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우슈선수들의 운동열정과 자기관리 및 운동 몰입과의 관계

        병용,문한식 대한무도학회 2020 대한무도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ssion, self-management and exercise immersion by Wushu athletes. In order to accomplish such a purpose of the study, it has selected the athletes participated in 2018 Wushu Competition as the parent group ot analyze for 187 subjects by using the available sampling method from May to August. For data processing, the SPSS 25.0 program is used to implement frequency anal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u-regression analysis to formulate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ad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xercise passion o the self-management, it had the positive (+) inuluence in the sequence of personal management, mental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and body management for the harmonized pass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exercise passion on the exercise immersion, it had the positive (+) influence in the sequence of compulsive passion and harmonized passion for the cognitive immersion and it had the positive (+) influence in the sequence of compulsive passion and harmonized passion for the behavioral immers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self-management on the exercise immersion, it had the positive (+) influence in the sequence of personal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for the cognitive immersion and it had the positive (+) influence of mental management for the behavioral immersion. 본 연구는 우슈선수들의 운동열정과 자기관리 및 운동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들은 2018년에 우슈대회에 참가한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5월부터 8월까지 가용표집방법을 이용하여 18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검사,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조화열정은 대인관리, 정신관리, 훈련관리, 몸관리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조화, 강박열정은인지몰입, 행위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기관리, 정신관리는 인지몰입에 유의한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관리는 행위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볼 때, 우슈선수들은 운동열정이 높을수록 자기관리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기관리또한 잘할수록 운동몰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본 연구를 통해 파악하였다

      • KCI등재

        안민영과 이세보 애정시조의 미적 특징과 그 의미

        병용 한국고전문학회 2023 古典文學硏究 Vol.63 No.-

        This study compares and examin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love sijo by Ahn Min-yeong and Lee Sebo, representative poets of the 19th century.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expression methods of Ahn Min-yeong's love sijo and Lee Sebo's love sijo, then examines the nature and perception of their poetic subject. First, Ahn Min-yeong's sijo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descriptive poem" that details the object sensed by the poetic subject. However, Lee Sebo's love sijo has characteristics of a "narrative poem" that presents changes in emotions and behavior over time. Second, the poetic subject of Ahn Min-yeong's sijo considers the beloved an "already known" object and focuses on aesthetically describing their perspective rather than the other person's. In contrast, the poetic subject of Lee Sebo's sijo considers the beloved a "continuously unknown" object, mainly expressing various emotions and anxiety caused by the inability to understand the other person’s perspective. As such, differences in Ahn Min-yeong and Lee Sebo's love sijo show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love sijo in the 19th century were diverse. As a resul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deepening scholarly understanding of Ahn Min-yeong's and Lee Sebo's love sijo and reveal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love sijo. 본고의 목적은 19세기의 대표적인 시조 작가인 안민영과 이세보가 창작한 애정시조의 미적 특징을 비교 고찰하는 것이다. 먼저 안민영과 이세보 시조의 표현 방식과 수사적 지향을 분석한 뒤, 애정시조에 나타난 주체의 성격 및 관계 인식에 대해 논하였다. 이를 통해 두 작가의 애정시조를 심도 있게 이해하면서, 그간 감상성 내지 통속적 경향 등으로 범박하게 파악되어 왔던 19세기 애정시조의 양상을 구체화할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안민영의 애정시조는 고정된 현재 속에서 주체가 포착한 대상을 감각적으로 묘사하는 묘사시의 특징을 지닌 반면, 이세보의 애정시조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주체의 감정 굴곡과 행위 변화를 연속적으로 제시하는 서술시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한편, 안민영 시조의 주체는 상대의 마음이 자신의 것과 일치한다는 확신 위에서 타인을 旣知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타인의 내면에 관심을 기울이기보다 자기 상태를 드러내거나 자신이 감각한 대상을 표현하는 데 주력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와 달리 이세보 시조의 주체는 타인의 마음을 온전히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전제 위에서 타인을 未知의 대상으로 간주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신의 상태보다 상대의 내면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이면서, 서로의 마음을 알 수 없기에 발생할 수밖에 없는 감정의 굴곡과 관계에 대한 불안을 주로 형상화하고 있다. 이처럼 안민영과 이세보의 애정시조는 상이한 인식론적 기반을 토대로 각자의 개성을 구축하였던바, 19세기 애정시조의 존재 양상과 미의식의 다양성을 시사한다. 이상, 본고의 논의는 안민영과 이세보 각자의 작품세계 내에서 핵심적인 영역으로 간주되어 온 애정시조에 관한 이해를 심화하는 한편으로, 19세기 애정시조의 다채로운 국면과 미의식을 재조명하기 위한 하나의 試論으로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남원 윤씨의 유서와 <명도자탄사> 연구

