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화교육을 통한 영어 지도 연구

        김연진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f Teaching English through Culture Education Kim, Yeon-Jin Major in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suk University Language and culture have been integrated and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So, we should learn not only language but also the culture of the society where it is spoken to communicate with foreigners successfully and fluently.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learn culture through English textbooks as one of the essential parts of English education as we have learned English in EFL situation of Korea. Therefore, I analyzed cultural contents in the 9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for the third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13th topic such as art and literature showed the highest ratio of 12.75% among 19 topics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nglish education released in 2009 . But there were no contents of the 17th topic such as patriotism, peace and reunification. Second, there were various cultural contents in the revised textbooks. It is considered very helpful in increasing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 in English to learn and understand various cultures. Third, 13 textbooks of 14 included cultural contents in the supplementary 'culture tips' section. But some of the textbooks included just questions and asked students to search the culture for themselves on the internet. They showed the lack of cultural contents and it is necessary to make up for better and more interested culture tips to motivate students. Fourth, the result from study of culture types showed 27.27% of material culture, 32.72% of behavioral culture and 40.00% of spiritual culture which takes top of the rank.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language and culture should be integrated and taught together in teaching students English and that culture contents of textbooks be developed systematically based on the national policy. Also, it is necessary that teachers realize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get training courses about culture education and explore various culture contents for culture education.

      • 봉산탈춤과 처용무에 내재된 구나성(驅儺性) 연구

        김연진 成均館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이 논문은 “봉산탈춤과 처용무에 내재된 구나성”에 관해 탐구하였다. 구나(驅儺)는 역귀를 몰아내는 일 또는 그를 위한 의식행위를 말한다. 봉산탈춤과 처용무는 역귀를 몰아내는 의식으로 연행된 ‘가면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봉산탈춤과 처용무에 내재된 구나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춤에 사용된 가면, 복식 그리고 춤동선 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봉산탈춤과 처용무의 기원과 변천과정에 관한 역사적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밝히고, 춤의 동선과 몸의 움직임에 대한 탐구는 문헌과 영상자료 등을 종합하여 분석하는 것이 요구된다. 첫째, 봉산탈춤은 전체7과장 중 1과장의 사상좌춤, 2과장의 팔목중춤, 4과장의 노장춤의 가면과 복식의 색을 통해 오행의 상징성을 부여하여 인물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사상좌는 탄생과 무(無)의 상태를 의미하며, 봉산탈춤의 시작을 알리고 사방신에게 예를 갖추고 무사를 기원한다. 4명의 상좌들은 사계절을 나타내며, 사방대형에서 상대, 상배하며 배례하는 모습은 음양오행의 순환원리를 통해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것을 나타낸다. 우리는 이것을 통해 사상좌춤의 구나성을 발견할 수 있다. 팔목중과 취발이의 가면은 붉은 색을 띄는데, 붉은색은 양기의 색으로 불을 상징하며 음기인 귀신을 물리친다는 음양론에 근거한다. 팔목중의 청·적·황·흑·백을 포함한 오방 정색과 간색의 배치는 만물의 조화를 표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액을 피하고 복을 받고자하는 벽사진경의 염원이 담겨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노장의 가면과 복색은 검정색을 띄는데, 검정은 음(陰)의 색으로 수(水)에 해당하며, 겨울을 상징한다. 봉산탈춤의 춤동선에 내재된 구나성은 사상좌춤의 춤대형과 팔목중춤의 춤구조를 통해 나타난다. 사상좌춤은 한 원에서 출발하여 다시 그 원으로 돌아가는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1과장에서 색과 복식을 통해 찾을 수 있는 벽사적 기능이 춤의 대형을 통해서도 드러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팔목중춤에서 구나성은 첫 목중을 시작으로 여덟 명의 목중들이 한 명씩 차례로 등·퇴장하는 춤의 구조와 팔목중들이 뭇동춤을 추며 원으로 회무(回舞)하여 퇴장하는 구조의 자연 순환성에서 드러난다. 말하자면, 팔목중춤은 첫 목중이 등장한 다음 뒤이어 차례대로 나머지 목중들이 등장하는 1:1구조를 보여주다가 마지막에 뭇동춤을 추며 회무(回舞)하며 퇴장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팔목중들의 회무는 처용무에서 발견되는 자연모방 순환을 기초로 하는 구나성을 공유하고 있음을 대변한다. 둘째, 처용무에 내재된 구나성은 가면과 복식 그리고 춤동선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처용 가면의 구나성은 붉은 색깔, 사모에 달린 복숭아와 복숭아 가지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처용무의 오방색 복식은 오행사상을 표현하고 있으며, 우리 춤에 투영된 오행사상이 벽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구나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차용무는 황을 중심으로 청 · 적 · 황 · 흑 · 백의 다섯 처용이 원에서 시작하여 원으로 돌아가는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원형으로 시작하여 원형으로 끝나는 처용무의 이러한 구조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순환을 보여준다. 처용무는 자연에 순응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섭리가 내포되어있으며, 오행의 질서 속에서 상생하고 상극하는 관계를 보여준다. 처용무는 가면과 복식에서 뿐만 아니라 춤의 구성 형식까지 벽사진경의 염원이 내포되어 추어진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봉산탈춤은 단옷날이나 중국 사신을 영접할 때 추던 춤이며, 처용무는 섣달그믐 나례 때와 잔치를 끝낼 때 주로 추던 춤이다. 벽사진경은 사귀를 쫒고 경사로움을 맞이하는 것인데, 나례는 그 축귀의례의 명칭이다. 봉산탈춤과 처용무는 구성형식 또한 순환하는 종시를 형상함으로서 벽사진경의 염원을 모방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봉산탈춤과 처용무의 춤동선에 나타나는 자연의 순환구조가 춤의 중요한 양식으로서 구나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 핵융합 수소동위원소의 우라늄 흡탈장 반응 특성

