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학교 및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서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 청소년의 사회자본과 주관적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제고시켜 줄 수 있는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변수들인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사회자본 그리고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정립하였다. 독립변수로는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변수로서 애착형 양육태도, 감독형 양육태도, 부정적 양육태도를 선정하고, 종속변수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을 선정하였으며, 조절변수인 청소년의 사회자본에 대해서는 학교 사회자본,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조절변수인 청소년의 학교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 있어 조절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한 실증분석을 위해서 2015년도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의 중1 패널자료에 대해서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해서 실증분석 한 결과, 각각의 변수들 간에 인과관계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애착형 양육태도와 감독형 양육태도는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애착형과 감독적 양육태도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인 교사와의 관계는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높여주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은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제고시켜 줄 수 있는 있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론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사회자본, 그리고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세 개의 변수들을 종합적인 차원에서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연구범위의 확대와 이와 관련된 선험적인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주관적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사회자본의 조절효과에 대한 검증연구가 미흡한 실정에서 학교 사회자본과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연구범위를 확장시켰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자녀에 대해서 좋아한다는 표현과 잘한 일에 대해서는 칭찬을 해주고 힘들어 할 때 격려와 용기를 주고 자녀가 어디에 가서 어떻게 보내고 있는지 등 자녀의 일상 활동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부모의 애착형 양육태도와 권위적이지 않은 감독형 양육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부모는 자녀들이 지역사회 사회자본을 축척하고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이 교사와의 더 좋은 상호작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정에서의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한편 긍정적 친구관계를 통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높여 주기 위해 학교에서 청소년들이 친구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친구관계를 소중하게 생각하고 타인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청소년들의 사회적 적응수준을 높여 주기 위하여 지역사회에서 개최하는 축제나 교육 문화행사에의 참여유도와 자원봉사활동 참여 등을 통하여 주민들과 직접적인 접촉의 횟수를 늘려갈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참여프로그램의 개발과 참여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다섯째,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제고할 수 있다고 보았을 때, 청소년에게 학교생활과 지역사회의 일원으로서 자기발전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정책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여섯째, 청소년들의 행복수준을 제고시켜줄 수 있는 국가의 청소년 관련 정책의 개발과 추진, 그리고 청소년보호법, 청소년활동진흥법 등 청소년관련법에 명시된 청소년활동과 관련된 규정의 강화와 실천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th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Focusing on Moderation Effects of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Kim, Seo Yeon Adviser : Prof. Park, Hwie Seo, Ph.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juvenile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this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parental rearing attitude, juvenile social capital, and subjective well-being. A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attachment type rearing attitude, supervisory rearing attitude, and negative rearing attitude were selected as sub-variables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for adolescents.