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 트라우마의 치유와 상호주의를 통한 한반도 평화 전략 재고

        한미애(Hahn, Miae)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1 문화와 정치 Vol.8 No.3

        본 연구는 한반도 평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최근의 국제정세를 살펴보고, 분단 트라우마의 치유와 상호주의를 통한 한반도 평화 전략을 재고하고자 한다. 한반도의 통일은 남한과 북한, 즉 한민족 간의 과제이지만, 사실상 주변국인 미국·중국·러시아·일본 등의 이해관계와 밀접하게 연결된 국제정치의 냉엄한 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한과 북한 사이의 화해와 통일 분위기가 조성이 된다고 하더라도 통일의 시작점부터 최종까지 주변국의 협조가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한반도의 통일이 주변국에게 제공할 수 있는 정치·경제 등 여러 부분에서 발생할 이익에 대한 청사진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오랜 기간 분단의 상황에서 갈등이 고조되고 서로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인 상황에서 무엇보다 갈등 해결과 분단 트라우마에 대한 치유가 선행되어야 한다. 코로나 19 팬데믹과 신냉전의 시작이라고 불리는 미·중 무역전쟁 등 한반도 통일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국 간의 갈등이 지속되는 등 동북아 정세의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 전 세계는 코로나 19 팬데믹으로 지역주의와 민족주의가 강해지고 국제기구나 다자협력 체제의 무기력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 19 팬데믹 상황이 남과 북의 평화와 번영을 위한 계기가 될 수 있다. 남과 북은 여전히 대화의 여지를 열어두고 지나친 갈등 관계로 회귀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과거 서독과 동독이 냉전 시기에도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관계를 개선하였고, 통일 이후 분단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다름과 갈등 극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한반도 평화 위기 상황을 기회로 만들 수 있도록 남과 북이 상호호혜적 이익구조를 마련하여 교류를 지속하고 분단 트라우마 치유를 통한 이질성을 극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한반도 평화 전략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cent international situation that negatively affects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consider the peace 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healing of divisional trauma and reciprocity. In the past, West Germany and East Germany improved relations through continuous exchanges even during the Cold War, and after reunification, efforts to overcome conflict with Dareum are continuing to heal the trauma of division. Therefore, a realistic peace strategy on the Korean Peninsula is needed to help the two Koreas establish a mutually beneficial interest structure to continue exchanges and overcome heterogeneity through divisional trauma healing.

      • KCI등재

        평화문제와 문화영역에서의 실천연구: 유럽연합의 ‘문화 간 대화’ 정책을 중심으로

        김새미(Kim, Saemee)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1 문화와 정치 Vol.8 No.2

