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침윤성 자궁경부암 환자의 임상적 양상 및 예후에 관한 연구

        김법종(Beob Jong Kim),이재규(Lee Jae Kyu),이주헌(Joo Heon Lee),유상영(Sang Young Ryu),김종훈(Jong Hoon Kim),김병기(Byoung Gie Kim),박상윤(Sang Yoon Park),이의돈(Eui Don Lee),이경희(Kyung Hee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침윤성 자궁경부암은 우리 나라 여성에서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는 질환으로 그 동안 국내 자궁경부암 환자의 예후에 관한 여러 연구에도 불구하고 생존 여부의 조사에 있어서의 어려움으로 신뢰할만한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이 연구를 통하여 임상적 양상과 실제 5년 생존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199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본 원자력병원 산부인과에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한 4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연령, FIGO 임상 병기, 조직학적 양상, 림프절 전이, 치료 방법 등 임상적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환자의 생존 여부는 행정전산망 및 경찰의 전산망, 통계청의 조사자료 등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51세에서 60세 사이가 32.7%로 가장 많았으며, FIGO 임상 병기는 IIb기가 32.5%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임상병기 Ib기 및 IIa기의 치료방법은 수술적 치료가 주로 시행되었으며(65%), 이 이상의 병기에서는 방사선 치료가 주로 시행되었다(97%). 림프절의 전이는 Ib기 6%, IIa기 29% IIb기 36%로 IIb기 이상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실측 5년 생존율은 72.2%였고 병기에 따른 생존율은 Ia기 100%, Ib기 94%, IIa기 82%, IIb기 63% IIIa기 36%, IIIb기 47%, IV기 0%였다. 임파절 전이여부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수술적으로 임파선 전이여부를 확인한 Ib-II기 환자에서 임파선 전이가 없는 군이 91.9%인데 비해 전이가 수술적으로 확인된 군은 73.1%를 보였다. 5년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FIGO 임상 병기와 림프절의 전이였으며, 연령 및 조직학적 유형은 통계학적 의의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199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 본 원자력병원 산부인과에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단 및 치료를 받은 489명 환자의 실측 5년 생존율은 72.2% 였고, 5년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FIGO 임상병기와 림프절의 전이였다. Objectives: This non-randomized ret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o evaluate the actual 5-year survival rate of the patients with invasive cancer of the cervix. Methods: 489 evaluable patients with invasive cancer of the cervix were treated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from January to December 1992. In this retrospective study, we studied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age, FIGO stage, histologic type, nodal metastasis) and treatment modalities by the review of medical records. Especially, the survival was confirmed by the support of the police and government office. Results: The most common subsets of patients were found in the group of FIGO stage IIb(32.5%) and age between 51 and 60(33%). Surgery was the main treatment in stage Ib/IIa(65%) and radiation in stage IIb or more(97%). Nodal metastasis were surgically identified in 6% of stage Ib, 29% of stage IIa and 36% of stage IIb. Overall actual 5-year survival rate was 72.2%; stage Ia(100%), Ib(94%), IIa(82%), IIb(63%), IIIa(36%), IIIb(47%), and IV(0%). The five-year survival rate according to LN status in surgically confirmed FIGO stage Ib-II patients were 91.9% in negative patients and 73.1% in positive patients respectively. Five-year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tage(P < 0.02) and nodal metastasis(p < 0.01). However, age and histologic type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rvival. Conclusion: Overall actual five-year survival rate of 489 evaluable patients with invasive cancer of the cervix who were treated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from January to December 1992 was 72.2%. Five-year survival rate was different according to stage and nodal metastasis.

