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DM 방식 3D 프린터에 대한 딥러닝 기반 물성 추정

        임주현(Joo Hyeon Im),김원곤(Wongon Kim),안성훈(Sung-Hoon Ahn),윤병동(Byeng Dong Youn)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2 No.11

        Additive manufacturing (AM) is playing a major role in Industry 4.0. AM can simplify the fabrication of complex shapes while minimizing manufacturing time and cost. However, the poor surface quality and weak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output hinder the broad application of AM.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method for estimating the mechanical property in a fused deposition modeling-type 3D printer. Acceleration signals were acquired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a tensile specimen through construction of a test-bed. In addition,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ecimen to collect inform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After that,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the divided signals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mechanical properties. Finally, the quality of highly correlated property was estimated through deep neural network. We confirmed that deep learning-based method is good at estimating property through mean square error loss and root mean square error.

      • KCI등재

        서울시 행정동 수준의 범죄분포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장현석 ( Hyunseok Jang ),홍명기 ( Myeonggi Hong ),이경아 ( Gyeonga Lee ),조은비 ( Eunbi Cho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1

        현재 서구사회의 범죄 연구는 지리적 측면의 중요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자료의 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범죄와 공간의 관계 그리고 지역의 환경적 특징의 영향에 대한 논의가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탐색적 수준에서 서울시의 행정동 수준의 범죄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서울특별시의 범죄의 지리적 분포를 지도를 이용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행정안전부가 제공한 생활안전 지도를 바탕으로 서울지역 행정동 단위의 범죄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간분석을 통해 8가지 범죄 유형(살인, 강도, 방화, 성폭력, 폭력, 절도, 마약, 도박)에 대하여 서울시의 범죄 분포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지도상으로 제시한 범죄발생등급의 분포의 경우 각 범죄마다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사회해체이론의 집중된 불이익지표의 분포와 상이하였다. 또한 범죄의 유형에 따라 핫스팟과 콜드스팟이 군집된 위치가 변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서초구와 강남구의 경우 북쪽에 위치한 행정동은 살인과 방화를 제외한 범죄에 대해 핫스팟을 보였으나, 남쪽에 위치한 행정동은 마약과 도박을 제외한 범죄에 대해 콜드스팟을 보이는 등 같은 시군구이더라도 범죄의 유형에 따라 그 분포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하였다. Currently, crime research in Western societ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the geographic aspect, and there are many empirical studies related to this. However, in Korea, due to the difficulty of collecting data,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 and space and the influence of region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re very limited. Therefore, with the purpose of exploratory research, this study aimed to measure crime level at administrative dong level in Seoul. Based on the life safety map provid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rime data of Seoul have been collected. And this study tried to analyze eight types of crimes (murder, robbery, arson, sexual violence, violence, theft, drugs, and gambling) through spati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case of the distribution of crime incidence level,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crime categories, and the distribution of crime incidence level showed different aspect from the distribution of the concentrated disadvantage indicators of the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location of hot spots and cold spots cluste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crime. In particular, in Seocho-gu and Gangnam-gu, administrative dongs located in the north showed hot spots for crimes excluding murder and arson, while administrative dongs located in the south showed cold spots for crimes excluding drugs and gambling.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ts distribution accordingly. Finally, through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우리나라 국민과 국내거주 중국인의 한국 경찰에 대한 신뢰도 비교 연구

