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사상생 리더십 교육이 노동조합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권양이 ( Yang Yi Kw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09 HRD연구 Vol.11 No.2

        자기효능감과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을 연계한 많은 국내외 연구물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노동조합 리더십 프로그램에 있어서 리더십과 노동조합 자기효능감 관련성을 다룬 연구는 매우 일천하다. 연구는 학습자의 노동조합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노사상생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프로그램 전·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인 공무원 노동조합원 58명의 자료를 공변량분석(ANCOVA)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4주 후 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서 노사상생 리더십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노동조합 활동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자기효능감에서 의미 있는 향상을 나타냈다. 강사와의 상호작용, 토의, 발표 등 활발한 리더십 활동이 포함된 노사상생 리더십 교육이 학습자들의 노동조합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이 규명되었다. Despite the many studies on leadership programs related to self-efficacy, very few have investigated union leadership educational programs deali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a developed, labor and management, win-win, leadership educational program on learners` union self-efficacy, the data from the 58 public-service union members were analyzed by using ANCOVA effectiveness analysis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ith two groups: control and experimental. Four weeks after the program,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self-efficacy necessary to perform union activities was more enhan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thereby demonstrated the ability of this developed program, which included various leadership activities such as interactions with the instructor, discussion and presentation, to enhance the learners` self-efficacy.

      • KCI등재후보

        한국 노동교육 실태와 정책적 함의

        권양이 ( Yang Yi Kw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0 HRD연구 Vol.12 No.3

        최근 들어 노동교육은 노사협력의 관계를 구축하는 것 뿐만 아니라 노동자 교육, 즉, 노동현장의 노동자들이 노동에 대한 가치와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고 수행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업능력 향상 교육도 확대하여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노동교육 실태와 정책적 함의를 살펴보았다. 첫째, 노동조합에서는 노동교육에 대한 교육전문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사측인 기업은 노동교육이 생산성 증가와 이윤확대로 이어진다는 것을 명심하고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셋째, 정부는 노동교육 법제화를 비롯하여 노동자의 평생학습권, 직무능력개발을 위한 제도 및 사업에 대한 정부지원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Labor Education has recently not on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labor-management win-win relationships but also expanded into worker education that widely ranges from a variety of educations inducing changes in forming workers` values and attitudes towards labor and playing a role in enhancing performance to vocational education. The study searched for the practices of labor education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Firstly, it will be required for unions to secure educational expertise for labor education. Secondly, Manegement should make an effort to encourage labor education leading to the enhancement of production and profits. Thirdly, government should take a leading role in institutionalizing labor education while expanding governmental support to guarantee workers` lifelong learning rights and develop job capabilities.

      • KCI등재

        미국대학의 온라인 역량기반 교육과정 사례와 평생교육적 함의 : College for America 사례를 중심으로

        권양이 ( Kwon Yang-yi ),이성엽 ( Yi Sung-yup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온라인 기반의 역량기반교육과정을 구축하여 미국대학 최초로 교육부 승인을 받은 Southern New Hampshire 대학의 College for America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대학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평생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outhern New Hampshire 대학의 College for America는 온라인 역량기반교육과정을 구축하여 고등교육의 혜택을 제대로 받지 못했거나 전혀 받지 못한 일하는 성인학습자들에게 120가지의 역량습득을 목표로 하는 온라인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둘째, 수준 1단계에서는 산출 기반 접근 하에 수행을 강조하는 역량을 다루고 수준 2,3단계에서는 산출 및 투입 기반 접근 하에 각각 수행의 기준을 강조하는 역량 및 근원적 특성을 강조하는 역량을 다루고 있다. 셋째, 전통적인 학점이수가 아닌 자신의 학습 속도대로 학습을 하고 역량을 증명해 보이면 과정을 신속히 마치는 것을 허용하는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역량기반 교육과정이다. 넷째, 고등교육 지원(Higher Education Act Funding)(Title VI)시행령이라는 타이틀 아래 연방정부에 장학금을 신청할 수 있다. 이러한 정부정책으로 일하면서 공부하는 성인학습자들은 저렴한 학비로 고등교육의 혜택을 누리면서 평생직업 능력개발을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y based education and continuing higher education with Korean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plore College for America of Southern New Hampshire University and its online competency based education. This is the first competency based model in the nation to be approved by the U.S. Department of Education under the direct assessment provisions. As a result, firstly, College for America provides online competency based education built around 120 competencies with working adult learners with little or no college education. Secondly, we identified a focus on performance under the output-based approach to competencies at the level 1 whereas a focus on standards of performance and the underlying attributes under the output-based and input-based approach, respectively at the level 2, 3. Thirdly, It is not based on traditional credit hours or seat time but focuses on the self-paced learning and the demonstration of competencies by learner-centered learning which allows learners to finish their learning quickly. Fourthly, working adult learners apply for federal financial aid under the Title VI, Higher Education Act Funding from which adult learners benefit at relatively low cost pursuing the development of lifelong employment while studying at universities.

