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염효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경상남도 및 서울 지역에 소재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초등학교 2, 3, 4, 5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와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Kahen(1994)이 개발한 Kahen 정서 코딩 시스템(Kahen Affect Coding System: KACS)을 남은영(2008)이 개정・번안한 도구를 통해, 과제 상황에서의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상호작용 방식을 평가하였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1967)의 연구를 참조하여 강민아(201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ease, Clark과 Crase(1979)의 ‘사회적 유능감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를 이하경(200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먼저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의 어머니와 자녀 간 정서적 영향력을 비롯하여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연령이 비교적 높았으며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적 측면 뿐 아니라 경제적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하위요인,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성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일반가정에 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서 부정 정서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 긍정 정서와 중립 정서는 일반가정 어머니에게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으며,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혹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는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거나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거나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았다. 끝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낮으며,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자녀가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 어머니 정서가 자녀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먼저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정적으로, 어머니의 긍정 정서와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부적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를 예측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어머니의 중립 정서는 정적으로 자녀의 중립 정서를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자녀의 부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어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중립 정서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게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가 상당수 이뤄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자

      •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유연성의 매개효과 및 부정적 기분조절 기대치의 조절효과

        이진영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between life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from 394 undergraduate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nd 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scal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RLSS-CS), Cognitive Flexibility Inventory(CFI), Korean language measure of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negative mood regulation(NMR-K) are used for measurements. Using the SPSS 22.0 and the PROCESS macro, independent sample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bootstrapping method based 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simple slope test and Johnson-Neyman technique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t follows: First, in terms of smartphone addiction, university students from an addiction-risk user group accounted for 33.8%(133 people) while university students from a general user group accounted for 66.2%(261 people). According to the data analyzed, the addiction-risk user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eneral user group in terms of life stress. In terms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the addiction-risk user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eneral user group. Second, life stres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flexibility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Also, cognitive flexibility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bu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nd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martphone addiction. Third, cognitive flexibility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Lastly, the conditional effect of life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was significant in the region that the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score is 56.06 points or more. The result has the meaning that people with high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are lower smartphone addiction level than with low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when they experience the same levels of life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이 차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미영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modern society is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many different peoples therefore, the adolescents from ordinary family more often meet the on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this moment, for them to improve the capability to understand and embrace those from various classes and groups based on the idea on the discrimination against the minorities and the underprivileged, confusing identity crisis and unfair experience etc. can be the important factor to move forward to the fair society to solve the matter of bi-polarization. To that end, it is the time to need to find out the invisible distortion in their recognition, to make efforts in getting out of the false idea. We need to know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such as what they think the discrimination is, why it occurs and how they think about it, and then we can find the solution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the adolescents experience. Thus, for this study, we studied what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ordinary families think about the discrimination, and get to study their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including how they consider it. Besides, we also studied what affects the discrimination they think about and then tried to find out how to improve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os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from ordinary on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cceptance of cultural diversity affects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Besides, we studied whether the social support controls the relation between acceptance of cultural diversity and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or not. In details, we studied how the lower definition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for adolescents from ordinary families including the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uch as diversity,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affects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And, we also aimed to find out how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out of social support believed to improve the positive adoption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control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As analyzing how the relation between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nd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is and how the social support controls it, we tried to suggest the detailed direction to improve the social adoption of adolescents to live in multiple culture and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important to adapting to society and school for them. We sampled 148 adolescents from ordinary families and 30 on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randomly from middle and high schools, weekly church school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mong those from 14 to 19 who live in Seoul and the Kyeonggi province and surveyed them. The result of the study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s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ffects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It also shows that if the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increase which is the necessary ability to live as part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gets higher as well. The relationship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is the willingness not to reject or avoid in relating with other groups, not to treat in an unfair way and to actively make relations for mutual exchange and implement them. Universality is the tendency to recognize the fact that we are members of the common world and implement it while not to classify or discriminate the other groups. As the ability to accept the multiple culture is increasing, the correct idea for discrimination gets on the rise, the seriousness of discrimination for the ethical attitude is considered highly and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the sensitivity to find if a certain act to the other group is discriminatory, increases as well. Second, it also shows the result that the parental support, one of the social supports, brings the negative control effect to the rel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nd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The parental support even decreases the recognition of discrimination by suppressing the effect of relationship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It shows that when the negative effect of parental support brings the relationship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in an improper way, the negative effect can occur. Third, it also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travelling to the other countries affected the standard of relationship for the multiple culture acceptance negatively. It tells us that the relationship standard of the study subject without the experience to travel abroad is higher than that of those with the experience to travel abroad. It can be explained in this way that due to the quantitative touch rather than qualitative touch such as understanding the other cultures and recognizing the equal relation with the other group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other cultures with travelling abroad, bias or discrimination gets strengthened. Lastly, the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said to be lower than that of adolescents from ordinary families. The reason is that 80% of adolescents who don't go to school with lower discrimination recognition 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ompared to adolescents who go to school out of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us, we can get to know that the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this study is different not cause of whether they a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r not but cause of whether they go to school or not. Based on this study, we can giv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we need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education related to multiple culture said to affect the acceptance of multiple culture to improve the standard of relationship and universality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and give people more chances to meet foreigners. To that end, we need to increase the related education by selecting it as the official subject for middle and highs school students like the related subjects to be taught in universities which are usually provided by the exist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etc. We also need to increase the chance with which adolescents from both backgrounds meet each other through the related education or programs provided by the existing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Next, we need to provide the correct multiple culture education to parents to change the parental support to show the negative control effect of relationship and discrimination recognition of multiple culture acceptance into the positive effect. We need to expand the related education or programs to parents from ordinary families considering that they are provided only to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현재 사회는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 일반가정 청소년과 다문화가정 청소년들 간의 상호작용이 더 빈번해 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청소년들이 개인과 소수자 집단 또는 취약집단에 대한 차별에 관한 생각이나 혼란스러운 정체성, 부조리한 경험 등을 바탕으로 다양한 계층과 집단을 이해하고 포용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것은 다문화 사회에서 양극화를 해소하고 좀 더 평등한 사회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청소년들의 인식 속에 보이지 않는 왜곡을 알아보고 기존의 잘못된 인식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이 필요한 때이다. 청소년들이 무엇을 차별이라고 생각하는지, 차별이 왜 발생하며 차별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는지와 같은 차별인식에 대해 알아보아야 청소년들이 경험하고 있는 차별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들이 생각하고 있는 차별이라는 것은 어떤 것인지, 이들이 우리 사회의 차별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보고 있는지 청소년들의 차별인식을 알아보고 청소년들이 생각하는 차별에 어떤 것이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다문화 사회를 함께 살아가는 다문화가정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차별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을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이 차별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 수용성과 차별인식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포함한 일반가정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의 하위 개념인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이 차별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개인 간, 집단 간의 긍정적 적응능력을 향상시킨다고 연구된 사회적지지 중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가 다문화 수용성과 차별인식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밝혀내는데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청소년들의 다문화 수용성과 차별인식이 어떤 관계가 있고 그 관계를 사회적 지지가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분석함으로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사회 적응과 학교 적응에 중요한 차별인식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가지고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4세에서 19세까지의 청소년들을 중·고등학교와 교회 주일학교,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일반가정 청소년(148명)과 다문화가정 청소년(30명)을 임의표집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과 보편성이 차별인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능력인 관계성과 보편성이 높아지면 차별인식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은 타 집단과 관계를 맺고자 할 때 거부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차별적으로 대우하지 않으며 적극적으로 상호 교류 관계를 맺고 실천하려는 의지이고 보편성은 타 집단을 등급화하거나 차별화하지 않고 공통된 세계의 구성원임을 자각하고 이를 실천하려는 경향이다. 이러한 다문화 수용성의 역량이 높아지면 차별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이 높아지고 윤리적인 태도에서도 차별의 심각성을 높게 생각하며 타 집단에 대한 행동이 차별인지에 대한 민감성인 차별인식이 높아지는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둘째,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과 차별인식의 관계에 사회적 지지의 부모지지가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주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의 효과를 부모지지가 억제하여 차별인식을 오히려 낮추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결과는 부모지지의 부정적인 효과로, 부모지지가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에 부적절한 방향으로 주어졌을 때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세 번째는 해외여행의 경험이 오히려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외여행 경험이 없는 연구대상자의 관계성 수준이 해외여행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의 관계성 수준보다 더 높은 경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해외여행에 따른 타문화에 접촉이 타문화의 이해와 다른 집단과의 평등한 관계를 자각하는 등의 질적인 접촉이 아닌 양적인 접촉으로 인해 오히려 편견이나 차별이 강화되기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차별인식이 일반가정 청소년의 차별인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의 연구 대상자 중에 학교에 다니는 청소년에 비해 차별인식이 낮았던 학교에 다니지 않는 청소년의 80%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인 것이 원인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의 차별인식은 다문화여부가 아닌 학교의 재학여부에 따라 수준의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실천적 제언을 하면 첫째,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과 보편성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다문화관련 교육의 횟수를 늘리고 외국인을 본 경험을 높이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다문화 가족 지원센터 등을 통해 실시하는 다문화 교육을 대학의 다문화 교과목처럼 중·고등학교에서도 교과목으로 선정하여 다문화 교육을 늘려야 할 것이다. 또한 기존에 다문화 가족 지원센터 등에서 실시하는 다문화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통해 일반가정 청소년과 다문화 가정 청소년이 함께 하는 기회를 늘릴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성과 차별인식의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인 부모지지를 긍정적인 효과로 변화시키기 위해 부모에 대한 올바른 다문화 교육을 해야 할 것이다. 기존의 다문화 교육이나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의 자녀와 그 부모에 한정되어 실시되고 있음을 볼 때 일반가정 부모까지 다문화 관련 교육이나 프로그램이 확대되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 세포 배양시스템에서 녹차 카테킨의 화학적 행태에 따른 생리활성 변화 및 항산화제와 일반의약품과의 상호작용