        장현석 ( Jang Hyunseok ) 대한범죄학회 2018 한국범죄학 Vol.12 No.1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경찰활동의 정당성 부여와 더불어 경찰업무에 대한 협조를 얻어내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어 경찰학 연구에서 하나의 중요한 줄기로 자리 잡은 지 오래다. 하지만, 현재까지 경찰에 대한 신뢰도 연구 중에서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대하여 우리국민과 외국인들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중국 국적을 가진 사람들과 우리나라 국민들이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있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은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사용하였고, 2016년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내·외국인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설명하는 요인들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인과 중국인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평균 비교에서 중국인이 한국인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고, 회귀분석에서 역시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중국인들이 한국인 보다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이중 참조기준 이론의 가설이 지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국인들에 대한 회귀분석 모형에서 체류기간이 길어질수록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또한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였다. 그리고 일상생활긴장, 사회유대 그리고 체류신분이 우리나라 경찰에 대한 신뢰도 변화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들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Research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has become an important area of study because the confidence from the citizen not only provides the justification for the police existence, but also is required in order to obtain support among citizens. Until now, however, there is no study which compares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between Korean citizens and foreigners in South Korea. Since Chinese people are recorded as the number one in the statistics regarding foreigner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on the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people.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was utilized. The survey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both Korean people and foreigners by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in 2016, was analyzed to examine confidence in the polic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hinese peopl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than Korean people. The same result was confirm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while controlling other factors. This finding supported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lso, as the length of residence in South Korea became longer, Chinese people’s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became smaller. This finding also supported the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Strain, social cohesion, and legal status were other significant factors for the confidence in the Korean police among Chinese people.

      • KCI등재

        SNA(Semantic Network Analysis)분석과 시계열 분석을 활용한 글로벌 범죄학 연구동향 연구 : SSCI 범죄학 논문을 중심으로

        정지송 ( Jisong Jeong ),노승국 ( Seungkook Roh ) 대한범죄학회 2021 한국범죄학 Vol.15 No.1

        본 연구는 글로벌 범죄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의미 네트워크 분석법(Semantic Network Analysis, SNA)을 사용하여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범죄 관련 논문의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 수행된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2019 Journal Citation Reports(JCR)의 저널 분류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Criminology & Penology’ 에 속하는 총 61개 저널리스트를 확보하였다. 61개 저널리스트 중, JCR 상위 25% (Q1)에 해당하는 15개의 저널을 데이터 수집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15개의 저널을 대상으로, SCOPUS에서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논문 14,689편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발행년도에 따라 2000-2004, 2005-2009, 2010-2014, 2015-2020, 각 5년 단위로 범죄 연구 키워드 동향을 분석하였고, 추가적으로 2000-2009, 2010-2020까지의 10년 단위의 시계열 분석도 시행하였다. 기간에 따라 분류된 데이터 그룹들을 의미 네트워크 분석법(Semantic Network Analysis)을 통하여 분석 및 시각화했다. 시각화 분석결과, 2000년대 초반에는 학교폭력(School violence), 성범죄자(sexual offender), IPV(Intimate Partner Violence), 이 3가지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각 분야는 독립적으로 연구되었고, 각자 필드 내에서 주제를 확장시켜 연구하는 형태였다. 그러나 2010년대로 접어들면서, 범죄학 연구 영역 간의 연결 정도가 강화되었고, 분야 간의 경계선이 희미해지며 통합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또한 테러(Terrorism), 강도(Robbery), 문화적 맥락(Cultural context)에 따른 범죄 발생, 주변 환경적/심리적 요인(Situational factor)에 대한 연구도 함께 증가하면서 범죄연구 주제의 다양화가 이뤄졌다. 가장 최근에는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범죄 연구가 강조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범죄학 관련 연구 동향의 변화 양상을 분석해보았고, 향후 범죄 예방을 위한 제언 및 정책수립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In this research, we used Semantic Network Analysis (SNA) to grasp the research trend in the field of criminology, and analyzed the keywords from 2000 to 2020. The research procedure performed for this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we collected 61 journal information belonging to “Criminology & Penology” based on the journal classification category of 2019 Journal Citation Reports (JCR). Among 61 journals, 15 journal data corresponding to the top 25% (Q1) of JCR were selected. The data of 14,689 papers from 2000 to 2020 were collected by SCOPUS for 15 journals. The collected materials are analyzed by the trend of crime research keywords in 2000-2004, 2005-2009, 2010-2014, 2015-2020, 5 years each, depending on the year of publication, and further an annual time series analysis, 2000-2009, 2010-2020, was also performed. A group of data classified according to time period was analyzed and visualized via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visualization analysis, in the early 2000s, three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school violence, sexual offender, IPV (Intimate Partner Violence). Each field was studied independently, and the topic was expanded and researched within each field. However, in the 2010s, the accuracy of connection with the field of crime research was strengthened, the boundaries between fields became blurred, and integrated research was actively conducted. In addition, research on terrorism, robbery, occurrence of crimes due to cultural context, and Situational factor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s increased, diversifying crime research themes.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emphasize the study of crimes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backgrou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analyzed crime-related research trends and presented the necessity of future recommendations and policy formulation for crime prevention.