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was selected as the dependent variable. As for the juvenile social capital,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were selec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parental rearing attitude on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and examined whether the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as moderating variables play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for adolescents and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Middle school 1 panel materials of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in 2015 were analyzed by using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s program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an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variables. In other words, attachment type rearing attitude and supervisory rearing attitude have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attachment type rearing attitude and supervisory rearing attitude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social capital. Thir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Fourth, community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level of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ree variables about parental rearing attitude, social capital, and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comprehensive dimens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and tried the priori research related to it. Second,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juvenile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aring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chool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as moderating variables. This has implications for extending the scope of the study. As the policy implications, first, parental attachment type rearing attitude caring for their children's daily activities, such as expressing love for their children, giving praise for good things, encouraging them when they are tired, and caring about where and how their children are going and non-authoritarian supervisory rearing attitude are needed. Second, parents need adequate intervention to allow their children to scale and utilize their social capital. Third, parent education in the home is needed to enable the adolescent to maintain better interaction with teachers. In order for adolescents to establish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friends in school for improving positiv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positive friendship, parent education is needed so that parental rearing attitude can respect friendship and maintain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Fourth, to raise the level of social adaptation of adolescents,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of community-based participation programs that can increase the number of direct contact with residents through participation in festivals and educational cultural events held in local communities and participation in volunteer activities should be promoted. Fifth, when the juvenile social capital can raise the level of juvenile subjective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find policy measures to give adolescents opportunities to develop themselves as a member of school life and community. Sixth, developing and promoting adolescent-related policies that can enhance the happiness level of adolescents, and strengthening and practici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juvenile activities specified in the adolescent-related laws such as the Juvenile Protection Act and the Juvenile Activity Promotion Act should be done in parallel. Key words : Parenting Attitudes, Subjective Well-being, Social Capital, Community Social Capital, KCYPS

      • 프로젝트를 활용한 고등학교 프랑스어 수업 설계 연구

