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층각막이식술을 받은 5세 이하 환아들의 수술 성적

        김용우,최혁진,김미금,위원량,유영석,오주연.Yong Woo Kim. MD. Hyuk Jin Choi. MD.. Mee Kum Kim. MD. Won Ryang Wee. MD.Young Suk Yu. MD. Joo Youn Oh. MD 대한안과학회 2013 대한안과학회지 Vol.54 No.5

        Purpos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outcomes of primary pediatric keratoplasty. Methods: Records of patients who underwent penetrating keratoplasty at the age of 5 years or younger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survival rates of corneal graft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causes of graft failure were evaluated. Results: A total of 31 penetrating keratoplasties were performed in 29 patients, two of which were bilateral.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78.72 ± 8.94 months. The overall graft survival rate was 51.61%. The graft survival rate was 77.4% at 6 months, 61.3% at 12 months, 57.5% at 2 years, and 49.5% at 5 years after the surgery (the median survival time, 39.2 months). The main surgical indications included sclerocornea (35.5%), followed by Peter’s anomaly (25.8%) and congenital glaucoma (9.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ft survival time among the surgical indications, of which sclerocornea was the worst (p = 0.003). The main cause of graft failure was rejection (46.7%), followed by infection (26.7%) and primary endothelial decompensation (20%). When patients were sub-grouped according to age (under 12 months, between 12 to 48 months, and over 48 month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ft survival time (p = 0.037) but not in overall graft survival rate (p = 0.154). Graft rejec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between 12 to 48 months of age compared to other age groups (p = 0.016). Three out of 13 graft infections occurred in patients under 12 months of age. Conclusions: The type of disease causing corneal opacity was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the clinical outcomes of penetrating keratoplasty in children.

      • KCI등재

        The Effects of Storage of Human Saliva on DNA Isolation and Stability

        김용우,김영구,Kim, Yong-Woo,Kim, Young-Ku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2006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1 No.1

        최근 진단분야에 있어서의 가장 획기적인 진보로는 향상된 진단 술식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들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면역 화학물질과 분자생물학적 시약의 활용도가 증가되고 이와 더불어 진단용 기구의 수준 향상으로 가능해진 미세 술식의 발달에 따른 결과이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임상검사용 검체 뿐만 아니라 DNA의 공급원으로서의 타액의 진단학적 가치를 고려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체의 타액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이를 혈액 및 협점막 swab에서 분리한 genomic DNA와 비교 검토해 봄으로써 타액 검체의 진단학적 활용도를 살펴보고, 타액 검체의 다양한 보관 과정이 genomic DNA의 분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되었으며, 또한 분리된 genomic DNA의 안정도를 살펴보고자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법을 이용하여 $\beta$-globin 유전자의 증폭을 시행하였다. 10명의 피검자(평균 나이: $29.9{\pm}9.8$ 세)를 대상으로 혈액, 비자극성, 자극성 전타액 및 협점막 swab을 채취한 후 이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하였다. 여러 다양한 보관조건이 genomic DNA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20명의 피검자(평균 나이: $32.3{\pm}6.6$ 세)를 대상으로 자극성 전타액을 채취하여 실온, $4^{\circ}C$, $-20^{\circ}C$, $-70^{\circ}C$, 자연 건조 및 동결 건조 상태에서 1, 3, 5 개월 동안 보관한 후 genomic DNA를 분리, 조사하였으며, 분리된 genomic DNA의 안정도를 살펴보고자 중합효소 연쇄반응 분석법을 이용하여 989-bp의 $\beta$-globin 유전자를 증폭한 후 전기영동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타액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혈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타액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극성 전타액과 이를 동결 건조한 검체에서 분리한 genomic DNA의 순도는 혈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협점막 swab으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 의 순도는 타액의 경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5). 2.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1 개월 후부터 점차적으로 감소되었으며, 3 개월과 5개월 동안 보관한 타액 검체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각각 p<0.05, p<0.01). DNA의 순도 또한 점차적으로 감소되어 3 개월과 5 개월 동안 보관한 타액 DNA의 순도는 신선한 타액과 1 개월 동안 보관된 타액 검체의 순도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3. 타액 검체를 $4^{\circ}C$와 $-20^{\circ}C$에서 보관한 후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3 개월의 보관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보관 기간 5 개월 후의 검체에서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4. 타액을 $-70^{\circ}C$에서 보관한 검체와 동결 건조한 후 보관한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의 농도는 보관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보관 후 5 개월 후의 검체에서는 DNA의 농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5. 타액을 자연 건조한 후 즉시 genomic DNA를 분리한 결과, 신선한 타액에 비하여 약 60%의 DNA를 얻을 수 있었다. 자연 건조한 후에 실온에서 보관한 타액 검체로부터 분리한 genomic DNA 농도는 보관 2 주 만에 급격하게 감소되었다(p<0.05). 6.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을 이용한 $\beta$-globin 유전자의 증폭은 동결 건조한 후 보관한 타액의 경우 보관 기간 5 개월까지의 모든 검체에서 가능하였으며, 보관 기간 1 개월을 기준으로 보았을