        김미리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47

        Various physiological effects of tea catechins,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includ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cancer activities. Many of these activities and related mechanisms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a cell culture system. Tea catechins are, however, unstable in cell culture conditions and are rapidly converted to oxidative products through the autoxidation process. In the present study, changes in bioactivities of a major tea catechin,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by chemical behaviors under cell culture systems and its interaction with different antioxidants or over-the-counter (OTC) drugs were explored. First, fluorescent properties of EGCG during its autooxidation process were investigated.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EGCG was significantly enhanced after 4 h-incubation in phosphate-buffered saline or culture media showing a peak emission at 470 nm with an excitation at 380 nm. Enhancement of the fluorescence intensity was proportional to formation of EGCG oxidative products and was not observed in the presence of EGCG stabilizing agents including ascorbic acid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The fluorescence signal from EGCG oxidative products can be a convenient marker for expecting EGCG stability and its oxidation process. Uptake, efflux as well as cytotoxic properties of EGCG and its oxidative 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HepG2 cells. Cytotoxic effect of EGCG was mainly due to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ed from EGCG in media; intracellular ROS level decreased by EGCG. EGCG oxidative products rather stimulated cell proliferation slightly. Uptake form into cells was mainly free EGCG; its oxidation products was not detected in cells. Efflux transporter modulators including Ko143 and indomethacin increased the cellular levels of EGCG and (-)-epicatechin gallate (ECG) in HepG2 cells, suggesting that EGCG and ECG are substrates for MRP and/or BCRP. EGCG also increased the BCRP protein level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 without affecting its mRNA level. MRP-1 mRNA level decreased in cells treated with EGCG; EGCG, however, increased MRP-2 mRNA level. The effect of EGCG on mRNA level of MRP-2 was significantly less pronounced in the presence of SOD. The results suggest that EGCG could modulate activities and levels of these transporters and affect efflux of certain drugs that interact with these proteins. Among CYPs including 1A2, 3A4, and 2E1, levels of mRNA of CYP2E1 and CYP1A2 was decreased in HT-29 cells by EGCG; EGCG did not affect protein level of CYP2E1. Changes of chemical stability and cytotoxic properties of EGCG in the presence of various antioxidants wer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s used in the present study modulated chemical stability of EGCG. SOD, ascorbic acid, N-acetylcysteine (NAC), and glutathione (GSH) significantly increased EGCG stability. The H2O2 level generated from EGCG was decreased by NAC but not by GSH. The cytotoxic effects of EGCG also decreased in the presence of NAC, catalase, and SOD. GSH, however, showed a complicated modulatory pattern according to EGCG and GSH concentrations; ascorbic acid rather enhanced EGCG cytotoxicity. The results suggest that many antioxidants could modulate the cytotoxic properties of EGCG in a cell culture system not only by removing ROS but by modulating chemical stability and other factors, which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when studying ROS-dependent mechanisms of EGCG. Tea catechins and commonly-consumed OTC drugs could be encountered and their interactions in body are expected. Acetylsalicylic acid (Asp) increased the chemical stability of EGCG. Non-toxic concentrations of acetaminophen (AAP) significantly enhanced the EGCG cytotoxicity. Non-toxic dose of EGCG (up to 20 µM) also enhanced ibuprofen cytotoxicity significantly. The isobologram analysis revealed the cytotoxic synergism by combination of ibuprofen with EGCG. There was, however, no dramatic change observed in cytotoxicity of Asp combined with EGCG. EGCG significantly decreased AAP toxicity in HepG2 cells, showing increased GSH levels. When consequently treated with AAP after EGCG incubation,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to cells treated with EGCG alone. Intracellular level of AAP were increased by Ko143; it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presence of EGCG. The present results indicates that bioactivities of tea catechins, mainly EGCG, can be modulated dramatically by changes of their chemical behaviors (e.g. chemical stability, auto-oxidation, and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etc.) under cell culture condition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interaction of EGCG with antioxidants, efflux modulators as well as OTC drugs could modify physiological actions of EGCG or its interacting compounds through modulating their chemical behaviors.