      • KCI등재

        ‘사이버 음란물’에서 ‘기술매개 젠더기반 폭력’까지 : 디지털 성범죄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최소윤,한민경 대한범죄학회 2020 한국범죄학 Vol.14 No.2

        Digital sex crimes are marked by the steady rise in number and severity of devastating effect. However, there is still no uniform definition of the concept, and many similar expressions are used interchangeably, making it difficult to advance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issue. In recognition of the foregoing, this study analyzed 95 Korean publications related to digital sex crimes in order to review the expressions used, context of such usage, and chronological changes in the naming of the crime. The literature on digital sex crimes began being published in the early 2000’s, but the number increased dramatically in 2017 when the government introduced its plan to fight digital sex crimes. The early expressions used most frequently were ‘cyber sexual violence’ and ‘cyber pornography’, while ‘online sexual violence’ appeared in the 2010’s. Since 2017, ‘digital sex crimes’ and ‘digital sexual violence’ have became the favored expressions in academia; legal terms, phrases that underlie the non-consensual or illicit nature of the crime, as well as expressions translated directly from English started to be used. It is now time to seek an appropriate name for this socio-structural phenomenon to recognize properly the repeated nature of victimization caused by digital sex crimes. 불법촬영, 불법촬영물 유포, 성착취 영상물 제작 등 디지털 성범죄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피해의 심각성 또한 높다. 그러나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합의된 정의가 부재하고 다른 의미를 지닌 여러 유사용어들이 혼용되고 있어 디지털 성범죄 대응 및 예방을 위한 종합적이고효과적인 논의 전개를 어렵게 한다. 이러한 문제 인식하에 이 연구는 디지털 성범죄와 관련하여이루어진 국내 선행연구 총 95편을 분석하여, 디지털 성범죄를 가리키는 용어와 사용된 맥락, 그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디지털 성범죄 관련 국내 선행연구는 2000년대 초반부터 발표되기 시작하였으나, 디지털 성범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크게 높아진 2017년을 기점으로 그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초기 논의에서 자주 사용되었던 용어는 ‘사이버 성폭력’과 ‘사이버 음란물’이었으며,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온라인 성폭력’과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정부가 「디지털 성범죄(몰래카메라 등) 피해방지 종합대책」 을 발표한 2017년부터는 ‘디지털 성범죄’와 ‘디지털 성폭력’이 학술적으로도 선호되는 경향이 발견되는 가운데, ‘카메라 등 이용 촬영죄’ 등과 같은 법률상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비동의 촬영’⋅‘불법도촬’ 등 비동의 내지 불법성과 같은 디지털 성범죄의 특성을 강조한 표현, ‘이미지 기반성폭력’⋅‘기술매개 젠더기반 폭력’ 등 영문표현을 직역한 서술형 방식의 용어들도 등장하고 있다. 디지털 성범죄가 단순히 일회적인 신체 이미지 착취에 그치지 않고 피해상황이 반복, 양산되고 있는사회구조적인 위해임을 정확히 포착하고 그에 걸맞은 명칭을 찾기 위한 노력이 요청되는 시점이다.

      • KCI등재

        범죄두려움 연구에 정석이 존재하는가? : 범죄두려움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민경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2