        김서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일반 교육학사에서의 프로젝트 학습의 개념 및 특징, 발전과정을 살펴본 후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을 외국어 교수법사, 특히 의사소통접근법의 맥락과 특징, 교수·학습 목적 등과 비교·정리하며 의사소통접근법과 프로젝트 학습의 방향이 일정 부분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평가와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유럽 외국어 교육의 기준이 되는 유럽공통참조기준(CECR)과 행위중심접근법의 기본 개념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와 프로젝트 학습이 맞닿아있는 지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현재 한국 중등 프랑스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21세기의 달라진 학습자 요인 측면을 검토하여 이와 프로젝트 학습의 방향이 부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 가치들을 지니고 있는 프로젝트 학습은 현재 영어교육 분야에 비해 프랑스어 교육 분야에서 활발히 적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프랑스어 교실에 적용 가능하고 프랑스어와 프랑스 문화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 수업모형과 수업지도안의 예를 제안하였다. 고등학교 프랑스어 수업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 학습임을 감안하여 언어 목록은 교과서 내에서 확인 가능한 의사소통 목록으로 제한하였다. 제안한 프로젝트는 <프랑스 여행 가이드북 만들기>와 <미래 시제로 미래 상상하기> 프로젝트이며, 각각 4차시, 5차시로 구성하였다. <프랑스 여행 가이드북 만들기>는 프랑스 지역 특징을 파악하고 여행과 관련된 의사소통기능을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 <미래 시제로 미래 상상하기>는 프랑스인들의 미래에 대한 생각을 파악하고 프랑스어 미래시제의 활용을 학습하여 학습과 학습자의 공간인 학교의 미래를 상상하여 프랑스어로 표현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는 한국 고등학교 프랑스어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학습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외국어 프로젝트 수업에 알맞은 평가 준거가 필요하다. 둘째, 외국어 교실에 프로젝트 수업모형을 적용해보고, 다양한 수업 경험과 시행착오들이 교사들 사이에 공유되어야 한다. 셋째, 언어와 문화를 통합적으로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수업을 기획하는 교사들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더 많은 실제적인 자료가 개발되고, 필수 의사소통 기능과 연관된 인터넷 자료 정보들이 공유되어야 한다.

      • 기후변화 이행 리스크와 국내 은행권의 재무안정성

        김서연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기후변화 이행 리스크가 국내 은행권의 재무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각 국 정부가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 속도를 저지하기 위해 탄소배출량의 대폭적인 절감을 목표로 하는 가운데, 산업 특성 상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큰 탄소집약 산업을 영위하고 있는 업체의 경우 향후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또는 탄소세 부과에 따라 전반적인 수익성 저하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해당 업체에 신용 익스포저를 보유한 은행의 경우 차주의 수익성 하락에 따라 보유 여신의 자산건전성 저하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기후변화 이행 리스크를 고탄소배출 기업에 대한 탄소세 부과로 정의하고, 이에 따른 차주의 영업이익 저하 가능성을 산출해 보았다. 다음으로, 영업이익 감소폭을 기준으로 시가총액 감소분을 추정하고, 이를 Naïve Alternative Merton Distance to Default 모형에 적용하여 탄소세 부과 시나리오에 따른 업종별 부도율 상승폭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은행 여신포트폴리오에 업종별 부도율 상승폭을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각 은행별 주요 경영지표 변동 시나리오를 도출해 보았다. 분석 결과, 기후변화 이행리스크 반영 시 국내은행의 수익성 및 자산건전성은 현재 대비 저하되는 모습이 관찰된다. 탄소세 부과 시나리오에 따라 제조업 부도율이 상승하며, 이에 따라 은행별 고정이하여신비율이 현재 기준 대비 약 2~3배 수준으로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에 따라 추가충당금 부담이 확대되며, 국내 은행 순이익은 현재 대비 약 30% 수준으로 축소될 수 있다. 특히, 시중은행 대비 특수은행 및 지방은행의 주요 경영지표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동 은행들의 여신포트폴리오 내 제조업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특수은행의 경우 최대 약 4조원, 지방은행의 경우 최대 약 6,000억원의 충당금 부담이 예상되며, 이는 시중은행 최대 약 1.5조원 대비 규모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업 비중이 높은 은행그룹(특수은행, 지방은행)의 경우 최근 강화되고 있는 탄소중립 추진 정책의 이행에 따라 영업이익에 영향을 받는 차주들을 분류하고, 건전성 저하 여부를 중장기적으로 관찰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 미얀마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양상 연구

        김서연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Myanmar learner who study korean or visit Korea to work or learn is increasing. Yangon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and Mandala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 have opened Korean language department. And in 2016, Yangon King Sejong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Myanmar for the first time. It is predictable that the demand of learning of korean is more increasing. But the study for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them is still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an educational implication by predicting errors through comparing Phoneme System of Korean with Myanmar language and phonetically analyzing the real pronunciation of learners. In chapter 2, 62 experimental questions are selected through comparing Korean with Myanmar language. In chapter 3, the result of experiment of recognition which was conducted 10 subjects is described. In order to diversely examine the aspect of Myanmar learners pronunciation, the consonants was divided into word initial, word medial, and word final. And then, the