      • 규율과 통치 수단으로서의 ‘부녀’복지제도 : -1960〜70년대 담론을 중심으로-

        박서연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conducted a discourse analysis focusing on the 'women' welfare system in the 1960s and 1970s an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at that time.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examine the influence of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discourse formation and confirm how the created discourse on women can affects women. Based on this research objective, the main representativ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How was the discourse on women in need of protection and women not in need of protection in the 「Prevention of Prostitution, etc. Act」 formulated in newspaper articles and the ‘women’ welfare system in the 1960s and 1970s?" The following sub-research questions were also investigated. What was the role of ‘women’ welfare policies including 「Prevention of Prostitution, etc. Act」 in discourse formation on the women in need of protection and women not in need of protection in the 1960s and 1970s? How did the discourse on women formed by newspaper articles and ‘women’ welfare policies define women’s identities and how did they divide women?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Foucault’s theory, which describes the power in the order of sovereignty power / discipline power / bio power and the concept of witch hunt and colonization suggested by Federici and Mies were examined as theoretical backgrounds. As research methods, Foucault’s process of exclusion and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ere used. Based on the 'women' welfare policies and the newspaper articles from the 1960s and 1970s, this study analyzed the classification of women assorted by Foucault’s process of exclusion at the first stage and examined the identification and image of women formed by Fairclough’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mong 1,696 articles extracted by entering the keyword ‘prostitution’ in <Naver News Library>, 1,637 articles were selected, excluding 59 articles about novels or advertisements. In addition, the 「Prevention of Prostitution, etc. Act」, which played the role of the basic law for the 'women' welfare system in the 1960s, and the 'women' welfare-related ordinances, order, and rules were examined. In the 「Prevention of Prostitution, etc. Act」 and 'women' welfare policies, women are divided into women in need of protection and women not in need of protection. The women in need of protection defined by 「Prevention of Prostitution, etc. Act」 refers to ‘women in prostitution’ and ‘women at risk of prostitution’. According to the ordinances of women and women businesses, the women not in need of protection refer to general wome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women in prostitution’ are identified as promiscuous girls who moved to the city without a plan or resources and disadvantaged girls who participated in the 4.19 movement. Also, ‘women in prostitution’ are treated as infiltrators in general residential spaces and objects to be lived in the institutions. ‘Women in prostitution’ were symbolized as a social evil and used as a social mean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Park Chung Hee regime. By allowing prostitution in a limited area and banning prostitution with the 「Prevention of Prostitution, etc. Act」, the nation and society assumed sex worker as contaminate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carriers and exploited them as the disciplined economic person who earns foreign exchange for the country and society. Secondly, according to the 「Prevention of Prostitution, etc. Act」, ‘women who are likely to be a prostitute in terms of their environment and sexual behavior’ mainly directed women who were working in the city after leaving their hometown, such as housemaids and female factory workers. They were the breadwinners of their families under poor conditions, while women earned their own income independently outside their homes. They were major industrial powers during the developmental state, but their independence often became a threat to a patriarchal society. Therefore, the state and society stigmatized their sexuality and named them women concerned of being prostitutes. This was a strategy of the nation and society to monopolize women’s labor power. On the other hand, the ‘women’ welfare policy for working women was separated from women at home, and there were few welfares for small-business workers other than lodging and basic technical education operated by welfare centers. Third, sex worker are pathologized by clinical science, and the role of protecting them was imposed on ‘general women’. The ‘women’ welfare for general women was composed of liberal education on childrearing and housework at the womenfolk business center. General women were mobilized for national family planning projects. General women had to become rational housewives and take care of pathological women with scientific love. They were distinguished from ‘women in prostitution’ or ‘women concerned of being prostitutes’ as the ‘women’ welfare system separated general women. However, general women were also included in the category of ‘prostitution’. When