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광석의 음악세계에 새겨지는 껴안는 문화적 분위기로의 환기

        김소희(Kim, So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6 문화산업연구 Vol.16 No.4

        경계의 산책자로서 김광석은 청춘의 젊음에서 고뇌와 방황의 기억을 지속적으로 환기하며, 현재 살아있는 아우라로서 생동하게 한다. 김광석의 음악세계는 현대인에게 세대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공감대-청춘의 경계에서 사랑과 이별-의 기저에서 함께 산책하는 환기와 여과의 반향으로 고양하는 초점으로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김광석 노래의 중요성은 누구나 겪는 청춘의 경계에서 라푼첼의 눈뜸처럼 방황의 산책을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분위기에 있다. 즉 그의 음악은 젊음이 예민한 경계에서의 산책을 관조하며, 과거의 잊혀진 기억과 꿈을 현재 새롭게 환기하고 있다. 이러할 때 의미없는 시간대의 단층들은 시간의 향기로서 감싸안는 껴안음의 세계이다. 김광석의 거리는 비정도시와 대조적으로 젊은 날의 사랑과 아픔의 공감대에서 현대인에게 우연히 김광석의 골목길에 들어서면 경쾌한 감각과 충일한 정서로서 회복하는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성을 환기하고 있다. 바로 여기에서 김광석의 음악세계와 김광석 거리의 장소성은 세대를 초월하여 모든 세대들이 공감하고 함께 산책할 수 있는 지속적인 관조와 환기로 껴안게 한다. 바로 여기에서 김광석의 음악세계와 김광석 거리의 장소성은 우리에게 공동의 운명으로, 아름다움의 구원으로, 시간의 향기로 그리고 그리움의 미학으로 새롭게 태어나게 한다. ‘Kim Gwangseok as the border stroller’ continuously stirs up the memory of anguish and wandering of the youth and vitalizes it as the ‘alive aura’ at present. The music world of Kim Gwangseok is important as it continuously stirs up and provokes in the focus of direction toward the inducement as ‘walking together’ and reverberation of filtration on the basis of general bond of sympathy-love and separation on the border of youth- beyond the generation for the people living in these times. The importance of the songs by Kim Gwangseok is the mood continuously stirring up the ‘stroll of wandering’ like enlightenment of Rapunzel on the border of youthwhich everyone experiences. In other words, his music newly stirs up the forgotten memory and dream of the past as contemplating the stroll on the sensitive border of the youth. In such mood, the strata of meaningless times is the world which embraces the ‘scent of the times’ The ‘Street of Kim Gwangseok’ stirs up the ‘Placeness of Heterotopias’ restoring pleasant senses and affluent emotions when the people inmodern times accidentally enter into the Alley of Kim Gwangseok with the sympathy on love and pains of youth which is contrary to the heartless city. At this point, the music world of Kim Gwangseok makes embrace the power of continuous contemplation and inducement which all generations can sympathize and stroll together. At this point, themusic world of KimGwangseok can be newly identified as our common fate, salvation of beauty, scent of the times and aesthetics of longing. 경계의 산책자로서 김광석은 청춘의 젊음에서 고뇌와 방황의 기억을 지속적으로 환기하며, 현재 살아있는 아우라로서 생동하게 한다. 김광석의 음악세계는 현대인에게 세대를 넘어서는 보편적인 공감대-청춘의 경계에서 사랑과 이별-의 기저에서 함께 산책하는 환기와 여과의 반향으로 고양하는 초점으로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김광석 노래의 중요성은 누구나 겪는 청춘의 경계에서 라푼첼의 눈뜸처럼 방황의 산책을 지속적으로 환기하는 분위기에 있다. 즉 그의 음악은 젊음이 예민한 경계에서의 산책을 관조하며, 과거의 잊혀진 기억과 꿈을 현재 새롭게 환기하고 있다. 이러할 때 의미없는 시간대의 단층들은 시간의 향기로서 감싸안는 껴안음의 세계이다. 김광석의 거리는 비정도시와 대조적으로 젊은 날의 사랑과 아픔의 공감대에서 현대인에게 우연히 김광석의 골목길에 들어서면 경쾌한 감각과 충일한 정서로서 회복하는 헤테로토피아의 장소성을 환기하고 있다. 바로 여기에서 김광석의 음악세계와 김광석 거리의 장소성은 세대를 초월하여 모든 세대들이 공감하고 함께 산책할 수 있는 지속적인 관조와 환기로 껴안게 한다. 바로 여기에서 김광석의 음악세계와 김광석 거리의 장소성은 우리에게 공동의 운명으로, 아름다움의 구원으로, 시간의 향기로 그리고 그리움의 미학으로 새롭게 태어나게 한다. ‘Kim Gwangseok as the border stroller’ continuously stirs up the memory of anguish and wandering of the youth and vitalizes it as the ‘alive aura’ at present. The music world of Kim Gwangseok is important as it continuously stirs up and provokes in the focus of direction toward the inducement as ‘walking together’ and reverberation of filtration on the basis of general bond of sympathy-love and separation on the border of youth- beyond the generation for the people living in these times. The importance of the songs by Kim Gwangseok is the mood continuously stirring up the ‘stroll of wandering’ like enlightenment of Rapunzel on the border of youthwhich everyone experiences. In other words, his music newly stirs up the forgotten memory and dream of the past as contemplating the stroll on the sensitive border of the youth. In such mood, the strata of meaningless times is the world which embraces the ‘scent of the times’ The ‘Street of Kim Gwangseok’ stirs up the ‘Placeness of Heterotopias’ restoring pleasant senses and affluent emotions when the people inmodern times accidentally enter into the Alley of Kim Gwangseok with the sympathy on love and pains of youth which is contrary to the heartless city. At this point, the music world of Kim Gwangseok makes embrace the power of continuous contemplation and inducement which all generations can sympathize and stroll together. At this point, themusic world of KimGwangseok can be newly identified as our common fate, salvation of beauty, scent of the times and aesthetics of longing.