error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manner of articulation, place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type. The errors of vowels a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monophthong and diphthong. In chapter 4, 10 Korean evaluators listened the research of experimental questions phonation of 10 subjects, and investigated the aspect of production errors. The analysis of the result of production experiment was analyzed in the same way as recognition experiment. The Myanmar Learners had difficult pronouncing lax consonants among types of pronunciation. Because the lax consonants of Korean is voiceless, but that of Burmese is voiced. And also, the Myanmar language could not divied the /ㅅ/ and /ㅆ/ because of the intonation of Myanmar language. In additon, the Myanmar language doesn't have [ɾ] and /ㅢ/, it had a lot of errors. In coda, Korean is unreleased but Myanmar language is phonated through glottal stop. Because of these differences, the Myanmar learners had difficult learning Korean coda. This study presents the pronunciation education methods for Myanmar learners by analyzing the aspects of Korean pronunciation in various ways. But the lacking of this study is not to verify the effect of education plan. Taking this opportunity, I hope that the pronunciation research for Myanmar learners who learn Korean would be discussed.

      • 조지 맥큔(George M. McCune)의 생애와 한국 연구

        김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addresses the life of George McCune and his tribute on Korean studies. As a son of a missionary, he was the first person who studied Korean Studies and fostered Korean studies in US universities. He was renown as an expert for problems in Korea during the war period. In the past, information of his life was only limited to his studies and his activities during the Pacific War. It was only since early 1990s that McCune's documents were thoroughly available. In reference to the document called George M. McCune Papers from Center for Korean Studies, University of Hawaii, the life of George McCune and his Korean studies were examined. The study closely investigated his activities during the Pacific War regarding establishment of policies for Korea.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trend and awareness of Korea's situation in America through his lectures and writings. McCune was born in 1908 as the son of Presbyterian missionary, George Shannon McCune (Korean name as Yun Sanon), McCune's parents had deep affections for Korea and the people, which influenced McCune's life greatly. His father Yun Sanon actively assisted other Koreans in the 105-men incident in 1911 as well as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McCune was only twelve when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occurred, Witnessing Koreans being tortured by Japanese army, he has developed a strong aversion at Japanese imperialism since young. Being born and lived in Korea, McCune did not have any prejudice against Korean culture, but rather made decision in the position of Korean citizens. He was also the first person in America to study Korea in an academic way. His antagonism towards Japanese imperialism made him criticize about Japan's invasion for his master's thesis. For his doctorate thesis, he created McCune-Reischauer Romanization System, which is being used worldwide until now. With ample amounts of academic proof, his thesis broke down the historical prejudice regarding Joseon's relationship with China and Japan. While working in US Department of State during the Pacific War, McCune actively interacted with Koreans in America, claiming that the confusion persisting in Korea was due to America's passive reaction. He claimed that Korea's lack of experience, rather than their lack of autonomous capacity, was the reason for their division. McCune's insight was far different from the opinions of US government officials, leaving him only limited right to decision making. After the war, McCune returned to academia to nurture the experts in Korean studies by opening a lecture in American universities. With