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古詩歌文學會의 硏究活動과 그 成果 - 학회 창립 20주년을 즈음하여

        박준규 한국시가문화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한국고시가문학회에서는 그 동안 매년에 걸쳐 학술연구 발표대회를 가졌고, 학회지로서 『古詩歌硏究』를 발간하는 등 고시가 연구의 활발한 연구를 꾸준히 계속하여 왔다. 학술 발표대회는 금년까지 23회를 개최하였는데, 그 동안 수행되었던 연구발표의 안건은 총 102건이요, 대회에 임한 학술연구 발표자 수는 56명에 이른다. 또한 회원들의 꾸준한 학문연구로서 추진한 학회지 『고시가연구』는 제27집의 발간을 예정하고 있다. 제25집까지 게재된 논문의 수는 총 316편이요, 그 집필자 수를 헤아리면 112명에 이른다. 이는 학계 절대 다수의 연구진이 참여한 방대한 논문집의 출간이라 하겠다. 한편 학술발표에는 주요 과제를 공동연구의 특별 주제로 내세워 전국대회를 8차에 걸쳐 개최하기도 했다. 특히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사대부가사의 전통과 미학, 고시가의 정체성과 미학, 고시가 연구 방법론의 검토와 모색 등 흥미 있는 주제 논의는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회지에 발표된 316편의 논문은 고전시가 전반에 걸쳐 심층적으로 연구된 결과이다. 이를 시가 유형별 비중으로 보면 가사와 시조 그리고 한시 등에 대한 논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중에서도 가사문학 연구의 업적이 대단하였음을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송강문학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작가론 또는 문학론의 탐색이 다양하게 모색되었다고 하겠는데, 본 학회지에 발표된 정철관계의 다양한 연구들은 ‘송강문학 재인식’의 한국고시가문학회에서는 그 동안 매년에 걸쳐 학술연구 발표대회를 가졌고, 학회지로서 『古詩歌硏究』를 발간하는 등 고시가 연구의 활발한 연구를 꾸준히 계속하여 왔다. 학술 발표대회는 금년까지 23회를 개최하였는데, 그 동안 수행되었던 연구발표의 안건은 총 102건이요, 대회에 임한 학술연구 발표자 수는 56명에 이른다. 또한 회원들의 꾸준한 학문연구로서 추진한 학회지 『고시가연구』는 제27집의 발간을 예정하고 있다. 제25집까지 게재된 논문의 수는 총 316편이요, 그 집필자 수를 헤아리면 112명에 이른다. 이는 학계 절대 다수의 연구진이 참여한 방대한 논문집의 출간이라 하겠다. 한편 학술발표에는 주요 과제를 공동연구의 특별 주제로 내세워 전국대회를 8차에 걸쳐 개최하기도 했다. 특히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사대부가사의 전통과 미학, 고시가의 정체성과 미학, 고시가 연구 방법론의 검토와 모색 등 흥미 있는 주제 논의는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회지에 발표된 316편의 논문은 고전시가 전반에 걸쳐 심층적으로 연구된 결과이다. 이를 시가 유형별 비중으로 보면 가사와 시조 그리고 한시 등에 대한 논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중에서도 가사문학 연구의 업적이 대단하였음을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송강문학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작가론 또는 문학론의 탐색이 다양하게 모색되었다고 하겠는데, 본 학회지에 발표된 정철관계의 다양한 연구들은 ‘송강문학 재인식’의 괄목할 성과로 평가된다. 괄목할 성과로 평가된다.

      • KCI등재

        20세기 초 프랑스 여행가에게 인식된 한국의 시와 노래 - 조르주 뒤크로(Georges Ducrocq)의 『가련하고 정다운 나라, 조선(Pauvre et douce Coree)』[1904]에서 논의된 한국시가의 면면 -

