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인식 분석을 통한 교육실습의 개선 방안 탐구

        최현주(Choi, Hyeon Ju),박일수(Park, Il Soo),설양환(Sol, Yang-Hwa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0 교육실습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 지도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을 탐색하고,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교육실습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 1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및 면담 방법을 활용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는 의미 있는 진술을 바탕으로 4개의 대범주, 21개의 소범주로 분류되었다. 4개의 대범주는 ‘실습 현황’에 대한 인식, ‘실습지도’에 대한 인식, ‘실습 내용’에 대한 인식, ‘실습 모형’에 대한 인식이었다. 분석 결과, 실습 현황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이었으나, 실습 지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인식하는 이중적인 상황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실습 내용에 대해서는 ‘중요한 것’과 ‘필요한 것’이라는 긍정적인 인식 내용들이 도출되었다. 또한 교육실습 모형에 대해서는 ‘필요하다’는 인식과 ‘필요하지 않다’는 두 가지 상반된 인식 경향을 보였으나, 필요하다는 의견이 더 많이 제기되었다. 분석 결과, 연구자들은 실습지도 교사들의 실습지도 과정에서 겪는 어렵고 힘들고, 부담스러우며 업무가 가중되는 등의 부정적인 요소들을 해소하고, 다양한 학교 현장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교육실습 체제의 체계화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실습 지도교사들이 제기한 교육실습 로드맵으로서의 기본적이면서도 활용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는 일은 현직 교사들의 실제적인 교육실습지도를 돕고 그 질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실습 지도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teaching practicum guidance teachers and to find its implications. To this end, researchers us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ing methods for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eaching practicum.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ere classified into four large categories and 21 small categories based on meaningful statements. The four major categories were awareness of the current codition of practicum, awareness of the actual practicum guidence, awareness of the content of the practicum, and awareness of the teaching practicum model. The analysis found that while awareness of the current codition of practicum was generally negative, there were dual situations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were recognized simultaneously for the awareness of the actual practicum guidence. In addition, positive perceptions of ‘important’ and ‘necessary’ were derived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practicum. There were also two conflicting awareness about the model of teaching practicum: ‘necessary’ and ‘unnecessary’; however, more opinions were raised that it was necessary. In particular, the teaching practicum models teachers recognize as necessary based on their experience are “simple models”, “universal models”, “standard models”, “orkbook models”, “flexible models”, “student life maps” and “qualitative assessment models.” From these analyses, the researchers found that they needed an teaching practicum model that could address the difficult, hard, burdensome, and aggravated elements of the field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chool sites.

      • 초등예비교원의 <수업실습>을 통한 교육관 형성

        조미경(Cho, Mi-Kyung),신수범(Shin, Soo-Bum)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1 교육실습연구 Vol.3 No.2

        교육실습 지도는 실습학교 교사의 멘토링에 의존하는 만큼 예비교원은 지도교사의 활동을 통해 성찰할 수 있으며, 교육실습은 수업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예전의 일상적 상황에는 생각도 못했던 온라인 수업의 특성상 학습권이 학생들에게 크게 부여되었고, 이럴 때일수록 우리는 수업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 교원양성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수업실습>에서 교직관 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활동 즉, 수업 활동과 지도교사의 피드백, 디지털 활용 능력 등의 요소들 간에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가를 알아본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원양성을 위한 교육실습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변화와 혁신에 유연하게 대응하려면 먼저 교육철학 혁명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대학에서의 예비교원 육성과정에서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과 실습에 필요한 콘텐츠 개발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사들이 스스로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에 부응하여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청된다. 넷째,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사전교육뿐만 아니라 사후관리 또한 강화되어야 한다. 교육대학에서는 새로운 시대의 예비교원을 교육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와 교직이 어떻게 지금 보다 더 나은 인정을 받을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고민과 논의가 필요하다. As teaching practice guidance depends on mentoring of guiding teacher at the practice school, pre-teacher can learn from guiding teacher, and teaching practice should be based on understanding of real meaning of teach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teaching which was unimaginable in normal situation in the past, learning rights are greatly endowed to students. In such a situation, we should think of what the essence of teaching i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elements — activities closely related with the educational views, that is, teaching activities, feedback of guiding teacher, and digital use capabilities etc. Based on the findings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some ways to improve teaching practices to cultivate teachers. First, to respond resiliently to changes and innovations, there should be revolution in educational philosophy. Second, it is necessary to run the program related with development of contents needed in the curriculum and practices to strengthen digital capabilities. Thir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efforts of teachers to strengthen their digital capabilities. Fo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not only pre-education, but post-education in the teaching practice process.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of education to think deeply of and discuss what to do to cultivate pre-teachers and to make teachers be recognized more highly in the new age.