        본 연구는 평화문화 담론을 확장하는 데 있어 문화가 기여하는 바를 고찰한다. 레더라크(J.P. Lederach)의 평화개념과 갈등조정기제로서 문화의 연결지점을 분석하고, 유럽에서 평화논의가 문화영역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담론과 정책사례로 살펴봄으로써 평화문화의 과제를 모색하고자 했다. 레더라크는 도덕적 상상력을 통해 갈등이 변한다는 것을 이해하고 갈등에 대해 즉각적이고 대립적 각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잠재된 갈등 집단들의 사회적 관계를 긍정적으로 재구성함으로써 평화세우기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유럽에서도 문화가 평화를 위한 가교역할을 실현하기 위해 평화문화를 제도화하고 있으며 새로운 관계 설정을 모색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안나린드재단(ALF)의 ‘문화 간 대화’를 기반으로 하는 토론과 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지중해 지역의 평화담론 확장 가능성을 시사했다. 불평등과 구조적 폭력에 대항하는 평화의 문화를 위해서는 비판을 넘어서는 인식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문화 접근법은 상상력과 감정을 이입하여 특정 상황에서 합리적 판단을 유인하는 다양한 행위의 방안들로 구성되며 실제적 대안을 창의적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상호 존중을 바탕으로 하는 문화 간 소통은 자신과 타인의 관계를 성찰하고 공감과 비폭력의 윤리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중적 차원에서 평화의 가치를 확산하며 민주주의 토대를 구축하는 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 그러나 문화 접근법을 통한 평화세우기는 위계관계에서의 일방적 소통이 아닌 모든 시민들이 주체적으로 발화할 때 평화의 지속성을 지니는 것으로 기본적인 경제적·사회적 조건들이 충족되고 시민발화의 자유가 전제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culture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discourse on the culture of peace. In doing so, this paper theoretically analyzes J. P. Lederach’s concept of peace and the points where culture acts as a mechanism for mediating conflict based on existing discourses and policies. Also,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llenges and tasks of peace culture by examining how the peace discourse is reflected in European cultural sphere.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conflicts could change through moral imagination Lederach believed peace-building could be achieved by positively reconstructing the social relationships among potential conflict groups rather than voicing immediate opposition over conflict issues. In Europe, efforts are bing made to institutionalize the culture of peace and reconstruct relationships so that culture could play a bridge to peace. The European Union(EU)’s debate education and cultural art programs based on the Anna Lindh Foundation’s ‘inter-cultural dialogue’ suggest expanding the Mediterranean region’s peace discourse. Fostering a culture of peace against inequality and structural violence requires a shift in perception that goes beyond the act of criticism. This cultural approach consists of various action plans that could induce rational judgement in specific situations by engaging imagination and emotions and stimulating awareness and sentiments to creatively carry out practical alternative solution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ased on mutual respect could lead to self-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others and the cultivation of ethical values such as empathy and non-violence. At the civil society level,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uld disseminate the value of peace and operate as a mechanism for building the foundation for democracy. However, peace-building through cultural approaches could only contribute to the continuity of peace when all citizens are given autonomous voices instead of unilateral communication in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lso, it should be premised of the guarantee of primary economic and social conditions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 KCI등재

        평화문화와 지속가능한 평화: 한국에서의 의미와 과제

        홍용표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8 문화와 정치 Vol.5 No.2

        This study tries to analyze the concept of “culture of peace,” examine the problems of peace discourse in South Korea, and apply peace culture to Korea. The culture of peace aims at promoting peace through fostering peace education, human right, democratic participation, the value of tolerance and solidarity, and international security. Particularly, the peace culture concept tries to build peace by inducing change in value and identity. In Korea, a narrow perception on peace and a dichotomous way of thinking have been maintained because of the division and subsequent formation of the ‘culture of cold war.’ Accordingly, the features of peace culture have usefulness in solving the problems in Korea. First, the peace culture may help curing the pain from the culture of cold war which has been a cause of structural violence. Second, it will contribute to recovering exclusive relationships by encouraging the value of understanding and harmonious identity. Third, the comprehensive approach to peace will broaden narrow perspective on peace among the Koreans. Finally, the culture of peace will encourage the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society for peaceful inter-Korean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평화문화’ 개념의 내용, 한계와 성과 등을 분석하며, 평화문화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의 평화 문제를 살펴보고 평화문화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평화문화는 평화 교육, 지속가능한 발전, 인권 존중, 양성평등 보장, 민주적 참여의 확대, 이해 ․ 관용 ․ 연대 촉진, 참여적 소통, 국제적 평화와 안보 증진 등을 통한 평화의 확산을 목표로 한다. 특히 평화문화 개념은 문화적 접근을 통해 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와 정체성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냄으로써 평화를 인간의 일상에서부터 증진시키고자 한다. 우리사회에서는 분단이라는 특수성과 냉전문화의 영향으로 평화 문제에 대한 편협한 인식, 이분법적 사고방식과 대립 등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평화문화의 개념과 특징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우리사회에 대한 적실성이 있다. 첫째, 6.25전쟁의 아픔과 여기서 비롯되어 구조적 폭력의 기제로 작용하고 있는 냉전문화의 상처 치유; 둘째, 관용 ․ 이해 ․ 협력 같은 가치와 보다 조화로운 사회정체성 형성을 통한 배타적 ․ 이분법적 문화 개선; 셋째, 포괄적․ 문화적 접근을 통한 평화에 대한 우리사회의 편협한 시야 확대; 넷째,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해 평화적 남북관계를 만들어 가는 환경조성 등이 그것이다.