        김승우 ( Kim Seung-u ) 한국시가학회 2021 韓國 詩歌硏究 Vol.54 No.-

        본고에서는, 1901년에 한국을 방문하고 당시의 견문을 수년 후 『가련하고 정다운 나라, 조선(Pauvre et douce Coree)』이라는 제목의 여행기로 출간했던 프랑스 시인 조르주 뒤크로(Georges Ducrocq)의 한국시가에 대한 인식과 논평을 검토하였다. 뒤크로는 자신이 관찰한 사항만을 다루려는 지향과 상상력을 발휘하여 한국인의 삶을 구체적으로 재구하려는 지향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전자는 ‘관찰자’적 지향이라 칭할 수 있다. 한국을 분석이나 교화의 대상으로 삼지 않고 한 발치 물러선 위치에서 한국인의 일상 풍경을 글로 옮기려 하였기 때문이다. 후자의 지향은 ‘직관’에 해당한다. 뒤크로는 자신이 접할 수 없는 한국인의 삶의 심층에도 관심을 두고서 나름의 직관으로 그 내막을 채워 나갔던 것이다. 양자를 종합하면 뒤크로는 ‘직관적 관찰자’의 입장에서, 또는 ‘관찰자적 직관’을 발휘하여 자신의 한국 체험을 서술하였다고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한국의 시와 노래에 대한 뒤크로의 인식을 살필 때에도 깊이 있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한국시가에 대해 당시까지 가장 학술적인 접근을 시도했던 인물은 모리스 쿠랑(Maurice Courant)이다. 그러나 같은 프랑스인이지만, 쿠랑과 뒤크로가 한국시가를 다루는 방식과 목적에는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쿠랑은 최대한 객관적으로 한국시가의 존재 양상을 기술하려 한 반면, 뒤크로는 한국시가 자체의 존재상보다는 작품에 담긴 한국인의 정서와 일상 등 내용적 측면을 중시하였고 그 이면의 사정을 직관적으로 포착하는 데 유념하였다. 쿠랑과 뒤크로 사이의 이 같은 편차는 한국시가를 논의했던 영미권 인사들 가운데 제임스 게일(James Gale)과 호머 헐버트(Homer Hulbert)가 노정했던 편차와 도 유사하다. 뒤크로는 자세한 시적 상황을 번역시에 개재하였던 헐버트의 영역 작업에 공감하였다. 그러나 큰 틀에서는 헐버트의 의역 방식에 따르면서도 뒤크로는 작품 본연의 맥락을 가급적 되살리려는 중용을 택하기도 하였다. 원작에 비교적 충실한 게일의 영역을 취하되, 유사한 주제를 지닌 서너 편의 시조를 하나의 맥락으로 재편함으로써 원작의 의미를 보존하면서도 서구 독자들이 한국시가의 느낌을 한결 용이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배려하는 일종의 ‘엮음’ 방식을 도입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뒤크로는 일부 시구 또는 시행을 누락하거나 원작에는 없는 표현을 삽입하여 시상을 자연스럽게 연결 짓는가 하면, 시조가 지닌 세 단계의 전개 방식을 번역시에 어떻게든 드러내고자 조처하였다. 아울러 뒤크로는 한국의 속담에서 발견되는 응축적이고 생기발랄한 표현력이 한국문학의 저변을 이룬다고 서술하였는데, 이는 속담과 한국시가의 표현 양상이 매우 유사하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시가에는 고달픈 현실의 문제보다는 시간을 초월한 보편적 정서가 많이 나타난다는 뒤크로의 총평도 주목된다. 그의 언급은 질곡으로 점철된 한국인의 삶에 한국시가가 최적의 가치를 지닌다는 적극적인 평가와 잇닿아 있다. 어느 시대나 사회에서든 보편적으로 느낄 수 있는 정서를 환기함으로써 고난에서 한 발 비껴 설 수 있는 계기를 한국인들은 문학, 특히 시가를 통해 마련하였다는 것이다. 그가 한국시가 작품을 여러 편 번역하여 프랑스 독자들에게 선보였던 이유도 한국인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가를 살펴야만 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뒤크로는 한국문학을 논하였던 이 시기의 다른 어떤 서구인에 비하더라도 매우 진지하고 본격적인 탐색을 수행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A French poet Georges Ducrocq visited Korea in 1901 and published a travelogue titled Pauvre et douse Coree(Poor and Douce Korea) several years later. This study examined his perception of Korean poetry found in this book. Ducrocq intended to describe only the things he observed and the intention to depict the lives of Koreans in detail by activating his imagination. The former can be called the orientation as an ‘observer’ because he did not consider Korea as an object of analysis or edification but tried to write down the daily lives of Koreans from a distance. The latter orientation corresponds to ‘intuition’. Ducrocq was interested in the vivid life of Koreans that he could not see and imagined it with his intuition. So, it can be summarized that Ducrocq described his experiences in Korea from the standpoint of an ‘intuitive observer’ or by demonstrating his ‘intuition as an observer’. This point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when examining his perception of Korean poetry. The person who attempted the most academic approach to Korean poetry up to that time was Maurice Courant. However, although they are both French, there is a clear difference in the way and purpose of discussing Korean poetry between Courant and Ducrocq. While Courant trie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poetry as objectively as possible, Ducrocq emphasized the contents of Korean poetry, such as Korean emotions and daily life, rather than its literary form, and he was careful to intuitively capture the situations behind the text. Such a difference between Courant and Ducrocq is similar to that of James Gale and Homer Hulbert, the Anglo-American missionaries who discussed Korean poetry. Ducrocq sympathized with Hulbert’s translation, which contained detailed poetic situations not found in the original text. However, while following Hulbert’s paraphrase method, Ducrocq chose the middle way to revive the work's original context as much as possible. He used Gale’s translation of sijo poems, which reflects the meaning and form of the original work relatively well, but reorganized three or four sijo poems with similar themes into one context. In this way, while utilizing the original work's meaning, Western readers were able to accept the feeling of Korean poetry more easily. Such a method can be called ‘weaving’.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he tried to smooth the poem's flow by omitting some phrases and lines or inserting expressions that were not in the original work and to reveal the three stages of development of sijo poetry in his translation. In addition, Ducrocq described that the condensed and lively expressions found in Korean proverbs form the basis of Korean literature, which means that the expression patterns of Korean proverbs and poetry are very similar. Meanwhile, attention is also paid to his general opinion that universal emotions that transcend time appear more frequently in Korean poetry than the problems of painful reality. His comments are linked to a positive evaluation that Korean poetry has the best value in the lives of struggling Koreans. It is said that Koreans provided an opportunity to step aside from hardship by evoking emotions that can be universally felt in any era or society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poetry. Ducrocq translated several works of Korean poetry and presented them to French readers because he decided that to understand the life of Koreans, one had to know their poetry. In this regard, Ducrocq can be evaluated as having carried out a very advanced and full-scale search compared to any other Westerners of this period who discussed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구한말 선교사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의 한국시가 인식