        병용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0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40

        본고는 조선후기의 열녀 남원 윤씨(南原尹氏, 1768~1801)의 유서와 가사 <명도자탄사>를 대상으로 그에 반영된 열녀의 내면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작품의 의의를 재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유서와 가사의 양상 및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남원 윤씨에게 두 텍스트의 창작이 어떠한 의미를 지닌 행위였는지 탐문해보고자 하였다. 남원 윤씨의 유서 9편에는 열과 효의 모순으로 인한 내적 갈등, 단정한 죽음에의 강박과 자기 죽음의 의미를 숙고한 흔적, 사후의 일을 구체적으로 대비하는 태도가 반복적으로 확인된다. 반면, 다른 열녀의 유서들에 비해 신세에 대한 한탄이나 원망, 삶에 대한 미련 등의 강렬한 감정은 거의 노출되지 않는다. 이로 보면 남원 윤씨는 사후의 일을 대비하려는 목적 하에 사적인 감정을 가능한 한 배제하거나 억제한 채 유서를 작성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대신 그녀는 자기 내면을 드러냄에 있어 수신자가 상정되지 않는 방식으로 규방 여성들에게 익숙했던 탄식류 가사의 정조와 양식을 도입했던 것으로 보인다. 남원 윤씨에게 유서가 의무를 수행하고 타인과의 외적 소통을 도모하기 위한 수단이었다면, <명도자탄사>의 창작은 가사라는 장르를 경유하여 독백적으로 자신의 내면을 표현하려는 시도였던 것이다. <명도자탄사>에서 남원 윤씨는 남편이 부재하는 현실을 수용하고 자결을 결심한 뒤 가사를 창작하기까지의 심리적 변화를 보여준다. 그녀는 죽음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시공간적 대상으로 형상화하면서 남편을 향한 감정을 표출하는 한편, 문식적 표현을 구사하며 작가적 의식을 드러내기도 하고, 죽음에 직면한 시점의 정신적 방황을 전면화하기도 하면서 사대부의 기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열녀의 삶과 의식을 재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자신의 내면이 온전히 재현될 수 없다는 자각에 도달하는 바, 작품의 결말부는 남원 윤씨가 이러한 언어적 한계에 직면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과 고통을 표현하려 분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남원 윤씨가 당사자인 자신조차 그 고통을 온전히 증언할 수 없다는 사실을 거듭 강조한다는 점은 주목을 요한다. 이를 통해 <명도자탄사>는 당사자가 아닌 남성 사대부에 의해 서술된 열녀 기록의 진실성뿐 아니라 재현의 윤리까지 문제 삼는 텍스트로서 그 의의를 재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teriority of the chaste woman in the suicide notes and Myeongdojatansa (명도자탄사) written by Ms. Yoon of Namwon (남원윤씨, 1768~1801) and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Myeongdojatansa. To accomplish these goals , this paper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icide note and Myeongdojatansa comprehensively and explores the meaning of these two texts as related to Ms. Yoon. Ms. Yoon wrote nine suicide notes, where she repeatedly illustrates her internal conflict caused by the contradiction between ‘chastity’ (烈) and ‘filial piety’ (孝), her obsession with the concept of a “neat death”, her contemplation on the meaning of her own death, and her attitude towards others’ preparation for life after her death. She rarely expresses intense emotions such as grief, resentment, or regret, particularly in contrast to other women's suicide notes. This suggests that Ms. Yoon's suicide notes were a means to fulfill her duties and to communicate with her family members. On the other hand, her creation of Myeongdojatansa was an attempt to express her inner self in a monologue through the genre of Gasa (歌辭). In Myeongdojatansa, Ms. Yoon exhibits a psychological shift as she goes from accepting her husband’s death to embracing self-determination regarding her own death and the act of writing these lyrics. In the text, she expresses her feelings for her husband by shaping the abstract concept of death into a spatiotemporal object. In the meantime, the scene of her husband's death remains a kind of traumatic memory, and is repeatedly invoked in the work. Through this series of processes, Ms. Yoon seems to finally accept her reality. In addition, she exhibits an artist's consciousness through literary expression and directly articulating the wandering of her mind in the face of death. In this way, she represents the life and consciousness of a woman who is about to die in various ways that differ completely from the Sadeabu (士大夫) men’s records of the chaste woman. Despite her attempts, however, Ms. Yoon finally realizes that her inner self cannot be fully represented. Notwithstanding these linguistic limitations, Myeongdojatansa shows her struggling to describe her life and express the suffering she has never previously revealed as a response to extreme sadness and loneliness. She then repeatedly emphasizes the fact that even she herself cannot fully testify her own suffering. In this regard, Myeongdojatansa can be read as a text that questions not only the authenticity of the Sadeabu men’s records of the chaste woman but also the ethics of representation.

