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 후기 안경(眼鏡)과 문화(文化)의 생성(生成) -안경으로 읽는 조선조 후기 문화의 한 국면-

        진재교 ( Jae Kyo Jin ) 한국한문학회 2016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2

        조선조 후기 안경은 독서계의 변화와 함께 지식ㆍ정보를 축적하고, 방대한 저술을 남기는데 기여한다. 일부 사대부 계층은 안경을 끼고 총서류 저술이나 다양한 필기를 남긴 바 있다. 또한 藝人들도 안경을 착용하여 자신들의 예술적 영감과 능력을 작품에 표출하기도 하고, 일부 계층은 오락을 위해 안경을 활용하기도 한다. 이처럼 조선조 후기에 다양한 계층의 인물들은 안경을 활용하여 자신의 능력과 정감을 발산시킨다. 안경의 보급과 확산은 조선조 후기 문화를 새로운 방향으로 견인하고, 한편에서는 문화변동의 자양분으로 기능한 것이다. In the late Choson dynasty the glasses made the literati class possible to not only accumul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but also produce a large amount of writings, bringing the changes to the reading public. Some of the literati could leave a collection of books and various kinds of handwritings, wearing the glasses. The artists also put on the glasses to express their artistic inspiration and capability in their works and some of them even conjugated the glasses for their pastime. In short, people in every work of life utilized the glasses to pour out their talents and feelings. The distribution and spread of the glasses drew the culture to a new direction in the one way and functioned as a driving force for the cultural changes in the other way in the late Choson dynasty.

      • KCI등재

        조선조(朝鮮朝) 후기(後期) 문헌기록(文獻記錄)을 통해 본 안용복(安龍福)의 기억과 변주 -무명소졸(無名小卒)에서 국가적(國家的) 영웅(英雄)의 탄생과정까지-

        진재교 ( Jae Kyo Jin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0

        安龍福은 하찮은 신분으로 越境하여 울릉도를 爭界하고, 일본의 울릉도 탈취간계를 저지하였다. 당시 안용복은 실정법을 위반한 범죄인의 처지가 되어 유배되었지만, 조선조 후기 문사들은 역사적 공간에서 안용복을 호출하고, 강역문제와 결부시켜 그를 역사 공간에서 복권시켰다. 범죄자에서 일약 국가적 영웅으로 포착하고, 영토문제를 해결한 상징적 인물로 기억하였다. 문사들은 그를 역사적 인물로 부활시키고, 국가적 영웅으로 호출하는 과정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17세기 안용복이 울릉도를 쟁계한 이후, 20세기초에 이르기까지 그를 기억하는 방향은 달랐다. 조선조 후기에는 강역인식의 상징으로, 근대 전환기에는 애국계몽 운동의 차원에서 주목하였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는 민족해방 운동의 차원에서 그를 호출하였다. Even though An Yongbok(安龍福) was lowly status, he crossed the border and devoted his life to the territorial dispute over Ulleung Island. He prevented Ulleung Island from Japanese invasion, but he was exiled as an offender who had violated the positive law. However, intellectuals in the late Chos.n Dynasty rehabilitated An Yongbok in the contemporary historic space by connecting him with diplomatic affairs in the territory(疆域問題). The intellectuals sprang him from offender to national hero and remembered him as a representative figure who settled the dispute over the territory.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intellectuals revived him as a historical figure and described him as a national hero. In particular, they remembered and recorded him in different ways upon the contemporary historical circumstances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Intellectuals in the late Chos.n Dynasty emphasized him as a symbol of awareness for the territorial dispute, intellectuals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paid attention to him for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intellectual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vived his reputation for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고전 번역의 난제와 재번역

        진재교(Jin, Jae-kyo) 한국고전번역원 2017 民族文化 Vol.50 No.-

        이 논문은 기존의 한문고전 번역서를 재번역할 경우, 그 범주를 보주와 보역, 그리고 재번역으로 설정하고 몇 가지 사례를 들어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에서 기존 번역서를 재번역한다면, 그 번역대상의 학술적 가치와 활용도를 고려하여 재번역할 것을 제안하였다. 재번역에서 중요하게 고려할 문제가 윤문이다. 수십 년 전 번역서의 경우 지금 독자들의 어문감각과 다르기 때문에 독자들의 어문환경과 어문 감각을 감안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방향에서 재번역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한문 고전번역의 현대적 활용과 문화 컨텐츠로 활용가능하기 위해서는 기존 번역의 수정과 재번역은 수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독자나 연구자를 위해서도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수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역을 바로잡고 그것을 실현하는 방안도 적극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discusses retranslation through the use of supplementary notes, supplementary translation, and retranslation, and suggests methods that give examples when using preexisting translations of Korean Classics. In the case of the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t suggests retranslation considering academic value and the utilization of the translating object. Re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when retranslating Scores of years ago, published translation quality was far from our present standard, so retranslation should be undertaken to increase the readability. Especially, modification and retranslation should make use of modern applications and digital culture contents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It is desirable for reader and researcher to point out mistakes in a translation and have a plan for how to proceed.