      • 교육실습 플랫폼(G-TPP) 개발 과정에 대한 탐색

        허경미(Gyeong-Mi Heo),신수범(Soo-Bum Shin),설양환(Yang-Hwan Sol)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3 교육실습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교육실습을 지원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인 G 교육대학교의 교육실습 플랫폼(G-Teaching Practicum Platform: G-TPP)의 개발 과정을 종합적으로 탐색하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G-TPP와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고, ADDIE 모형을 적용하여 G-TPP의 개발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ADDIE 모형의 단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논의되었다: ① 요구분석, ② G-TPP 설계, ③ G-TPP V.1.0 개발, ④ G-TPP V.1.0 실행/운영, ⑤ G-TPP V.1.0 사용성 평가. 그리고 이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단계가 G-TPP V.2.0까지 순환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G-TPP가 다음과 같은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예비교사의 교원역량 개발을 위한 지원체제임을 확인하였다: ① 교원양성대학과 실습학교가 협력하여 교육실습 과정을 준비, 운영, 평가할 수 있고, ② 교육실습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와 결과물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③ 실습생, 실습 교사, 실습 지도교수 간에 자료 공유와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④ 교육실습과 관련된 자료와 결과물을 디지털화하고, 교육실습 과정의 행정절차와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미래 교육실습을 위한 G-TPP의 개선과 발전방향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G-Teaching Practicum Platform (G-TPP), an integrated system designed to support teaching practicum, and discuss future directions for its development. In this qualitative research, data related to G-TPP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and analyzed using the ADDIE model to examine its development process.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in accordance with the stages of the ADDIE model: (a) Needs analysis, (b) Design of G-TPP, (c) Development of G-TPP V.1.0, (d) Implementation of G-TPP V.1.0, and (e) Evaluation of G-TPP V.1.0. The evaluation stage was followed by iterative revisions. The study confirmed that G-TPP serves as an educational online platform where: (a)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cooperative schools can collaborate in prepar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eaching practicum programs, (b) various teaching practicum materials and outputs can be stored and managed, (c) student teachers, mentor teachers, and university supervisors can share materials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d) teaching practicum materials and outputs can be digitized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tasks related to teaching practicum can be facilitated efficiently. In addition, this study discussed future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TPP.

