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적 침묵의 측정도구 개발: 관료주의 침묵을 중심으로

        고대유,김진선 경인행정학회 2023 한국정책연구 Vol.23 No.1

        Organizational silence research ha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since the 2000s. Organizational silence is an attitude in which members do not speak out for any reason despite having opinions. This phenomenon refers to a collectively prevalent condition. In the meantime, research has greatly expand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numerous variables targeting various organizations. However, a clear limitation is that the phenomenon of silence is limited to the internal dimension of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existing research has been neglected in the phenomenon of government silence to the public. This is because the phenomenon that the government does not properly answer the people's questions is against democracy. Recognizing the above problems, Go and Kim(2022) conceptualized the government's silence toward the people and defined it as bureaucratic silence. In addition, it was divided into four detailed types(arbitrary, evasive, pro-organizational, and power-oriented silence). This study further seeks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for each detailed type of bureaucratic silence. The questions were designed based on existing silence studies, related theories, and actual cases. Then, expert Delphi was performed to derive the questionnaire items. A total of 33 questions for each of the 4 types were surveyed and statistically verified. The unit of analysis is 364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Nomological validity were also verified. As a result, 4 components and 27 questions were confirmed. Through this, this stud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xpanded the base of follow-up research by developing a tool to measure bureaucratic silence, which had been neglected despite its importance. 조직침묵 연구는 2000년대 이후 크게 주목받아 왔다. 조직침묵이란, 구성원들이 의견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이유로 발언하지 않는 태도이며, 이 현상이 집단적으로 만연한 상태를 의미한다. 그동안 조직침묵 연구는 양적·질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으며, 다양한 조직을 대상으로 수많은 변수와 함께 해당 현상을 규명해왔다. 다만 분명한 한계는 침묵 현상을 조직 내부차원에 국한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정부가 ‘국민’에게 침묵하는 현상에 기존 연구는 소홀했다. 정부가 국민의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않는 현상은 민주주의에 반하는 것이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상의 문제 인식하에, 고대유·김도윤(2022)은 국민을 향한 정부의 침묵을 개념화하여 이를 관료주의 침묵이라 명명하였고 네 가지 세부 유형(편의적·회피적·친조직적·권력지향적 침묵)으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는 더 나아가 관료주의 침묵의 세부 유형별 측정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기존 침묵연구와 관련 이론, 실제 사례를 토대로 문항을 설계하고 전문가 델파이를 수행하여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4개 유형별 총 33개 문항을 토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단위는 전국의 대학생 364명이다. 최종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과 외적관계 구성타당도 검증을 거쳐, 4개 구성요인·27개 문항을 확정하였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소홀했던 관료주의 침묵의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후속 연구의 저변을 확대하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체역 제도 개선방안 연구-그리스와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고대유,한상연 한국법정책학회 2023 법과 정책연구 Vol.23 No.2

        For decades, conscientious objectors have been punished. Controversy has been raised over human rights violations, such as infringement of individual freedom. Against this backdrop, the Constitutional Court in 2018 ruled that punishing conscientious objectors without providing an optional alternative is not consistent with the Constitution. Accordingly, an Alternative Military Service Policy is being implemented in 2020, and two years later, research on how to diagnose and reorganize the system is needed. In particular, the current issue is that the service period is twice the active duty period, and the service field is limited to Correctional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were conducted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and the studies after the implementation are extremely limited. This study selects and investigates countries with similar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to Korea in the context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olicy supplement logic different from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Finnish and Greek cases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focusing on the period of service, the field of service, the type of service, and the screening system. Based on the above overseas case analysis, the main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e first period of service requires gradual re-establishment. It was suggested that the service period be considered in combination with the service field (difficulty), service typ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commute), and the examination system(Application or Examination), but gradually reduced by 1.8 times in the short and medium term and 1.5 times in the long term. In addition, in terms of service field and form, Korea is currently unified into correctional facilities and camp service, but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xpand from non-military areas to various public interest fields. On the other hand, assuming that the system is relaxed in the examin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maintain strict Examination to prevent abuse. 지난 수십년 간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은 처벌되어 왔으며, 개인의 자유권 침해 등 인권침해의 논란이 제기되어왔다. 이런 상황에서 2018년 헌재는 선택적 대안의 마련 없이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을 처벌하는 것은 헌법에 불합치한다는 판결을 내렷다. 이에 따라 2020년 대체복무제가 실시되고 있으며, 2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제도의 진단과 개편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현재 대체복무자들의 복무기간을 현역 2배인 점, 복무분야를 교정시설로 한정한 점은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 한편 대체복무제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제도 태동 이전에 수행된 연구가 대부분이며, 시행 이후 연구는 지극히 제한적이다. 이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 맥락에서 한국과 대내외적 환경이 유사한 국가를 선정하고 심층 조사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다른 정책 보완 논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핀란드와 그리스 사례에 주목하고, 복무기간, 복무분야, 복무형태, 심사체계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상 해외 사례분석을 토대로 주요 함의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무기간은 재정립이 점진적으로 필요하다. 복무기간은 복무분야(난이도), 복무형태(출퇴근 가능여부), 심사체계(신청주의 혹은 심사주의)와 함께 종합하여 고려하되 단·중기적으로 1.8배, 장기적으로 1.5배로 점진적 감축을 계획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복무분야 및 형태에 있어서도 현재 한국은 교정시설, 합숙복무로 단일화되어 있으나 향후에는 비군사적 영역에서 다양한 공익분야로 확대가 필요하다. 반면, 심사체제에 있어서는 제도가 완화된다는 가정을 하면, 악용방지를 위해 엄격한 심사주의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조직침묵 현상의 결과 논의