        This study analyzed the fear of crime literature with a quantitative measurement or analysis published in Korea, in recognition of the need to look back on how fear of crime has been studied in the countr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four parts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fear of crime have increased and expanded at a rapid pace in a short period. Second, despite the ecosystem expansion on fear of crime and criminology, the Korean literature on fear of crime have been still led by a handful of researchers and academic journals. Third, the use of the measures on fear about specific crimes has been found to be more and more prevalent in the literature. It is found, in addition, that a tactical use of multiple measures on fear of crime in an analysis model has been growing increasingly, suggesting that researchers have recognized and agreed on the claim that fear of crime vary depending upon the types of crime. Lastly, the fear of crime literature has been gradually “standardized” from research design to publication. The fear of crime literature as well as the fear of crime itself deserve an academic attention to fi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이 연구는 범죄두려움이 어떠한 방식으로 연구되어 왔는지를 돌아보는 우리만의 작업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범죄두려움에 대해 계량적인 측정 내지 분석이 이루어진 국내 선행연구 241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다음과 같이 네 부분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범죄두려움관련 연구는 단기간 내 빠른 속도로 증가 및 확대되어 왔다. 둘째, 범죄두려움 및 범죄학이라는 학문적 생태계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내 범죄두려움 관련 연구는 소수의 연구자와 학술지가 주도하고 있다. 셋째, 범죄두려움 관련 연구가 많아지면서 구체적 두려움을 측정하는 문항의 사용이보편화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아울러 복수의 범죄두려움 유형을 분석모델에 포함하는 경향 또한나타나고 있다. 넷째, 범죄두려움 연구들은 분석 범위, 연구 설계, 연구 발표에 이르기까지 점차 ‘정형화’(standardization)되고 있다. 향후 범죄두려움 본연에 대한 탐구 못지않게 범죄두려움에 대해이루어진 연구성과를 축적하고 집약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학문적 관심이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조직적 디지털 성범죄자의 특성과 유형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 :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최이문 ( Yimoon Choi ),안재경 ( Jaekyung Ahn ) 대한범죄학회 2020 한국범죄학 Vol.14 No.3

        ‘웰컴투비디오’, ‘N번방 사건’과 같은 조직적 디지털 성범죄는 전통적인 성범죄나 불법촬영과 같은 개인의 디지털 성범죄와는 달리 사이버 공간에서 집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진화한 범죄이다. 최근 법원에서 ‘박사방’을 형법상 공동목적, 조직체계를 갖춘 계속적인 결합체인 ‘범죄집단’으로 판단한 것도 이러한 집단적인 특성을 중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범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범죄자 개인적인 요인 뿐 아니라 범죄자간의 집단역학적인 관점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성범죄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디지털 성범죄자들의 특성을 개인수준과 집단수준으로 나누어 사회심리학적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온라인상에서 개인은 정상적인 통제능력을 가졌다 하더라도 피해자와의 물리적ㆍ심리적 거리로 인해 윤리적 둔감화, 자제력 저하를 보이게 된다. 온라인 교류의 특성으로 인해 성착취물에 대해 둔감하게 되고, 피해자에 대한 공감능력을 상실하며, 중독상태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집단역학의 관점에서 온라인상에서 개인은 범죄의 조직화, 조직 규범의 내면화, 윤리의식 부재 등의 특징을 갖는다. 이로 인해 집단의 규범과 정체성에 따라 행동하게 되고,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서도 책임의식을 느끼지 않는 등 합리화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나아가 인터넷 공간의 특성인 익명성은 책임감을 분산시키고, 스스로를 대리인화함으로써 타인에 대한 공격성에 대해서 합리적인 판단을 하기 어렵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범죄의 특성상 범죄자들간의 이질성이 존재함을 검토하고 디지털 성범죄자들을 주도자/공범과 소비자로 나누어 집단 간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개인별 집단역학적 관점에 기반한 형사정책의 필요성과 한계를 다루었다. Digital sex crimes such as ‘Welcome to Video’ and ‘Nth room cases’, are crimes that have evolved in terms of groupings in cyberspace, unlike traditional sex crimes or image-based sexual abuse. The recent court’s judgment of “Parksa-bang” as a “criminal group”, a continuous combination with a common purpose and organizational system under the criminal law, can also be seen as focusing on such collective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type of crimes, it is necessary to look at not only the individual factors of the criminals but also at the collective dynamics of criminal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criminal characteristics of digital sex offenders,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sex offenders in terms of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by dividing them into individual and group levels. Online individuals may have normal control ability, but due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victims, they may show ethical desensitization and deteriorated self-control. The nature of online exchanges leads to insensitivity to sexual exploitation, loss of empathy with victims, and social psychological addi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group dynamics, it can be seen that digital sex offenders are characterized by organization of crime, internalization of organizational norms, and lack of ethical consciousness. They act according to the group’s norms and identities, and show rationalization, such as not feeling responsibility for unethical behavior. Anonymity, a characteristic of the Internet space, disperses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makes it difficult to make rational judgments on the aggression against others by representing themselves. Due to the nature of digital crimes, there is a heterogeneity between criminals, which divides digital sex offenders into leaders/accomplice and consumer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groups. Finally, the necessity and limitations of criminal policy based on individual group epidemiological perspectiv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외국어논문 : 아동대상 성범죄와 성인대상 강간 범행에서 나타나는 범죄자-피해자 상호작용의 차이점 연구