        김승우 ( Seung U Kim ) 한국시가학회 2011 韓國 詩歌硏究 Vol.31 No.-

        본고는, 구한말 국내에서 교육과 선교 사업을 펼쳤던 미국인 선교사 호머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訖法, 轄甫, 1863~1949)의 한국문학 관련 논의, 특히 詩歌관련 논의들을 발굴·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헐버트는 제임스 게일(James Scarth Gale, 奇一, 1863~1937)과 더불어 한국문학에 대한 고찰과 논의를 주도했던 구한말의 서양인으로서, 그가 한국문학에 관해 본격적으로 글을 발표하기 시작한 시점은 1896년인 것으로 파악된다. 그는 한국의 歌樂과 詩가서구의 것과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점을 언급하였으나, 게일과는 달리 양자 사이의 차이를 인정할 뿐 발달과 미발달의 이분법적 잣대를 적용하지는 않았다. 서양인이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인도 서양의 것에 취미를 두지 않는다는 상호적인시각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견해는 한국의 가악에 대해서는 물론 문학, 더 나아가 한국문화 전반에 대한 그의 기본적인 관점을 대변하는 것으로 분석되는데, 그처럼 헐버트는 한국의 문화적 요소들을 긍정하는 한편, 가급적 한국문화의 독자적 성격도 도출해보고자 시도하게 된다. 한국의 시가에 대한 관심에서 촉발된 헐버트의 연구는 소설에 대한관찰로 이어지고, 극에 대한 논평으로 귀결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로써 그는 서구문학의 삼분 장르 구도, 즉 시·소설·극이라는 서구문학의 장르가 한국문학에 빠짐없이 존재한다는 논의의 발판을 모두 마련하게 되었던 것이다. 한국의 시가와 문학에 대한 헐버트의 이 같은 견해는 게일의 한국문학관과는 판연하게 대립되는 것이었다. 게일은 한국문학이 중국문학의 전범을 그대로 따르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그처럼 중국적 요소들을 잘 간직하고 있다는 부면에서 오히려 한국문학의 특장이 발견될 수 있다는 의견을 표명한 반면, 헐버트는 한국문학이 영문학을 비롯한 서구의 문학과 본질적으로 다를 바가 없을 뿐 아니라, 그 수준 또한 서구의 것에 필적하거나 때로 그것을 넘어서기도 한다는 인상을 전달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시각차가 노정되면서 두 사람 사이에 수차례 誌上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 한편, 한국문학에 대한 헐버트의 우호적 태도가 당시 서구인들에게 한국문학의 면면을 소개하는 데 반드시 긍정적인 효과만을 산출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예컨대, 헐버트의 논리 속에서 한국의 時調는 소재만 한국의 것으로 바뀐 영시의 등가물이었으며, 그에 의해 서사적 스토리를 지닌 형식으로 ``영시화``된 채 소개된 시조 역시 비록 서구인들에게 그 존재가 알려진다 해도 관심권에 들기는 어려운 것이었다. 20세기 초반 서구 문인들이 漢詩와 하이쿠(俳句)에 그토록 관심을 보였던 이유가 이들 단형의 동아시아 시가에 내재된비약, 함축, 집중화된 이미지 때문이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한국의 문학을 서구에 소개하고자 했던 헐버트의 활동은 그 방법론적 측면에서 공과를 동시에 지니고 있었던 셈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looking into the western missionary, Homer B. Hulbert`s writings on Korean literature-specifically, Korean poetry in the Greater Korean Empire. Hulbert, one of two leading westerners with James S. Gale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in the 1890s and 1900s, started to present his viewpoints of Korean music and poetry in the Korean Repository in 1896. Although he mentioned that both Korean music and poetry were thorough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world, he merely displayed and explained the differences while Gale often applied a dichotomy between development and lack of development to the Korean culture. Instead, Hulbert frankly admitted that Koreans liked the western culture as little as the westerners liked the Korean. Hulbert researched various Korean cultural elements on the basis of such a mutual understanding, with which he not only took an affirmative view of Korean culture, but also tried to reveal its unique characteristics as much as possible. Especially, in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 his concern firstly stirred by his interest in Korean vernacular poetry spread to novels or fiction and finally, drama. As a result, Hulbert arrived to the conclusion that Koreans, like the westerners also had three major literary genres (poetry, novel, and theatre). Hulbert`s such amicable views of Korean literature often conflicted with Gale`s negative comprehension. Gale frequently emphasized that Korean literature had followed the Chinese classical models for thousands years and that its literary merit also could be derived from its active obedience to the Chinese ideals. On the contrary, Hulbert stressed the high standard of Korean vernacular literature and its fundamental resemblance to the western one. Consequently, they sometimes argued with each other in regards to determining the reasonable view for Korean literature. However, Hulbert`s friendly attitude to Korea didn`t always have positive effects on introducing Korean literature to the western world. For example, he dealt with and presented Korean Sijo(時調) as if it were equivalent to English poetry; furthermore, he translated Sijo in English filling up certain narrative contents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original texts. Western poets and writers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East Asian short poetry, such as Chinese poetry(漢詩) and Japanese Haiku(俳句), mostly because of their literary leap, implication, and condensed imagery. Consequently, Hulbert`s attempt to make Korean Sijo appear similar to narrative poetry actually led westerners to think Korean vernacular poetry was not as special, or as interesting as the Chinese or Japanese.