      • KCI등재후보

        미국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최근동향과 시사점

        권양이(Kwon, Yang Yi),김진경(Kim, Jin Kyoung)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19 방과후학교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오랜 시간에 걸쳐 발달되어온 바 있는 미국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최근 정책동향 및 프로그램 운영사례들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목적을 위하여 미국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이 학생 참여율, 부모만족도, 학생참여시간의 세 가지 기준에서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위 10개 주의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운영현황을 살펴보았다. 미국 방과후 연합회(Afterschool Alliance), 학술지 논문, 방과후 관련 인터넷 사이트가 분석 대상이 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미국 방과후학교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21세기 지역사회 학습센터를 중심으로 대학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사회 기관 및 재단 등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있다. 둘째, 미국의 방과후학교 운영은 단일 법안에 근거하여 운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21세기 지역사회학습센터 연방정부 재정지원을 보완하기 위한 다수의 방과후 관련법안이 존재한다. 셋째, 방과후 네트워크, 협회 등이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질 관리를 위해 품질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넷째, 트럼프 정부의 방과후학교 폐지 정책은 미 의회에 의해 거부되었으며 심지어 2018-19학년도에 주로 영향을 미치는 최근 지출 법안에 예산이 증액된 바 있다. 실제로 방과후학교에 등록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여전히 대기하고 있는 상태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 방과후학교의 방과후 법안 마련, 지역사회의 역할 및 프로그램 질 관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our after-school prgram with meaningful implications by exploring after-school programs of the U.S. that include the latest policy bill of school program and up-to-date tendency of program operation cases, which is characterized by being developed over long tim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plored American high position 10 states where after-school program is made successfully in terms of three standards including student participation rate, parents satisfaction, student participation time after school. The United States after school alliance, literatures, after school related internet site were examin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followed. First, the after-school in the U.S. was based on local community after-school, foundations and various local community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y are supporting program after school with 21th century community learning center as the central figure. Second, American after-school management point is that after-school is not operated on single bill. In order to s upplement 21th c entury c ommunity l earni ng c enter that i s one o f Federal Government financial assistance, many after school related bill exist. Third, after-school n etworks, a ssoci ati ons are maki ng a ll e fforts t hat construct quality-control system for the quality of the after-school program. Fourth, cards governmental abrogation policy was refused by the U.S. Congress after school and budget was increased in the latest expenditure law affecting mainly even 2018-19 academic year. Actually, students, who still wish to register after school, are waiting for an opportunity. We presented registration point that is relevant to bill preparation, part of local community and program quality management after-school thereafter on the basis of this study finding.