      • KCI등재

        전태일 정신의 평화지향성 연구: 적극적 평화이론을 중심으로

        정재요(Jung, Jae-Yo)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9 문화와 정치 Vol.6 No.2

        이 논문은 현대 평화학에서 제시되고 있는 ‘적극적 평화이론’의 틀에서 ‘전태일 정신’의 평화지향성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전태일의 사유와 실천에 관한 재조명은 신자유주의적 지배질서가 파생시킨 여러 수준의 위험을 극복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와 함의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문의 II절에서는 연구의 분석틀인 ‘적극적 평화이론’을 검토해본다. 여기서는 요한 갈퉁(Johan Galtung)과 이반 일리치(Ivan Illich)의 평화론, 그리고 인간안보론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III절에서는 ‘전태일 정신’의 평화지향성을 적극적 평화이론의 틀에서 검토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전태일의 폭력인식을 구조적 · 문화적 수준에서 각각 살펴보고, 이것을 제거하기 위한 전태일의 사유와 실천을 고찰해본다. 이 과정에서 저자는 전태일 정신과 적극적 평화이론의 내용이 상호 소통한다는 것을 밝혀내도록 하겠다. 한편으로 이러한 소통점의 모색은 노동운동가를 넘어서서 혼란했던 시대가 낳은 ‘평화사상가’이자 ‘평화운동가’로 전태일을 재조명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aims at disclosing peace-orientedness in Jeon Taeil’s spirit in light of positive peace theory. Jeon Taeil’s thoughts and practices for peace show a significant way to overcome the various problems of contemporary neoliberalism. In chapter II, I explicate positive peace theory as an analytic framework of this research, analyzing the conceptions of peace and human security in the thoughts of Johan Galtung and Ivan Illich. Chapter III focuses on disclosing the peace-orientedness of Jeon Taeil’s spirit from the perspective of positive peace theory. Then, I will illuminate the structural and cutural aspects of Jeon Taeil’s perception of violence, focusing on his reasoning and action to eliminate the structural and cultural violences. Thereby, this study elucidates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Jeon Taeil’s spirit and positive peace theory. Ultimately, this scholarly attempt lays a foundation for re-examining Jeon Taeil as a “thinker and activist of peace” beyond the previous view of him as a labor activist born out of the confused era.