      • 純音聽力檢査에 있어서 Cross Hearing의 聽覺學的 硏究

        尹秉鎔 인제대학교 1983 仁濟醫學 Vol.4 No.1

        純音聽力檢査時 片側聽力障碍나 兩耳의 非對稱的 廳力障碍가 있는 患者에 있어서 問題시 되어지는 氣導 및 骨導의 Interaural Attenuation을 算定해 보았다. The pure tone tests for hearing sensitivity are the most basic testis that the audiologist uses. These tests are usually thought of as "routine audiometry" and practically everyone feels competent in his ability to administer them. As a result, there are many inaccurate audiogram floating around. Factors influence measure of the pure trine threshold include instructions to the patient, duration of stimulus, test environment, method of obtaining threshold, bone receiver placement, occlusion effect, cross hearing and masking problem, size of skull, and developmental degree of mastoid air cells. The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when to test the patients with unilateral hearing lobs or asymmetrical bilateral loss, are cross hearing that the test signal is transmitted across the skull. This problem can be accomplished through the proper use of masking noise in the nontest ear. For the proper use of masking what we must know is exact value of the interaural attenuation at air and bone conduction. Interaural attenuation (I.A.) is the loss of energy of the teat signal when crossing the head from the teat ear to the opposite ear. The author studied I.A. at air and bone conduction with 50 normal hearing subjects, and 20 unilateral hearing loss or asymmetrical bilateral loss subjects of Korea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There i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sking effect at the threshold level and that of above 5 dB threshold in normal hearing group. Average I.A. (masking intensity) are elevated from lower frequency to higher frequency. 2.In unilateral hearing loss or asymmetrical bilateral toss subjects, average 1.A. at air conduction is elevated from lower frequency to higher frequency. Minimal 1.A. at all frequencies is 40-55 dB. 3.In normal hearing group average I.A. by narrow band noise are decreased 5-10 dB than average 1.A. by pure tone in abnormal hearing subjects. 4.In unilateral hearing loss or asymmetrical bilateral lobs subjects, average I.A. at bone conduction is also elevated from lower frequency to higher frequency Minimal I.A. at all frequencies is 0-5 dB.