      • KCI등재

        투고논문 : 진경산수(眞景山水) 연구의 허(虛)에 대한 변증(辨證)

        진재교 ( Jae Kyo Ji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2 한문교육논집 Vol.38 No.-

        그간 이루어진 진경산수에 대한 연구 성과는 조선후기 문화사를 풍부하게 한 공헌도 있지만, ``조선의 고유한 것``을 지나치게 상정하고, 문예 문제를 관념적 사유에 의도적으로 결부하려 한 혐의에서 벗어나지 못하였다. 진경과 진경산수의 산생은 동아시아 공간의 문예 교류와도 관련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진경산수를 인식할 때, 일국적 시각으로 바라보아서는 안 된다. 어떤 사안이든 타자와의 관계속에서 바라보아야 그 객관성을 담보할 수 있다. 진경산수 역시 동아시아 공간에서 산생한 실경산수의 흐름과 관련시켜 조명해야 그 객관적 실상과 보편성에 다가설 수 있다. 진경산수는 내적으로는 山水遊記와 彩色地圖의 확산과 관련성이 깊으며, 진경산수 이전의 실경산수와도 내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진경산수는 동아시아 공간에서의 使行과도 일정한 관련을 지닌다. 이 외에도 출판이나 酬應畵나 서양화의 충격과도 일부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이처럼 진경산수는 일국 안과 밖의 다양한 자양분을 머금고 산생하였다. 이는 겸재 정선을 거치면서 만개하였고, 그 성과는 후대에 이월되었다. A noticeable achievement of the researches on the "real landscape painting" is to contribute to enriching the cultural history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but these researches cannot escape from the following criticisms : the researchers excessively postulated ``inherent and unique things about Chosun`` and they tried to connect the matter about the literature intentionally to the "abstract thought". The development of the real landscape painting is related to the exchange of the literature and art in East Asia.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the real landscape painting, we should avoid from looking over it from a state-centric perspective. We can obtain the objectivity when we should deal with any issue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s. While we illuminate the trend of the actual view painting developed within the literature and art in East Asia, our analysis of the real landscape painting becomes more objective and universal. Internally, the real landscape painting is deeply related to expanding the opportunity to travel mountains and rivers, and spreading the colored maps. In addition, the real landscape painting is internally connected with the actual view painting in the former ages. The real landscape painting, externally, is related to the diplomatic visiting to China to some extent. Besides, publishing, the painting for drinking, the impact of the western painting might be the motiv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real landscape painting. Likewise, the real landscape painting was born with external and internal nutrition, the era of "Gye-Jae Jung, Sun" flourished, and the achievement of it carried forward to the later gen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무명(無名)의 선비, 기록으로 말하다 ; 무명자(無名子) 윤기(尹기)의 동몽시(童蒙詩)와 그 세계(世界)

        진재교 ( Jin Jae Ky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89 No.-

        윤기는 조선조 후기에 주목할 만한 동몽시인이다. 한문학사에서 동몽시나 동몽 시인으로 주목받은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윤기가 남긴 동몽시는 습작을 넘어 창작의 면모를 보여주거나, 작품의 수준 또한 동몽기의 구기를 뛰어넘는 경우가 많다. 특히 그는 두보의 시적 성취를 충분히 습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심의 마음을 교직 하여 개성적인 동몽기의 시세계를 펼쳤다. 이 점에서 윤기는 동몽시인이자 한 시인으로서도 손색이 없다.더욱이 윤기는 동몽기 이후에 남긴 작품을 보더라도 뛰어난 시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처럼 뛰어난 시적 성취를 이룬 윤기의 한시 연구는 의미가 있다. 특히 조선조 후기 한시에서 무명의 선비가 아니라 유명의 시인으로 조명하는 것은 漢詩史에서 시인 한 분을 발견하는 것은 물론, 조선조 후기 한시사를 보다 풍부하게 해 줄 것이기 때문이다. Ki Yoon was a poet who wrote children`s poem in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a writer. He was one of outstanding poets who wrote children`s poem in the 18th century. He showed his literary productivity in his poems which were already over the process for an apprentice. Thus, most of his poems could not be bound with the category of children`s poem any longer. In particular, he fully learnt Tu Fu`s achievement in poem. Based on this learning, he never lost his childlike innocence and wrote characteristical children`s poems. These Ki Yoon`s children`s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showed the outstanding achievement in the poetry. Even though Ki Yoon was a poet who wrote children`s poems in Chinese characters, his works bore comparison with comtemporary poets. Moreover, reviewing other poems written by Ki Yoon except for his children`s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t may be enough to call Ki Yoon as one of the best poets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As "Literary works written by nameless writers" is fully translated into contemporary Korean, it is necessary for researcher to pay more attention to his Chinese poems. By means of this attention, I hope that this paper will provide a chance to enlighten an outstanding poet and a poet who wrote children`s poems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ms of the late Chosun Dynasty.