      • KCI등재후보

        민주평화주의와 지역평화의 역사적 · 지정학적 형성: 노르딕 지역과 동북아 지역의 비교

        김인춘,석주희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7 문화와 정치 Vol.4 No.4

        ha Womans University Viewed from the pessimistic perspective on Asia’s future, Asia is considered having security problem and lacking solidarity in the region. According to this view, expansion and deepening of democracy are essential to reduce security risks and enhance solidarity. The Nordic region is the most important case for the democratic peace. Historical rivalry and conflicts between Denmark and Sweden,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Nordic small countries(Norway, Finland, Iceland) in the 20th century, and the legacy of colonialism could make cooperation and peace nearly impossible in the region. The Nordic peace was fulfilled in very difficult historical, political, and external environments. Not only Sweden’s neutrality but also the democratic accomplishments of Norway and Finland were crucial for the region’s peace. Analyzing institutional and social dimensions of the democratic peace, the paper argues that Japan's peace constitution and Korea-Japan’s democratic peace alliance are essential since only democracy and socially constructed intrinsic pacifism would bring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Northeast Asia. 아시아의 안보 위험을 줄이고 연대감을 고양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 확대와 심화가 필수적이다. 민주주의가 평화를 가져온 대표적인 사례는 노르딕 지역이다. 스칸디나비아 반도 3국(스웨덴, 덴마크, 노르웨이)은 근대 이후 영토를 둘러싸고 전쟁과 갈등을 겪어왔다. 노르웨이, 핀란드, 아이슬란드의 분리 ․ 독립운동, 덴마크와 스웨덴의 경쟁관계, 식민주의의 유산과 역사적 갈등 등은 지역의 통합과 평화를 어렵게 한 대표적 사례다. 노르딕 평화와 연대는 매우 어려운 역사적 ․ 지정학적 ․ 대외적 조건하에서 만들어졌는데, 지역 헤게모니 국가인 스웨덴의 중립과 함께 당시 약소국인 노르웨이와 핀란드의 역할이 매우 중요했다. 19 세기 노르웨이 민주주의의 확산과 20세기 초 핀란드의 급격한 민주화는 노르딕지역의 민주주의 연대를 완성하여 지역의 협력 및 평화의 기반이 되었다. 이논문은 민주평화의 제도적 ․ 사회적 차원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동북아의 민주평화주의와 지역평화를 위해서는 일본의 평화주의 (평화헌법)와 한 ․ 일 간 전향적인 민주평화 연대 (동맹)가 필수적임을 주장한다. 노르딕 사례처럼 지역의 민주주의 연대와 내재적인 평화의 가치를 키우는 것만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를 가져올 것이다.

      • KCI등재

        콜롬비아 인권정책이 평화와 발전에 미친 효과 분석

        강혁민,황수환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3 문화와 정치 Vol.10 No.4

        이 연구는 평화협정에 기반한 인권정책이 평화와 발전에 끼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평화-인권-발전(PHD)의 선순환 조건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6년 콜롬비아 정부는 무장혁명군과의 평화협정을 체결하여 평화적 전환을 기대했지만, 협정 이후 계속되는 폭력 사태와 마약범죄, 빈곤문제 등에 의해 사회적 안정을 위협받고 있다. 평화협정으로 해결되지 않는 분쟁의 여파가 수많은 인명피해들을 발생시키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협정의 주요 골자를 구성하고 있는 인권정책을 통한 평화적 전환과 지속가능한 발전은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분석의 결과, 콜롬비아 인권정책은 한편으로는 이행기 정의 메커니즘을 통해 평화구축과 상호연계성을 확대해 가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 발전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필자들은 인권과 평화의 통합적이고 독립적인 정책 추진, 지속적인 정치적 노력, 분쟁피해자 인권 회복, 그리고 인권과 발전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의 증대가 콜롬비아의 평화-인권-발전의 선순환 조건을 마련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human rights policies on peace and development in Colombia, searching for the virtuous conditions of peace-human rights-development nexus. The Colombian government concluded the peace agreement with FARC in 2016. However, the continued violence, narcotic crimes, and poverty after the agreement threaten the social stability. The intractability generates victims of conflict, and this is why peaceful transform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human rights, which composes a key skeleton of peace agreement. The findings presents that human rights policies implemen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ncrease the interrelations with peace via transitional justice mechanism on the one hand, and have a minimal effect on development on the other. Based on the result, the authors emphasize the integrating yet separated implementation of human rights and peace, unabated political attempts, restorations of victims' human rights, and the international attention to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 KCI등재