general women were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outside of their homes where they do reproductive labor, they became delinquent housewives. Women are categorized into ‘women in prostitution’, ‘women concerned of being prostitutes’, and ‘general women’ who do not need protection according to the 「Prevention of Prostitution, etc. Act」, and the ‘women’ welfare policies and the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that time each constructed the discourse on women. Accordingly, women were classified hierarchically. This hierarchical categorization of women eventually included all women in the category of ‘prostitution’. In other words, classifying women hierarchically under the name of prostitution was a strategy of the state and society to control all women. The state and society defined ‘prostitution’ as a social evil and discoursed it as a social problem, but their main interest was to control all women in the name of ‘prostitution’ and use them economically. Since this study conducted a discourse analysis limited to the period of the 1960s and 1970s, it ha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how the recent policies and published news on sex worker are creating the image of women. However, when looking at the discourse about women in the 1960s, this paper reveals that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of women is a control strategy of the state and socie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ritically examine how the welfare system responded to the discourse formed in society at that time and classified the subjects. 본 연구는 1960년대~70년대에 ‘부녀’복지제도와 당시 발행된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담론분석을 진행했다. 특히 담론 형성 과정 중 제도의 영향을 비판적으로 살펴보며, 여성에 관해 형성된 담론이 여성에게 미친 효과를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1960∼1970년대 신문기사 및 ‘부녀’복지제도에서 「윤락행위등방지법」의 요보호여성과 비요보호여성에 대한 담론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라는 대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하위 연구문제로 “「윤락행위등방지법」 및 기타 부녀복지제도가 수행한 1960∼1970년대의 요보호여성과 비요보호여성 담론형성과정에서의 역할”과 “신문 기사와 ‘부녀’복지 제도가 형성한 여성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여성의 정체성을 규정짓고 분할”하였는지 질문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주권권력-규율권력-생명권력으로 서술되는 Foucault와 이론과 Federici와 Mies의 마녀사냥과 식민화 개념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Foucault의 배제의 절차와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1960~70년대 ‘부녀’복지제도와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Foucault의 배제의 절차로 분류된 여성 구분을 1단계로 분석하였으며, 2단계로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 방법에 따라 여성에 대해 형성된 정체성,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신문기사 선정은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에서 ‘윤락’ 키워드를 기입하여 추출된 기사 중 1,696개의 기사 중 소설, 광고 등 59개의 기사를 제외한 1,637개의 기사로 이루어졌다. 또한 1960년대에 ‘부녀’복지제도의 기본법과 같은 역할을 한「윤락행위등방지법」과 ‘부녀’복지 관련 조례, 직제, 규칙 등을 살펴보았다. 「윤락행위등방지법」 및 ‘부녀’복지제도에서 여성은 요보호여성과 비요보호여성으로 나누어졌다. 「윤락행위등방지법」으로 명명된 요보호여성은 ‘윤락여성’과 ‘윤락할 우려가 있는 여성’을 가리켰다. 부녀사업관 및 부녀복지관 조례에서 비요보호여성은 주로 ‘일반여성’을 나타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락여성’은 문란한 무작정 상경소녀, 불우한 4․19 의거 소녀로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또한 ‘윤락여성’은 일반주택가의 침투자이자 시설에 수용되어야 하는 대상으로 취급되었다. ‘윤락여성’들은 사회의 악으로 상징되었으며 자활과 갱생을 자신의 구호로 삼은 박정희 정권의 정당성을 확보해주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특정지역 내에서 성매매를 허용함과 동시에 「윤락행위등방지법」으로 성매매를 금지하며 묵인관리체제를 유지해온 국가와 사회는 성매매여성을 오염된 성병 보균자로 치환하며 국가와 사회에 필요한 외환을 벌어주는 훈육된 경제적 인간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윤락행위등방지법」상 ‘환경과 성행으로 보아 윤락할 우려가 있는 여성’은 상경 후 도시에서 일하는 여성이었던 식모, 여공인 영세근로 여성을 주로 가리켰다. 이들은 열악한 조건에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이었으며 한편으로는 가정 밖에서 독립적으로 자신의 소득을 획득하는 여성이었다. 이들은 발전주의 국가 시기 주요한 산업 역군이었으나 이들의 독립성은 가부장적인 사회에 위협이 되곤 했다. 이에 국가와 사회는 이들의 섹슈얼리티를 낙인화하며 윤락우려여성이라고 이름 붙였다. 이는 여성들의 노동력을 전유하고자 한 국가와 사회의 전략이었다. 한편 일하는 여성들에 대한 ‘부녀’복지제도는 가정 내에서 존재하는 여성들과 분리되었으며, 영세근로 여성에 대한 복지는 복지관에서 운영되는 숙박 및 기본적인 기술교육 외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셋째, 성매매 여성들은 임상과학에 의해 병리화되는데, 이들을 보호해야 할 역할은 ‘일반여성’들에게 부과되었다. 일반여성에 대한 ‘부녀’복지는 부녀사업관에서 양육 및 가사에 대한 교양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일반여성들은 국가의 가족계획 사업에 동원되었다. 일반여성들은 합리적인 가정주부가 되어 과학적인 사랑으로 병리화된 여성의 보살펴야 했다. 이들은 ‘윤락여성’ 및 ‘윤락우려여성’들과 구분되었으며 ‘부녀’복지제도는 일반여성을 구분하였다. 그러나 일반여성들도 마찬가지로 ‘윤락’이라는 범주로 포섭되었다. 일반여성들이 가정에서 재생산노동을 하지 않고 여성 자신의 사회적인 활동을 하는 경우 윤락한 불량주부가 되었다. 이처럼 여성들은 「윤락행위등방지법」의 구분에 따라 ‘윤락여성’, ‘윤락우려여성’, 비요보호여성인 ‘일반여성’으로 분류되었고, ‘부녀’복지체계와 당시 신문기사들은 각 여성에 대한 담론을 구성하였다. 이때 여성들은 위계적으로 분류되었다. 위계적인 여성 분류는 결과적으로 모든 여성을 ‘윤락’이라는 범주로 포섭하였다. 즉, 윤락이라는 이름으로 여성들을 위계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모든 여성을 통제하고자 했던 국가와 사회의 전략이었다. 국가와 사회는 ‘윤락’행위를 사회악으로 규정하며 사회문제로 담론화 하였으나, 결과적으로 모든 여성을 ‘윤락’이라는 이름으로 여성을 통제하여 경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국가와 사회의 관심사였다. 본 연구는 1960~70년대의 기간으로 한정하여 담론 분석을 진행하였기에 현재 형성된 성매매 여성 관련 정책들과 발행되는 신문기사들이 어떻게 여성들에 대한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형성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1960년대에 여성들에 대해 형성된 담론을 확인해보며 당시 ‘윤락’ 담론으로 여성을 위계적으로 분리하는 것 자체가 국가와 사회의 통제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복지제도가 당시 사회에 형성된 담론과정에 어떤 역할을 하며, 어떻게 대상들을 어떻게 구분하였는지 비판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 한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 분석 : 일반대학원을 중심으로

