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 시대의 온라인 어린이 예배에 대한 연구: 실시간 쌍방향 화상 예배를 중심으로

        오현주(Hyun Joo Oh),홍경화(Kyungwha Ho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1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0

        본 연구는 코로나 19 시대의 온라인 어린이 예배 중 어린이 실시간 쌍방향 화상 예배(줌 예배)에 초점을 둔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줌 예배의 시행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를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어린이 줌 예배를 안정적으로 실시하는 S 교회를 사례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S 교회의 목회자, 교사, 학부모를 포함한 11명의 참여자에 대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줌 예배 실시 현장을 관찰하였으며, 그 외에도 문서, 영상 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S 교회는 코로나 19 상황이 장기화함에 따라 동영상 예배에서의 단점이 부각되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어린이 줌 예배를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이 언급한 줌 예배의 장점으로는 실시간 쌍방향 의사소통과 상호 작용이 가능하다는 점, 줌 예배가 현장 예배와 가장 비슷하게 진행된다는 점, 또한 줌의 소회의실 기능을 통해 교사와 어린이가 함께하는 분반 공부가 가능하다는 점 등이 있었다. 단점으로는 줌 예배의 진입장벽이 높고, 예배에 참여하는 모든 사람이 각자의 개인 장비가 필요한 점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와 함께 함의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is a case study of children’s real-time interactive video worship (Zoom worship)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Zoom worship is conducted in children’s ministry. For this, the children’s ministry of S Church, known for doing effective online children’s ministry during COVID-19, was studied in depth. Eleven participants including pastors, teachers, and parents of S Church were interviewed. An observation of the church site conducting Zoom worship was also made. In addition, documents, and videos of worship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urch transitioned to Zoom worship because the disadvantages of video worship became apparent as the COVID-19 pandemic prolonged. The advantages of Zoom worship included real-time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similarity to on-site worship. In particular, small group Bible study was possible due to the breakout room function of Zoom. The disadvantages included a high entry barrier for Zoom worship and the necessity of personal equipment for worship.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 KCI등재

        학령전기 자녀를 둔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기독교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송이(Song Yie Han),홍경화(Kyungwha Hong)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3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학령전기 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기독교인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 경험과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14명이었으며,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43개의 개념, 60개의 하위범주, 3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핵심 범주는 ‘엄마로서의 자신의 한계를 마주하며 대처해 나감’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가 가중되는 과정은 ‘양육과 관련한 요구들이 엄마의 안녕을 위협하는 한계를 경험함’, ‘자신의 한계를 넘는 양육적 부담을 감당하려 함’, ‘아이에게 감정이 폭발함’, ‘엄마로서의 죄책감과 무력감에 휩싸임’ ‘신체적으로 정서적으로 소진됨’으로 나타났고, 완화되는 과정은 ‘양육과 관련한 요구들이 엄마의 안녕을 위협하는 한계를 경험함’, ‘효율적으로 대처함’, ‘너그러워짐’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양육스트레스 경험을 사회문화적인 관점과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주체인 어머니의 경험적 관점에서 균형 있게 바라보게 하였다는 것이며, 또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요인들이 서로 어떠한 상호작용을 거쳐, 시간적 순서에 따라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확인하여, 학령전기 자녀를 둔 기독교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경험을 이론화 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사회적 교류가 제한된 상황 속에서 어머니들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parenting stress experiences and parenting stress factors for Christian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high parenting stress. Fourteen Christian mothers raisi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to six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 143 concepts, 60 subcategories, and 32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re category was ‘facing and coping with their own limitations as a mother.’ ‘parenting stress increased through the process of experiencing,’ ‘limitations of parenting-related demands threatening the well-being of the mother,’ ‘parenting burden beyond one’s limits,’ ‘emotional explosion to the child,’ ‘guilt and helplessness as a mother,’ and ‘physical and emotional exhaustion.’ The process of alleviating parenting stress was found to be ‘experiencing limitations of parenting-related demands threatening the well-being of the mother,’ ‘coping efficiently,’ and ‘being generous,’ Significance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독교 신앙을 가진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주혜(Joohye Park),김아미(Ami Kim),홍경화(Kyungwha Hong)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0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5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과 이들의 공통성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론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6년 이상의 신앙 경력을 가진 전업주부로 초기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선정하였고 총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양육 경험에 대해 72개의 주제와 20개의 주제군, 6개의 범주로 도출이 되었다. 6개의 범주는 각각 ‘양육 중 훈육과 교육,’‘양육의 어려움,’‘양육에 동반되는 감정들,’‘양육의 어려움에 대한 대처,’‘양육과 함께 경험하는 자신의 변화,’ ‘도움과 필요들’로 나타났다. 자녀양육 경험의 신앙적 공통점에 대한 결과는 17개의 주제와 9개의 주제군, 6개의 범주로 도출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기독교 신앙을 가진 어머니들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하여 보다 심층적으로 볼 수 있었고, 향후 부모교육 및 자녀양육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commonalities of mothers with Christian faith in their child rearing experiences.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five participants who were full-time housewives with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All five participants had been Christians for more than 16 years.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72 themes, 20 theme clusters, and six categories were derived regarding participants" child rearing experiences. The six categories were "discipline and education during child rearing," "difficulties in child rearing," "emotions accompanying child rearing," "copying with challenges to child rearing," "changes in their own experience with child rearing" and "areas of needs." In addition, there were 17 themes, 9 theme clusters, and six categories regarding faith related child rearing experiences. This study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in understanding Christian mothers" child rearing experiences in depth and can be used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parent education and parenting programs.