      • KCI등재

        조선전기 전의현의 안동김씨 문중 인물과 그 사회적 위상

        김소희 ( Sohee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이 글은 조선전기 충청도 전의현의 안동김씨 문중을 대상으로 주요 인물의 역사적 가치를 제고하는 한편, 당시 문중이 지녔던 지역사적 위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세종-세조 연간에 두각을 보인 주요 인물의 정치ㆍ사회적 활동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그들과 연혼관계에 있었던 인물을 구체적으로 추적했다. 그 결과 고려말 전의현에 입향한 이래로 15세기에 이르러 김익정과 김수녕 등 세종과 세조의 측근으로서 왕의 신임을 받으며 중앙정계에서 활약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특히 그간 효자로 알려진 김익정은 1420년에 주조한 금속활자인 경자자의 제작을 감독한 인물로서 세종대 인쇄문화사에 있어서 주목해야 함을 밝혔다. 이 글을 단초로 역사인물의 발굴과 함께 지역학 연구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thesis are to enhance the historical value of central figures targeting Andong Kim clan in Chonui-hyon, Chungcheong-d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also to examine the local-historical status of the clan of the time. For this, this study intensively examined the political/social activities of prominent major figur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and King Sejo, and also concretely traced the figures in marriage-based relationships with them.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produce the figures like Kim Ik-Jeong and Kim Su-Nyeong who actively performed in the central political world by having the king’s confidence as a close person to King Sejong and King Sejo in the 15th century after entering Chonui-hyon in the end of Goryeo Dynasty. Especially, Kim Ik-Jeong who is known as a filial son is the one who supervised the production of a metal type ‘Gyeongjaja’ casted in the 1420s, so he should be paid attention in the history of printing cultur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This thesis should be the beginning of the discovery of historical figures and the vitalization of researches on area studies.