      • KCI등재

        화답형 가사 <나부가(2)>와 <남자답가라> 연구- 계녀 담론에 대한 대항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병용 한국시가문화학회 2023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5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Nabuga(2) and Namjadapgara, their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and to examine how the two works are linked to each other. Nabuga(2) is a work that attempts to convey a lesson by describing a lazy female character, describing the woman’s negative behaviors in detail. However, Namjadapgara refutes criticism of women, while referring back to the contents and phrases in Nabuga(2). Namjadapgara responds to the criticism of women presented in Nabuga(2) in two main ways. The first is to discuss the fact that men should receive more criticism for the character and behavior of women singled out as problematic, and the second is to unveil instances where distortion or concealment has occurred in critiques directed towards women. Thus, Namjadapgara effectively refutes the criticism of women presented in Nabuga(2), questioning the ethics of men, the subject of edification, and the truth of the instructional discourse. Nabuga(2) and Namjadapgara are important works in the history of Siga(詩歌) and women’s literature as they are attempts to reconstruct women’s experiences and emotions from their perspective; they are also significant as works that counter the didactic discourses about women. 본고는 화답형 가사 <나부가(2)>와 <남자답가라>를 새로이 소개하면서 작품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두 가사의 연계성에 주목하여 작품의 특징과 시가사적 의의를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나부가(2)>는 게으른 여성 인물의 형상화를 통해 교훈을 전달하는 가사로, 기존에 알려진 동일 제명의 작품(<나부가(1)>)과의 구분을 위해 숫자를 붙여 새로 명명한 것이다. 내용적으로는 부정적인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 다른 계녀가들에 비해 계녀 항목이나 징치에 관한 대목 등을 배제하거나 축소하고, 여자의 행실 자체를 세세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한편, <나부가(2)>에 이어 필사된 <남자답가라>는 탄식가류 규방가사인 <장탄가>의 새로운 이본 중 하나로 확인된다. 그러나 타 이본들과 달리 <나부가(2)>의 내용과 구절들을 강하게 의식하며 여자를 향한 비판에의 대응에 중점을 두고 있어 개성적 성격을 보여준다. 원가와 답가의 관계로 연계되어 있는 두 가사 중, <나부가(2)>는 부녀에 관한 문제들을 다양하게 언급하며 비난하는 데 주력하였던바, 이에 대한 <남자답가라>의 대응은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확인된다. 첫째는 문제로 지적된 여자의 성품과 행실에 대해 역으로 남자가 더 비판받아야 한다는 점을 논하는 것, 둘째는 여자에 대한 비판 과정에서 왜곡되거나 은폐되었던 사실들을 새로이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남자답가라>는 계녀 주체인 남성의 윤리성을 되묻고 계녀 담론의 진실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나부가(2)>에서 전개되었던 비판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는 의식을 시사하고 있다. 시가사적 견지에서 볼 때 <나부가(2)>와 <남자답가라>는 화답형 가사의 맥락과 맞닿아 있으나, 두 가사의 지향이 화합을 향하지 않고 원가의 비판에 답가가 맞서는 양상을 이어간다는 점에서 화답형 가사의 흐름 중에서도 독특한 지점에 놓여 있다고 여겨진다. 한편, <남자답가라>는 나부로 지목되었던 여성 당사자의 발화가 한 작품을 구성해낼 만큼 전면화된 사례로서도 그 가치를 조명해 볼 수 있다. 이 가사는 계녀가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어 온 여성의 모습이 남성에 의해 일방적으로 재현되는 과정에서 부당하게 왜곡된 것일 수 있음을 폭로하는 한편, 여성이 경험한 현실과 감정을 당사자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는바, 이는 남성이 지닌 계녀 주체로서의 권위를 심문하며 계녀 담론 자체에 균열을 가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결과적으로 <나부가(2)>와 <남자답가라>는 화답형 가사라는 양식을 경유하여 당대 계녀 담론에 대한 대항적 글쓰기가 수행된 사례라는 점에서, 시가문학사는 물론 여성 문학의 지평에 있어서도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나부가> 이본의 존재 양상과 그 의미

        병용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3 한국학논집 Vol.- No.91

        본고의 목적은 <나부가>의 새로운 이본 2종을 소개하면서, 현전하는 <나부가> 이본의 존재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나부가> 각 이본들의 성격과 지향을 규명하고, 작품의 의의를 재조명하는 데까지 나아가보고자 하였다. 새로 보고할 <나부가>의 이본 2종은 모두 한국가사문학관에 소장된 것으로, 한 작품의 제명은 ‘나부가’, 다른 작품은 ‘라부가라’로 기재되어 있다. 본고는 두 이본을 각각 가사문학관본A와 가사문학관본B로 명명하였다. 이로써 현전하는 <나부가>의 이본은 기존에 알려진 장서각본, 규장각본, 이정환본, 그리고 이번에 소개된 가사문학관본A와 가사문학관본B까지 총 5종으로 파악된다. <나부가>의 모든 이본들은 여성이 지켜야할 덕목을 제시하고 게으른 부인을 부정적으로 형상화하는 구성을 토대로 하되, 이본에 따라 구절들이 유의미하게 가감되거나 변형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각별한 주목을 요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나부가>의 이본 현황을 전체적으로 검토한 뒤 이본 간의 내용적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이본들의 성격과 그 지향을 고찰한 결과, 장서각본은 <나부가>의 초기 형태에 가까운 이본이며, 규장각본은 길쌈 노동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금세부인의 형상을 구체화하는 쪽으로 정비가 이루어진 이본으로 파악된다. 가사문학관본B는 규장각본과 유사한 내용과 분량을 갖추되, 교훈적 목적을 보다 전면화한 이본으로 판단된다. 반면 가사문학관본A는 교훈 자체에 치중하기보다 흥미 위주의 사례와 표현들을 중심으로 작품을 재편하려는 의식을 드러내고 있으며, 가장 긴 분량을 갖춘 이정환본 역시 교훈적 지향과는 궤를 달리하며 인물들의 발화와 내면을 확장하여 서술하려는 지향이 확인되는 이본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나부가>의 각 이본들은 작품의 본래 목적인 교훈적 지향을 강화하기도 하고, 반대로 이와 거리를 두면서 유희적인 요소들을 삽입하거나 인물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하며 서사적 관심을 심화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단순하게 일괄되지 않는 이본들의 존재 양상은 이 작품이 여성의 치산에 관한 관심이 고조된 당대의 사회적 맥락을 배경으로 하되, 다양한 의식이 복합적으로 개입되어 형성된 텍스트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나부가>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에 이르는 당대인들의 다양한 욕구와 관심사를 유연하게 수용하며 다기한 이본을 형성해 나갔던 작품으로서 그 의의가 새로이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백석 시 <여승>에 활용된 전통적 율격과 그 의미