      • KCI등재

        한문고전 독해(讀解)와 표점(標點) -감단지보(邯鄲之步)와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사이-

        진재교 ( Jay Kyo Jin ) 한국실학학회 2012 한국실학연구 Vol.0 No.23

        標點은 어떠한 경우라도 훌륭한 고전 번역을 넘어서지 못한다. 표점은 근대 이후 중국이 자국의 고전 문헌을 독해하기 위하여 주목한 방식이다. 일본의 경우, 그들은 한문을 독해하기 위하여 우리가 고안한 구결을 원용하였지만, 구결과 언해로 한문을 독해하는 우리 전통과 사뭇 다르다. 근대 이후 중국은 표점의 방식으로, 일본은 전통적인 훈독으로 우리는 번역을 통해 한문을 독해하였다. 우리의 경우 한문 고전을 번역하였다. 현재 우리는 한글 전용의 어문체계로 어문생활을 하고 있다. 한문고전 번역은 다중의 독자를 위하여 한글로의 전환이 우선이며 여기에 치중해야 한다. 우리의 경우 표점과 번역은 상호 필요하고도 충분한 조건은 아니다. 표점을 정확하게 하지 못하면, 제대로 된 번역을 하지 못한 것이라는 논법은 성립하지 않는다. 표점은 번역에 비해 부수적이다. 전통적인 한문 독해 방식의 고려 없이, 근대 이후 중국에서 정립한 표점을 수용하는 인식과 자세는 문제다. 우리는 타자의 학술적 전통과 현실적 요구에서 나온 것을 단순히 수용하여 이를 확대할 것이 아니라, 주체의 학술 전통을 진지하게 되돌아보고, 그 전통의 자양분 위에서 한문 고전을 지금 실정에 맞게 번역하는 것에 방점을 두어야 한다. 자국 안의 학술 전통에서 나온 다양한 한문 독해 방식을 고민하지 않고, 기능적 차원이나 현실적 당위성에만 강박되거나, 저 거대한 타자의 의도를 고민하지 않은 채, 단지 효율성과 기능을 앞세워 표점과 중국식 표점을 전면적으로 거론하는 것은 邯鄲之步에 지나지 않는다. The so-called "marking system" is not better than the excellent translation of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every possible case. "Marking system" as a way received attention from Chinese scholars when they tried to read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from the modern times. In Japan, even though Japanese scholars quoted "Gugyeol" when they tried to read Chinese classics, their way is quite different from our Korean tradition, which has used "Gugyeol" and "Enhay" (Korean annotation of Chinese classics) when annotating Chinese classics. Since the modern times, Chinese scholars have read Chinese classics with "marking system", Japanese scholars have read them with the traditional "ideographical system", and our Korean scholars have read them with "translations". We, Korean, have translated the classic Chinese literature into Korean. We live now in the era of exclusive use of "Hangul (Korean alphabet)" in both the written and the spoken language. Thus, our goal of the translation of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have to give a priority to translate them into Hangul for many readers. As a result, we do not restrict our goal just to accept other`s academic tradition and the practical demands and expand the value of them. However, we earnestly review our academic tradition and under the flag of the heritage of our academic tradition, we have to focus on translating the classic literature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to the realistic context. Without considering our academic tradition derived from various ways of reading classical Chinese and without reconsidering the huge other`s desire, if we are swept along the practical usage and the realistic obligation and if we adopt "marking system" which is the reading style in China for the practical reason, this academic attitude is no more than what the maxim "Handanjibo(邯鄲之步)" s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