      • KCI등재

        평생교육사 관련 교과목 이수대학생들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권양이(Kwon, Yangyi)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사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특수적 자기효능감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명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 두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구명하여 향후 평생교육사 관련 교과목 운영의 개선방향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수집은 편의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전문가 6인에게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2009학년도 2학기에 서울, 인천, 충청, 경북 지역에 위치한 6개 대학의 225명의 대학생의 자료를 수집한 후 자료 분석은 일원량분석, 사후비교를 위해 scheffe 검증, 그리고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수강하는 학생들이 교양과목 이수학점을 취득하기 위하여 수강하는 학생들보다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중다회귀분석 결과 연령은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미미하게나마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셋째, 평생교육사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일반적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연령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로부터 이수과정동안 특수적 자기효능감인 평생교육사 자기효능감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specific self-effic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a pre-service program for prospective lifelong educators and to demonstr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se two measures. The ultimate aim is to provide guidelines to improve the pre-service program for prospective lifelong educators by exploring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wo measures. A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were gathered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s used in the study, a pilot test was conducted and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s was examined by 6 experts. The data from 225 college students at 6 universities located at Seoul, Inchon, Chungchung and Kyungbuk areas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with Scheffe correlation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general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the purpose of obtaining lifelong educator credentials was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acquiring liberal education credits. Second, multiple regression demonstrated that the age variable was a slight determinant for general self-efficacy. Third, multiple regression demonstrated that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the students' age variable were the first and second most significant determinants for lifelong educator self-efficacy, respective. From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it is important not only to improve lifelong educator self-efficacy as specific self-efficacy but also to improve general self-efficacy during the program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대학생들의 글로벌 리더십 역량 요구분석과 HRD 시사점

        권양이 ( Yangyi Kwo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21 HRD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리더십 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한국 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통해 글로벌 리더십 역량 개발에 필요한 우선 순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의 4년제 6개 대학에서 234명의 한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Borich (1980)의 요구 분석 모델과 Mink et al. (1991)의 Locus for Focus 모델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요구 분석 절차를 활용하여 분석했다. Borich (1980)의 요구 분석 모델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래에 가장 필요한 역량이 호기심 영역에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다른 문화적 지식, 낯선 곳으로의 여행, 기술적 지식 순이었다. 한편, 가장 적게 요구되는 역량은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는 등 인격과 관련된 역량 영역과 사람들과 만날 때 정직하고 윤리적인 역량으로 판명되었다. Mink et al. (1991)의 Locus for Focus Model을 사용할 때도 유사한 패턴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는 체계적인 요구 분석 절차를 사용하여 대학생의 글로벌 리더십 역량을 조사한 최초의 연구이기 때문에 그 의의가 있다. 향후 비슷한 연구방법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피실험자와 상황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할 수 있다. The study purpose is to examine Korea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and by doing so, identify the priorities that need to be developed for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34 Korean college students from six Korean 4 year colleges and analyzed by utilizing a systematic needs assessment procedure that included Borich’s (1980) needs assessment model and Mink et al.’s (1991)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Borich’s (1980) needs assessment model indicated that the most required competencies for the future came from the inquisitiveness section, followed by cross-cultural knowledge, travelling to strange places, and technical knowledge. Meanwhile, the least required competencies proved to be competencie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 such as listening to other people’s opinions as well as honesty and ethic when meeting with people. Similar patterns were found when Mink et al.’s (1991) Locus for Focus Model was employed. This research is unique because it is the first to examine the global leadership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using a systematic procedure of needs assessment that can be replicated in future similar studies with globally diverse subjects and settings.