      • KCI등재

        기획 : 한국고시가문학회(韓國古詩歌文學會)의 연구활동(硏究活動)과 그 성과(成果) -학회 창립 20주년을 즈음하여

        박준규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한국고시가문학회에서는 그 동안 매년에 걸쳐 학술연구 발표대회를 가졌고, 학회지로서 『古詩歌硏究』를 발간하는 등 고시가 연구의 활발한 연구를 꾸준히 계속하여 왔다. 학술 발표대회는 금년까지 23회를 개최하였는데, 그동안 수행되었던 연구발표의 안건은 총 102건이요, 대회에 임한 학술연구 발표자 수는 56명에 이른다. 또한 회원들의 꾸준한 학문연구로서 추진한 학회지 『고시가연구』는 제27집의 발간을 예정하고 있다. 제25집까지 게재된 논문의 수는 총 316편이요, 그 집필자 수를 헤아리면 112명에 이른다. 이는 학계 절대 다수의 연구진이 참여한 방대한 논문집의 출간이라 하겠다. 한편 학술발표에는 주요 과제를 공동연구의 특별 주제로 내세워 전국대회를 8차에 걸쳐 개최하기도 했다. 특히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사대부가사의 전통과 미학, 고시가의 정체성과 미학, 고시가 연구 방법론의 검토와 모색 등 흥미 있는 주제 논의는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회지에 발표된 316편의 논문은 고전시가 전반에 걸쳐 심층적으로 연구된 결과이다. 이를 시가 유형별 비중으로 보면 가사와 시조 그리고 한시 등에 대한 논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중에서도 가사문학 연구의 업적이 대단하였음을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송강문학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작가론 또는 문학론의 탐색이 다양하게 모색되었다고 하겠는데, 본 학회지에 발표된 정철관계의 다양한 연구들은 ``송강문학 재인식``의 괄목할 성과로 평가된다.