      • KCI등재

        치료 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재규(Lee Jae Kyu),김법종(Beob Jong Kim),황순혁(Soon Hyunk Hwang),유상영(Sang Young Ryu),김종훈(Jong Hoon Kim),김병기(Byoung Gie Kim),박상윤(Sang Yoon Park),이의돈(Eui Don Lee),이경희(Kyung Hee Lee),최창운(Chang Woon Choi),임상무(Sa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재발의 조기 진단방법으로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후 혹은 방사선치료 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FDG-PET scan을 시행하여 재발의 조기 진단에 있어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궁경부암으로 원자력 병원에서 수술 후 혹은 방사선치료 후 임상적 무병 상태로 추적 검사 중인 환자 중 전신 FDG-PET scan을 시행한 101명을 대상으로 이학적 검사, 종양표지자, 컴퓨터 단층촬영 등의 기존의 추적 관찰방법과 FDG-PET scan의 영상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신 FDG-PET scan의 촬영은 GE advance scanner를 이용하였고, 370-555MBq(10-15mCi)의 FDG를 주사한 후 50분 후부터 촬영을 시작하였으며, 전신 영상을 얻은 후 20분간 국소 영상을 얻었다. 국소 관심 영역의 표준 섭취 계수를 구하여 값이 3.0 이상이거나 주변조직에 비해 높은 섭취율을 보인 경우에 양성으로 판정하였으며 CT, MRI 및 가능한 경우에 경피적 천자술을 시행하여 재발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PET scan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17명(16.8%)중 8명(47.1%)에서 추후 임상적 소견 및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재발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2명에서 조직학적으로 재발이 확인되었다. PET scan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부위는 종격동 림프절에서 5예, 폐실질에서 5예, 골반림프절에서 4예, 중앙병소에서 3예, 쇄골하 림프절에서 2예로 종격동 림프절과 폐실질에서 가장 많았다. 무병상태로 추적관찰중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조기재발을 진단하는데 있어 PET scan의 민감도는 100%였으며, 특이도는 90.3%이었다. 양성 예측율(positive predictive value, PPV)은 47.1%(8/17), 음성 예측율(negative predictive value, NPV)은 100%(84/84), 위양성율(false positive rate)은 52.9%(9/17)였다. 결론: FDG-PET scan은 기존의 방사선 검사나 종양 표지자로서 발견하지 못한 전이 또는 재발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환자의 7.9%(8/101)에서 발견 할 수 있었다. FDG-PET scan은 높은 위양성율에도 불구하고 전신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으며 작은병소 혹은 여러 부위에서 전이 또는 재발한 경우 진단이 쉽고 예상치 못한 부위의 원격전이를 찾아낼 수 있어 자궁경부암 환자의 재발의 조기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sibility of FDG-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 in patients with clinically no evidence of disease afte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Methods: One hundred and one patients with clinically NED(no evidence of disease) state afte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underwent PET scan. FDG-PET scan was obtained with a GE Advance Scanner, beginning at 50 minutes after injection of 370-555 MBq(10-15 mCi) of 18F FDG. Regional scan was also obtained with emission image. Uptake exceeding 3.0 SUV was determined as a positive finding. Recurrence was confirmed by CT, MRI, and needle biopsy if possible. Results: Among 101 patients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17 patients(16.8%) showed abnormal PET scan findings. Clinically, 8 patients(7.9%) were confirmed to have recurrent lesion by CT, MRI or by needle biopsy. PET scan could detect recurrent lesions in the mediastinum or lung(10/17), pelvis(7/17), and supraclavicular lymph node(2/17).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ET sca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were 100% and 90.3%,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false positive rate were 47.1%, 100% and 52.9%. Conclusion: PET scan could detect 7.9% of early recurrence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ith NED status. FDG-PET scan may be a useful method in detecting metastases or recurrence of a cervical cancer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by routine conventional imaging studies.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난소전위술 시행 후 발견된 난소 전이

        김상헌 ( Sang Heon Kim ),권도영 ( Do Young Kwon ),유유숙 ( Yu Suk Yu ),김법종 ( Beob Jong Kim ),김문홍 ( Moon Hong Kim ),최석철 ( Seok Chul Choi ),유상영 ( Sang Young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9

        In case of young women treated with ovarian preservation in cervical cancer surgery, it is regarded pertinent to reduce the risk of early menopause resulting from adjuvant pelvic irradiation through ovarian transposition. On the other hand, lots of authors have raised questions in regard with the ovary being possibly affected by micrometastasis. Studies have reported appropriate indications of ovarian transposition and risk factors of ovarian metastasis to cope with this problem. We conducted ovarian transposition with cervical cancer patient who had no ovarian metastasis risk factors reported in previous literature and experienced such case that metastasis took place only in the ovary without spreading to other organs. This study is to report that case based on brief literature review.

      • KCI등재

        원발성 복막 암종의 임상조직학적 특징과 예후인자

        우희정 ( Hee Joung Woo ),김상헌 ( Sang Heon Kim ),김기동 ( Ki Dong Kim ),박상일 ( Sang Il Park ),송용중 ( Yong Jung Song ),김법종 ( Beob Jong Kim ),김문홍 ( Moon Hong Kim ),최석철 ( Seok Cheol Choi ),유상영 ( Sang Young Ryu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2 No.2