      • 초등영어 수업실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연구

        이선(Sun Lee)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2 교육실습연구 Vol.4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 기간 중 초등영어 수업실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2년 10월에 총 4 주간의 수업실습에 참여한 3학년 예비교사들 중, 3~6학년에 배정된 총 53명의 예비교사들(영어과 25명, 국어과 11명, 사회과 17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3학년 수업실습 기간 중 평균 1.6회의 영어수업을 하였다. 하지만 예비교사들이 1~2학년에 배정이 되면 영어수업을 할 기회를 한 번도 갖지 못하고 졸업을 할 수도 있다. 둘째, 예비교사들의 78%가 본인의 영어수업에 만족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예비교사의 75%는 실습기간 중 영어수업에서 수업의 60%이상을 영어로 진행하였으며 80%이상의 영어를 사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학생들도 이 중 47%나 되었다.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의 영어수업에서 영어사용의 정도는 학과별 차이보다 실습학교 별로 차이를 보였다. 대전지역 실습학교의 경우,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60%이상의 영어를 사용하여 영어수업을 하였으나 충남지역에서 수업실습을 한 예비교사 중 영어수업에서 60%이하의 영어를 사용하였다고 답한 경우가 다수 발견되었다. 넷째, 예비교사들의 91%가 영어수업 참관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1~2학년에 배정된 예비교사들과 3~6학년에 배정된 학생 중에서도 일부(9%)의 학생들은 영어수업 참관의 기회를 갖지 못하였다. 다섯 째, 89%의 실습생들은 실습기간 중 지도교사로부터 받은 도움이 매우 적절하거나 적절하였다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11%의 실습생은 지도교사의 도움이 적절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였다. 여섯째, 설문에 응답한 예비교사의 87%가 교육대학의 수업이 도움이 되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고, 13%의 학생만이 교육대학의 수업이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을 하였다. 응답한 예비교사의 87%가 졸업 후 영어수업을 할 자신이 있다는 응답을 하였고, 나머지 13%의 예비교사들은 그렇지 않다는 응답을 하였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 지도교사의 교생지도 전문성 제고와 교생지도 표준화의 필요성, 모든 예비교사들이 교육대학 교육실습 기간 중 적어도 1회의 영어수업 참관 및 시연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실습학교 배정 시 고려를 해야 할 것 등의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n primary English teaching practice. For this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53 pre-service teachers who had teaching practice for four weeks in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had an average of 1.6 English teaching opportunities. However, if pre-service teachers were assigned to 1st or 2nd grade, they may graduate without ever having an opportunity to teach English during teaching practicum. Second, 78% of pre-service teachers seem to be satisfied with their English teaching. Third, 75% of the pre-service teachers taught more than 60% of the English classes in English, and 47% of the students used English for more than 80% of the classes. In this study, the degree of English use in pre-service teachers' English classes showed differences by schools rather than by their majors.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most pre-service teachers used more than 60% of English to teach English. Fourth, 91% of pre-service teachers had the opportunity to observe English classes. However, the pre-service teachers assigned to the 1st and 2nd grades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observe English classes. Fifth, 89% of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feedback they received from the guidance teacher during the practicum was helpful. Sixth, 87% of the pre-service teachers answered positively that the English education-related courses of the pre-service teacher program were helpful, and only 13% of the students answered otherwise. 87% of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confident in teaching English after graduation. The remaining 13% of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were no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better pre-service English teaching practice.

      • Charlotte Mason의 교육론과 그 교육실습적 시사

        김혜나(Kim, Hye-na),이우진(Lee, Woo-ji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0 교육실습연구 Vol.2 No.2

        이 글은 예비 교사들이 교육실습을 수행해가면서 확립해야 할 바람직한 교사상을 Mason이란 인물의 교육철학과 교육원리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녀는 어린이 교육과 부모교육, 그리고 교사 교육에 있어 가장 영향력 있는 영국의 교육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되는 인물이다. 먼저 Mason의 교육목적론은 교육실습에 있어 예비 교사들에게 교육의 목적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Mason은 교육의 목적을 ‘배움을 대한 사랑과 배움을 통한 행복’에 두었다. 이는 또한 Mason의 아동관인 ‘자기교육적 존재로서의 어린이’와 교육원리인 ‘자기교육의 원리’와도 연결되고 있다. 현재 우리 사회는 단순한 ‘지식이나 기술의 전수’가 아닌 ‘역량 강화’를 지향하는 교육을 요청하고 있다. 곧 예비 교사들은 어린이들이 ‘자기교육적 존재’로서 그들 자신을 믿고, 또 그들에게 배움 자체에 대한 즐거움을 지니게 하기 위한 방법을 고안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Mason의 인간관에서 볼 수 있듯이 예비 교사들은 ‘사회 계층과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은 동등하게 교육받아야 한다’는 교육적 평등관을 지녀야 할 것이다. 예비 교사들은 ‘어린이를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하는 인격체로서의 존재’로서 파악해야 한다. 특히 현재 우리의 교육 현장에는 사회 계층에 따른 차이는 물론이고 다문화 사회가 되어가는 시점에서 소외당하고 차별당하는 어린이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예비 교사들은 ‘모든 어린이는 인종, 국가, 혈연에 상관없이 그 자체로 존엄하며, 동일한 지적 욕구가 있으며 동일한 교육받을 권리가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Mason의 교육철학과 교육원리에서 가장 중점이 되는 부분은 ‘The education is life’이었다. 바로 ‘교육은 삶을 통해 지속하는 것’이며, ‘교육은 생명이기에 살아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무엇보다 예비 교사들이 ‘인격적 지성인으로서 훌륭한 교사가 되기 위해 교육실습뿐만 아니라 자신의 모든 삶을 통해 배우기를 멈추지 않아야 한다’는 것으로서, 평생을 위대한 교육자가 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present the desirable teacher image that prospective teachers should establish as they carry out their education practice through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inciples of the character Mason. She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British educators in children’s education, parents’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First of all, Mason’s educational purpose theory gives prospective teachers the direction of where to put the purpose of education in education practice. Mason placed the purpose of education on ‘love for learning and happiness through learning’. It is also connected with Mason’s children’s view of ‘children as self-educational beings’ and the educational principle of ‘principles of self-education’. Currently, our society is asking for education aimed at “strengthening capacity” rather than just “transfer knowledge or technology”. Soon, prospective teachers will have to try to come up with ways to make children believe in themselves as ‘self-educational beings’ and to make them enjoy learning itself. In addition, as seen in Mason’s human view, prospective teachers will have to have an educational sense of equality that ‘everyone, regardless of social class, should be educated equally’. Prospective teachers should identify children as ‘a person who should be respected as a human being’. In particular, there are children who are alienated and discriminated against at a time when they are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as well as differences among social classes in our educational field now. Therefore, prospective teachers should keep in mind that “all children are dignified in themselves, regardless of race, country or blood ties, have the same intellectual needs and have the same right to education”.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part of Mason’s educational philosophy and principles was ‘The education is life’. It means that ‘Education is what lasts through life’ and ‘Education is life, so it must be alive’. Most of all, it suggests that prospective teachers should not stop learning not only through education practice but also through all their lives to become good teachers as personality intellectuals, and should constantly strive to become great educators throughout their lives.