      • KCI등재

        韓國古代文人對屈原“美人”意象的接受

        정해령 ( Ding Hai Ling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8

        원의 부(賦)에서 여러 여성 인물을 형상화하였는데, 그 중 “미인”의 형상은 가장 대표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미인”의 형상은《시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현실주의를 지니고 있는《시경》에서 “미인”에 대한 묘사는 현실 생활 속에 진실한 사람과 관련된 것이다. 굴원은 중국 시가(詩歌) 역사상 최초로 “미인”을 의식적으로 아름다운 정치와 밝은 군주의 상징으로 비유하였다. 아름다운 정치와 밝은 군주라는 이상을 추구했던 굴원이 비록 현실 속에서는 여러 번 좌절당하지만, 아름다운 정치를 추구하는 그의 숭고한 정신은 세인들의 경앙을 받아 왔다. 이에 굴원의 “미인” 형상은 후세 및 국내외의 문학에 깊은 영향을 끼쳐 역대 문인들이 본보기로 삼아 학습하는 문학전범이 되었다. 특히 굴원과 그의 작품이《문선(文選)》을 통해 한국 문학계에 들어왔을 때, 한국과 초나라의 정치 환경이 서로 비슷하였는데, 한국의 문인명사들은 불안정하고 부패한 사회 환경 속에서 정신적으로 위로해줄 약을 찾지 않을 수 없었다.《초사》에 나타난 굴원의 충정한 애국심은 특별히 추앙을 받았고, 생사의 선택에서 굴원이 보여준 굴절된 인격의 가치 및 그의 작품에서 향초 미인으로 비유한 군신과 이상에 대한 추구 등에서 드러난 인격적인 매력은 역대 한국의 문인묵객을 감화시켜 그들이 잇따라《초사》와 관련된 내용을 소재로 의소(擬騷), 조소(吊騷) 등 문학 작품들을 저술했다. 고려 시기와 조선 시기에 “미인”의 형상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많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작품들의 출현은 한국 한문학과 시가 문학의 발전을 크게 촉진시켰다. There are many types of women images created in the Fu of Qu Yuan ,in which the image of ‘the beauty’ is the most representative one.This image can be traced back to the ‘the book of songs’,in which it referred to person in real life.Qu Yuan was the first one who consciously compared‘the beauty’ to the good politics and capable and moral monarch in the Chinese poetry history, for which he suffered many setbacks,however,his spirit was highly admired by people.The image of ‘the beauty’ has a profound impact on the literature in later times and at home and abroad, and become the literature model imitated and learned by writers in all ages. When the works of Qu Yuan entered into the Korean literary circles with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the political environment in Korea was similar to the Chu country. The writers and celebrities in Korea had to look for some mental consolation under this unrest and corrupt social environment.Qu Yuan’s loyalty and patriotic to his country in his works was highly respected. His personality reflected in his choice of death and his pursuit of good relationship between the monarch and his ministers deeply influenced the Korean writers in all ages. They wrote lots of poems which imitated or paid respect to the works of Qu Yuan. Lots of works used ‘the beauty’ image as their content during the Korea and North Korea periods, which great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poetry.

      • KCI등재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 『시가전(詩歌典)』의 특성과 계보

        권순회 ( Soon Hoi Kwon ) 한국시가학회 2010 韓國 詩歌硏究 Vol.29 No.-

        본고는 신발굴 가집인 『詩歌曲』을 학계에 소개하고 주요 특성과 계보에 대해 고찰한 논문이다. 『시가곡』은 시조 사설 419수, 가사 3수가 수록된 가곡 가집이다. 필사본 1冊 楮紙에 총 67장으로 구성되었다. 편찬자, 혹은 편찬 집단을 알려주는 단서는 찾을 수 없다. 편찬 연대는 1816~1819년 전후로 파악된다. 사설은 줄글 형식으로 배열하되 가곡의 형식에 따라 章을 구분하였다. 뿐만 아니라 일체 작가 정보를 수록하지 않고 악곡별 배열 방식을 취하고 있다. 『시가곡』의 수록 가곡은 19세기 전반 가곡 연행의 특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우조와 계면조에 따라 창곡을 배열한 점, 여창의 존재를 분명히 한 점, `두거`, `반엽` 등 19세기 전반에 파생된 창곡의 존재 등이 그것이다. 특히 『시가곡』은 `두거`가 독립된 창곡으로 확실하게 자리를 잡고 있는 가장 이른 시기의 문헌이다. 아울러 `솔낭이`, `산락(散落)`, `긴농` 등 다른 가집에서 찾아 볼 수 없는 특이한 창곡명이 등장한다는 점도 흥미롭다. 이처럼 『시가곡』은 19세기 전반 파생곡을 온전하게 수렴하고 있는 가집이다. 『흥비부』와 더불어 19세기 전반에서 『가곡원류』기로 넘어가는 시기의 가곡 연행의 특성을 여실하게 보여준다. 4장에서는 『시가곡』이 『歌譜』(국립중앙도서관소장)의 善本이라는 계보학적 사실을 밝혔다. 『가보』는 19세기 전반 가곡 가집의 특성을 보여주는 자료로 주목을 받아왔다. 하지만 우조와 계면조의 분류에서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고, 다른 가집에서 볼 수 없는 생소한 창곡명이 등장하여 연구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내던 가집이다. 대교를 통해 두 가집이 이본 관계이고 그 가운데 『시가곡』이 선본이라는 사실과 창곡명 표기에 다소간의 혼란이 있을 뿐 『가보』 또한 정연한 체제를 갖추고 있는 가집이라는 사실을 파악하였다. In this thesis, I introduce Sigagok(詩歌曲) to the academic world for the first time and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and genealogy. Sigagok is the gagok anthology which includes 419 sijo and 3 gasa. It is 1 manuscript book and is composed of total 67 pages. We could not find any clue about the compiler or compilation group. We can just figure out that the compilation period is around 1816~1819. Lyrics are arranged in narrative form and are divided by 5 chapters form. And also, it has no information about writers and is arranged according to the tunes. The gagoks in Sigagok get all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performance in the beginning of 19C. Those are the tunes arrangement according to u-jo and gyemyen-jo, the recognizing woman`s song and the tune like `dugeo(頭擧)` and `banyeop(半葉)` in the beginning of 19C. Particularly, Sigagok is the oldest document that `dugeo` is positioned as an independent tune. And it is the interesting thing that `salnangi`, `sanrak(散落)` and `ginnong` were discovered. Those are not found in other anthology. For such a reason, Sigagok is an anthology that includes the most of tunes in the beginning of 19C. Sigagok and Heungbibu(興比賦) clearly sh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performance from the beginning of 19C to the period of Gagokwonryu (歌典源流). In chapter 4, I discovered that Sigagok is the best version of Cabo (歌譜,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Cabo includes the most of gagok`s characteristics in the beginning of 19C. However Gabo lacks consistency of the notes` classification and includes the unfamiliar name of tunes. I found that Sigagok is the best version. Gabo is a different version of Sigagok and also an anthology which is in good order except the confusion of tune name`s marking.