his experience in information agency and expertise as a scholar, he tried to consolidate his position in the field. McCune published many articles about the division of territory, the internal conflicts and establishment of a single government in Korea to increase the awareness in America. McCune tried to grab attention from people by claiming that America was responsible for the problems in Korea. However, not more than 3 years of his return to academia, he died of a heart attack at the age of 40. McCune was the first researcher in Korean Studies in America. With his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experiences, he desired to promote Korean studies in academia after the war. The study reveals that he possessed the ability to foster Korean Studies at the period where Japanese Studies and Chinese Studies were far more popular in American society. His death was a great loss both in academia and in Korean society in postwar period. 본 논문은 조지 맥큔의 생애 및 그의 한국 연구를 다뤘다. 맥큔은 ‘선교사 2세’로 태어나 최초로 한국을 학문적으로 연구했으며, 태평양전쟁기 미국 내 걸출한 한국문제 전문가로 불렸다. 또한 그는 전후 미국의 대학에서 한국학을 처음으로 육성한 인물이었다. 선행연구들은 맥큔에 대한 기본 정보와 그가 학자로서 가졌던 실증적 연구 태도, 그리고 맥큔의 태평양전쟁기에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 대략적으로 밝혀냈다. 하지만 인물 연구에서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맥큔의 생애를 완전하게 밝히지 못했고, 맥큔이라는 인물 자체를 주제로 한 연구는 소략한 실정이다. 기존 연구의 한계점은 근본적으로 맥큔과 관련한 1차 사료를 열람 및 접촉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맥큔 문서가 한 곳에 모이고 열람이 가능한 상태가 된 건 1990년대 초반에 이르러서였음. 본 논문은 지금까지 다른 연구에서 접근한 바 없는 맥큔에 대한 1차 자료, 즉 ‘조지 맥큔 페이퍼(George M. McCune Papers)’ 를 소장하고 있는 하와이대학 한국학연구소 소장자료를 중심으로 맥큔의 생애와 그의 한국 연구를 다뤘다. 본 논문은 맥큔의 생애를 면밀히 추적하여 그의 한국관이 형성된 과정 및 원인을 고찰하고, 태평양전쟁기 맥큔의 활동을 분석하여 미국의 대한정책이 수립되는 과정을 다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맥큔이 전후 미국 대학에서 개설한 한국학 강좌의 내용 및 그의 저술 분석을 통해, 미국 대학에서의 한국학 동향과 전후 미국의 한국문제 인식의 단면을 드러내고자 했다. 맥큔은 1908년 미 북장로교 선교사였던 조지 섀넌 맥큔(George Shannon McCune, 한국명 윤산온)의 아들로 태어났다. 맥큔의 부모님은 한국·한국인들에 대한 깊은 애정을 갖고 있었고, 맥큔을 비롯한 자녀들에게 그 애정을 고스란히 물려주었다. 특히 아버지 윤산온은 한국민족운동사의 큰 사건들과 연관되어, 1911년의 105인 사건 및 1919년의 3.1운동 당시 한국인들을 사려 깊게 도왔다. 맥큔은 3.1운동이 일어날 때 12세였는데, 일본의 총칼에 찔려 고통 받는 한국인들의 모습을 보고 일본 군국주의에 큰 혐오감을 갖게 되었다. 이 기억은 평생 잊히지 않는 기억이 되어 맥큔의 삶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맥큔은 또한 한국에서 태어나고 성장했기 때문에, 선입견 없이 한국과 한국인들을 경험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직접적인 한국경험은 이후 맥큔으로 하여금 한국인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만들었다. 맥큔은 미국에서 한국을 처음으로 학문적으로 연구한 인물이기도 했다. 유년기의 경험이 바탕이 된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혐오감은 맥큔으로 하여금 일본군국주의의 본질을 통찰하고 그를 비판하는 석사논문을 쓰게 했다. 맥큔은 박사논문을 쓰기 위해 지금까지도 한글의 공식 표기법으로 쓰이는 맥큔-라이샤워 로마자 표기법(McCune-Reischauer Romanization System)을 만들었다. 그의 박사학위논문은 기존에 알려졌던 조선의 대중·대일관계에 관한 일부 견고한 역사적 편견들을 학문적 근거를 기반으로 타파하였다. 이는 그의 개인적 삶에 있어서도 큰 도약이었는데, 한 명의 학자로서 전문성을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맥큔은 태평양전쟁기 미 정보기관과 국무부에서 근무하며 재미한인사회와 교류했다. 맥큔은 한국인들의 독립운동을 혼란시키고 그들을 분열하게 만드는 것은 미국의 소극적인 대한정책이라고 주장했고, 이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견지했다. 또한 한국에 대한 신탁통치 구상에 반대하지는 않았으나, 신탁통치의 전제를 한국인들의 ‘자치능력 부재’가 아닌 ‘경험의 미숙’이라고 주장하였다. 한국인들이 자치능력을 인정하고 미국의 비협조적 대한정책을 지적한 맥큔의 견해는 매우 친한국적이자 당시 미 정부 주요 관리들이 갖고 있던 인식과는 상당히 다른 맥락에 위치했으나, 정책 결정 권한이 없는 실무자였던 맥큔이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범위는 매우 좁았다. 맥큔은 종전 뒤 학계로 돌아와 그의 뒤를 이을 한국 전문가를 양성하려 했고, 이를 위해 대학에서 강의를 개설하여 전후 미국 내 한국학의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맥큔은 한국 연구자로서 쌓은 전문성 및 전시 미 정보기관에서 근무한 경력을 바탕으로 학계에서 입지를 다지려 했다. 맥큔은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한국과 관련한 많은 글을 기고하기 시작했는데, 주로 해방 후 한국의 분단과 좌우세력 분열, 단독정부 수립 등 당시 한국의 상황을 미국에 알리고 그 심각성을 경고하는 글들이었다. 맥큔은 이를 통해 한국문제에 관한 책임이 미국에 있다는 자신의 논조를 유지하며 이에 대해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자 했다. 그러나 맥큔의 강의 및 연구는 그가 학계로 돌아온 지 채 3년이 지나지 않아, 그가 지병이었던 심장질환으로 40세라는 젊은 나이에 사망하여 중단되었다. 맥큔은 미국이 최초로 낳은 체계적인 한국학 연구자였다. 그는 이론적·실무적 경력을 모두 갖추고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후 학계에서 한국학이라는 분야를 설계해 나가려 했다. 이는 전후 미국 내에서 미개척분야였던 한국학이 실로 수요가 꽤 있었던 일본학·중국학에 비해 비견되는 역량과 수준을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의 짧은 생애는 학계와 해방 후 한국 사회에 엄청난 손실이었다.