        병용 국문학회 2020 국문학연구 Vol.0 No.41

        This study revisits the rhymes of Baek Seok's poem “Yeo-seung(女僧)” based on the concept of the meter of traditional poetry and examines the meaning of the poem realized in relation to the meter. Previous studies that looked at Baek Seok poetry in relation to traditional poetry forms were limited to either pointing out the phenomenal fact that the metrics were confirmed or analyzing rhythms based on unclear standards. Although Baek Seok’s Poem does not regulate the format of the whole poem with a single rhythmic model, it uses the meter of traditional poetry to create various meanings through the process of repetition and variation. “Yeo-seung” shows an interaction between meter and meaning. Each stanza of “Yeo-seung” is based on traditional rhythms, revealing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poetic subject in various way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rhythmic deviations and gaps, changes in meter, interruption of inertia, and the superposition of four feet. Moreover, the process of changing the meter in “Yeo-seung” shows the life of a woman who was forced to live as a human involved in memory and emotion even after leaving home in addition to the process of becoming a Buddhist nun. Consequently, “Yeo-seung” can be read as a work that embodies its poetic meaning by utilizing traditional poetry's meter in various ways. 본고는 백석의 시 <여승>의 운율을 전통 시가의 율격 개념에 기초하여 재고하고, 율격과 연동하며 실현되는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백석 시는 단일한 율격 모형이 시 전반의 형식을 규제하진 않지만, 전통적 율격을 활용하고 변주함으로써 다양한 시적 의미를 구축해나간다는 점에서 그 형식에 관한 특별한 주목이 필요하다. 이에 백석 시 중에서도 율격과 의미와의 상호작용이 특징적으로 드러난 작품인 <여승>을 대상으로 하여, 그간 피상적으로만 언급되었던 전통적 율격의 실현 양상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면서 그 형식적 특질을 통해 구현되는 시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여승>의 각 연은 전통적 율격을 기본으로 하는 가운데 율격적 일탈과 간극의 도입, 보격의 변화, 관성의 중단, 4보격의 중첩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시적 주체의 심리 변화를 드러낸다. 또한 작품 전체의 구조와 관련하여 율격의 변화 양상을 살필 경우, <여승>은 한 여인이 여승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한편, 출가 이후에도 여전히 기억과 감정에 연루된 인간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여인의 내면을 보여준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볼 때, <여승>은 전통적 율격을 다채로운 방식으로 활용하여 시적 의미를 구현해낸 작품으로서 새로이 의의가 부여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세보 <상사별곡>의 쟁점과 의미에 대한 재해석