      • KCI등재

        영역(英譯) 한국고전시선집(韓國古典詩選集) 『The Orchid Door 난규(蘭閨)』의 특성 고찰

        강혜정 ( Hye Jung Kang ) 한국시가학회 2016 韓國 詩歌硏究 Vol.40 No.-

        본고는 1935년 일본에서 간행된, Joan S. Grigsby(그릭스비)의 The Orchid Door(『蘭閨』)를 소개하고 이 번역서의 의의와 한계를 통해 20세기 초 서구사회에 소개된 영역한국고전시선집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이 번역서의 서지사항 및 출간 배경을 밝히고, 서문에 드러난 편찬 취지와 한국 시문학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후, 그릭스비의 번역관을 소개하고 이러한 번역관에 수반된 번역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였다. 그릭스비의 번역은 오늘날 서구사회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시로 통용되고 있지만,정작 국문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蘭閨』는 1935년 일본에서 출간되었으며, ‘Ancient Korean Poems 한국고전시’라는 부제를 달고 < 공무도하가 >부터 조선후기 문인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고전시 73편을 번역 수록하고 있다. 당시 번역자로서 그녀는 한국어나 한국 고전에 대한 이해는 부족했지만, 게일의 『한국민족사』를 비롯한 영문판 한국학 자료가 상당한 정도로 축적이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1929년 한국을 처음 방문했던 그릭스비는 외부에 알려진 것과 전혀다른 한국의 현실을 목도하고 한국이 장구한 역사를 가진 문화민족이라는 것을 세상에 알리고자 한국 고전시를 번역하였다. 그녀는 한국이 중국, 일본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갖고 독특한 문화를 이룩해 왔지만, 서구화가 진행되면서 과거와 단절되었다고 인식하고, 기품있는 인물들이 이루어낸 과거의 아름다움이 사라져가는 것을 안타까워하면서 이를 서구 사회에 알리기 위해 본서를 편찬한다고 하였다. 그릭스비는 작품을 직역하면 서양의 독자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지 못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유려한 영시로 읽힐 수 있도록 그 형식과 내용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번역관은 20세기 초 그 존재조차 거의 알려진 바 없었던 한국의 시를 소개하기 위해 그녀가 취했던 방식이었고, 이로 인해 『난규』는 오늘날의 독자들에게까지도 아름다운 시로 읽히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서구인의 취향에 맞도록 변형되었기에 『蘭閨』의 번역시는 한국시가 가진 미감을 구현하지 못하였고, 부기된 기록이 없이는 그 원전조차 확인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게 되었다. This paper focuses on introduc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chid Door: Ancient Korean Poems which was collected and translated into English verse by Joan S. Grigsby, and was published in 1935, Japan. Although The Orchid Door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the Korean classical poetry in the Western Society, it has not even been introduced in the academic world in Korea. Therefore in this paper, I clarified the bibliography of it and the purpose of public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is anthology. This book contains 73 pieces of classical Korean poems from Ancient Joseon Dynasty (BC 3C) to the late Joseon Dynasty (19C). There were lots of writings about Korean history and literature written by Western missionaries such as James S. Gale, so Joan S. Grigsby could translate Korean classical poetry into English even though Joan S. Grigsby couldn’t understand Korean language nor Korean classical poetry. Especially she was inspired deeply when she read The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by Gale. In 1929, Grigsby visited Korea for the first time reluctantly. However after she realized that Korea has a long history of over 5000 years and glorious civilization, she decided to translate Korean classical verses. She intended to present this anthology to the west the beauty of the little known corner of the orient. It is significant that her anthology has stimulated the interest of the western reader about Korean classical poetry. However, we can``t find the original texts without her additional record because she transformed Korean poems into English verses which don``t have characteristics as the Korean poems any more.