        이은경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ABSTRACT An analysis of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ing of graduate school Lee Eun Kyung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This research analyse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of the graduate school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for obtaining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certificate, and by doing so, the research pursue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it will suggest necessary changes through conducting surveys to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current at work place about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 programs. The first chapter explain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nd reviews the conducted researches so far. As well, by suggesting the research method, it states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The second chapter takes a look at the status of the graduate school-level instructional program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In order to analyze the programs, 39 graduate schools, currently registered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in 2014, were chosen as subjects, and these 39 schools are operate their programs under different titles. Currently, in order to obtain a Korean language teaching certificate, you must complete a certain number of credits designated by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Because of this, most accrediting institutions must operate programs under this framework. To this, the chapter takes a look at the designated number of credits and hours required in order to obtain the certificate. The total number of courses offered in the 39 graduate school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is 1279 (including overlapping courses). 1096 of these fall under the required 5 areas of studies in order to obta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certificate, and excluding this, a total of 183 are not included in the required areas. To this, the chapter critically reviewed the operation of these 1096 courses that have met the requirements of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The third chapter conducts a survey to research how effectively the program is utilized in real application to the current Korean language instructors with a master’s degree. This research pursued to critical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education programs of graduate schools in Korea, that are operated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as a result, it was clear most graduate schools operated the required courses under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Also, most Korean language instructors were aware of the outlined Korean language teaching qualifications and required courses for necessary areas, set out by the Framework Act on the National Language. However, approximately 50% of the survey participants responded the allocation of required credits to obta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certificate is inappropriate. Also, to the question ‘Do the courses taken during the master’s degree program to obtain the Korean language teaching certificate help in the actual teaching?’, there were different answers in different areas. In summary, this research does not stop at analyzing the education program of graduate schools, but is important in that it shows the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instructors of the instructional programs. This is valuable in improving the education