        목적: 원발성 복막 암종으로 진단받은 21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조직학적 특징과 예후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수술을 받고, 원발성 복막 암종으로 진단받은 21명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임상조직학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예후인자를 찾기 위하여 임상조직학적 변수들과 수술 후 보강화학요법에 대한 치료반응, 무진행생존기간, 전체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단변랑, 다변량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들이 3기 이상의 진행된 암종을 가지고 있었고, 잔류종양의 크기가 1 cm 미만인 환자는 12명, 1 cm 이상인 환자는 9명이었다. 수술 후 보강화학요법에 대한 반응률은 47.6%였다. 무진행생존기간 중간값은 8개월 (범위 1~95)이었고, 전체 생존기간 중간값은 14개월 (범위 1~95)이었다. 병기, 보강화학요법에 대한 치료반응, 신보강화학요법 시행 여부는 무진행생존기간과 연관성이 있었고, 병기와 보강화학요법에 대한 치료반응은 전체생존기간과도 연관성을 보였다. 그러나, 다변량 분석상 모든 변수가 무진행생존기간이나 전체생존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원발성 복막 암종 환자는 종양감축술과 보강화학요법을 시행받았음에도 대부분 좋지 않은 예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발성 복막 암종의 예후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and prognostic factors of primary peritoneal carcinoma (PPC). Methods: Clinicopathologic variables were obtained by examining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PPC who were diagnosed and treated at our institute,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5. To find prognostic factors, the association of clinicopathologic variables with survival was evaluated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Results: All patients had advanced-stage tumors. Residual tumor was smaller than 1 cm in 12 patients and was equal or larger than 1 cm in nine patients. The response rate to adjuvant chemotherapy was 47.6%. The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was eight months (range 1~95) and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14 months (range 1~99). In univariate analysis, stage, the response to adjuvant chemotherapy, and neoadjuvant chemotherapy were associated with survival. However, in multivariate analysis, no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survival. Conclusion: In spite of aggressive treatments, patients with PPC had poor prognosis. No prognostic factor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 KCI등재

        자궁경부 소세포암 23예의 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주헌(Joo Heon Lee),황순혁(Soon Hyunk Hwang),김법종(Beob Jong Kim),유상영(Sang Young Ryu),김종훈(Jong Hoon Kim),김병기(Byoung Gie Kim),박상윤(Sang Yoon Park),이의돈(Eui Don Lee),이경희(Kyung Hee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자궁경부암 중에서 예후가 나쁘다고 알려진 자궁경부 소세포암의 임상적 특징 및 예후를 알아 보고자 하였으며, 특히 자궁경부 소세포암 중에서 신경내분비 소세포암과 편평상피 소세포암간의 임상병리학적 특성을 비교 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1990년 1월부터 1997년 12월까지 본 원자력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경부 소세포암으로 진단 및 치료를 시행한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연령, FIGO 임상 병기, 전이 여부, 치료 방법 등 임상병리학적 특징을 확인하였고 서신 및 전화를 통하여 생존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총 23예의 자궁경부 소세포암 중 신경내분비 소세포암이 74%, 편평상피 소세포암은 26%이었으며 평균 연령, FIGO 임상 병기 및 치료 방법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진단 당시 국소 골반 임파절 전이는 신경내분비 소세포암이 53%, 편평상피 소세포암이 33%로 두 군간에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p>0.05). 원격전이는 골전이가 2예, 방광전이가 1예로 모두 신경내분비 소세포암에서 발견되었다. 3년 생존율은 신경내분비 소세포암이 32.1%, 편평상피 소세포암이 50.0%였으나 두 군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05). 추적 관찰 중에 재발이 확인된 경우는 모두 6예로 신경내분비 소세포암이 4예, 편평상피 소세포암은 2예이었으며 원격전이 장소로는 간 3예, 폐, 뇌가 각각 2예, 그리고 골, 액와 임파절, 후복막이 각각 1예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자궁경부 소세포암 중 신경내분비 소세포암과 편평상피 소세포암의 임상병리학적 차이는 없었으며 3년생존율의 차이 또한 유의하지 않았지만 신경내분비 소세포암이 편평상피 소세포암에 비해 많은 원격전이를 하고 예후가 나쁜 경향을 보였다. 이는 대상환자의 수가 제한된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To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 findings of patients with small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and to evaluate the recurrence pattern and prognosis of patients with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Methods: From Jan. 1990, to Dec. 1997, 23 patients with small cell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were registered and followed-up at Korea Cancer Center Hospital. Clinical characteristics, survival of these patients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Results: Among the 23 cases of small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17 cases(74%) were of the neuroendocrine type (NE group), and 6 cases(26.0%) of the squamous cell type (SCC group). The median age, FIGO stage, and treatment modality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Pelvic lymph node metastases were found 53% in NE group, and 33% in SCC group,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05). Three patients showed distant metastases in NE group(bone 18%, bladder 9%), but there was no distant metastasis in SCC group. The 3 year survival rate was 50.0% in SCC group and 32.1% in NE group,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Six patients showed recurrence after treatment (4/17 cases in NE group, 2/6 cases in SCC group). Recurrence sites were liver (3/6, 50%), and lung (2/6, 33%), brain (2/6, 33%), retroperitoneum (1/6, 17%), and axillae lymph node (1/6, 17%).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neuroendocrine small cell carcinoma may have more aggressive than squamous small cell carcinoma,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gnosis between the two groups. Because of limitation of number of patients, further large scaled multicenter studies are needed.