        고대유,한명성 한국정책과학학회 2023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7 No.2

        Organizational silence is a familiar concept, particularly in Korean society, which is heavily influenced by authoritarianism and collectivism. Consequently, research aimed at identifying the negative effects of organizational silence holds great significance. However, despite numerous studies aiming to illuminate the outcomes of organizational silence, prior researches and consistently confirmed similar and limited themes. Also, there have been few comprehensive attempt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Silence Model’ proposed by Morrison & Milliken (2000). Additionally, there have been limited efforts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these findings to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deemed it appropriate to perform a meta-analysis encompassing all empirical studies on organizational silence conducted within the past 14 years. A total of 62 empirical studies examining the outcomes of organizational silence, conducted between 2009 and April 2023, were analyze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organizational silence as well as those mitigating it are analyzed, while also examining potential differences between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The meta-analysis revealed that acquiescent silence exhibited greater and more diverse negative factors compared to defensive silence, and similarly, positive factors reduced by silence were more significant and varied in the case of acquiescent silence compared to defensive silence. Furthermore, when comparing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based on the findings related to sile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 sector exhibited fewer negative effects compared to the private sector, specifically in relation to the negative effects attributed to defensive silence among the four types examined. Therefore, in order to effectively mitigate the negative impact of silence, various implications such as including addressing acquiescent silence as a priority and avoiding the differentiation between private and public sector silence were proposed. 한국사회는 권위주의 및 집단주의에 문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조직침묵은 매우 익숙한 개념이다. 이에 따라 조직침묵의 결과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규명하는 연구는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조직침묵의 결과를 조명하고자 하는 연구들은 유사한 주제를 반복적으로 검증해왔다는 점, Morrison & Milliken(2000)이 제시한 ‘조직침묵 영향모형’을 포괄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자주 시도되지 않았다는 점, 민간 및 공공조직을 대상으로 공통적인 논의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가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지난 14년간 실시된 조직침묵의 실증연구 전체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2009년부터 2023년 4월까지 진행된 조직침묵의 결과를 다룬 62개의 실증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직침묵이 유발하는 요인과 조직침묵이 저감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추가적으로 민간조직과 공공조직간의 차이가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방어적 침묵 보다 체념적 침묵으로 인해 유발되는 부정적 요인들이 더 크고 다양했으며, 침묵으로 인해 저감되는 긍정적 요인 또한 방어적 침묵보다 체념적 침묵에서 더 크고 다양하였다. 또한, 침묵의 결과에 따른 민간과 공공 간의 비교에서는 4가지 유형 중 단지 방어적 침묵이 유발(+)하는 부정적 효과를 대상으로만 공공이 민간에 비해 더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침묵의 결과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축하기 위해서는 체념적 침묵을 타겟팅해야 하며, 민간과 공공간의 침묵 구분을 지양해야 하는 등 다양한 함의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감성리더십 인식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권위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대유 한국지방행정학회 2019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6 No.3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surveyed of 195 Korean police officers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effects of emotional leadership and authoritarianism on organizational silence were analyz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uthoritarianism was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ilence. First of all, the emotional leadership of the police organization has negative effect on the acquiescent・defensive silence. Second, authoritarianism had positive effect on acquiescent silence, and also on defensive silence. Third, emotional leadership had a negative impact on authoritarianism. Finally, there was a negative mediating effect of authoritaria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ilenc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institutional improvements to prevent organizational silence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전국 경찰공무원 1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데이터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감성리더십과 권위주의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과 감성리더십과 조직침묵의 관계에서 권위주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론은 구조방정식 모형이다. 경찰조직의 감성리더십이 체념적 침묵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방어적 침묵에도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권위주의는 체념적 침묵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방어적 침묵에도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감성리더십은 권위주의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감성리더십이 조직침묵에 부(-)적 영향을 미침에 있어, 권위주의의 부(-)적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조직침묵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도시의 승강기 사고에 대한 황금시간(Golden time) 검증