        김연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orage and delivery system depleted uranium (DU) bed has to be able to store hydrogen isotopes used as nuclear fusion fuel safely and supply them rapidly to a nuclear fusion power plant. A DU bed should be kept in a vacuum state at the room temperature (25 ℃) because it has excellent reactivity with other gases, and the maximum amount of absorbable hydrogen is 852 Torr at room temperature. In this study, one designed to store hydrogen isotopes was manufactured and tested using various verification procedures where the required tritium accountancy measurement limit was less than 1%. The DU bed was activated by heating to a high temperature and then powderized by hydriding. After this process, preparation of the storage material was completed. The DU bed was tested using chemical reaction, hydriding, dehydriding, decay heat simulation, and internal hydrogen pressure.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DU bed during hydriding and dehydriding were measured to confirm the reaction between DU and hydrogen as well as its effect. Moreover, the experiments proceeded in the form of direct transfer of hydrogen without a pump. As a result of the hydriding experiments, the stoichiometric maximum capacity of hydrogen can be stored due to the affinity between it and DU. Furthermore, the generated reaction heat during hydriding was approximately 90 ℃. Dehydriding was performed under various heating conditions without a preheating process. As the heat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proportion of the dehydriding increased until over 85%, even without pumping. In the case of dehydriding where the DU is heated to 422 ℃, a slight pressure overshoot was observed at the beginning of the process. Pressure was measured while heating the primary bed at various temperatures in order to prevent damage to the container due to pressure exceeding the design pressure. An in-bed calorimeter was used to simulate the tritium decay heat and the flow rate measurements were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values. Through our experimentation, w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parameters for the DU bed via hydrogen isotope hydriding and dehydriding, and obtained new model equations applicable to this experimental apparatus. 핵융합에너지의 원료로 사용되는 수소동위원소를 저장하기 위하여 SDS DU (Storage and Delivery System Depleted Uranium) 베드를 설계하였으며, 본 용기를 제작하여 시운전하였다. DU 베드는 수소동위원소를 안전하게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핵융합발전장치로 빠르게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따라서 다양한 검증을 거쳐 제작되었으며, 제작절차를 상세히 기록하였다. 이 때, 삼중수소 계량오차범위는 ±1%, 장치 내 가스 온도 측정 오차범위는 ±0.1%로 높은 정확도를 요구한다. 제작이 완료된 DU 베드는 우라늄과 기체와의 화학반응, 우라늄 하이드라이드 흡장과 탈장, 인 베드 열량계를 통한 붕괴열 모사, 온도에 따른 용기 내부 수소압, 흡장 및 탈장 등을 통해 성능을 평가하였다. DU는 시험의 초기조건인 상온(25 ℃)에서 타 기체와의 반응성이 뛰어나 DU가 포함되어 있는 일차용기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야 하며, 상온에서 최대 흡장 가능 수소량은 852 torr이다. 고온가열을 통해 DU용기를 활성화하였으며, 1회~3회에 걸친 흡장과정에 의해 DU는 미분화되어 저장재로서의 준비를 마쳤다. DU와 수소와의 반응과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흡장과 탈장 과정 중의 DU 베드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펌프가 없는 수소 직접 이송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흡장 실험 결과, 저장재인 DU와 수소와의 친화성 덕분에 화학양론적 최대용량의 수소를 저장할 수 있었으며, DU와 수소의 화학반응 중 발생하는 반응열로 인해 베드 온도가 90 ℃까지 증가하였다. 탈장은 예열과정 없이 다양한 가열조건하에서 진행되었다. 가열 온도가 증가하면, 수소 탈장 비율도 증가하며, 펌프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최종적으로 85%이상 탈장되었다. 탈장 시, DU를 422 ℃로 가열하였으며, 일차용기에서 약간의 압력 오버슈트가 관찰되었다. 설계압력을 초과하는 압력에 의한 용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온도로 일차용기를 가열하면서 압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베드 열량계를 이용하여 삼중수소 붕괴열을 모사하였으며, 유량 측정값을 계산 값과 비교하였다. 수소동위원소 흡장 및 탈장실험의 수치 모델링 연구를 통해서 설계 파라메터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본 실험장비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모델식을 얻을 수 있었다.