      • KCI등재

        사회연결망분석에 기초한 웹 기반 클래스넷(ClassNet)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박종효(Park, Jonghyo),문경숙(Moon, Kyoungsuk),안해정(Ahn, Haijeong),최지영(Choi, Jiyoung),홍경화(Hong, Kyungwha),김진구(Kim, Jingu),최은영(Choi, Eunyoung)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7 교육과학연구 Vol.4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lassNet, a Web-based social network analysis(SNA) software program for assessing peer rel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tudents in the classroom.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thods were utilized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current SNA programs; (b) consultations of teachers and educational experts; (c) co-development with software development experts, and (d) development of peer-nomination and self-report measures. The ClassNet program was experimentally implemented in the 12 classrooms and evaluated by the classroom teachers in primary and middle schools. The ClassNet program provides three kinds of information; classroom structural characteristics (i.e. friendship network), classroom-level factors (i.e. anti-bullying norms), and student-level factors (i.e. leadership). According to data analysis and teachers’ evaluations, ClassNet and its instruments were renewed and validated. ClassNet is user-friendly, easily accessible, and free-of-charge, allowing teachers to easily track changes in their classroom and among their students. As a result it helps teachers to better understand students and make classrooms safe and positive. Academically, ClassNet provides a sophisticated research tool to better understand peer ecology and dynamics in the classroom.

      • 목회자가 인식하는 한국 목회 현장의 현주소

        홍경화,오현주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20 Torch Trinity Journal Vol.23 No.1

        본 연구는 한국 교회의 목회 현장 상황과 변화를 알기 위해 목회 경험이 풍부한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국 교회의 목회 현장 상황과 이전 세대와 비교한 목회 현장의 변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자료를 수 집하여 분석하였다. 목회경력이 풍부한 6명의 담임 목회자가 이 연구에 참 여하였다. 분석한 결과 목회 현장의 변화와 관련된 19개의 주제가 도출되었 고, 이는 8개의 주제군, 그리고 3개의 범주로 개념화되었다. 도출된 범주에는 세계관의 변화, 사회적 변화, 그리고 교회적 변화가 있으며, 주제군에는 유물 론적 가치관, 반기독교적 정서의 확산, 교회의 변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 한, 주제에는 영적인 부분에 대한 무시,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목 회 훈련 부족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한 논의와 함께 몇 가지 제언이 제 시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astoral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changes in the pastoral field compared to the previous generation. Six pastors with rich pastoral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sis, 19 themes related to changes in the pastoral field were drawn, which were conceptualized into 8 theme clusters and 3 emergent themes. The derived emergent themes include worldview change, social change, and ecclesiastical change, and the theme clusters include materialistic values, anti-Christian sentiment, and church change. Themes included indifference of spiritual dimension, spread of anti-Christian sentiment, and lack of pastoral training. Along with the discussion,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 KOREAN MINISTRY FIELD ACCORDING TO PASTORS

        홍경화,오현주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20 Torch Trinity Journal Vol.23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pastoral situation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changes in the ministry field compared to the previous generation. Six pastors with rich pastoral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sis,19 themes related to changes in the ministry field were drawn, which were conceptualized into 8 theme clusters and 3 emergent themes. The derived emergent themes were worldview change, social change, and ecclesiastical change. The theme clusters included materialistic values, anti-Christian sentiment, and church change, while the themes included indifference of spiritual dimension, spread of anti-Christian sentiment, and lack of pastoral training. Along with the discussion, several suggestions were made. 본 연구는 한국 교회의 목회 현장 상황과 변화를 알기 위해 목회 경험이 풍부한 목회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국 교회의 목회 현장 상황과 이전 세대와 비교한 목회 현장의 변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목회경력이 풍부한 6명의 담임 목회자가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한 결과 목회 현장의 변화와 관련된 19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이는 8개의 주제군, 그리고 3개의 범주로 개념화되었다. 도출된 범주에는 세계관의 변화, 사회적 변화, 그리고 교회적 변화가 있으며, 주제군에는 유물론적 가치관, 반기독교적 정서의 확산, 교회의 변화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주제에는 영적인 부분에 대한 무시, 기독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확산, 목회 훈련 부족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대한 논의와 함께 몇 가지 제언이 제시되었다.

      • Seminary curriculum assessment : case of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오현주,홍경화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7 Torch Trinity Journal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의 목회학 석사 과정의 커리큘럼이 현대 사회와 공동체에서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사역할 졸업생을 배출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57명의 졸업생이 설문조사에 참여했으며 그 중 13명의 졸업생이 포커스그룹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졸업생들은 횃불트리니티가 자신의 소명 의식을 확인하게 하거나 강화시킨 것으로 인식했다. 더 나아가 졸업생들은 대체로 졸업할 당시 사역에 준비된 것으로 인지했다. 하지만 졸업생들이 당면하는 도전들과 커리큘럼 개정을 위해 제시하는 권고 사항들은 현 목회학 석사 과정의 커리큘럼이 더욱 실제적이고, 통합적 또는 간학문적, 성경적이며 선교적이 되도록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