        고대유,원종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016 도시 행정 학보 Vol.29 No.3

        이 연구는 서울시 55개 재난 유형 중 하나인 승강기 사고의 황금시간을 검증하였다. 소방재난본부의 구조(2010~2015년 2월, 13,720건의 승강기 정전 사고) 및 구급(2010~2012년, 122건의 승강기 정전 이외의 끼임, 추락 등 사고)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사고 유형 별 출동시간, 도착 및 조치 시간, 병원이송 시간, 부상의 악화정도 등을 토대로 기초통계와 순차형 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승강기 정전 사고의 경우 황금시간 1시간이 잘 준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출동시간별 구간을 2개로 구분(20분 기준)하여 부상의 악화정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20분 이내’ 가 승강기 사고(정전 이외의 끼임, 추락 등)의 황금시간으로 적절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연구는 황금시간의 본래적 의미인 중증외상 사례를 직접적으로 입증하려 했다는 점에서 구조 • 구급 분야에 큰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혁신지향문화가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하는 방안 모색: 목표명확성과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대유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2

        Recently, the environment of public organizations has changed significantly. Complex phenomena such as the Pandemic,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are occurred. This suggests that public organizations should strengthen their innovation-oriented culture in order to flexibly respond to external changes. Therefore, public organizations are preparing various policy measures to encourage an atmosphere of innov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important that how public servant accept an innovation- oriente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way for innovation-oriented culture to promote innovation behavior of public servant.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r, and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goal clarity. The analysis data is a survey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s 2020 「Awareness Survey on Public job」.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s 4,339.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novation-oriented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and second, goal clarity and job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Third, goal clarity and job autonomy further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최근 공공조직의 환경은 크게 변하고 있다. 팬데믹 현상, 4차 산업혁명, 저출산․고령화 등 과거와 다른 양상의 복잡한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는 외부의 변화에 유연한 대응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공공조직에서도 혁신지향문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공공조직도 혁신분위기를 장려하고자 다양한 정책 수단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지향문화를 공무원이 어떻게 받아들이는가도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혁신지향문화가 공무원의 혁신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 제시이다. 이를 위해 혁신지향문화가 혁신행동을 유발하는지, 그 과정에서 직무자율성과 목표명확성의 조절효과는 어떠한지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한국행정연구원의 2020년 공직생활실태조사 이며, 표본은 총 4,339부이다. 주요 결과는 첫째, 혁신지향문화는 혁신행동에 정(+)적 영향, 둘째, 목표명확성․직무자율성도 혁신행동에 각각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목표명확성․직무자율성은 혁신지향문화와 혁신행동 간의 정(+)적 관계를 더욱 강화시켰다. 이상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정책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 침묵 현상의 확장으로서 조직적 침묵의 이론, 유형화 모색: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고대유,김도윤 한국행정학회 2021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지난 20년 동안 공공조직 내 침묵현상을 진단한 연구는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이를 통해 조직 침묵은 강한 병폐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조직 내부 현상에 국한되었다. 기존 연구는 조직침묵을 구성원의 침묵으로 국한하고 관련한 유사변수들을 대상만 바꾸어 반복 검증되는 방식으로 축적되어왔다. 그러나 침묵은 주체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갖는다. 침묵의 주체는 구성원, 시민, 피해자, 소수자 등 개인 단위에서 조직, 사회, 지역, 국가 등 집단 단위까지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협소한 조직침묵 개념을 외부로 보다 확장하고 이를 조직적 침묵이라 명명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침묵 유형을 진단·규명하고자 한다. 이상의 문제의식에 따른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조직침묵 연구 방향이 외부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 이론을 탐색하고 제시한다. 다음으로, 지난 30여년(1990년~2021년) 간 언론에서 다룬 침묵 사례를 분석하고 유형별로 그룹핑(Grouping)하여 개념화한다. 이를 위해 워드클라우딩(wordclouding)과 토픽모델링(topic modeling) 같은 빅데이터 분석도 병행하여 정량적 근거도 강화한다. 그 결과 이 연구는 조직적 침묵을 4가지 유형과 10가지 세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개념화하였다.