      • 호주영어 단모음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김연진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호주영어 단모음의 특징을 음성학적인 측면에서 분석하고 미국영어, 영국영어와 비교, 기술하는 데 있다. 우선 호주영어와 가장 많은 유사점과 동시에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RP(General RP)와 호주 영어의 발음을 비교함으로써 호주 영어의 발음 특징을 좀 더 명확히 규명하여 호주 영어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미국영어 모음의 포먼트 값은 양병곤 교수가 제시한 미국 남성의 포먼트 값을 기준으로, 영국영어 모음의 포먼트 값은 Gimson이 제시한 값을 선정하였다. 미국영어의 전설모음은 /i, ɪ, e, ɛ, æ/ 이고 영국영어의 전설모음은 /i, ɪ, ɛ, æ/로 분류되고 호주의 전설모음은 /i, ɪ, ɛ, æ, a, ʌ/이다. 미국영어나 영국영어에서는 중설과 후설로 취급하는 /a, ʌ/가 전설모음으로 분류되어있다. 이처럼 호주 영어는 두드러진 전설성을 띄고 있다. 호주영어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구강을 좁혀서 말할 수 있는 폐쇄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호주 원어민 화자들의 전설모음 /i/, /ɪ/, /ɛ/, /æ/ 의 F2 값을 보면 미국영어나 영국영어보다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어 뒤쪽에서 조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영국영어에서 후설모음으로 분류된 /a/와 /ʌ/의 F2값은 다른 전설모음들(/ i, ɪ, ɛ, æ/ )보다도 높은 포먼트 값을 보여주며 전설성을 지니고 있다. 후설모음의 F2 수치는 영국영어와 미국영어 사이의 중간정도이다. 중설음과 후설음의 /ɔ/와 /ʊ/를 제외한 모든 호주영어 모음의 F1 값은 미국영어나 영국영어에 비해 높은 편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Australian, American, and British short vowels through formant analysis. For this study, three native Australian high-school boys whose parents are also native Australian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In this production test of English vowels, 12 vowels/i, ɪ, ɛ, ?, a, ʌ, ɜ, ə, ɒ, ɔ, ʊ, u/were used as test materials. The results shows that the real F2 value of the front vowels of native Australians are lower than those of American or British front values. Which means that they are articulated at the rear of the front part of the tongue which is closed to the central part of the tongue. Interestingly, /a/ and /ʌ/ which were distinguished as the back vowels in British pronunciation have higher F2 values compared to other front vowels. As a result, /a/ and /ʌ/ have been classified as the front vowels in this experiment.