      • KCI등재

        핵심 인재 역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삼성꿈장학재단 교육소외 학생 교육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김소희(Sohee Kim),김영롱(Younglong Kim)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23 핵심역량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네 가지 핵심 인재 역량 – 지속도전, 능동학습, 진로개척, 사회기여 –의 응답 패턴에 따라 잠재집단을 유형화하고 분류된 잠재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탐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삼성꿈장학재단의 배움터 교육지원사업 2020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잠재프로파일 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핵심 인재 역량의 응답 패턴에 따라 4개의 잠재집단이 분류되었다. 둘째,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잠재집단 별 관련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분류된 잠재집단 유형에 프로그램 만족도, 교육포부, 경제상황, 거주지역, 가정구조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 만족도의 경우, 만족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차상위 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고, 교육포부의 경우, 교육 포부가 높은 학생일수록 최상위 역량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경제상황 변수에서는, 기초수급대상에 속하는 학생들이 일반 저소득층에 해당하는 학생들에 비하여 최상위 역량 집단에 포함될 확률이 높았으며, 중소도시에 사는 학생들이 대도시에 사는 학생과 비교했을 때, 중간 역량 집단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한부모, 새터민, 시설, 조손가정에 속하는 학생들은 일반 가정에 속하는 학생들에 비해 중간 역량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네 가지 핵심 인재 역량 응답 양상에 따라 산출된 각각의 잠재집단을 위한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및 지원 사업의 계발 및 보급 뿐 아니라, 다각도의 관점에서 교육 소외 학생들의 핵심 인재 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classified potential latent groups according to core competency – sustainable challenge, active learning, career development, and social contribution. The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explored based on the responses for sub-scales of core competency, and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classified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investigated. For analysis, the data from the 2020 learning center project by the Samsung Dream Scholarship Foundation was used to conduc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First, four potential latent groups were detected according to the response patterns on core competency as a result of latent profile analysis. Second,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for each latent group was confirmed through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program satisfaction, educational aspiration, economic situation, residential area, and family structur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atent group classification. For program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students had, the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second competency group. For educational aspiration, the higher educational aspiration the student had, the higher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highest competency group. In the case of economic situation, the students, basic pension recipi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highest competency group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low-income group. In addition, students liv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edium competency group compared to the students living in large cities. Finally, students in groups, living with single parents, North Korean defectors, living in facilities, or living with grandparents were more likely to be included in the medium competency group than students living in a typical fami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potential group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core competency. For a long-term perspectiv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need for systematic support to improve the core capacity of underprivileged students.

      • KCI등재후보

        포스트 모던 전시 문화의 이미지와 장소성 실험

        김소희(Kim, so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최근 포스트 모던 전시문화는 테크놀러지의 급속한 발달로 도시인의 시지각방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하고 있다. 테크놀러지의 발달에 힘입어 매체의 세계는 도시인의 감성을 촉발하는 문화적 분위기로서 함께 감응하고, 함께 공유하는 즐거움의 미학을 더욱 촉발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술문명의 삶은 도시의 전시공간에서 이미지화하는 새로운 감각의 실험으로 도시인의 시지각적 경험의 지평을 크게 확장하며, 촉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으로부터 이 연구는 포스트 모던 전시 문화에서 이미지화하는 전시 문화의 분위기 즉 장소성의 분위기 실험으로 도시인에게 새로운 감각의 시지각방식과 ‘문화적 여과장치’로서 장소성이 품는 ‘문화적 분위기의 전환’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헤테로토피아 장소성의 실험은 도시인에게 근대의 공감각적 봉합과 전일성의 단절로부터, 일상의 심미화와 새롭게 체험되는 헤테로토피아의 시지각방식으로 무수한 잠재성의 촉발과 전일성의 회복으로 활발히 ‘가동’하는 ‘문화적 분위기의 전환’에 주목하고자 한다.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has been fundamentally changing the visual perception approach of citizens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t presen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duces themedia world to respond as cultural aura triggering emotion of the citizens and aesthetics of pleasure sharing together. The lifewith the civilization of technology significantly expands and accelerates the scope of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of citizens by cultural aura created as the images in the exhibition space of city. Considering such trend, this paper focused on cultural aura activating the visual perception approach of Heterotopia newly experienced and aestheticization of a daily life from the sealing of senses and severance of wholeness in the modern times for citizens by the experiment on the placeness of Heterotopia, the mood of placeness and image in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This paper aimed to acivationg Infinite potentials of hidden in the placeness in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and its meaning and effects for citizens. In particular, the Cultural Aura containing the placeness as the cultural filter and perception approach of new senses, in other words, the placeness of Heterotopia as the new experience for citizens, activates the infinite potentials of citizens as the revolution of new sensitivity, restoration of wholeness and furthermore restoration of cultural aura. At this point, the effects of cultural aura generated by placeness in the exhibition culture newly awakens emotion and senses of citizens. The cultural landscape helps to newly identify the potentials of citizens which are hidden and forgotten and experiments the "innovation of sensitivity" stimulated inmulti-dimensional way. 최근 포스트 모던 전시문화는 테크놀러지의 급속한 발달로 도시인의 시지각방식을 근본적으로 전환하고 있다. 테크놀러지의 발달에 힘입어 매체의 세계는 도시인의 감성을 촉발하는 문화적 분위기로서 함께 감응하고, 함께 공유하는 즐거움의 미학을 더욱 촉발시키고 있다. 이러한 기술문명의 삶은 도시의 전시공간에서 이미지화하는 새로운 감각의 실험으로 도시인의 시지각적 경험의 지평을 크게 확장하며, 촉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으로부터 이 연구는 포스트 모던 전시 문화에서 이미지화하는 전시 문화의 분위기 즉 장소성의 분위기 실험으로 도시인에게 새로운 감각의 시지각방식과 ‘문화적 여과장치’로서 장소성이 품는 ‘문화적 분위기의 전환’에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헤테로토피아 장소성의 실험은 도시인에게 근대의 공감각적 봉합과 전일성의 단절로부터, 일상의 심미화와 새롭게 체험되는 헤테로토피아의 시지각방식으로 무수한 잠재성의 촉발과 전일성의 회복으로 활발히 ‘가동’하는 ‘문화적 분위기의 전환’에 주목하고자 한다.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has been fundamentally changing the visual perception approach of citizens alo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at presen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duces themedia world to respond as cultural aura triggering emotion of the citizens and aesthetics of pleasure sharing together. The lifewith the civilization of technology significantly expands and accelerates the scope of visual perception experience of citizens by cultural aura created as the images in the exhibition space of city. Considering such trend, this paper focused on cultural aura activating the visual perception approach of Heterotopia newly experienced and aestheticization of a daily life from the sealing of senses and severance of wholeness in the modern times for citizens by the experiment on the placeness of Heterotopia, the mood of placeness and image in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This paper aimed to acivationg Infinite potentials of hidden in the placeness in the post-modern exhibition culture and its meaning and effects for citizens. In particular, the Cultural Aura containing the placeness as the cultural filter and perception approach of new senses, in other words, the placeness of Heterotopia as the new experience for citizens, activates the infinite potentials of citizens as the revolution of new sensitivity, restoration of wholeness and furthermore restoration of cultural aura. At this point, the effects of cultural aura generated by placeness in the exhibition culture newly awakens emotion and senses of citizens. The cultural landscape helps to newly identify the potentials of citizens which are hidden and forgotten and experiments the "innovation of sensitivity" stimulated inmulti-dimensional way.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학교 내 공식처벌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자아낙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소희 ( Sohee Kim ),황의갑 ( Euigab Hwang ) 대한범죄학회 2015 한국범죄학 Vol.9 No.3