      • 전환학습 관점에서 본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을 중심으로

        김서연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life qualities of people have increased through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average life expectancy has been extended to advance into the age when of 100 years, there have been various ways to enhance the life qualities of the middle-aged or the elderly in their late years. In this respect, urban agriculture has gained much attention lately. Since urban agriculture can realize the value of human life and make contribution to the communities or societies as well as restoring the eco-system in the cities, its impacts and implications on human beings are considered very important. As the interest in urban agriculture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the education of urban agriculture is on the increase; however, the urban agriculture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used only as a functional means, e.g., the education of returning to farm or countryside, the education of basic principles in agriculture, the revitalization of urban agriculture, and the implementation of relevant policies, etc. Thus,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the necessities for study to create the new implications and values in the areas or ways of life which residents in the cities can maintain and to interlink them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ir life in natural ways. In this study, I discussed the cases of urban agriculture education program that allow, ourselves to enjoy the transformation of life and to find new values. Based o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I have reviewed the change of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is program. As a result, I have found the possibilities that the program can be applied as education and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the middle-aged or the elderly, or as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were the academic backgrounds and performanc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urban-agriculture education program? Second, what were the prior experiences of lives of the participants in the urban-agriculture education program like? Third, what wer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in the urban-agriculture education program like in terms of the participation in the learning activities? Fourth, what kinds of changes have been shown in the perspectives as a result of participation in urban agriculture education program? In this study, the methodology of qualitative case study has been used to find out the change of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in urban agriculture education program, and as a method of collecting the data, a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survey on the learning effects of Master Gardener Training Course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academic backgrounds and performances of participants in urban agriculture education program. Master Gardener Training Course was adopted as a case of urban agriculture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have a in-depth review of the change of perspectives of participants in the course, the 7 participant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uating class, who are working as master gardeners after being certified and completed with Master Gardener Training Course in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were. For the categorization by subject, 10 levels in the transformative learning process by Mezirow were employed as a analytical framework. The third and fourth level by Mezirow were excluded due to the lack of contents relevant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such an analys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have had many experiences in the ways of life before participating in the master gardener training course, and it was found that they have gone through the crisis that could sway their lives. The crisis in the life experienced by the femal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includes the issues mainly about homes and families. On the other hand, mal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crisis in their life due to the turning point in their careers and the failure in business start-up, etc. Such a crisis in their life has had an effect on the attitudes and emotions of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They have overcome crisis by their own breakthroughs such as dependence on religions, a dilettante life, and the challenge toward new learning activities, etc. Second, the motiv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Master Gardener Training Course have been found to be their desires to learn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of urban agriculture and the social voluntary service more systematically and professionally. In addition, they have experienced the instrumental learning and communicative learning by the participation in learning activities. It has been found that they could expand their roles by making endeavor to play a new role as instructors. Third, it has been foun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lived a normal life while making a living (after having participated in Master Gardener Training Course) could experience the change of their perspective on ‘voluntary service’ and ‘community’ after their participation in learning. Most of the participants felt uncomfortable in voluntary service at the early stage of participation in Master Gardener Training Cours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ir sentiment and viewpoint have been changed after the participation in learning. Moreover, in the case of the participants who have already worked on voluntary service on a continual basis, their perspectives have not been altered greatly.