      • 한국 성인의 우울증 진단 경험에 따른 비만과 식이섭취의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성인의 영양소 및 식품군 섭취량을 중심으로

        김연진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울증은 경쟁적인 사회에서 흔히 발병하는 질환 중 하나로, 불규칙한 식사나 폭식의 성향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우울증의 대상자는 비만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여겨져 식품 선택 및 섭취량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우울증 진단 경험에 따른 비만과 식이섭취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의 4-6기(2008-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4~6기(2008~2014년)의 총 대상자 61,379명 중 소아, 청소년 14,620명을 제외하였고, 검진, 설문, 영양조사를 모두 참여하지 않았거나, 비만 및 우울증 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경우, 식이조사에서 에너지 섭취량 기준(남성 800kcal ~ 4,000kcal, 여성 500kcal ~ 3,500kcal)을 초과하는 경우를 제외하여 최종 35,839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비만은 성별, 연령, 결혼 상태, 교육 수준, 직업, 가구 총 소득, 거주지 크기, 우울증의 유무, 스트레스 인지 정도, 음주상태, 수면시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비만군은 정상체중군 대비 탄수화물을 적게 섭취하였고, 단백질, 조섬유, 인, 나트륨, 칼륨, 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의 섭취가 많았으며, 우울증 진단 경험이 있는 비만군은 티아민의 섭취가 높았다. 또한, 전체 대상자의 비만군은 황색 채소, 적색 과일 등을 적게 섭취하였고, 면류, 채소류, 김치류, 어패류, 유지류 등을 많이 섭취하였으며, 우울증 진단 경험이 있는 비만군은 유제품류를 적게 섭취하였고, 돼지고기 및 부산물, 유지류 등을 많이 섭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같은 비만군이더라도 전체 대상자와 우울증 진단 경험이 있는 대상자 간의 섭취한 식품과 섭취량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점점 더 발전하는 현대사회에서 필연적으로 공존하는 두 질병의 유병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밀접한 연관이 있는 식이 요인과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시급하지만 국내외에서 우울증 진단 경험에 따른 우울증과 식이와의 관련성을 연구한 자료는 매우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시행되어 정신적인 측면에서 한국인의 비만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식이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활동이 만 2세반 영아의 식습관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김연진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식재를 활용한 오감활동이 식습관과 정서지능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입증하고 이후 식재료를 통한 오감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기초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활동이 영아의 식습관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활동이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 S구에 소재하고 있는 I어린이집의 만 2세 영아 14명과 K어린이집 만 2세 영아 1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배정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집단 영아 14명은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영아 14명은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영아의 식습관 검사 측정도구는 김두례(2001)가 개발한 것으로 식사 행동, 식사위생, 식사태도로 구성되어 있다. 영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Salovey와 Mayer(1997)의 정서지능 개념 모형을 바탕으로 김경희(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만 2세 영아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최은희(2011)의 영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하위요인으로는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를 포함한다. 자료는 SPSS 1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t 검증과 ANCOVA 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활동은 식습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과 표준보육과정을 적용한 비교집단 간에 식사행동, 식사위생, 식사태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보다 높았다. 둘째,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활동은 정서지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보면 영아의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과 표준보육과정을 적용한 비교집단 간에 정서지능 하위개념인 ‘자기정서의 인식 및 표현’, ‘감정조절 및 충동억제’,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의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또래와의 관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집단간의 점수가 비교집단의 점수보다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활동이 식습관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기초로 보육현장에서 식재료를 활용한 오감 활동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effect of five sensory activities through food ingredients on eating hab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n to prepare basic data to plan the program for five sensory activities using food ingredients. The research problems based on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five sensory activities using food ingredients on the infant's eating habits? 2. what is the effect of five sensory activities using food ingredients on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14 infants in the age of 2 in I daycare center, which is located in S-gu, Seoul, and other 14 infants infants in the age of 2 in K daycare center, which is also located in S-gu Seoul,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14 infants who are i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five sensory activities using food ingredients, while 14 infants in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ctivities based on the standardized daycare process. The measurement tool to verify the infant’s eating habits used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by Kim Du-rye (2001) and consists of eating behavior, eating hygiene, and eating attitude.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infant,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as used and i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be suitable for 2-year-olds by Choi, Eun-Hee(2001), who made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teachers, which Kim, Kyung-Hee(1998) developed based on Salovey and Mayer’s(1997) emotional intelligence concept model. The sub-factors ar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lf-emotion', 'control of emotion and suppression of impulse', 'use of self-emotion', 'awareness and consideration of others' emotion’,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peer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with data by t–test and ANCOVA test using SPSS 16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sensory activity using food ingredi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eating habits. In terms of sub-area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ating behavior, eating hygiene, and eating attitude between the control experiment alone group,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Second, five sensory activity using food ingredi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Specificall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sub-sca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ar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lf-emotion’, ‘emotion control and impulse suppression’, ‘usage of self-emotion’, 'awareness and consideration of others' emotion’,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peers'. Also,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the five sensory activities using food ingredients have a positive effect on infant’s eating habit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infant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eating habits and develop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the developed a program of five sensory activities using food ingredients.