      • KCI등재

        자궁내막암 환자의 재발여부 확인에 있어 FDG-PET scan 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홍성진 ( Hong Seong Jin ),이삼미 ( Lee Sam Mi ),박천숙 ( Park Cheon Sug ),김호아 ( Kim Ho A ),김법종 ( Kim Beob Jong ),김문홍 ( Kim Mun Hong ),최석철 ( Choe Seog Cheol ),유상영 ( Yu Sang Yeong ),이경희 ( Lee Gyeong Hu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2

        목적 : Inhibin은 α-subunit와 β-subunit로 구성된 이질 이량체의 당단백으로 β-subunit의 차이에 의해 inhibin A (α-βA)와 inhibin B (α-βA)로 구분된다. 여성에서 inhibin은 주로 난소의 과립막세포 및 황체에서 생산되어 뇌하수체의 FSH 분비를 억제한다고 알려져 왔으나, 임신중 태반과 남성의 고환에서도 생산된다는 사실이 밝혀져 다양한 생리적 작용이 추정되고 있으며 최근에 inhibin A와 B를 분리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 inhibin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정상 월경주기를 가진 가임기 여성, 폐경이행기 여성, 폐경후기 여성에서 inhibin A와 inhibin B의 농도를 측정하여 월경주기에 따른 정상치의 변화와 노화에 따른 농도 변화를 관찰하고, 난소에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inhibin A와 inhibin B의 발현 양상과 변화를 비교 관찰하여 inhibin의 정확한 생리작용, 폐경이행기에서 inhibin의 역할 및 폐경이행기와 폐경의 예측 지표의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월경주기와 난소기능이 정상이면서 난소종양이 없는 정상 가임기 여성 160명, 폐경이행기 여성 60명, 폐경후기 여성 20명에서 정맥혈을 채혈하여 혈중 inhibin A와 inhibin B 농도를 ELISA로 측정하였고, 그중 정상 가임기 여성 35명, 폐경이행기 여성 20명, 폐경기 여성 5명의 난소 조직을 inhibin α, βA 및 βB subunit에 대한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식을 시행하였다. 결과 : 1. 정상 가임기 여성에서 혈중 inhibin A 농도는 중증식기까지 낮은 농도를 유지하다 후증식기 (16.53±1.57 pg/ml)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중분비기 (45.85±2.08 pg/ml)에 최고치에 이른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Inhibin B 농도는 전증식기 (65.40±4.08 pg/ml)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증식기 동안 계속 높은 농도를 유지하다가 배란기 (110.74±9.83 pg/ml)에 최고치에 이른 다음 분비기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2. 폐경이행기 여성에서 혈중 inhibin A 농도는 증식기에 6.68±0.53 pg/ml, 분비기에 21.78±3.61 pg/ml로 모두 정상 가임기 여성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P<0.01). Inhibin B의 농도는 증식기에 52.16±7.46 pg/ml, 분비기에 22.41±6.73 pg/ml로 모두 정상 가임기 여성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다 (각각 P<0.01, P=0.025). 3. 폐경후기 여성에서 inhibin A와 inhibin B 농도는 모두 검출되어 않았다. 4. 정상 가임기 여성에서 inhibin α subunit의 면역염색반응은 과립막세포, 난포막세포 및 황체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 Inhibin βA의 면역염색반응은 난포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으나 황체에서는 관찰되었다. Inhibin βB의 면역염색반응은 일차난포에서 처음 발현되어 성장난포와 성숙난포의 과립막세포와 난포막세포에서 관찰되었으나 Inhibin α보다는 약했고 황체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5. 폐경이행기 여성에서 inhibin subunit들의 면역염색반응은, 정상 가임기 여성과 같은 양상으로 발현되었으나, 발현정도는 약했다. 모든 면역염색반응은 과립막세포보다 난포막세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6. 폐경후기 여성에서 inhibin subunit들의 면역염색반응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Inhibin A는 후증식기 성숙난포에서 처음 생산되기 시작하여 배란 후 황체에서 주로 생산되며, Inhibin B는 일차난포에서 생성되기 시작하여 배란 시까지 분비되므로 inhibin A는 황체기능을, inhibin B는 난포의 기능을 반영한다. 폐경이행기가 되면 inhibin A와 B의 분비는 급속히 감소하게 되어 폐경 후에는 난소에서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inhibin A와 B는 여성의 월경주기에 따라 생산과 분비가 서로 다른 호르몬으로 난자 성숙과 난포발달에 관여하며, 난소의 노화 정도를 측정하는 폐경이행기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o understand the physiologic effects and secretion pattern of inhibin A and inhibin B during menstrual cycle and menopausal transition, inhibin A and inhibin B levels were measured. And to detect any changes in expression of inhibins in human ovary with age, w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α, βA, and βB subunits of inhibin in ovarian tissues. This study was also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inhibin is an early marker for menopausal transition. Methods : Inhibin A and inhibin B levels were measured in 320 samples from normal reproductive women, in 60 from perimenopausal women, and in 20 from menopausal women by ELISA. And we examined th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of α, βA, and βB subunits of inhibin in ovarian tissues of 35 normal reproductive, 20 perimenopausal, and 5 menopausal women, respectively. Results : In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inhibin A begins to increase in the late proliferative phase (16.53±1.57 pg/ml), reaches the peak in the mid-secretory phase (45.85±2.08 pg/ml), reaches the peak in the ovulatory phase (110.74±9.83 pg/ml), reaches the peak in the ovulatory phase (110.74±9.83 pg/ml), and thereafter declines rapidly. In the perimenopausal women, mean inhibin A serum concentration was 6.68±0.53 pg/ml during proliferative phase and 21.78±3.61 pg/ml during secretory phase,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ame phase in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P<0.01). Mean inhibin B serum concentration was 52.16±7.46 pg/ml during proliferative phase and 22.41±6.73 pg/ml during secretory phase,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same phase in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P<0.01, P=0.025). In the menopausal women, both inhibin A and inhibin B were not detected. In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we observed strong immunostaining for α subunit in granulosa cells, theca cells, and corpus luteum. Immunostaining for βA subunit was observed in corpus luteum, but not in growing follicles. Immunostaining for βB subunit was observed in primary follicle, granulosa and theca cells of growing follicle, and mature follicle, but less strong than immunostaining for α subunit. No staining for βB subunit was observed in the corpus luteum. In the perimenopausal women, immunostaining for inhibin subunits were observed in the same pattern as that of the normal reproductive women, but weaker. Stronger immunostaining was observed in theca cells than granulosa cells. In the menopausal women, none of the immunostaining of inhibin subunits were observed.