      • 코로나 19 관련 교육부 교육정책에 대한 언론보도기사의 경향성 분석

        박일수(Park, Il-soo)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1 교육실습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코로나 19 관련 교육부 교육정책에 대한 언론보도기사의 경향성을 분석하고, 코로나 19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2020년 1월 27일부터 9월 25일까지 코로나 관련 교육부 교육정책에 대한 국내 언론보도기사 총 1,142건의 기사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빅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질적 내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보도기사 제목의 상위 키워드는 ‘등교’, ‘코로나’, ‘개학’, ‘수업’, ‘학교’, ‘연기’, ‘고3’, ‘교육부’, ‘원격’, ‘수능’ 이었다. 둘째, 언론보도기사에서 언급한 코로나 19에 대한 이슈는 ‘등교’, ‘개학’, ‘입시’, ‘수업’, ‘보건’, ‘교육’, ‘휴업’, ‘학사’, ‘평가’, ‘보육’, ‘휴교’, ‘학교’, ‘교사’이었다. 셋째, 언론보도기사에서는 코로나 19 확진자 현황에 따른 등교 이슈를 집중적으로 보도하였으며, 코로나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교육문제와 교육혁신에 대한 이슈를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media on the education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related to COVID-19 and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is study, a total of 1,142 press articles were analyzed from January 27 to September 25, 2020.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6,094 keywords were first extracted from the title of a press article, and a total of 1,026 keywords were extracted by excluding duplicate keywords.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13 topics were generated. Third, we analyzed the trends of press articles in the COVID-19 related education policy by month. As a result of cross-analysis of the frequency of the topics by mon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title and content of the article was about the issue of opening and attending school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COVID-19.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were presented educa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post COVID-19

      •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

        박일수(Park, Il-soo)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1 교육실습연구 Vol.3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개선방향 및 실습학기제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육실습생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교육실습 만족도 조사도구는 CIPP 평가모형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 요소가 반영되어 있다.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A교육대학교의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만족도는 투입요소와 산출요소에서 높았으나, 상황요소에서는 낮았다. 둘째, 실습학교에 따라 교육실습 프로그램 만족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교육실습생은 교육실습의 상황, 투입, 과정, 산출 요소와 관련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내실화하고, 실습학기제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and the teacher practicum sandwich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satisfaction with teacher practicum program. Satisfaction survey tool for teacher practicum consisted of context, input, process, and output factors based on CIPP model.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was high in input and output factors, but low in context facto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by the training school. Third, the pre-teachers presented problems and improvement for the context, input, process, and output of teacher practicum program.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hat it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semest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eacher practicum sandwich system.