        병용 한국시가학회 2023 韓國 詩歌硏究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ssues related to Lee Sebo(李世輔)'s gasa(歌辭) “Sangsabyeolgok(相思別曲)” and newly interpr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s well as the meaning of its creation. First, this paper sought convincing answers to three key issues: 1) the period of its creation, 2) the character of the speaker, and 3) the meaning of the ending. The creation period of Sangsabyeolgok was considered to be the early 1870s, which is also the time of the completion of Punga dae(風雅(大)). Further, the speaker's personality was found to be a person who portrayed the poet himself, not a female Gisaeng(妓生). In addition, contrasting with the prevalent understanding, the ending of the work is related to the preceding content and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the process encompassing the period from separation to reunion. Next,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development, expression, and composition of Sangsabyeolgok. Starting with the pain the character experiences after the breakup, Sangsabyeolgok continuously contains a story of a reunion in dreams, recalling the past, trying to resolve the pain felt after returning to reality, and reuniting with the lover. Regarding the specific expression and composition method, attention is paid to the relevance of the poet's previously created sijo(時調)s. In particular, the poet's personal experiences, which were reflected in the sijo, were also actively used to embody the situations and emotions faced by the speaker in Sangsabyeolgok. In this process, the poet carefully selected and arranged the expressions of the existing sijo that are suitable for the context, as well as the atmosphere of the work, changing them according to the grammar of the gasa genre.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Sangsabyeolgok can be reevaluated as having completeness as a gasa. Finally, this paper reviewed the purpose and meaning of Sangsabyeolgok and reevaluated its significance within literary history. As a result, the creation of the work was understood to have a practical purpose in connection with Sijochang(時調唱), as well as the poet's own consciousness, thereby realizing the literary orientation that was maintained in Punga dae. The significance of Sangsabyeolgok lies in its expansion of Lee Sebo's work into the genre of gasa, and the creation of a repertoire of performances that aligned with the trends of the singing culture at the time, using the abilities gained from creating sijo. Additionally, the value of Sangsanbyeolgok can be found in its suggestion of a key aspect of the enjoyment of 19th-century siga, where Sijochang and Gachanggasa(歌唱歌辭) were performed together. 본고의 목적은 이세보의 가사 <상사별곡>에 관한 쟁점들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작품의 특징과 창작의 의미를 새로이 해석하는 것이다. 먼저 <상사별곡>에 대한 기왕의 연구가 창작 시기, 화자의 성격, 결말부의 의미라는 세 지점에서 쟁점화되어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한 설득력 있는 답변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상사별곡>의 창작 시기를 『풍아(대)』의 완성 시점인 1870년대 초반으로 비정하고, 화자의 성격은 여성 기녀가 아닌 이세보 자신을 투영한 남성 사대부로 보아야 한다고 논하였다. 또한 작품의 결말부는 앞선 내용과 무관하거나 외삽적으로 추가되었다기보다 이별에서 재회에 이르는 내적 개연성의 결과로 해석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다음으로는 위의 검토를 바탕으로 <상사별곡>의 내용 전개와 표현, 구성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상사별곡>은 이별 이후 직면한 내적 고통을 시작으로 꿈에서의 상봉과 과거에 대한 회상, 현실로의 복귀 이후 심화된 고통과 이를 해소하려는 시도를 거쳐 임과 재회하기까지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구체적인 표현과 구성 방식에 있어서는 작가가 이전에 창작한 시조들과의 관련성이 주목되는데, 특히 시조에 반영되었던 작가의 경험이 <상사별곡>의 화자가 처한 상황과 감정을 형상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작품의 내적 맥락과 분위기에 적합한 기존 시조의 표현들을 세심하게 선택, 배열하고 가사 장르의 어법에 맞게 변개하는 양상이 나타난다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이러한 특질들은 화자 및 작품 구성의 비일관성에 초점을 맞춰 온 기왕의 논의들에서는 충분히 조명되지 못하였던바, 이 작품이 지닌 가사로서의 완결성과 그에 내재된 작가적 지향에 관한 새로운 평가의 필요를 제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는 <상사별곡>이 창작된 목적과 의미를 고찰하면서 작품이 지닌 시가사적 의의를 제시하였다. 작품 창작의 의미는 두 가지 차원으로 파악되는바, 첫째는 기존의 가창가사를 대신해 자기 취향에 맞는 가사를 시조창에 이어 연행하기 위한 실용적인 목적, 둘째는『풍아(대)』에서 견지되었던 문예적 지향을 가사로서 구현하려는 의식이다. 이를 통해 볼 때, <상사별곡>은 1870년대 초엽의 이세보가 시조의 창작을 통해 축적한 작시의 역량을 동원하여 자신의 작품세계를 가사 장르에까지 확장하고, 연행의 레퍼토리를 구축한 결과로서 그 의의가 주목된다. 나아가 작품의 창작이 시조창과 가창가사가 밀착되어 향유되었던 당대의 연행 환경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상사별곡>은 19세기 중엽 이후 확립된 시가 향유의 주요한 일면을 시사하는 작품으로서도 그 위상을 재조명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