      • 청소년 운동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른 부모동기분위기와 실패내성의 차이

        김연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arent – 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and failure tolerance according to goal orientation of youth elite athletes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purpose of the study, 585 athletes belongs to Gwangju, Jeonnam, Seoul, Gyeonggi, Daegu, Gyeong󰠏nam, Chungbuk and Gangwon were surveyed and a total of 559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of task and behavior after failur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school grade, experience of win a prize).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high scores in both variable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 󰠏 factors of parent – 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according to goal orientation of youth elite sports player. The learning enjoyment climate of the parent –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reflecting the task orientation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with EH󰠏TH(high ego, high task). And the worry 󰠏conducive, success without effort climate reflecting ego orientation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with EH󰠏TL(high ego, low task).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ub 󰠏 factors of failure tolerance according to goal orientation of youth elite sports player. The EH󰠏TH(high ego, high task) showed the highest score in all of the sub factors of failure tolerance. In addition, high ego orient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failure tolerance rather than both lower ego and task orien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trends that ego orientation should be avoided for the players.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level of goal orienta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two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ego and task) can coexist within an individual without being separated. In addition, the subjective concept of parent influence was measured as a parent󰠏initiated motivational climate, which proved that the athlete'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the parents. It is worthwhile to prove the influence of parents on a new point of view Therefore, the goal orientation of the athlete concerned with the parents is also related to the failure tolerance which are required ability for them, so that the role of the parent should be treated as important for the youth athletes who have not yet established values or personality trait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소년 운동 선수들의 성취목표 성향에 따라 부모동기분위기와 실패내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경기・충북・강원・광주・전남・대구・경남 소재의 체육 중학교 및 고등학교 소속의 선수 5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5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다변량 분석(MANOVA), 사후분석(Tukey),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학교 급, 입상유무)에 따라 실패 후 행동과 실패 후 과제 선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두 변인 모두에서 중학생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 운동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라 부모동기분위기와 하위 요인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동기분위기 중 과제 성향을 반영하는 배움󰠏즐거움 동기분위기는 과제성향도 높고 자아성향도 높은 그룹에서 가장 높았고 자아 성향을 반영하는 걱정󰠏유발 동기분위기와 노력 없는 성공 동기분위기는 자아성향이 높고 과제성향이 낮은 그룹에서 가장 높았다. 셋째, 청소년 운동 선수의 성취목표 성향에 따라 실패내성의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성향과 과제성향이 모두 높은 그룹이 실패내성 하위요인 모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한 과제성향과 자아성향 모두가 낮은 것보단 자아성향이라도 높은 것이 실패내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자아 성향이 선수들에게 지양되어야 할 것이라고 여겨져 온 기존의 연구 동향과는 다른 결과를 보였다. 셋째, 배경변인(학교 급, 입상유무)에 따라 실패 후 행동과 실패 후 과제 선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두 변인 모두에서 중학생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2가지 성취목표성향이 이분법적으로 나뉘지 않고 개인 내에서 공존할 수 있다는 것을 바탕으로 자아성향과 과제성향을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부모의 영향력이라는 주관적인 개념을 선수가 인지한 부모동기분위기라는 변인으로 측정하여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부모의 성취목표성향과 상당한 관련성이 있음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관점으로 부모의 영향력을 증명했다. 이와 같이 부모와 관련이 있는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선수로서 갖춰야 할 실패내성이라는 역량과도 관련이 있기 때문에 아직 가치관이나 성격적 특성이 정립되지 않은 청소년 운동선수들에게 있어서 부모 역할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문제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