        최근 들어 점점 더 심각해지고 있는 청소년들의 비행 및 범죄를 예방하려는 목적으로 다시금 강력한 처벌이 그 수단으로써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초기의 낙인이론가들은 사회의 공식적 기관이 비행행동을 저지른 사람에게 낙인효과를 주는 방식의 처벌을 가할 경우, 이를 통해 얻어지는 사회적 반응에 행위자가 적응하게 되면서 비행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게 되고, 결국 또 다른 이차적인 일탈행동을 야기할 수 있다고 보아, 공식적 처벌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경고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하루 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청소년들에게는 학교는 가장 강력한 사회적 낙인을 부여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학교에서 공식적 처벌을 통한 낙인을 부여받을 경우 비행자로서의 정체성 형성이 불가피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기의 낙인이론이 제시한 바와 같이 공식처벌과 자아낙인, 비행의 시간적 인과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날 것인지, 나타난다면 공식처벌의 비행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력을 감안하고서도 자아낙인을 통한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 학교환경 속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시행한「한국청소년패널」의 중2패널 자료 중에서 3차(고1), 4차(고2), 5차(고3)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을 시행 하였다. 분석결과, 공식처벌과 자아낙인, 비행의 시간적 인과관계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자아낙인이 학교로부터 받는 공식 처벌과 비행행동의 관계에 있어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청소년정책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zero tolerance type of tough policy has been prevailing in our society and has gained popularity among researchers and the public alike. Such anapproach is based on the notion that tough punishment prevent delinquent adolescents from committing additional delinquency and crime, which is based on the deterrence theory. However, labeling theory insists that the unintendedprimary delinquency may be developed into secondary deviance through self-labeling after those juveniles having been punished by official agencies. Considering juveniles’ situation in school, it is natural to assume that official punishment in school may bring strong self-labeling related to delinquent identity as the youth spend most of their time in school. It appears that there has not been enough attempt to investigate these causal relationships in our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early labeling theory, current study attempted to fill this void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official punishment, self-labeling, and delinquent behavior of adolescents in high school. By using the three waves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data, we employed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hich considers time effects and causal relationships at the same time. The result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ths from official punishment to delinquencies via self-labeling. Additio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labeling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Sugges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A Comparison of MCMC and MMLE/EM Algorithms for Fixed Item Parameter Calibration