      • 지능형 학습시스템 활용을 위한 교사 교육 요소

        신수범(Soo-bum Shin)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2 교육실습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지능형학습시스템 활용에 따른 교사교육 전략에 관한 것이다. 지능형학습시스템 활용은 교수학습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지능형학습시스템의 개념과 역할, 그리고 개발 실태에 대한 분석을 하고 지능형학습시스템 활용에 필요한 교수학습 유형,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지능형학습시스템은 적용형학습시스템, 고급 가상학습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며 학습자의 학업 배경, 학습태도, 반응 수준에 따라서 학습내용을 차별적으로 제공하는 인공지능응용프로그램으로서 국내외에서 개발 운영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경남교육청 아이톡톡시스템, 해외에서는 민간과 대학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있는데 Mathia, Thinkster 등 국내외 모두에서 수학 교과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지능형학습시스템의 핵심 역할은 학습자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평가하면서 학습자의 스타일과 수준에 적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퀴즈 제공과 피드백, 언어학습 시스템, 학습자 커뮤니티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시스템 활용에 적합한 교수학습 유형은 개인화학습, 적응형학습, 역량중심수업, 블랜디드학습으로 제시하였다. 개인화수업은 기존부터 존재했던 수업 유형인데 지능형학습시스템으로 현실화된 것이며 역량 중심 수업은 같은 공간, 같은 시간에 학습하는 형태를 탈피하여 목표를 달성할 때까지 학습을 진행한다는 개념의 수업유형이다. 이에 필요한 교사 교육 전략은 지능형학습시스템을 활용하기에 적합한 교육내용 선정 방법을 안내해야 하며, 교사가 수업의 보조자 역할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지능형학습시스템 및 인공지능 이해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teacher educ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The use of intelligent learning systems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eaching and learning, but studies on this a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e concept, role, and development of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were analyzed, and the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required for the use of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nd strategie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presented.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lso called an adaptive learning system or advanced virtual learning system,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 program that differentially provides learning content according to the learner's academic background, learning attitude, and response level, and is being developed and operated at home and abroad. In Korea, the Gyeongnam Office of Education's System is being developed overseas, with private universities and colleges developing it. Mathematics subjects are the mainstream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The core role of such a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is to provide content suitable for the learner's style and level while continuously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learner. Specifically, there are quiz provision and feedback,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a learner community monitoring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suitable for using such a system were presented as personalized learning, adaptive learning, competency-oriented class, and blended learning. Personalized learning is a class type that has existed before, but it has been realized with a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Competency-oriented learning is a class type with the concept of learning until the goal is achieved by breaking away from the form of learning in the same space and time. The necessary teacher education strategies should guide how to select the appropriate educational content to utilize the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teacher on how to understand and practice the role of an assistant in class. In addition, an intelligent learning system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nderstanding program should be operated.

      • 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 척도 개발

        박일수(Park, Il-soo)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19 교육실습연구 Vol.1 No.2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질 관리는 교육실습의 개선과 발전을 위하여 중요하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척도가 개발되지 않기 때문에, 교육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 연구는 CIPP 프로그램 평가의 상황평가, 투입평가, 과정평가, 산출평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 예비문항 개발, 전문가 의견 검토, 본 문항 구성, 개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의 절차에 따라 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 척도는 총 21문항이었다. 이 척도의 하위변인은 교육실습 준비, 교육실습 지원, 교육실습 여건, 교육실습 운영, 교육실습 성과의 5개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 분석을 통하여 확보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실습 프로그램 평가 척도가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질 개선을 위한 평가도구로 활용되어, 교육실습의 질 개선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Quality management of teacher practicum programs is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 practicum programs. Despite this importance, few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to assess teacher practicum program. This study developed teacher practicum program evaluation scales to support decision-making on the situation assessment, input assessment, process assessment and output evaluation of CIPP program assessment. This study consisted of the procedures of literature research, preliminary scales development, expert opinion review, composition of this scales, and analysi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eacher practicum program evaluation scales.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evaluation scales consisted of 21 questions, and five sub-variables: preparation, support, conditions, operation, and outcome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evaluation scales were obtained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teacher practicum program evaluation scales developed in this study is used as a diagnostic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 practicum program. This study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teacher practicum program will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