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규모 근린재생을 위한 가로주택정비사업 주거모델 개발

        권혁삼(Kwon, Hyuck-Sam),이영환(Lee, Young-Hwan),박준영(Park, Joon-Young),김성훈(Kim, Sung-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6

        본 연구는 대규모 정비사업의 대안으로 2012년 8월 시행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관련법규와 적용대상지를 분석하고 적정한 사업규모와 주거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정비구역의 지정 절차 없이 일정요건을 갖춘 가로구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7층 이하의 소규모 공동주택을 건설하여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주민주도의 근린재생 수단이다. 그러나 실제 추진된 사례가 없고 구체적인 사업모델과 실행수단 등이 미흡하여 주민자력으로 사업을 추진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로구역의 입지여건, 규모 및 접도조건에 따른 중층?고밀(5~7층, 용적률 200%)의 가로주택정비사업 주거모델 36개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대상지에 적용하여 모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제시된 가로주택정비사업 주거모델은 20~200세대의 접지성이 높은 가로대응형 중층 아파트로서 고층?고밀의 단지형 아파트에 비해 일조권?남향, 지하주차장 등 주거환경 측면은 미흡하지만, 소규모로 개발하는 만큼 지역의 장소적 특성과 커뮤니티를 유지하며 개발 할 수 있으며 원주민의 재정착에도 유리하다. 이들 주거모델은 가로구역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민들의 경제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소규모로 점진적이고 계획적인 근린재생을 유도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new housing models for the redevelopment of residential blocks surrounded by streets,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current regulations of the redevelopment projects that are in effect from August 2012. In contrast to other redevelopment projects, the requirement of the procedures to determine the redevelopment areas are waved for the projects for residential blocks surrounded by streets. Thus, we conduct simulations to suggest 36 models of medium-rise and high-density housing (i.e., 5 to 7 story housings with floor area ratio of 2.0) that are applicable to various locations and sizes. Those models have 20~200 units per block, and, compared to high-rise and high-density housing, lack sun light exposure, and underground parking lots. Nevertheless, the proposed housing models produce affordable housings to contain existing economic situation of residents. The combination of those models would lead to a gradual and planned redevelopment for neighborhood renewal.

      • KCI등재

        중소기업에서의 내부마케팅,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기업성과 간 관계 규명에 대한 연구

        권혁삼(Kwon, Hyeok-Sam),한용희(Han, Yong-Hee)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6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에서의 내부마케팅, 직무만족, 자기효능감,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중소기업의 기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인적관리와 조직운영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국내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410매의 설문자료를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내부마케팅의 구성요소인 권한위임, 복리후생, 보상은 기업성과에, 교육훈련과 복리후생, 보상, 내부커뮤니케이션은 직무만족에, 권한위임과 내부커뮤니케이션은 자기효능감에,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은 기업성과에 각각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중소기업의 인적, 제도적 측면에서 내부마케팅과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중소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할 수 있는 주요 변인을 탐색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is paper aims to derive effective human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plans to enhance the firm performance of SME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internal marketing,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firm performance in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Methodology] 410 surveys have been collected from members working in SMEs in Korea. For hypothesis test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has been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programs. [Findings] Empowerment, welfare benefits, and reward system which are the components of internal marketing affects firm performance. Education and training, welfare benefits, reward system, and internal communication affects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and internal communication affects self-efficacy. Finally,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ffects firm performanc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ernal marketing,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the human and institutional aspects of SMEs, we searched the main variables for the company’s continuous growth and suggested alternatives.

      • KCI등재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통한 임대주택 공급방안 연구

        권혁삼(Kwon, Hyuck-Sam),김옥연(Kim, Ok-Yeon),권치흥(Kwon, Chi-Hy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7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노후 단독ㆍ다세대주택을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통해 소규모 공동주택으로 건설하고 조합원 분양분을 제외한 세대증가분을 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로주택정비사업의 토지확보방식을 현행 관리처분방식 이외에 토지임차방식을 포함하고, 주택공급유형도 일반분양주택 이외에 10년 준공공임대주택 및 30년 공공임대주택(행복주택)으로 다양화하여 1) 관리처분방식의 준공공임대주택 공급모델, 2) 토지임차방식의 준공공임대주택 공급모델, 3) 토지임차방식의 공공임대주택(행복주택) 공급모델의 세 가지 유형을 설정하였다. 이들 임대주택 공급모델을 실제 대상지에 적용하여 사업타당성을 분석하였으며, 대상지는 공공에서 사업추진이 용이한 공공소유의 노후화된 기존주택매입임대주택을 선정하였다. 사업타당성 분석결과, 토지임차방식의 준공공임대주택 공급모델이 다른 모델에 비해 NPV(Net Present Value)가 가장 높고 조합원 분담금도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통해 기존주민에게 신규주택 제공과 임대수익 확보가 가능하며, 이는 도심내 임대주택 공급확대를 위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앞으로 사업 활성화를 위해서 전문지식이나 경제여력이 부족한 주민들 스스로 사업을 추진하기는 많은 한계가 있으므로 공공의 다각적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supply rental housing through urban block renewal projects that are intended to increase the number of households including existing residents. To this end, we classified a rental housing supply model into three types: 1) 10-year semi-public rental housing model through management and disposal plan, 2) 10-year semi-public rental housing model through land lease methods, 3) 30-year public rental housing model through land lease methods. We then apply the three types of model to the sites that are deteriorated housing purchased for public rental and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the models. Our results show that the semi-public rental housing supply model through land lease methods offers the highest NPV(Net Present Value) and the lowest share of expenses for the existing residents. Thus, we find that urban block renewal projects can not only supply rental housings in an urban areas but also provide new housing and rental income to existing residents. In addition, supports from the public sector are needed to promote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models.