        분쟁 이후 평화구축의 성공요인에 관한 전략적 평화론: 평화조건과 양자승인의 이중주

        김태균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0 문화와 정치 Vol.7 No.2

        본 연구는 분쟁 이후 평화구축의 성공적 프로세스를 위하여 기존의 단편적인 평화론이 가졌던 한계를 넘어서서 평화구축을 위해 동원이 가능한 모든 요소들을 총체적으로 통합하는 평화의 전략화를 강조한다. 전략적 평화의 총체적인 접근법은 모든 행위주체와 분석수준을 포괄하기 때문에 평화구축의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다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반대로 모든 요인이 포함가능하기때문에 어떤 이유로 특정 평화구축 사례가 성공(또는 실패)했는가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가 어려운 단점도 동시에 존재한다. 이러한 전략적 평화론의 내재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총체성을 구성하는 다층적인 요소 중 어느 요인이 성공적인 평화구축을 위하여 필요한 조건인가를 선별하는 과정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총체적인 전략적 평화를 토대로 평화구축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추진되는 데 필요한 핵심요소를 복합적으로 연결하는 다양한 요인 중에 제3국의 양자승인으로 전략화하고 양자승인이 성공적으로 도출되기 위한 조건으로 평화조건을 강조한다. 평화조건과 양자승인의 이중주를 UN 평화유지활동의 대표적인 성공사례인 나미비아 ․ 모잠비크 ․ 캄보디아를 통해 비교 ․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성공요건을 간단하게나마 타진해 봄으로써 결론을 대신한다. This study sets out to propose the theory of ‘strategic peace.’ This theory is designed to strategize and combine all possible components for a successful process of peacebuilding in a holistic fashion; it is also to overcome the monolithic limits of existing literature on separate implementation of peacebuilding that UN has long relied on. While the holistic view of strategic peace has a positive aspect of opening up all possibilities to include varieties of actors and issues (if they are useful to the process of peacebuilding), it often fails to provide a specific form of strategies which lead the efforts of peacebuilding to a successful result. Therefore, the strategic elements of a necessary condition to successfully implement peacekeeping operations must be detected in order to complement internal constraints of strategic peace. In this light, the study argues that peace conditionality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tervening variable; especially, bilateral warranties of the third parties are a necessary condition of pursuing strategic peace as a successful package of peacebuilding in conflictstricken countries. In a nutshell, a positive pair of peace conditionality and bilateral warranty can be suggested as core variable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eacebuilding. As evidence for this, the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Namibia, Mozambique, and Cambodia as typical successes of UN Peacekeeping Operation. Finally, it also applies the pair of peace conditionality and bilateral warranty into the situ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한반도에서 인권과 평화 : 북한인권법 제정을 둘러싼 논쟁과 그 의미

        홍용표(Hong, Yong-Pyo),장두희(Jang, Doo-Hee)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9 문화와 정치 Vol.6 No.4

        본 연구는 한국 국회의 관련 상임위에서 이루어진 논의를 중심으로 북한인권법에 대한 찬성론과 반대론의 주요 입장과 논리 등을 분석할 것이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북한인권 문제를 둘러싼 갈등의 원인을 다층적으로 파악함은 물론, 그 해결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논의에 기반하여 북한인권법과 한반도 평화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도 논의할 것이다. 첫째, 본 연구는 인권 개념 논의에 있어서 ‘보편주의와 상대주의’, ‘자유권과 사회 ․ 경제권 우선주의’ 사이의 인식 차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먼저 검토하고, 이에 기초해 북한인권법 제정에 대한한국사회와 국회에서의 논쟁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졌는지 분석한다. 둘째, 분단 문제에 대한 ‘국가와 민족 중심 입장’ 사이의 입장 차이가 북한인권 문제에 대한 인식 차이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북한인권법 제정 과정에서 나타난 북한인권 문제와 한반도 평화 간의 상관성에 대한 견해 차이와 문제점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반도에서 인권과 평화의 조화를 모색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인권을 둘러싼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장기적으로는 인권과 평화라는 두 개의 보편적 가치를 하나로 묶어 한반도 상황에 반영시키기 위해 ‘평화문화’ 개념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nces and logics included in the pros and cons regarding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Act. This study first analyzes the debate on the A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the progressive parties, focusing on their views on the concept of human rights in general. Secondly, the perception gaps between ‘state-centric’ and ‘nation-centric’ views on North Korean affairs is also examined. Thirdly, this article discusses how the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in Korean society consider the relations between the issue of North Korean human rights and peace settlement in the Korean peninsula. Finally, this study suggests ways to overcome the conflict between two competing forces in South Korea, utilizing the concept of ‘culture of peace.’