        김소희(Kim, Sohee),강태훈(Kang, Taehoo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2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고정문항모수추정 방법으로 두 개의 검사 문항들의 모수 추정치를 연결하고자 할 때 MCMC와 MMLE/EM 알고리즘의 수행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다양한 조건을 포함하는 시뮬레이션 연구를 통하여, 표본 크기, 공통 문항 수, 능력 분포에 따른 두 방법의 문항모수 연계 결과를 비교하고, 두 방법의 RMSE 평균값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확인하였다. 표본크기가 증가함에 따라서 MCMC와 MMLE/EM 알고리즘 모두 더 좋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공통문항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MCMC와 MMLE/EM 알고리즘 모두 더 좋은 문항모수 연계 결과를 산출하였으며, 두 방법의 결과 또한 유사했다. 주어진 세 가지 능력분포 조건 모두에서 두 방법이 유사한 결과를 산출했으므로 능력분포에 따른 차이는 미미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각 조건별로 RMSE 값의 차이가 유의미한지 검증하기 위한 t 검증의 결과, 일부 조건에서 변별도 모수나 곤란도 모수 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두 추정 방법의 고정문항모수 추정 결과에서 전반적으로 큰 차이가 없음을 발견함으로써, MMLE/EM 알고리즘이 적용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MCMC를 사용하여 두 검사 문항 추정치의 연계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der item response theory, there are several procedures commonly used for item parameter linking such as separate calibration with linking, concurrent calibration, and fixed item parameter calibration. Recently, the FIPC method has been identified to provide as accurate linking results as the other procedure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formances of MCMC and MMLE/EM algorithms when they are used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the FIPC. In a simulation study, comparisons among the two algorithms suggested that the results of FIPC were dependent to some extent on the particular conditions simulated. Overall, however, they appeared to provide very similar results of item-parameter linking. Considering there is an increasing use of MCMC algorithm in IRT, it will be meaningful and valuable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MCMC algorithm for FIPC because the same application can be easily extended to much more complicated situations where the MMLE/EM algorithm is very difficult to apply.

      • 분산전원 연계에 의한 수용가전압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김소희(Sohee Kim),박현석(Hyeonseok Park),허상운(Sangwoon Heo),전진택(Jintaek Jeon),노대석(Daeseok Rho)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11

        배전계통에 분산전원의 도입이 활성화됨에 따라 이들이 부하증감의 효과를 일으켜 동일선로의 다른 수용가에 과전압, 저전압과 같은 전력품질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 문제점을 정확히 분석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분산전원이 연계된 수용가전압 특성을 분석하여 고압배전선로에서 전압의 조정방안에 대한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요인에 관한 연구 동향: 2001~2020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김소희(Kim, Sohee),이연우(Lee, Younwoo) 한국인간발달학회 2020 人間發達硏究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요인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현재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43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도구, 부모요인, 매개․조절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유형은 대부분 양적․조사연구(97.7%)로 나타났다. 자료수집 방법은 설문조사와 관찰검사를 함께 실시한 경우(39.5%)가 가장 많았으며 점차 자료수집 방법이 간소화 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구대상 중 유아는 만4세(42.2%)가 가장 많고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부모는 어머니의 비중(59.5%)이 아버지의 비중(28.8%)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도구는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들을 수정하여 사용하는 경우(63%)가 많고 사용하는 연구도구의 다양성이 줄어들었으며, 표준화된 도구의 사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넷째, 부모요인은 양육태도요인(52.4%), 개인능력요인(14.8%), 자녀관계요인(9.8%) 순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양육태도 요인보다 개인능력과 자녀관계 요인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다섯째, 매개․조절변인으로 유아요인(63.6%)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표준화된 도구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parent factors affecting prosocial behavior in young children. To this end, 43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1 to the present were analyzed, focusing on research types, subjects, research tools, parental factors, and mediated and moderated variable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st types of studies were quantitative research (97.7%). Data collection methods were most common when survey and observation tests were conducted together (39.5%), but the method types tended to be simplified gradually. Second, among the subjects studied, children aged 4 (42.2%) accounted for most, and the proportions of men and women were nearly identical. In addition, mothers (59.5%) represented a higher proportion than fathers (28.8%). Third, in many cases (63%), the research tools utilized were modifications of the tools used in prior research, and the diversity of research tools used was reduced. The use of standardized tools has not been reported. Fourth, among parental factors, parenting attitudes (52.4%), personal abilities (14.8%), and child relationships (9.8%) showed higher proportions. However, recent studies reported that the personal ability factor and the child relationship factor showed higher increase than the child care attitude factor. Fifth, it was found that factors of young children (63.6%) were most widely used as mediated and moderated variables. The results are meaningful in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standardized tool for prosocial behavior is suggested, and basic data for parental education is provided to promote prosocial behavior in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