one unified entity. This study aims to shed some light on the principles of the poetic world of Suh, in its distinction from the form it took before the Liberation. For this purpose, the change that the status of Orientalism went through at the time will be a key object of attention; it was no longer the dominant discourse after the Liberation. Suh’s world of poetry, therefore, in its proximity with Orientalism, was at that point put under effects different from those before the event. After the Liberation Suh’s object of desire was the university system. In the late 1940s, in the world of Suh’s poetry, one sees both Orientalism, now an alternative discourse, and the new dominant discourse surrounding the university. In the social turmoil after the Liberation, Suh pursued stable work as well as recognition as a poet. He was not aware what he should do to achieve that stability and recognition, however. To understand the world of Suh’s poetry in the late 1940s, one must, at the same time, take into consideration his social trajectory. This study attempts to prove that the world of Suh’s poetry in the late 1940s has the characteristic of a socialist eclecticism in regard to Orientalism. Meanwhile Suh actively suggested his poetics, being conscious of the system called the university, and in this process was able to restructure a world of poetry that seemed consistent, by projecting his self―consciousness of the late 1940s onto his poetry of the colonial period. This study aims to disclose the poetic world of the poet Suh Jung―ju, created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rough his self― consciousness during the late 1940s.

      • KCI등재
      • KCI등재

        서정주 중기 문학의 당대성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김익균(Kim, ig-k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55 No.-

        본 논문은 서정주의 중기 문학의 당대성을 해명하기 위한 시론(試論)적인 논의이다. 서정주의 중기 문학은 신라정신에 바탕하여, 시라는 장르를 넘어 근대소설에 대한 자의식을 매개로 새로운 문학론을 기획하는 시기의 문학이다. 서정주의 중기 문학에는 초기 문학의 중핵이었던 ‘니체적인 것’이 온존해 있는 한편 이후에 시도한 폭넓은 문학 실험을 경유하여 구축된 신라정신이 내적 특질로 (재)구축되고 있었다. 『석사 장이소의 산책』은 이러한 서정주 중기 문학이 추구해온 기획과 긴밀하게 연루되어 있다. 『석사 장이소의 산책』은 동시대의 농촌 담론과 접속하면서도 서구적 근대성에 대한 성찰 속에서 나온 니체적인 자연관에 기반하고 있기에 한국적인 생태문학의 맹아를 보여줄 수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defend their modernity by discussing the contemporariness of Seo Jeong-ju’s middle period. The works of Seo Jeong-ju’s middle period preserve the Nietzchean elements that formed the core of his early work while attempting wide-ranging literary experimentation and building on (or rebuilding) the special internal qualities of the Shilla mindset. Master Chang Yee-So’s Walk is an effective representation of these aims that Seo Jeong-ju was pursuing during his middle period. Master Chang Yee-So’s Walk is not only connected to the farming village discussion of that time, but is also based on a Nietzschean view of nature that resulted from an examination of Western modernity. As such, this book can be seen as a seminal work of Korean ecological literature.

      • KCI등재

        해방기 사회의 타자와 동아시아의 얼굴

        김익균(Kim Ik-gy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38 No.-

        본 논문은 해방기 사회의 상해에서 온 이주자 표상을 다루고 있다. 주요 대상텍스트는 「맥에의 결별」, 「악야惡夜」, 「탁류 속을 가는 박교수」, 「뺨」, 「상해에서 온 여자」이다. 동아시아의 ‘탈식민’은 구(舊)제국의 권역이 국민/민족 국가의 영토로 축소되는 경험으로 나타난다. 한반도에서 ‘해방기 사회’는 해외에서 돌아온 이주자들과 중층적인 관계를 맺는다. 이주자의 다수는 ‘전재민’으로서 민족주의가 호명하는 ‘동포’를 표상하게 된다. 하지만 전재민에 한정되지 않는 다층적인 이주자들이 존재하며, 이들은 동포이면서 동시에 ‘비조선적’인 것을 표상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복합적인 성격의 이주자 표상을 연구하기 위해 식민지 시기 코스모폴리탄의 상징이던 상해에서 온 이주자가 표상된 해방기 소설 텍스트를 분석하고 있다. 「맥에의 결별」은 ‘맥’이라는 환상 동물과 상해에서 온 이주자 표상이 동일시된다. 맥은 구일본제국의 권역에서 여행자를 보호하는 힘을 상징한다. 상해에서 온 이주자(맥)와 결별하는 서사는 탈식민기 국민/민족 국가로 축소되는 공간감각을 상징한다. 「악야惡夜」, 「탁류 속을 가는 박교수」, 「뺨」 등의 작품은 해방기 사회에서 상해에서 온 이주자 표상이 맡는 다양한 역할을 보여준다. 특히 「상해에서 온 여자」는 ‘비조선적인 것’의 관념을 총체적으로 재현하고 있다. 이들은 국제도시인 상해의 복장을 하고, 상해풍 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미군과 멋들어지게 댄스를 춘다. 해방기 사회의 ‘양갈보’는 ‘전재민’의 전락이라는 면에서 계보학적으로 인식가능했다면, 상해에서 온 여자는 미군과의 관계를 순수하게 향유하고 있는, ‘양갈보’로조차 표상할 수 없는 잔여물로 나타난다. 상해에서 온 여자는 ‘모리배’, ‘양갈보’, ‘도둑’, ‘아편쟁이’ 등의 어떤 규정도 비껴나가기에 서술자는 이들을 규정할 어떤 언어도 찾지 못한 채, 이들의 하루를 길게 재현한 후 ‘침뱉기’라는 행위로 서사를 종결짓는다. 해방기 사회의 이주자 연구는 그동안 일본과 만주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온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대체로 전재민이라는 특징에 집중되었다. 비교적 소수의 이주자가 거주했던 좁은 지역인 상해에서 온 이주자 표상 연구는 좀 더 구체적인 지역 연구의 시도이다. 상해에서 온 이주자는 해방기 사회에서 국민/민족의 타자가 갖는 중층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해방기 사회에 다양하게 존재했을 타자적인 것 혹은 동아시아의 코스모폴리탄적인 근대성이 억압되어 온 냉전의 역사로부터 벗어나는 다른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이주자 연구는 좀 더 심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concerns with the representation of immigrants from Shanghai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main texts for analysis are “Farewell to Maek”, “Evil Night”, “Professor Park going through muddy flow”, “Cheek”, “A woman from Shanghai”. The ‘Postcolonial’ process of East Asia was accompanied by the experience that made the wide sphere of Japanese Imperial be reduced to many narrow space of nation states. In Han peninsula ‘the society of Liberation Period’ was made of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with numerous immigrants from overseas. The majority of immigrants were war victims, and those represented the compatriot called by nationalism. But there were remnants who were not reckoned war victims. They also were evidently compatriots, but refered to something non-Chosuniac. This article analysed the immigrants from Shanghai as a so-called sample in order to research the complex of compatriot-immigrant people. In “Farewell to Maek” an anonymous man is identified with a imaginary animal “Maek”. This animal symbolizes the protect power of Japanese Imperial. “Evil Night”, “Professor Park going through muddy flow”, and “Cheek” show the various role which the immigrants from Shanghai took. Especially, “A woman from Shanghai” represents the idea of ‘non-Chosuniac’. The research about immigrants in the Liberation Period hitherto focused on their aspect as war victim. By means of outcome which this study made, this research field may be widened and more or less be concreter. Immigrants from Shanghai materialized the multilayer character of the Other excepted from nation. To escape from the paradigm of cold war which excepted the various character of Otherness in East Asia, we might have to deepen this research about those immigr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