      • KCI등재

        로컬평화의 전망과 한계: 포스트자유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강혁민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2 문화와 정치 Vol.9 No.3

        What is local peace? This article explore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local peace theory through the lens of ‘the local turn’ proposed by postliberalists. By doing so, it fosters the interest of the theory and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the discourse. The author addresses that local peace is the emancipatory peace theory that reinterprets locality and local agency, which have been marginalized in the traditional peace discourse, for effective and justice peacebuilding strategies. It is also clarified that local ownership, the everyday, and relationship with global actors are the key features of the theory. Meanwhile, the author evaluates that the romanticization of the local, binary perception of the local, and theorists’ double standards restrict the theory. The paper concludes that for local peace to be more emancipatory, theorists need to aim at value-neutrality and perform participatory methodology. 로컬평화란 무엇인가? 이 글은 포스트자유주의자들이 제안한 ‘로컬 턴’의 준칙에 입각해 로컬평화의 이론적 배경, 특징,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로써 국내에서 증대되는 로컬평화에 대한 논의를 열고 이 담론의 확장에 기여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로컬평화가 20세기 평화인식과 21세기 평화구축에서 주변화되어 온 로컬리티와 로컬주체성을 효과적이고 정의로운 평화구축 전략으로 재해석한 해방적 평화이론임을 밝힌다. 그리고 분쟁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로컬오너십, 로컬의 정체성과 행위문화가 발현되는 일상성, 글로벌 행위자들과 맺는 다양한 관계방식을 이 평화론의 주요 특징임을 설명한다. 한편, 필자는 로컬평화가 갖는 로컬에 대한 낭만화, 이분법적 인식, 이론가들의 이중 잣대가 이 평화론의 결정적인 한계라고 평가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로컬평화가 해방적 평화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로컬에 대한 가치중립과 참여적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주장함으로써 이 글을 마무리 한다.

      • KCI등재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와 평화연결

        홍용표,모춘흥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23 문화와 정치 Vol.10 No.1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peace connecting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eace discourse and practice on the Korean Peninsula. Peace connecting aims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peace by acknowledging “peaces” based on different dimensions and perceptions, and connecting various peaces. This is because sustainable peace can be achieved and consolidated through connection, not through a disconnected process. Attempts to approach sustainable peace building based on connecting peace place various peace building activities within the broader process of conflict, thereby transforming the various roles, functions, and dynamics between activities into a more peaceful relationship. The above awareness of the problem can be actively utilized to achieve sustainabl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f the approach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so far focused on creating and establishing peace on the premise that peace is absent, this study believes that it is important to connect peace ideas and practices that have already existed but have not been visibly reveal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ituation. 이 연구는 기존 한반도 평화담론과 실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 시각으로서 평화의 연결(connecting peace)에 주목한다. 평화연결은 서로 다른 차원과 인식에 기초한 평화들을 인정하고, 다양한 평화들을 연결함으로써 평화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지속가능한 평화는 단절적 과정이 아닌 연결을 통해서 달성되고 공고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평화의 연결에 기초하여 지속가능한 평화구축에 다가가려는 시도는 다양한 평화구축 행위를 갈등의 광범위한 진행 속에 위치시켜, 다양한 역할과 기능, 그리고 행위들 간의 역학관계를 좀 더 평화적인 관계로 전환시키는 일련의 과정이다. 이상의문제의식은 한반도의 지속가능한 평화를 이루어 나가는 데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한반도 평화의 논의가 평화가 부재하다는 것을 전제로 새롭게 평화를 창출하고 구축하는 데 주목했다면, 이 글은 이미 존재했지만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평화구상과 실천들을 현재 상황에 맞게 연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