      • 지역특성을 고려한 공공주택 디자인을 위한 조사연구

        권혁삼(Kwon Hyuck-Sam),김유정(Kim Yu-Jeong),윤영호(Yoon Young-Ho) 대한건축학회 201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31 No.2(계획계)

        This study proposes fundamental resources to find new design methods of public housing that particularly considers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public housing development in Korea contributed to the housing stability for the low income, but caused uniform residential environments. To achieve this, we review literature and conduct a survey of experts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ousing needs of each region. The results show that two or less people live in a house, which indicates a low birth rate and an aging society, and the preferences on housing types and housing supplying strategies differ from different regi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investigat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ropose different directions on planning public housing by regions.

      • KCI등재

        주거환경개선사업 구역의 소단위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한 주민의견조사 연구

        권혁삼(Kwon, Hyuck-Sam),박근석(Park, Kun-Suk),김성훈(Kim, Sung-Ho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 구역내 소단위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해 주민들의 인식 및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여 공공의 역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거환경개선사업은 도시 저소득 주민이 집단으로 거주하는 노후ㆍ불량 지역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공공에서 추진하는 정비사업으로 국고를 지원받아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구역특성상 저소득ㆍ고령가구의 비중이 높아 주민자력에 의한 주택개량이 진행되지 않아 기반시설은 정비되었으나, 주거환경 개선효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성과제고를 위해서는 합필이나 공동개발하는 가로주택 정비사업(2012년 8월 시행), 건축협정에 의한 주택정비(2014년 10월 시행) 등 소단위 주택정비 활성화가 요구된다. 이에 대한 주민의견조사 결과, 전반적으로 사업 참여에 우호적이지만 사업비 부담가능 정도가 매우 낮아 이에 대한 공공의 지원을 희망하고 있으며, 공공의 매입임대주택과 연계한 사업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앞으로 주거환경개선사업 구역내 소단위 주택정비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공에서 주민들의 사업비 부담을 낮추기 위한 다각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매입임대주택을 활용한 민관협력 사업추진 등의 선도적 역할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rvey of residents’ opinions on small-scale housing rearrangements in the areas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are intended to improve the conditions of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s of relatively low-rise, high-density housing types. In spite of public supports and of government subsidies, this project is criticized as not 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s the total redevelopment project was before. As an alternative, the small-scale housing rearrangement is demanded in the area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based on “Block-unit Housing Rearrangement Projects,” adopted by the Regulations in 2012 and by the Building Agreement in 2014. Analyzing the Resident Survey, this study confirms that residents may support the project, if the financial shares of residents could be reduced and the subsidies by the public sector could increased. In order to revitalize the small-scale housing rearrangements, various supporting tools for lowering the residents’ shares need to be provided, and innovative roles in public-private collaborations for the projects need to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주택 트렌드 분석을 통한 공공주택 디자인 방향설정 연구

        권혁삼,윤영호,김유정,박광재,조성학,Kwon, Hyuck-Sam,Yoon, Young-Ho,Kim, Yu-Jeong,Park, Kwang-Jae,Cho, Sung-Ha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2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3 No.1