      • KCI등재
      • 3 차원 대피 유도 방안 설계 및 구현

        김용우(Kim, Yong-Woo),이창영(Lee, Chang-Young),김도현(Kim, Do-Hye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최근 실시간 상황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상황 정보를 파악하여 필요한 행위를 제안하거나 수행 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특히 대중 시설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람들에게 위험 상황을 알 리거나 대처 행위를 위한 안내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고립된 다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최대한 빠른 탈출 경로를 제시하고 3차원 대피 유도 방안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건물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건물 층 정보 입력 모듈, 건물 내부의 유도등, 비상구등을 표시하는 건물 노드 입력 모듈, 이 노드 간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연결 정보 생성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제시한 3차 원 대피 유도 방안으로 건물 어느 층에서나 현재 건물의 상태 정보를 알아내어 최종 탈출구로의 올바 른 유도 경로를 표시 할 수 있다.

      • 증폭원리를 이용한 인치웜 스테이지의 변위특성 연구

        김용우(Yong Woo Kim),김은영(Eun Young Kim),최수창(Soo Chang Choi),이득우(Deug Woo Lee) 한국생산제조학회 2007 한국공작기계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

        Currently, piezoelectric actuators which have attractive features such as high output force, high positioning resolution, high stiffness and quick response have been used in many ultra precision stages. But their positioning ranges are very small. This very limited displacement severely restricts the actuator's immediate implementation for long-range positioning. This paper shows an inchworm type stage with hinge structures as lever mechanism for nanometer resolution with large dynamic range and studies on characteristics of it. The inchworm stage has hinge structure levers which can shift their support point position. And it can amplify/reduce output displacement using mechanical advantage with a lever. The inchworm stage which has 3.6, 1.6, 0.8, and 0.4 lever ratios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As the results of simulations, the larger lever ratio is, the smaller stiffness of lever portion is. As the results of experiments, when 100V voltage is inputted into the inchworm stage, output displacement of each lever ratio (3.6, 1.6, 0.8, and 0.4) is 72.8㎛, 32.5㎛, 25.1㎛ and 16.4㎛. We could confirm displacement amplification, or decrease by lever ratio. Hysteresis of stage could present that grow according as lever-rate rises and that change greatly according to pre-load of PZT at stage assembly.

      • KCI등재

        이완에 따른 EEG 코히런스 변화에 대한 연구

        김종화 ( Jong Hwa Kim ),황민철 ( Min Cheol Whang ),우진철 ( Jin Cheol Woo ),김치중 ( Chi Joong Kim ),김용우 ( Young Woo Kim ),김지혜 ( Ji Hye Kim ),김동근 ( Dong Keun Kim ) 한국감성과학회 2010 감성과학 Vol.13 No.1

        본 연구는 이완에 따른 뇌 영역간의 연결성을 코히런스 분석방법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기존의 이완유발에 따른 뇌 활동 변화는 EEG 스펙트럼 분석방법을 사용하여왔다. 하지만 스펙트럼 분석방법으로는 측정영역에서의 반응만을 관찰할 수 있고, 뇌 영역간의 연결성을 분석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측정점 사이의 연결성을 관찰할 수 있는 코히런스 분석방법으로 이완에 따른 뇌 영역 간의 연결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감성 변화에 따른 중추신경계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은 2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눈을 감고 이완음향을 듣도록 지시하고 8개의 위치에서 EEG를 측정하였다. EEG측정위치는 국제적인 10-20법에 의거한 F3, F4, T3, T4, P3, P4, O1, 그리고 O2지점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음향은 White noise를 혼합한 음향과 혼합하지 않은 음향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이완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주관적 감성을 함께 측정하였다. 주관적 감성 응답은 ANOVA(Analysis of Variance)하였다. 음향을 들었을 때 실제로 이완효과가 발생하며, White noise가 이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EEG는 측정영역 사이의 코히런스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White noise를 혼합한 음향과 혼합하지 않은 음향을 들었을 때의 코히런스 결과를 t-test하여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White noise를 혼합한 음향에서 후두엽과의 연결성이 증가하였고, White noise를 혼합하지 않은 음향에서는 두정엽과의 연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이완일 때의 뇌 기능 연결성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 of connectivity between brain positions caused by relaxation through EEG coherence. EEG spectrum analysis method has been used to analyze brain activity when relaxation was experienced. However, the spectrum analysis method has a limit that could not observe interactive reaction between brain-functional positions. Therefore, coherence between positions was analyzed to observe connectivity between the measurement positions in this study. Through the method, the reaction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aused by the emotion change was observed. Twenty-four undergraduates of both genders(12 males and 12 females) were asked to close their eyes and listen to the sound. During experiment, EEG was measured at eight positions. The eight positions were F3, F4, T3, T4, P3, P4, O1, and O2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10-20 system. The sounds with white noise and without were used for relaxation experience. Subjective emotion was measured to verify whether or not they felt relaxation. Subjective emotion of participants were analyzed by ANOVA method(Analysis of Variance). In the result, it was proved that relaxation was subjectively evoked when participants heard sound. Accordingly, it was proved that relaxation could be enhanced by the mixed white noise. EEG coherence between the measurement positions was analyzed. T-test was performed to find it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laxation and not-relaxation. In the results of EEG coherence, connectivity with occipital lobes has been increased with relaxation, and connectivity with parietal lobes has been increased with non-relaxed state. Therefore, brain connectivity has shown different pattern between relaxed emotion and non-relaxed emotion.