      • KCI등재

        골 전이된 지속성 자궁내막암

        안준태 ( An Jun Tae ),홍성진 ( Hong Seong Jin ),박상일 ( Park Sang Il ),송흥섭 ( Song Heung Seob ),김법종 ( Kim Beob Jong ),김문홍 ( Kim Mun Hong ),최석철 ( Choe Seog Cheol ),유상영 ( Yu Sang Yeong ),이경희 ( Lee Gyeong Hui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

        In endometrial cancer, the risk of metastasis to bone seems to be rare. We describe the clinicopathologic features of a rare case of endometrial endometrioid adenocarcinoma presenting as a metastasis to the ischium in a 37-year-old premenopausal woman. Th

      • KCI등재

        자궁경부암 치료 후 FDG-PET로 무병상태 판정을 받은 환자의 무병기간 및 FDG-PET의 추적검사로서의 효용성에 대한 연구

        박천숙 ( Chun Sook Park ),강정진 ( Jeong Jin Kang ),신혜림 ( Hae Rim Shin ),김명인 ( Myung In Kim ),김문홍 ( Moon Hong Kim ),천기정 ( Ki Jeong Chun ),김성은 ( Sung Eun Kim ),김법종 ( Beob Jong Kim ),최석철 ( Seok Chul Choi ),유상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2

        목적 : 자궁경부암 치료 후 FDG-PET에서 무병상태 판정을 받은 환자에서의 평균 무병기간 및 자궁경부암 환자의 추적검사로서 FDG-PET의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8년 5월부터 2003년 2월까지 원자력병원 산부인과에서 치료받은 자궁경부암 환자중 치료 후 3개월에서 16개월 사이에 시행한 FDG-PET에서 무병상태로 판정 받은 환자 443명을 일차적으로 추출하였다. 이 중 추적이 되지 않는 환자, 두 가지 이상의 원발성 Objective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ease free interval and feasibility of FDG-PET for following up the patients with no evidence of cervical cancer after primary treatment. Methods : From May, 1998 to February, 2003, 406 patients with 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