        This study aims to provide new design directions for public housing by analyzing trends in housing design. To this end, we investigate the changes in population, household, society, policy, institution, and technology as the main factors that can affect the housing design trends. Then we analyze the applications of public housing design and suggest the new design directions for public housing after considering experts' opinions. The low growth rate of population, growing separation of household members and increasing level of income produced more diverse demands from residents. In addition, housing demand is notably different by region, and the supply of medium and small-sized housing and small scale developments are grow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green technology are also advancing. As a consequence, future housing trends would change from numerically-controlled to performance-based, from central to regional-oriented, from unit to city-centric. Current designs of public housing reflect recent housing trends- in reducing the number of housings and making view corridors by placing a central square in the middle. This shows that the existing designs are not differentiated by region and we need to develop various approaches according to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corresponding new housing typ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five directions: responsiveness to demand changes, reflection of location characteristics, connectivity to a local community, realization of green environment, and acquisition of housing function. 본 연구는 주택 트렌드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공공주택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인구 가구 변화, 사회 변화, 정책 제도 변화, 기술 변화 등의 주택 트렌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공공주택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고 전문가 의견수렴을 거쳐 앞으로 공공주택이 추구해야 할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우리 사회는 인구성장률이 둔화되고 가구분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소득수준의 증가로 거주자의 다양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또한 지역별로 주거수요가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고, 중 소형 주택공급과 소규모 개발이 확대되고 있으며, IT와 녹색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주택 트렌드는 '수치제어에서 성능중심'으로, '중앙주도에서 지역중심'으로, '단위세대에서 도시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현행 공공주택 디자인은 최근의 주택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으나, 주동수를 줄이고 중앙광장을 가운데 두면서 통경을 확보하는 계획경향이 대부분 나타났다. 이는 지역의 입지특성과 주거요구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앞으로 공공주택 디자인 과정에서 입지특성과 지역사회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공주택 디자인이 추구해야 할 기본방향을 '수요변화 대응', '입지특성 반영', '지역사회 연계', '녹색환경 구현', '주거성능 확보'의 5가지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기후변화에 대응한 녹색건축인증기준 개선을 위한 조사연구: 공동주택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권혁삼,김지현,김정곤,Kwon, Hyuck-Sam,Kim, Ji-Hyeon,Kim, Jung-Go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4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2013년 3월 시행된 녹색건축인증기준의 평가항목 및 실제 인증현황 분석을 통해 현행 인증기준의 개선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영국 BREEAM, 미국 LEED, 독일 DGNB, 일본 CASBEE 등 선진국의 녹색인증기준은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로 건축물 중심에서 도시 지구 차원으로 확대하여 시범 운영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 인증기준은 건축물 중심의 평가체계로 실내환경 및 에너지 부문의 배점비율이 높고, 외부환경에 해당되는 토지이용 및 교통 부문과 생태환경 부문은 배점비율이 낮다. 실제 토지주택연구원에서 인증을 받은 공동주택 79개 단지에 대한 평가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내환경 및 에너지 등 배점이 높은 평가항목에 따라 인증등급이 결정되어 배점이 낮은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항목은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녹색건축인증기준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실천수단으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 부문의 평가체계를 보완하고, 나아가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도시 지구 차원의 평가체계 도입을 통해 국제적 인증기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개선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basic data for improvements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climate change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that came into effect in March 2013, including the analysis of evaluation criteria and application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BREEAM(UK), LEED(USA), DGNB(Germany), and CASBEE(Japan), have been extended to the neighborhood unit or city levels, i.e., BREEAM Communitie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DGNB Stadtquartiere, CASBEE Urban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fo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in Korea, some criteria such as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have been given more emphasis than others such as external environment(land use, traffic, ecological environment). In addition,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scores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79 housing complexes show that the score on the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determines the evaluation grade, whereas the score on the external environment is less weighted and has less impact. Therefore, the new evaluation system fo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should be extended from building level to urban district levels.

      • KCI등재후보

        주민의견조사를 통한 가로주택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주관수,권혁삼,조재성,박근석,Joo, Kwan-Su,Kwon, Hyuck-Sam,Cho, Jae-Seong,Park, Kun-Su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4 No.3

        본 연구는 2012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개정을 통해 시행된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주요내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주민의견을 조사 분석하여 사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기존 가로체계를 유지하며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소규모 정비방식으로서 외부자본에 의해 대규모 전면철거방식으로 진행되는 현행 정비사업이 지닌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그러나 이 사업에 대한 주민의견은 현 거주주택에 대한 만족, 사업 부담금 마련 어려움, 사업추진 불확실성 등의 이유로 사업반대가 과반수에 달해 우호적이지 못하다. 사업찬성자의 경우도부담 가능한 사업비가 소액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향후 사업의 추진이 낙관적이지 못하다. 하지만 사업비 조달 방식에선 자기지분의 축소, 국민주택기금의 융자 등을 통한 사업비 부담 등 매우 현실적이며 건설적인 자금조달 방안을 수용하고 있으며, 사업비 부담 정도에 대한 전략적 태도 또한 사업추진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적정 사업지의 선택, 계층별 사업 유인, 사업부담금 경감, 연계사업 반대자의 우려 해소 등을 가로주택정비사업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Street-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dopted by the revision of regulations in 2012 and promote them by surveying residents' needs. The objectives of the street-housing redevelopment projects are to maintain existing street systems and redevelop housing by small units, as an alternative to the large-scale housing redevelopment by the expropriation. Residents, however, do not seem to support the new projects since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housing, have difficulty in raising funds, and are uncertain about proceeding with the pre-arranged. Despite these barriers, residents may support the projects if project charges can be lowered by the reduction in each resident's share and the increase in supporting funds. This study proposes new practical methods for realizing the projects: choice of an appropriate site, engaging for resident's participation in projects, reduction in project charges, and removal of barriers to co-operative development.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