        박지선 ( Ji Sun Park ) 대한범죄학회 2010 한국범죄학 Vol.4 No.2

        아동대상 성범죄와 성인대상 강간 범행에서 나타나는 범죄자와 피해자간의 상호작용을 설명하고 그 행동적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42건의 아동대상 성범죄 사건과 44건의 성인대상 강간 사건을 범죄 현장에서 나타난 행동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아동대상 성범죄와 성인대상 강간 범행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세 가지 유형의 행동 주제가 드러났다(적대성, 통제성, 몰입성). 이 세 가지 유형의 행동 주제를 중심으로 아동대상 성범죄와 성인대상 강간 범행의 차이점을 살펴본 결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강간 범행에서는 피해자에 대한 적대적인 폭력과 적극적인 통제를 위한 시도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반면, 아동대상 성범죄에서는 피해자에 대한 범죄자의 성적, 대인관계적 몰입이 상대적으로 두드러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In order to develop a single behavioral framework that would encompass both adult rape and child sexual abuse and differentiate child sexual abuse from adult rape based on crime-scene behaviors, 44 adult rape cases and 42 child sexual abuse cases were examined. As a result, a three-way common thematic structure of offender-victim interaction that encompasses both adult rape and child sexual abuse was identified in the present study, namely Hostility, Control, and Involvement. The results suggest that offenders involved in adult rapes were more likely to display violence toward the victim and try to control the victim than offenders involved in child sexual abuse. Finall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 KCI등재

        주민들의 자율방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혜성,박웅일,임진영,황의갑 대한범죄학회 2023 한국범죄학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ersonal and social factors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in citizens patrol,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crime in this relationship. The research frame of this study is the Durkheim’s theoretical proposition of “crime brings together upright conscience and concentrate them.”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13,836 cases in the data of the 2020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The analysis revealed that fear of crime increased residents’participation in citizens patrol and crime victimization indirectly increased participation in citizens patrol via stimulating fear of crime. Furthermore, perceptions of disorder increased both fear of crime and participation in citizens patrol. On the other hand, confidence in polic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sidents’ participation in citizens patrol. Both general and specific fear of crime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mediator between major factors and participation in citizens patrol, hence supporting Durkheim’s claim on positive role of fear and victimization on bonding residents for crime prevention.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는 뒤르켐의 ‘범죄는 올바른 양심을 모으고 집중시킨다’는 이론적 명제 하에 지역사회 경찰활동의 일환인 지역주민의 자율방범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을확인하고 이러한 인과관계에서 범죄두려움이 자율방범활동 참여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2020 전국범죄피해조사’자료 중 13,836명의 설문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적⋅구체적 범죄두려움은 자율방범활동 참여를 증가시키는 것으로나타났으며, 범죄피해는 범죄두려움을 자극하여 자율방범활동을 촉진시키는 간접적 영향력을 보였다. 아울러 지역사회에 대한 주민들의 무질서인식이 범죄두려움과 자율방범활동 참여정도를 향상시키는전반적인 직⋅간접 영향력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지역사회 유대감은 범죄두려움과 자율방범활동 참여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비공식 사회통제는 범죄두려움과 자율방범활동 참여 정도에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경찰신뢰도는 자율방범대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반적⋅구체적 범죄두려움의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찰신뢰도를 제외한 모든 경로에서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범죄와 범죄두려움이 주민들의 지역사회 경찰활동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뒤르켐의 주장을 일부 지지하는 경험적 결과를 보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주민들의 자율방범활동 참여를 진작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학술적⋅정책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범죄의 심각성 평가에서 문항위치효과