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ir perspectives on sharing have been expanded to a greater degree than ever. Such generation of new implications and viewpoints have been found to give the participants a new meaning of life, i.e. the turning point or catalyst in life, etc. As the demand for education programs for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of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 has increased, Master Gardener Training Course is getting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program for the leisure life or the job opportunities of the middle aged and the elderly. Especially, since most of the learners who participate in (Master Gardner Training Course) show that they have aggressive and self-motivated attitudes toward the learning for the preparation for their later life, it can be viewed as of lifelong education. It also has a social value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societies and communities by restoring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by restoing self-identity beyond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centered on theories. 경제성장을 통한 국민의 생활수준의 향상과 평균 수명 연장으로 100세 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중장년층의 노년기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크게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도시농업이다. 도시농업은 인간의 삶의 가치를 실현시키고 사회 공동체에 기여하며 더불어 도시의 생태계를 회복시킨다는 점에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의미가 매우 크게 여겨지고 있다. 도시농업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도시농업을 교육 받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지금까지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은 귀농·귀촌 교육, 농업의 기초이론 교육, 도시농업 활성화, 정책적 실용화 등 기능적인 수단으로만 활용되어 왔다. 따라서 도시민들이 자신의 삶의 터전과 생활양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신의 삶의 전환을 자연스럽게 연결시켜주고, 그 속에서 새로운 가치와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이러한 도시농업 교육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삶의 전환과 새로운 가치를 가져다 줄 수 있는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알아보고, 전환학습 이론을 활용해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의 학습 참여 이전의 삶의 경험, 학습 참여 경험, 그리고 학습 참여 이후의 인식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 교육 프로그램이나 평생교육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이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을 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와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 참여 배경 및 학습 성과는 어떠한가? 둘째,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이전의 삶의 경험은 어떠했는가? 셋째,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 참여 경험은 어떠했는가? 넷째,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이후의 어떠한 인식 변화가 나타났는가?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자료수집 방법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 참여자의 학습 참여 배경 및 학습 성과를 알아보기 위해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의 학습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도시농업 교육 프로그램인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을 사례로, 참여자들의 인식 변화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경기도농업기술원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을 수료·인증 받은 1, 2기 참여자 7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주제별 범주화는 Mezirow의 전환학습 과정 10단계를 분석의 틀로 활용하여 범주화했다. Mezirow의 3, 4단계는 참여자들에게 해당되는 내용이 발견되지 않아 제외시켰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 참여 이전에 다양한 삶의 경험을 가지고 있었고, 자신의 삶을 뒤흔들만한 인생의 위기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주부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직업에 종사하는 연구 참여자들이 겪은 인생의 위기는 여성 참여자의 경우는 가정 및 가족과 관련된 것이었다. 남성 참여자의 경우는 진로의 전환과 창업의 실패 등으로 인한 인생의 위기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생의 위기는 연구 참여자들의 태도와 감정에 영향을 주었는데, 종교에 의지, 취미생활, 새로운 학습에 도전하는 등의 자신만의 돌파구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 참여 동기는 지식과 기술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배우고, 사회 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위해서였다. 아울러 참여자들은 학습 참여를 통해 도구적 학습, 의사소통적 학습을 경험하고, 교수자로서 새로운 역할을 시도하며 자신의 역할을 확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신의 생업에 종사하며 평범한 삶을 살아가고 있던 연구 참여자들은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에 참여한 이후 학습 참여한 이후 봉사, 공동체에 대한 인식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의 참여 초기에는 봉사에 대한 거부감을 느꼈지만, 학습의 참여 이후에 봉사에 대한 의식이나 관점이 변화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봉사를 꾸준히 해왔던 참여자들의 경우는 봉사 자체에 대한 인식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나눔에 대한 인식은 기존보다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새로운 의미관점의 생성은 참여자들에게 삶의 전환점, 촉진제 등 새로운 삶의 의미를 부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중장년층의 노후 준비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은 중장년층의 일자리나 여가 생활을 위한 대안적 프로그램으로 제시된다. 특히 마스터가드너 양성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대부분이 자신의 노후 준비를 위해 배움에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점에서 평생교육의 지향점과 일치한다. 아울러 학습 참여의 경험은 이론 중심의 지식 쌓기 수준을 넘어서, 자신의 정체성 회복과 타인과의 관계 회복을 통해 사회 공동체에 기여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적 가치가 있다.

      •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 자율형 IoT 응용 최적화 연구

        김서연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IoT 응용을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센서 및 액추에이터와 연동하여 클라우드 서버를 통한 IoT 응용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서버와의 연동은 트래픽 문제, 프라이버시, 전송 지연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클라우드 말단에서 하드웨어 동작이 가능한 엣지 클라우드 컴퓨팅이 등장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드웨어로는 저전력이거나 또는 속도 측면에서 빠르게 작업을 처리할 수 있는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의 하드웨어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뉴로모픽 아키텍처 기반 하드웨어는 3세대 신경망인 스파이킹 뉴럴 네트워크를 사용해야 하며 수준 높은 AI 지식이 요구되어 IoT 개발자가 자율형 IoT 응용을 개발하고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IoT 개발자가 자율형 IoT 응용을 개발할 수 있도록 SNN 지원 FPGA 하드웨어 기반의 모델 최적화를 제안한다. 제안 모델 최적화는 하드웨어의 제약사항을 고려하였고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모델의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조정하여준다. 모델 최적화 수행 과정에서 입력된 사용자 요구사항은 선택된 SNN 지원 FPGA 하드웨어에 반영될 수 있는지 검증되어진다. 또한, 사용자 요구사항에서 우선적으로 선택된 요소를 기반으로 더 높은 성능을 보일 수 있도록 최적화를 수행한다. 제안하는 IoT 응용 모델 최적화에 대한 성능 분석 결과, 기존의 Nengo에서 지원하는 고정 기법에 비해 사용자의 정확도 및 수행시간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하였다. 향후 뉴로모픽 하드웨어가 개발되고 보편화 된다면 제안 연구를 통해 저전력의 엣지컴퓨팅을 지원할 수 있어 미래지향적이다.