      •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직만족도를 통한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대유 경인행정학회 2021 경인행정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02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은 신공공관리론에 따른 조직관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공공성을 실현하는 중요한 대안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이 관계를 체계적 으로 입증할 다양한 요인들도 강구가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공공봉사동기가 공직만족도를 거쳐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한국행정연구원의 2019년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데이터를 활용하며, 총 4,111개의 표본이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이 관계는 공직만족도를 통 해서도 간접 매개된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공직만족도→조직시민행동’의 정(+)적 효 과는 둔화됨을 확인하였다. 이상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정책적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 박근혜 정부의 중간점검 및 향후 정책과제 : 제1회 ; 제3분과 <중간점검기획: 정부조직과 행정문화> : 한국의 행정문화를 적용한 침묵현상의 개념화와 측정도구 개발: 순응적 침묵을 중심으로

        고대유,강제상 한국정책학회 2015 한국정책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적 정서를 반영한 침묵현상을 개념화하고 새로운 유형으로 도출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서구와 구분되는 한국행정문화의 특징들 중 순응주의는 기존의 침묵 유형과는 다른 차원의 침묵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순응주의와 한국적 침묵의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결과, 한국의 순응주의는 ‘상관의 권위 존중’, ‘상관의 체면 중시’, ‘상급자와 하급자 간의 정과 의리 중시’ 등의 풍토를 조성함으로서 구성원의 침묵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순응적 침묵으로 정의하였다. 순응적 침묵의 척도 개발을 위해,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5문항을 개발하고, 기존 조직침묵 3가지 유형의 문항(체념적·방어적·친사회적 침묵 각각 5개, 총 15개)을 포함한 20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개 구성요인·19개 문항의 조직침묵 측정도구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모형의 수렴·판별 타당도는 기준치를 충족하고, 이해타당도도 상당히 지지된다는 점에서 척도의 타당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한국적 조직침묵의 개념화와 유형화에 기반한 순응적 침묵의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입증함으로써 측정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혔다 볼 수 있다.

      • KCI우수등재

        침묵 현상의 확장으로서 조직적 침묵의 이론, 유형화 모색: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고대유,김순영 한국정책학회 2022 韓國政策學會報 Vol.31 No.1

        Over the past 20 years, studies diagnosing silence in public organization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in quantity, and through this, organizational silence is recognized as a malady. However, most of the studies were limited to organizational internal phenomena. Existing studies have accumulated in such a way that organizational silence is limited to the silence of members and related similar variables are repeatedly verified by changing only the subjects. However, silence has various aspects depending on the subject. This is because the subject of silence ranges from individual units such as members, citizens, victims, and minorities to group units such as organizations, society, regions, and countries. This study expands the existing narrow concept of organizational silence to the outside the organization and calls it organized silence.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vide a foundation for identifying new types of silence and establishing policy prescriptions. Hereinafter, the content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bove problem consciousness are as follows. First, we explore and present the underlying theory that the direction of organizational silence research can extend. Next, the cases of silence covered by the media over the past 30 years (1990-2021) are analyzed and conceptualized by categorization. To this end, quantitative evidence will also be strengthened by big data analysis such as word clouding and topic modeling. As a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and conceptualized organized silence into four types and ten detailed types. 지난 20년 동안 공공조직 내 침묵현상을 진단한 연구는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이를 통해 조직 침묵은 강한 병폐현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조직 내부 현상에 국한되었다. 기존 연구는 조직침묵을 구성원의 침묵으로 국한하고 관련한 유사변수들을 대상만 바꾸어 반복 검증되는 방식으로 축적되어왔다. 그러나 침묵은 주체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갖는다. 침묵의 주체는 구성원, 시민, 피해자, 소수자 등 개인 단위에서 조직, 사회, 지역, 국가 등 집단 단위까지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기존의 협소한 조직침묵 개념을 외부로 보다 확장하고 이를 조직적 침묵이라 명명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침묵 유형을 규명하고 정책적 처방성을 마련하는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다. 이상의 문제의식에 따른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조직침묵 연구 방향이 외부로 나아갈 수 있는 기반 이론을 탐색하고 제시한다. 다음으로, 지난 30여년(1990년~2021년) 간 언론에서 다룬 침묵 사례를 분석하고 유형별로 그룹핑(Grouping)하여 개념화한다. 이를 위해 워드클라우딩(wordclouding)과 토픽모델링(topic modeling) 같은 빅데이터 분석도 병행하여 정량적 근거도 강화한다. 그 결과 이 연구는 조직적 침묵을 4가지 유형과 10가지 세부 유형으로 구분하고 개념화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