      • SCOPUSKCI등재

        조기대장암의 임상 양상 및 치료 결과

        광안 ( Kwang An Kwon ),김유경 ( Yu Kyung Kim ),정문기 ( Moon Gi Chung ),박동균 ( Dong Kyun Park ),오상 ( Oh Sang Kwon ),김선숙 ( Sun Suk Kim ),김연석 ( Yeon Suk Kim ),소영 ( So Young Kwon ),구양서 ( Yang Suh Ku ),최덕주 ( Du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최근 조기대장암의 내시경 치료의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대장암의 임상양상 및 치료결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7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969명 중 117명(120병소)의 조기대장암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전체 대장암 중 조기대장암의 빈도는 12.1%였고 점막암이 80예, 점막하층암이 40예였다. 조기대장암에서 병변의 평균크기는 1.8 cm, 암조직의 평균크기는 1.1 cm였다. 병변의 평균크기는 점막하층암이 2.2 cm로 점막암의 1.7 cm보다 컸다(p=0.03). 육안적 분류로 편평형에서 점막하층암이 30%로 점막암의 15%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7). 조직학적 분화도는 고분화선암이 77.5%였으며, 중등도 분화를 보인 경우는 점막하층암에서 63%로 점막암의 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조기대장암에 대한 치료는 점막암 80예중 초치료로 10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고, 70예에서 내시경 절제를 하였으며, 이 중 2예에서 추가 수술적 절제를 시행하였다. 점막하층암 40예에서는 초치료로 19예에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21예가 내시경 절제를 받았고 이 중 13예에서 추가 수술적 절제를 받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조기대장암의 빈도는 12.1%로 국내 과거 보고보다 증가하고 있으며, 조기대장암에서 내시경 치료를 고려하는 경우 크기가 2 cm 이상이며 중등도 분화도를 보이는 편평형 조기대장암에서는 점막하층암일 가능성을 고려하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Recently, it has been more interested in the early colorectal cancer (ECC) with possibility of endoscopic treatment. We evaluate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results of the ECC. Methods: 120 cases of ECC from 969 patients with colon cancer were analyzed. The cases of concomitant advanced colon cancer were excluded. Results: 12.1% of total colon cancer was ECC. 80 and 40 cases were mucosal (M) and submucosal (SM) cancer, respectively. The size of lesion and cancer tissue of SM cancer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M cancer (lesion size, 2.2 vs. 1.7 cm, p=0.03; cancer size, 1.7 vs. 0.7 cm, p<0.001). The prevalence of flat type in SM cancer was higher than that of M cancer (30% vs. 15%, p=0.07). Moderately-differentiated type was more common in SM cancer than M cancer (63% vs. 3%, p<0.001). 15 cases received the additional operation (M cancer; 2, SM cancer; 13). The metastasis of lymph nodes was verified in 2 cases of SM cancer. Conclusions: The ECC with flat type, more than 2 cm in size and moderately-differentiated type had the possibility of SM cancer. Therefore endoscopic treatment in patients with those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with caution. (Intestinal Research 2005;3:133-139)

      • KCI등재

        대학생들의 청소년지도사 실습업무경험과 중요성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권양이 ( Yang Yi Kwon ),오승근 ( Seung Geun Oh ),김선요 ( Sun Yo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청소년지도사 실습업무경험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여 실습운영 개선과 실습의무화를 추진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하기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1년 서울에 위치한 4년제, 2년제 대학 소속 12명의 재학생들을 심층면접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습과정이 체계적이지 못하다. 둘째, 실습지도의 부족과 비전문성이다, 셋째, 단순잡무를 경험하며 청소년 지도사의 역할을 파악하다. 넷째, 이상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대학생들은 실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향후 청소년지도사 실습은 첫째, 실습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해야 한다. 둘째, 현행 시행되고 있는 실습 내용은 주어진 실습기간동안에 수행되기에는 광범위하기 때문에 실습운영지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셋째, 실습기관과 실습지도 담당자는 체계적으로 내실 있게 실습을 운영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현장실습에 대한 경험적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실습과정의 개선을 위해서 청소년들을 지도하는 교육기관 행정가, 슈퍼바이져, 입법자들에게 더 큰 함의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practicum and move toward for making it mandatory for the youth worker certificat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indings of the study have been based on the data from 12 college students at the two-year and four-year college located in Seoul in 2011.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practicum is not systematical. Second, the lack of supervision and expertise. Third, the tasks assigned to the students are limited to the simple and trivia things, which in turn leads to their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youth worker. Fourth, In spite of the problems addressed above, the student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practicu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ome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make the practicum systematical. Second, tasks of the practicum are too broad to be covered by the given time period, the practicum manual should be developed. Third, supervisors and organizations need to run the practicum systematically. The present study not only provides empirical data about college students` practicum experiences but also gives institutional administrators, supervisors, legislators who deal with youths much broader implications for improving practicum proced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