      • 데이터 기반 UX 디자인 교육을 위한 사례기반학습(CBL)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서연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various types of data are being generated,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identify and process them. In the field of design, as the perspective of viewing the design process as a knowledge creation activity using data is formed, more and more attempts are being made to use data as a material for creating design concepts. Because data can provide more objective insights, designers can design products in the right way through the data. Recently,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data-based design, and online lectures on related design processes have also been provided in various way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focusing on individual concepts of Data Driven Design and Data Informed Design, but domestic studies conducted by detailed classification with data-based design methods that are actually used in practice are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ot easy for UX design students, new designers, and planners who do not have much practical experience to use data-based design methods separately. This study aims to build a mindset on data utilization decision-making methods and learn the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data and decision-making to users who are unfamiliar with data utilization design.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data-based design, collect empirical cases, and establish a data-based design case classification system. A total of 30 actual service case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classification cases, and through the process of organizing cases, differences in Data Driven, Informed, and Aware designs could be identified within the data-based design. I designed an educational program using case-based learning to make it easier for learners with insufficient data-based design experience to understand data-based design. Based on the built case classification scheme and three types of data-based design, a case sheet was created that could be used for training programs, helping to understand data-based design cases in three types and processes. I conducted an educational program for a total of eight learners across the first(pilot program) and second rounds. Modif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usability evaluation received after the first pilot program was conducted, and short-term improvements were reflected in the second program. The second program also conducted a usefulness evaluation in the same way, and was questioned whether it was effective in data-based design education. The final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through the findings and improvements found in the first and second programs. I have validated its usefulness for experts with practical experience in data-driven design to verify that the finally derived training program can be used to understand data-driven design and to understand how data is utilized in practice. The educational program will be used as an educational plan to understand whether the data-based design majors that lack data-based design education can understand data-based design. 정보기술 산업이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생겨나고 있으며 이를 쉽게 확인하고 가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디자 인 프로세스를 데이터를 활용한 지식 창조 활동으로 보는 관점이 형성 되 면서 데이터를 디자인 컨셉 창작의 재료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데이터는 보다 객관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이 너는 데이터를 통해 올바른 방식으로 제품을 디자인할 수 있다. 최근 데이터 기반 디자인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된 디자 인 프로세스에 대한 온라인 강의 또한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다. Data Driven Design, Data Informed Design에 대한 개별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무에서 실제 활용되는 데이터 기반 디 자인 방법으로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진행한 국내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실무 경험이 많지 않은 UX 디자인 전공생이나 신입 디자이너, 기획자 는 데이터 기반 디자인 방법을 구분하여 활용하는 것이 쉽지 않다. 본 연 구는 데이터를 활용한 디자인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데이터 활용 의사결정 방법에 대한 마인드셋을 구축하고 정량 데이터와 의사결정 간의 관계성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헌 연구를 진행하여 데이터 기반 디자인에 대해 이해하고 실증 사례 를 수집하여 데이터 기반 디자인 사례 분류 체계를 구축하였다. 총 30개 의 실제 서비스 사례로 분류 체계에 맞게 정리하였고, 사례를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데이터 기반 디자인 안에서 Data Driven, Informed, Aware 디자인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데이터 기반 디자인 경험이 부족한 학습자가 데이터 기반 디자인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례기반학습을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구축한 사례 분류 체계와 데이터 기반 디자인의 세 유형을 기반으로 사례를 정리할 수 있는 사례지를 제작하여 교육 프로그램 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데이터 기반 디자인 사례를 프로세스와 세 유형 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1차(파일럿)와 2차에 걸쳐 총 8명 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1차로 파일럿 프로그램 진행 후 받은 유용성 평가를 바탕으로 수정사항을 도출하여 단기적 개선사 항을 2차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2차 프로그램도 동일하게 유용성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데이터 기반 디자인 교육에 효과가 있는지 설문을 받았다. 1, 2차 프로그램에서 찾은 발견점과 개선사항을 통해 최종적인 교육 프로그램 을 설계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한 교육 프로그램이 데이터 기반 디자인에 대해 이해하고, 실무에서 데이터를 활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 디자인에 실무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은 데이터 기반 디자인 교육이 부족한 UX 디자인 전공생과 UX 디자이너가 데이터 기 반 디자인을 이해하고 실무에서 어떤 방식으로 데이터 기반 디자인을 시행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교육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