      • 서울지역 일부 여대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식습관 및 혈액 임상지표 비교 연구

        이루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첫 발돋움을 하는 단계이자 자발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특히 여대생의 경우 훗날 임신을 통하여 제2세대를 양육해야하는 모체이므로 더욱 적극적이고 적절한 영양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대학생이 된 후에는 식습관이 불규칙 해지고 과도한 체중 조절로 인해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의 거주 형태에 따른 식습관과 혈액 특성을 조사하는데 있다. 총 374 명의 대상자가 거주 형태에 따라 자택군, 기숙사군 및 자취군으로 분류되었다. 설문지를 통해 일반 사항, 식습관, 음식 섭취 빈도, 신체 활동 및 식생활 태도를 조사하고 인체 측정 및 혈액 임상 지표를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BMI는 각각 161.21cm, 53.54kg, 20.51이었다. 많은 여대생이 건강과 영양에 관심이 있었으며, 체중 감량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또한, 자취군에서 주관적인 건강 상태가 다소 안 좋아졌다고 유의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대상자의 대부분이 격렬한 신체 활동보다 가볍게 걷기 운동을 하고 있었으며, 기숙사군은 운동 시설이 부족하여 운동하기가 어렵지 않다는 인식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끼니 중 주로 아침을 거르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택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대학생이 된 이후로 식습관이 더 나빠진 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중 자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단백질, 유제품, 과일, 해조류의 섭취 빈도는 다른 두 그룹에 비해 자취군에서 현저히 낮았다. 고지방 육류의 섭취 빈도는 자택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자택군에서 음식을 작은 조각으로 잘라 먹었으며, 자취군에서 고 탄수화물 음식을 피하는 경향이 있고 새롭고 풍부한 식품을 시도하고 즐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평균 혈중 농도는 정상 이었지만 혈중 임상 지표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자취군은 자택군과 비교했을 때 식습관이 좋지 못했다. 거주 형태가 혈액 임상 지표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거주형태와 혈액 임상 지표를 비교연구 하였다는 시도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대학생, 특히 자숙 그룹의 영양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영양 교육이 필요하다. College students are the important time to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foundation to maintain a healthy adulthood. In particular, female students should be more aggressive and appropriate nutrition because they can later become pregnant. However, after becoming a college student, eating habits are likely to become irregular and may experience various health problems due to excessive weight contr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residence types. A total of 374 subjects were classified as home group, self-boarding group and boarding group according to their residence type. General characteristics, dietary habits, frequency of food intake, physical activity and eating attitudes were exam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blood clinical indices were analyzed. The average height, weight, and BMI of the subjects were 161.21cm, 53.54kg, and 20.51, respectively. A large numb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interested in health and nutrition and had tried to lose weight. In addition, the self-board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t thei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somewhat worse(p<0.05). Most of the subjects were walking lightly than the intense physical activity, and the boarding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that it was not difficult to exercise because of lack of exercise facilities in the vicinity. Most frequently skipping meal was breakfast, and i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ome group compared to the other two groups. Most colleg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ir eating habits had worse since becoming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elf-boarding group. The frequency of grain intake, protein intake, dairy intake and seaweed intak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elf-boarding group, than those of the other two groups. The frequency of consuming fatty meat and frui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ome group. In the home group, they cut food into smaller pieces and tried new and rich foods in the self-boarding group. The average blood level of the subjects was normal but did not affect the change of blood clinical index.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self-boarding group had inadequate dietary habits compared to the home group. Although the residence pattern did not affect the change of the blood clinical index, but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idence type and the blood clinical index were comparatively studied. Therefore, proper nutrition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nutritional status of college students, especially self-boarding group.

      • 읽기 및 철자쓰기를 통합한 음운규칙 지도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읽기 정확도와 철자 정확도에 미치는 효과

        차예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Korean phonological rules instruction program combining reading and spelling on multicultural children's Korean reading and spelling accuracy. Because Korean pronunciation doesn't match with spelling, multicultural children have difficulty in reading and spelling the Korean words that changes according to phonological rules. As a systematical approach,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12 stages of 8 phonological rules. The intervention participants were four elementary multicultural children.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based on delayed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was conduct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ur elementary children participants showed high level of phonological rule acquisition and progression at each stage along with improved accuracy of reading and spelling Korean word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rules. Second, applying Korean phonological rules were generalized to other word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the ability to generalize the learned phonological rules revealed to be maintained even twenty-seven day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intervention. Third, conducted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post–word test on the phonological change showed more improved Korean reading and spelling accuracy than the pre-word test on the phonological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honological rules instruction program combining reading and spell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curacy of reading and spelling Korean words with phonological change. Finally, these findings provide useful evidence for teaching multicultural children who have problems with reading and spelling Korean words with phonological change. Based on the study results, som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the further study are discussed.