      • KCI등재

        한국시가사 시대구분 시안(試案)

        성호경 ( Ho Gyong Seong ) 한국시가학회 2015 韓國 詩歌硏究 Vol.38 No.-

        이 글은 체계적이고 충실한 한국시가사 서술의 바탕이 될 수 있을 시대구분의 시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국시가사의 적절한 시대구분은 역사 시대구분의 의의를 구현하면서 시가사의 실상과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 필자는 한국시가사의 범위를 한민족이 이루어낸 시가들의 총체로정하고, 시대구분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살펴본 뒤, 기존 시대구분들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그리하여 시가 장르들의 발달과 정치적·문화적 환경 그리고 주요 변화의 시기들을 고려해서, 시가 장르의 사적 발달에서의 진행과 변화 위주로 시대구분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draft plan of periodization, which can be used as a foundation for systematic and fruitful description of history of Korean poetry. Proper periodization should realize the significance of periodization, while coinciding with facts in the history of poetry. Therefore, I began by setting the scope of history of Korean poetry to cover the whole poetry―including poetry in archaic Chinese and modern free verse―produced by Korean people, and then looked into principles and methods of periodization. After that, I examined the major problems in existing periodizations. Finally, I sought a concrete plan of periodization that could encompass overall progress and changes in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n poetry, taking the followings into consideration: development of poetic genres, its political- cultural environment, and time of important changes.

      • KCI등재

        영역(英譯) 한국고전시선집(韓國古典詩選集) 『The Orchid Door 난규(蘭閨)』 선취(選取) 양상(樣相)의 문제점 -수록작품의 국적과 갈래를 중심으로-

        강혜정 ( Kang Hye-jung ) 한국시가학회 2016 韓國 詩歌硏究 Vol.41 No.-

        본고의 목적은 1935년 일본에서 처음 간행되고, 1970년 미국에서 재간행된 Joan S. Grigsby(조앤 그릭스비)의 영역 한국고전시선집 The Orchid door: Ancient KoreanPoems(『蘭閨: 韓國의 古詩』)에 수록된 작품들이 `韓國의 古詩`라는 副題와 符合하는지 검토하는 데 있다. 『蘭閨』는 스코틀랜드 시인인 그릭스비가 한국의 고시 72편을 영역한것이다. 한국어로 의사소통도 어려웠던 그릭스비가 한국의 고시를 번역할 수 있었던 것은, 게일에 의해 영역된 자료가 그만큼 풍성하게 축적되었기 때문이다. 즉 그릭스비는 게일의 번역을 토대로 시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재번역하였는데, 게일의 번역에 부족했던 문예미를 구현하여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다. 이러한 그릭스비의 번역을 논하기 위해서는 먼저 번역작업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원전 규명부터 시작해야 한다. 본고는 이를 밝히는 과정에서 『난규』에 수록된 작품의 원전이 본서의 부제인 `한국의 고시`에 부합하는지 검토하였다. 대부분의 작품은 이에 해당하지만, 『난규』에서 5번째에 놓인 < Lament for Prince Chagoo >는 시경을 번역한 작품이며, 38번째에 놓인 < The Grave of So-Koon >은 당나라 常建의 작품으로 밝혀졌다. 즉 이 두 작품은 그 국적이 한국이 아닌 중국인 것이다. 그리고 7번째에 놓인 < Tea >는 최치원의 <謝新茶狀>이며, 16번째에 놓인 < The Louseand The Dog >는 이규보의 <蝨犬說>로 그 원전이 갈래상 시가 아닌 산문에 해당한다. 이렇게 `한국의 고시`라는 부제에 해당하지 않는 작품이 4편이나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어처구니없는 문제가 발생한 것은 기본적으로 번역자 그릭스비가 한국 문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무지함에도 불구하고 장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민족이라는 것을 드러내 보이고자 했던 욕구가 지나친 데서 유래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충실한 번역 대신 수용자 중심의 번역을 지향했던 번역관 때문에 원전의 특성이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을 가능성도 있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all the works included in The Orchid Door, an anthology compiled by Joan S. Grigsby, belong to the category of` Ancient Korean Poems`, which is the subtitle of the book. The Orchid Door, which was first published in Japan in 1935 and reprinted in New York in 1970, is comprised of English translations of seventy two Korean classical poems. Grigsby, a Scottish poet, was not very proficient in Korean, but in the 1930s there were already English versions of many Korean classical poems, which had been translated by James S. Gale. Grigsby`s work was aimed at adding a layer of eloquence to Gale`s translations. To fully understa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her versions, we need to investigate both the English and the Korean sources. To fulfill the remit of the book`s subtitle, all of the Korean texts should be examples of `Ancient Korean Poems`, and most of them do indeed fall within this rubric, but some do not. For example, < Lament for Prince Chagoo >(p.36) is a translation of a poem contained in the Book of Odes(詩經),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hinese classical books, and the writer of < The Grave of So-Koon > (p. 73) was Sang Kun, a Chinese poet from the Tang Dynasty. In addition, < Tea > (p. 38) and < The Louse and The Dog > (p. 50) were originally prose works, not verse. Clearly, for different reasons, these four texts do not belong to the category of `Ancient Korean Poems`. The most significant reason for their mistaken inclusion was Grigsby`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s culture and literature. Her excessive enthusiasm to include the widest breadth of the art of the Korean people, in order to gain recognition for their achievement, might have been another factor. Finally, the fact that she did not intend to render the original texts faithfully might also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se errors. Ultimately, the taste of her Western readership was much more important to her than an attempt to retain the original meaning and context of the texts.