      • KCI등재

        생쥐의 망막혈관 발생 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 및 혈관주위세포의 네스틴 발현 분석

        김진수(Jin Soo Kim),박성욱(Sung Wook Park),황인영(In Young Hwang),김용우(Yong Woo Kim),김진형(Jin Hyoung Kim),김정훈(Jeong Hun Kim)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3

        목적: 신경계 줄기세포 표지자인 네스틴은 망막 발생 과정에서 뮬러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망막혈관 발달에서 네스틴의 역할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망막혈관 발생 과정에서 네스틴의 발현에 대해 분석하고, 어떠한 세포가 네스틴의 발현과 연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C57BL/6 생쥐의 안구를 생후 4일, 8일, 12일, 16일, 26일째 적출하였다. 면역화학염색법을 이용하여 망막 발생 과정에서 네스틴의 발현과 혈관내피세포(이소렉틴 B4 염색), 혈관주위세포(신경-아교세포 항원 2 염색), 그리고 성상교세포(아교섬유산성단백질 염색)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네스틴은 생후 4일째 신경절세포층부터 망막모세포층에 걸쳐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생후 8일부터 16일까지는 신경절세포층의 위경계선에서 외과립층까지 수직으로 뻗어 있는 양상이었다. 생후 26일에는 네스틴의 발현이 감소되어 신경절세포층과 내과립층에 국한되어 있었다. 또한 모든 망막 발생 단계에서 망막혈관과 유사한 모양으로 발현되는 네스틴이 관찰되었는데, 특히 생후 4일부터 16일까지는 네스틴의 발현과 망막혈관이 완전히 어우러지는 양상이었다. 또한 네스틴의 발현은 혈관주위세포와 부분적으로 어우러졌으나 성상교세포와는 어우러지지 않았다. 결론: 생쥐의 망막혈관 발달 과정에서 혈관내피세포와 혈관주위세포에서 발현되는 네스틴은 혈관내피세포와 혈관주위세포 사이에서 중간자 역할을 함으로써 혈관 발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Nestin, a marker of neural stem cells, is expressed in M&uuml;ller cells during retinal development. However, the role of nestin in retinal vascular development is not well established. Thus,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nestin in developmental mouse retina and identified which retinal cells are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nestin during the retinal vascular development. Methods: Eyes were enucleated from C57BL/6 mice on postnatal day (P) 4, P8, P12, P16 and P26. Immunofluorescence was used to evaluate nestin expression in relation to endothelial cells (isolectin B4), pericytes (neural/glial antigen 2) and astrocytes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Results: Nestin was strongly expressed from the ganglion cell layer to retinoblast layer at P4. At P8, P12 and P16, the expression of nestin was observed from the upper border of the ganglion cell layer, and vertically penetrating to outer nuclear layer. At P26, the expression of nestin was decreased and confined to the ganglion cell layer and inner nuclear layer. Interestingly, there was strong vascular shape expression of nestin at all stages. The superficial, deep and intermediate vascular plexus was completely merged with nestin expression at P4, P8, P12 and P16. In addition, the nestin expression merged with pericytes but not with astrocytes. Conclusions: Nestin was expressed in endothelial cells and pericytes during retinal vascular development in the retina. These results suggest that nestin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mental angiogenesis via interplay with endothelial cells and pericy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