      • 한국 전래동화와 외국 전래동화에 대한 교사, 부모, 유아의 인식 비교 연구

        윤옥화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31

        전래동화는 그 나라의 문화와 전통을 담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적 가치와 도덕적, 정서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부모와 교사는 유아의 정서적, 심리적, 지적 발달에 가장 중요한 환경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래동화의 교육적 가치를 최대화하기 위한 기초자료 연구로서 교사 · 부모 ·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 전래 동화와 외국 전래동화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한국 전래동화와 외국 전래동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동화에 대한 인지현황, 교육실태, 가치)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2. 한국 전래동화와 외국 전래동화에 대한 부모의 인식(동화에 대한 인지현황, 교육실태)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한국 전래동화와 외국 전래동화에 대한 유아 면담과정에 나타난 특징은 어떠하며, 전래동화에 대한인식(한국과 외국 전래동화의 구분 및 이해, 선호하는 동화, 경험 경로 및 매체)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한국 전래동화와 외국 전래동화에 대한 교사·부모·유아의 인지 현황(한국과 외국 전래동화의 구분 및 전체 내용 인지, 선호하는 동화, 동화 경험 경로 및 매체)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경상북도 구미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 200명과 부모 250명, 유아 120명이었다. 회수 된 설문지 중 교사 설문지 200부와 부모 설문지 200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유아는 만 5세 50명, 만 4세 50명, 만 3세 20명을 개별면담 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와 백분율, X2, t검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산 분석시 유의한 결과에 대해서는 Scheffé의 사후검증도 실시하였다. 설문 중 복수 응답은 다중응답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별 분석한 결과와 논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사가 한국 전래동화로 구분한 동화는 평균 15.30편, 외국 전래동화는 18.59편이었다. 전체 내용을 인지하는 동화는 평균적으로 한국 전래동화는 14.58편, 외국 전래동화는 15.78편이었다. 교사가 가장 선호하는 동화는 아기돼지 삼형제였다. 교사가 어린 시절 전래동화를 접하게 된 주된 경로는 가정에서(가족에게)가 많이 나타났다. 전래동화를 접하게 된 매체는 책․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교사는 전래동화를 주1-2회 실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전래동화 선정 기준은 교훈을 줄 수 있는 것(권선징악, 용기, 효, 충, 애 등), 유아의 전인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것 순이었다. 전래동화를 제시할 때 사용하는 매체는 책․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교사는 한국 전래동화의 교육적 가치를 권선징악, 효, 예절, 애 등의 ‘교훈을 배울 수 있다’고 하였다. 한국 전래동화의 효율적 교육방법은 그림책을 직접 읽어준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영상매체, 음성파일 등 미디어를 활용한다.’, ‘뮤지컬, 인형극 등을 보여준다.’, ‘인터넷 사이트, 모바일(어플)을 활용한다.’, ‘도서영역에 비치하여 자발적으로 읽게 한다.’등이 있었다. 확장활동으로 ‘동극을 한다.’, ‘구연동화를 한다.’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부모가 한국 전래동화로 구분한 동화는 평균 15.84편, 외국 전래동화는 17.92편이었다. 전체 내용을 인지하는 동화는 평균적으로 한국 전래동화는 13.79편, 외국 전래동화는 14.47편이었다. 부모가 가장 선호하는 동화는 아기돼지 삼형제였다. 부모가 어린 시절 전래동화를 접하게 된 주된 경로는 가정에서(가족에게)가 많이 나타났으며, 전래동화를 접하게 된 매체는 책․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부모는 전래동화를 주1-2회 제시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전래동화 선정 기준은 교훈을 줄 수 있는 것(권선징악, 용기, 효, 충, 애 등), 유아가 재미있어하는 것 순이었다. 전래동화를 제시할 때 사용하는 매체는 책․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셋째, 유아가 한국 전래동화로 구분한 동화는 평균 5.4편, 외국 전래동화는 15.33편이었다. 전체 내용을 인지하는 동화는 평균적으로 한국 전래동화는 2.83편, 외국 전래동화는 5.61편이었다. 유아가 가장 선호하는 동화는 피노키오였다. 유아가 전래동화를 접하게 된 주된 경로는 가정에서(가족에게)가 많이 나타났으며, 전래동화를 접하게 된 매체는 책․그림책이 가장 많았다. 넷째, 전래동화에 대한 교사·부모·유아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면, 한국과 외국 전래동화를 구분한 상위 10편중에서, 세 집단이 공통으로 구분한 동화는 구둣방 할아버지와 꼬마요정, 브레멘 음악대, 일곱 마리 아기 양과 늑대, 장화신은 고양이, 황금거위로 나타났다. 한국 전래동화는 1편도 없었다. 전체내용을 아는 전래동화 상위 10편중에서, 세 집단이 공통으로 전체내용을 아는 동화는 개미와 베짱이, 금도끼 은도끼, 미운오리새끼, 백설공주, 아기돼지 삼형제, 양치기 소년으로 총 6편 중 1편이 한국 전래동화였다. 선호하는 전래동화 상위 10편중에서, 세 집단이 공통으로 선호하는 동화는 미운오리 새끼, 백설공주, 아기돼지 삼형제, 양치기소년, 일곱 마리 아기양과 늑대, 피노키오였고, 한국 전래동화는 1편도 없었다. 교사와 부모, 유아가 전래동화를 접하게 된 매체는 부모 89