      • KCI등재

        『제국신문』 소재 시가 연구 -“시사논평형” 시가의 게재양상과 기능을 중심으로-

        박애경 ( Ae Kyung Park ) 한국시가학회 2015 韓國 詩歌硏究 Vol.39 No.-

        이 연구는 여러 기관에 산재된 『제국신문』 원 자료를 수집하여, 신문에 실린 시가 자료를 일차적으로 정리하고, 『제국신문』 소재 시가의 자료적 가치를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제국신문』 소재 시가는 그동안 다른 매체 소재 시가에 비해 연구자의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그 이유는 상당 부분 일차 자료 확보의 어려움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제국신문』이 근대 초기 계몽언론 중 가장 오랜 발행 실적을 가진 한글 신문이며, 한글을 통한 다양한 언어·문화적 실천을 시도해왔다는 점에 주목하고, 여기 수록된 시가가 공적 담론의 장에서 활용되는 방식을 해명하고자 한다. 『제국신문』 소재 시가는 전통적 악장의 전통을 지키고 있는 의전용 가사에서부터 시사단평 류의 가사, 시조창 형식을 유지하고 있시조와 창가, 언문풍월, 민요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시가 양식을 게재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시사논평형’ 시가를 중심으로 『제국신문』 소재 시가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시사논평형’ 시가를 주목한 이유는, 『대한매일신보』의 ‘사회등 가사’ 이전에 시가가 근대 공론의 장에 시가가 어떤 방식으로 진입했는지, 그 자취를 밝히는 데 유효한 방식이라 보았기 때문이다. 나아가 ‘시사논평형’ 시가의 게재 경위와 담화전략 분석을 통해 『제국신문』 소재 시가의 특이성과 매체와의 관련성을 해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 『제국신문』 소재 시가는 가창의 전통이라는 기반 위에 감정의 노출을 통해 상대를 설득하는 설득의 기술을 구사하거나 독자들의 집단적, 정감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구어를 활용하고 있다. ‘시사논평형 시가’의 이러한 담화 전략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제국신문』 뿐 아니라 저널리즘 소재 시가에서 시의적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도되었던 담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구어의 효과를 살린 ‘시사논평형’ 시가의 담화 전략은 두말할 나위 없이 근대담론에 의해 전근대적, 정념적, 비합리적, 비주류적인 것으로 폄하되었던 덕목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창의 전통을 일정 부분 계승하면서 한글 중심, 구술언어 중심으로 이루어진 『제국신문』 소재 시가의 분석을 통해 근대를 향한 다양한 통로를 확인하는 한편, 지식인 중심, 서구 중심, 활자 매체 중심으로 근대를 이해하던 방식에 의문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source materials of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distributed in various organs, classify the material works of classical poetry shown in the news papers and explain the value as material of this media in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 The poetry appeared in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haven`t drawn attention from the researchers compared with other media materials. The reason for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iculty to obtain the primary source in large part. In this study, I`d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had been representative Hangeul newspaper with the longest published results in the early modern era and had attempted diverse cultural.linguistic practice with Hangeul and tried to explain how the poerty appeared in this newspaper had been being utilized in the field of public discourses. From the majestic poetry used in the court ritual to the vulgar songs sung on the civil street, diverse forms of poetry was seen on the page of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In this study, I`d specially inquired into the meaning of the poetry in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with a focus on the poetry on the current issue. The poetry on the current issues have showed efficiently how the poetry had been combined with the journalism prior to the launching of “Daehanmaeilsinbo (The Korean daily newspaper)” and entered the modern public sphere. In addition, I`ve expected the specificity of the poetry appeared in the “Jekuk Sinmun (The Empire Newspaper)” could be found through this stud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etry on the current issues had drawn the collective reaction by utilizing the spoke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