        박철현,장안식,정혜원 대한범죄학회 2012 한국범죄학 Vol.6 No.2

        This study is about a measurement error in which can be appeared in measuring crime seriousness in criminological survey. When respondents are asked to rate repeatedly many similar items in survey, unexpected measurement errors can be appeared, because of the crime seriousness of their preceding item (Hypothesis 1), or because of their different locations of items on questionnaire (Hypothesis 2). This study predicts that the seriousness ratings of a crime type, which is arranged on the first part of questionnaire, will be underestimated. The data for this study had been acquir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on students(N=513) of K university, by using Wolfgang and his associates's magnitude scale(Wolfgang et. al., 1985), which was a very popular scale measuring crime seriousness.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had total 52 questions and had been made to 4 different forms(page 1 upper, page 1 bottom, page 2 upper, and page 2 bottom). Each questionnaire was divided to 4 rotated blocks that contained 13 questions. For example, the location of a block was rotated in 4-type questionnaires, such as first part, second part, third part, and fourth part.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is data can be divided to two, as follow. First, a crime type(item), which was arranged after more serious crime types(items) in questionnaire, was overestimated in its’ seriousness rating. In other word, if preceding item was serious, its’ following items were rated to more serious crime than items following less serious item. This result supports Evans and Scott(1984)’s conclusion. Second, but, more important factor, which effects on the rating of crime seriousness, was the locations of items in questionnaire. Most of all items, arranged on the first part of questionnaire, were consistently underestimated in rating their seriousness. This result was also supported in paired t-test on the differences of means between first part(page 1 upper) and residual part(page 1 bottom, page 2 upper, and page 2 bottom)We discuss that this phenomenon can be due to the escalation of anger of respondents, in their repeat contacting with a set of serious crimes. A feeling of strengthened anger, in reporting on first-part questions, can remain and effect the following questions of residual parts. This ‘transition of anger’ may be a cause of underestimating crime seriousness in non-first part. 이 연구는 크기척도(magnitude scale)를 이용하여 범죄의 심각성을 측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차에 대한 연구이다. 에반스와 스코트(Evans and Scott, 1984)에 따르면, 특정 범죄유형의 앞에 배치된 범죄유형(문항)이 심각한 경우에, 직후에 나타나는 범죄유형(문항)에 대한 심각성은 실제보다 과대평가된다(가설1). 그러나 이 연구는 여기에서 더 나아가, 같은 범죄유형이라고 하더라도, 설문지의 앞부분에 배치되었을 때는 다른 부분에 배치되었을 때에 비해서 범죄의 심각성이 낮게 평가될 것이라고 예측한다(가설2). 분석결과는 크게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첫째, 선행하는 범죄유형(문항)이 심각한 문항일수록 뒤이어 나타나는 범죄유형은 더 심각하게 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동일한 범죄유형이라고 할지라도 그것을 선행하는 범죄유형(문항)의 심각성에 따라서 해당 범죄유형의 심각성이 상이하게 평가되고 있었다. 둘째, 이런 선행하는 문항의 효과는 범죄의 심각성 평가에 영향을 주기는 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은 해당 범죄유형(문항)의 설문지상의 위치였다. 화이트칼라범죄 및 강간범죄와 같은 일부의 예외가 되는 범죄유형이 발견되기는 했지만, 대체로 일관되게, 어떤 범죄유형이 설문지의 앞부분에서 배치될수록 다른 위치에 비해서 그것의 심각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응답자들이 설문지를 통해서 흉악한 범죄를 접할 때 느끼게 되는 분노의 상승 탓일 수 있다. 일상에서 자주 접하기 어려운 심각한 범죄사례들을 접하면서 증가한 분노의 느낌은 해당 범죄에 응답하는 순간을 넘어서 이후에도 일정한 정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 문항에서 다른 문항들로의 이러한 ‘분노의 전이’는 범죄의 심각성을 조사할 때 발생할 수 있는 한 가능한 측정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