      •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한 예술작품과 감정순환 : 본인작품 중심으로

        송수경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31

        유년시절의 추억과 같이 평생동안 마음의 쉼과 그리움을 담고 있는 기억의 공간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벗어나고 싶은 기억의 공간이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트라우마(trauma) 라고 부른다. 본 논문은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된 예술작품이 관객의 삶에 어떤 의미를 줄 수 있는 것인지’에 관해 질문하며, 이 질문에 초점을 맞추어 본인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트라우마에 대한 연구는 라캉의 정신분석학에 근거로 하였다. 라캉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의 무의식을 구조주의 언어학의 입장에서 새롭게 바라보았다. 라캉에게 상징계로의 진입은 인간의 필연적 과정으로써 상징계는 언어가 중심이 되지만, 언어로써는 자신의 욕망이 충족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언어를 벗어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언어는 우리의 사고를 억압한다. 라캉은 트라우마를 구멍이라는 용어를 통해 설명 하려 했는데, 이를 통해 트라우마는 우리가 세계의 경험들을 기표를 이용해서 표현하는 가운데 어떤 기표로도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화자로 하여금 상실감을 느끼게 하는 경험이다. 상처받은 경험을 끄집어 내는 과정에서 ‘이야기’의 형식을 갖게 된다는 것에 따라 예술가의 감정이 담긴 내러티브는 트라우마와 나 그리고 예술작품과 관객을 연결해 준다. 이러한 관계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연쇄적 반응으로 이어지는 하나의 여정이다. 그러므로 트라우마로 인해 발생한 나의 작업은 관객이 볼 수 있는 내러티브를 갖게 되며, 이 내러티브는 이미 ‘트라우마의 경험이 준 본인의 감정’과 ‘타인과의 소통에 있어 불만족스런 언어’ 그리고 ‘타인과의 감정을 교류’을 고려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로써 설치작품으로 ‘기억의 재현’을 시도는 관객이 나와 같은 경험을 체험하며, 나와 같은 감정을 공유하길 바라는 나의 심리를 반영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논문의 결과에 해당하는 ‘감각하는 내러티브’에서는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에서의 ‘신체의 앎’과 본인의 작업의 연결점을 살펴 보았는데, 사탕과 고춧가루 같은 감각적인 오브제들은 ‘관 의 몸’을 통해 관객이 사유할 수 있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트라우마에 대한 심리학을 바탕으로 트라우마에 대한 보편적 증상인 ‘반복강박’을 분석하고, 이를 나의 심리와 연결하며, 트라우마에 의해 발생된 예술작품이 개인의 치유를 넘어 관객과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예술로써의 방향을 연구하였다. There is a space of memory that fills the tranquility and longing of the heart much like nostalgia from one’s younger years. Reversely from this, there is a space of memory which we want to escape from, which we refer to as trauma. This study questions “what significance the works of art created by trauma has on the lives of audiences” and the author’s works are analyzed within the scope of this question. The research of trauma was conducted founded upon the psychoanalysis of Jacques Lacan. Lacan viewed the structuralism of the unconscious as described within psychoanalysis of Freud from a new linguistic perspective. To Lacan, the entry into the Symbolic is an inevitable human process and viewed the Symbolic as being centered on language, yet language does not satisfy one’s desires. Consequently, humans cannot escape from language and such language works to oppress our reasoning. Lacan attempted to explain trauma with the term ‘hole’, and while we attempt to express our worldly experiences by using signifiers, there are no signifiers that can satisfy trauma, in turn leaving us experiencing a feeling of loss. The emotion-filled narratives of the artist, which are given a “story” format within the process of drawing out our hurtful experiences, works to connect this trauma with myself, the work of art and the audience. Such a relationship is a journey that elicits series of responses with the flow of time. Consequently my works created due to trauma take up a narrative that the audience can see, which I was able to understand that such a narrative is a consideration of the ‘emotions given to the self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uma’, ‘the dissatisfaction of language in communicating with others’, and ‘the exchange of emotions with others’. With the installation work attempting the ‘Reproduction of Memory’, I was able to understand that the work reflects my state of mind that desired the audience to experience my experiences and share my emotions. Within the context of ‘Narrative that is sensed’ correspon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xploring the points of connections with my work with the ‘understanding of body’ as from the phenomenology of Maurice Merleau-Ponty, sensible objets, such as candy or powdered peppers, can be understood by the audience through the ‘body of the audience’. Based on such psychological studies on trauma, this study analyzes a general symptom of trauma ‘repetition compulsion’, and connects with my own state of mind to research directions for works of art to serve as more than just healing for oneself to become art that can communicate with aud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